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왕필 주역주

○ 왕필(王弼.226~249)

 위()나라 산음(山陰, 동성) 사람이며 자는 보사()이다. 풍부한 재능을 타고나 유복한 환경에서 자랐기 때문에 일찍 학계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나 24살에 요절한 뛰어난 학자이다.

  

23. 박괘(剝卦)[卦象:산지박]

 艮上

 坤下

[.]이 아래에 있고, [.]이 위에 있다.

  

 

不利有攸往

(), 다스림[]이 있어서 가더라도 이롭지 않다.

 

剝也柔變剛也不利有攸往小人長也順而止之觀象也君子尚消息盈虛天行也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 "()은 깍음이고, 부드러움이 굳셈을 변하게 함이다. 다스림[]이 있어서 가더라도 이롭지 않음은, 소인(小人)의 자라남이다. ()한데도 그치게 함은 살펴보는 모습[]이다. 군자가 사라지고 자라나며 차고 빔을 숭상함은 하늘의 행함이다."

王弼 注 坤順而艮止也所以順而止之不敢以剛止者以觀其形象也強亢激拂觸忤以隕身身既傾焉功又不就非君子之所尚也

왕필 주()은 순함이고 간()은 그침이며, 순함으로써 그치게 하는 바인데, 감히 굳셈으로서도 그치지 않는 것은 그로써 그 모양과 모습을 살펴봄이다. 강함은 높은데서 격심하게 떨치고, 거슬러 닿음으로써 자신을 떨어트리고 자신은 이미 그곳에 기울었는데 공()은 또 취하지 않으니 군자가 숭상하는 바가 아니다.

 

山附於地上以厚下安宅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산이 땅에 붙음이 박()이고, 위에서 아래를 두텁게 함으로써 집이 편안하다."

王弼 注 厚下者牀不見剝也安宅者物不失處也厚下安宅治剝之道也

왕필 주아래가 두텁다[厚下]는 것은, 평상이 깍임을 보이지 않음이다. 집이 편안함[安宅]이라는 것은, 사물이 처한데를 잃지 않음이고 아래가 두터우면 집이 편안함은 깍음의 도()를 다스림이다.

 

 

初六剝牀以足蔑貞凶

초육(初六)은 평상[]을 깍아 그로써 다리를 하니, 곧음을 깍음[]이니 흉하다

王弼 注 牀者人之所以安也剝牀以足猶云削牀之足也猶削也剝牀之足滅下之道也下道始滅剛隕柔長則正削而凶來也

왕필 주()이란 것은, 사람의 편안한 곳이다. 평상[]을 깍아 그로써 다리를 함은, 평상의 다리를 깍음을 일컬음과 같다. [업신여길 멸]은 깍음과 같다. 평상의 다리를 깍음은 아래의 도를 없앰이다. 아래의 도가 없어지