728x90

 왕필 주역주

○ 왕필(王弼.226~249)

()나라 산음(山陰산동성사람이며 자는 보사(輔嗣)이다풍부한 재능을 타고나 유복한 환경에서 자랐기 때문에 일찍 학계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나 24살에 요절한 뛰어난 학자이다.

 

24. 복괘(復卦)[卦象:지뢰복]

 坤上

 震下

[.우뢰]이 아래에 있고, [.]이 위에 있다.

 

出入无疾朋來无咎反復其道七日來復利有攸往

()은 형통하니, 출입을 해야 병이 없고 벗이 와야 허물이 없다그 도()를 반복하여 칠일 만에 와서 회복하며, 가서 다스림[]이 있어야 이롭다

 

剛反動而以順行是以出入无疾

단전에서 말하였다. “회복[]하여 형통함은, 굳셈이 돌아와 움직이면서 순함으로써 행하니, 이로써 출입해야 병이 없고,

王弼 注 入則為反出則剛長故无疾猶病也

왕필 주 들어오면 돌아옴이 되고, 나가면 굳셈이 자라기 때문에 병이 없다. ()은 병과 같다.

朋來无咎

벗이 와야 허물이 없다."

王弼 注 謂陽也

왕필 주 ()은 양[初九]효를 가리킨다.

反復其道七日來復

그 도()를 회복하여 돌아오는데 7일 만에 와서 회복하니,

王弼 注 陽氣始剝盡至來復時凡七日

왕필 주()의 기운이 시작하여 깎임을 다하고 와서 회복할 때에 이르름이 모두 7일이다.

天行也

하늘의 운행이다.

王弼 注 以天之行反復不過七日復之不可遠也

왕필 주하늘이 행함으로써 7일을 넘지 않고 회복하여 돌아오니 회복함을 멀리 해서는 안된다.

利有攸往剛長也

가서 다스림[]이 이로움은, 굳셈이 자람이다.

王弼 注 往則小人道消也

왕필 주가면 소인(小人)의 도()가 사라짐이다.

復其見天地之心乎

회복함[]은 그 하늘과 땅의 마음이 보이지 않는가?

王弼 注 復者反本之謂也天地以本為心者也凡動息則靜靜非對動者也語息則默默非對語者也然則天地雖大富有萬物雷動風行運化萬變寂然至无是其本矣故動息地中乃天地之心見也若其以有為心則異類未獲具存矣

왕필 주()이라는 것은 근본으로 돌아감을 말하며, 하늘과 땅은 근본을 가지고 마음을 삼는 것이다. 모든 움직임[]이 쉬면 고요함[]이지만 고요함이 움직임을 상대하는 것은 아니고, []을 쉬면 침묵[]이지만 침묵이 말을 상대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하늘과 땅이 비록 커서 만물을 많이 소유하고, 우레가 움직이고 바람이 다녀서 옮겨져 달라져 만 가지로 변하지만, 고요함[寂然]이 바로 그 근본을 없음에 이르게 한다그러므로 움직임[]이 땅 가운데에 쉬면 이에 천지(天地)의 마음을 본다. 만약 있음[]을 가지고 마음으로 삼는다면 다른 부류를 모두 함께 얻지는 못한다.

 

雷在地中先王以至日閉關商旅不行后不省方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우레가 땅속에 있음이 복()이다. 선왕(先王)이 그로써 동짓날에 관문을 닫고 장사꾼과 여행자들이 다니지 못하게 하며 임금은 사방을 살피지 않는다.”

王弼 注 事也冬至陰之復也夏至陽之復也故為復則至於寂然大靜先王則天地而行者也動復則靜行復則止事復則无事也

왕필 주() [사방의] 일이다. 동지(冬至)는 음()을 회복함이다. 하지(夏至)는 양()을 회복함이다. 그러므로 회복을 하면 고요함이 그러하여 크게 고요함에 이르른다. 선왕(先王)은 하늘과 땅을 법칙하여 행하는 자인데, 움직임[]을 회복하면 고요[]하고 행함을 회복하면 그치며 일을 회복하면 일이 없어진다.

 

 

初九不遠復无祗悔元吉

초구(初九)는 멀지 않아 회복하여 후회에 으르름이 없으니 크게 길하다.

王弼 注 最處復初始復者也復之不速遂至迷凶*不遠而復幾悔而反以此脩身患難遠矣錯之於事其殆庶幾乎故元吉也* 或作遂至遠凶

왕필 주회복함에 가장 처음에 처하여 회복을 시작한 자이다. 회복을 함이 빠르지 않으면 드디어 혼미한 흉함에 이르고 멀지 않아서 회복하니 조금 후회하고서 돌아오며 이로서 자신을 닦으니 근심과 걱정이 멀어진다 . 일에 섞이면 그 위태로움이 몇이나 되겠는가? 그러므로 크게 길함이다.

不遠之復以脩身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멀지 않음의 회복함은, 그로써 자신을 닦음이다."

 

六二休復

육이(六二)는 회복을 휴식함이니, 길하다.

王弼 注 得位處中最比於初上无陽爻以疑其親陽為仁行在初之上而附順之下仁之謂也既處中位親仁善鄰復之休也

왕필 주지위를 얻어 가운데[]에 처하고 초구(初九)에 가장 친하다. 위에 그 친함을 위심하는 양효(陽爻)가 없으며, ()이 어짊을 행하게 되니, 초구(初九)의 위에 있으면서 따라서 붙음은 아래의 어짊을 말함이다. 이미 가운데 지위에 처하고 어짊에 친하고 이웃이 착하니 회복을 하여 휴식함이다.

休復之吉以下仁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회복을 휴식함의 길함은, 그로써 아래가 어짊이다.”

 

六三頻復厲无咎

육삼(六三)은 회복을 재촉하여 위태로우나 허물은 없다.

王弼 注 頻蹙之貌也處下體之終雖愈於上六之迷已失復遠矣是以蹙也蹙而求復未至於迷故雖危无咎也復道宜速蹙而乃復義雖无咎它來難保

왕필 주(, 자주 빈)은 자주 재촉하는 모양이다. 아래 몸체의 마침에 처하니 비록 상육(上六)의 어지러움[迷復] 보다는 나아도 이미 회복함을 멀리 잃었으니 이로써 재촉함이다. 재촉하면서 회복하기를 구하지만 아직 어지러움[]에는 이르지 않았기 때문에 비록 위태로우나 허물은 없다. ()를 회복함은 마땅히 빨리 재촉하면서 이에 회복했으니 뜻에는 비록 허물이 없으나 다르게 와야 어려움이 보호 된다.

頻復之厲義无咎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회복을 재촉함의 위태로움은, 뜻에는 허물이 없다.

 

六四中行獨復

육사(六四)는 가운데가 행하여서 회복을 홀로 한다.

王弼 注 四上下各有二陰而處厥中履得其位而應於初獨得所復順道而反物莫之犯故曰中行獨復也

왕필 주4(六四)의 위와 아래가 각각 두 음()이 있는데 그 가운데 처하고, 그 지위를 얻어 밟고서 초구(初九)에 응하니 홀로 회복하는 바를 얻는다. ()를 따르면서 돌아오니 사물이 범함이 없기 때문에 "가운데가 행하여서 회복을 홀로 한다."라고 말했다.

中行獨復以從道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가운데가 행하여 회복을 홀로 함은, 그로써 도()를 따름이다.”

 

六五敦復无悔

육오(六五)는 회복을 두텁게 했으니 후회가 없다.

王弼 注 居厚而履中居厚則无怨履中則可以自考雖不足以及休復之吉守厚以復悔可免也

왕필 주두터움에 거주하면서 가운데를 밟았는데 두터움에 거주하면 원망이 없으며 가운데를 밟으면 스스로를 살필 수 있다. 비록 회복하여 쉬는 길함에 미침으로는 부족하지만 두터움을 지킴으로써 회복하여 후회를 면 할 수 있음이다.

敦復无悔中以自考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회복을 두텁게 하여 후회가 없음은, 가운데로써 스스로를 살핌이다.”

 

上六迷復有災眚用行師終有大敗以其國君凶至于十年不克征

상육(上六)은 회복함이 미혹(迷惑)하니 흉하고 재앙이 있으며, 군대를 행하는 데에 사용하면 마침은 크게 패함이 있다. 그로써 그 나라 군주가 흉하여 10년에 이르도록 정벌을 못할 것이다

王弼 注 最處復後是迷者也以迷求復故曰迷復也用之行師難用有克也終必大敗用之於國則反乎君道也大敗乃復量斯勢也雖復十年脩之猶未能征也

왕필 주회복[]의 가장 뒤에 처하니, 이는 미혹(迷惑)한 자이다. 미혹함을 가지고 회복을 구하기 때문에 "미혹을 회복함[迷復]"이라 말하였다. 군대를 행함에 사용함은 이김을 사용하기가 어려워 마침은 반드시 크게 패한다. 나라에서 사용을 한다면 군주의 도()에 반한다. 크게 패하고 이에 회복하며, 이 형세를 헤아리는데 비록 10년을 닦아서 회복하여도 오히려 잘 정복하지 못한다.

迷復之凶反君道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회복함이 미혹(迷惑)하여 흉함은, 군주의 도()에 반함이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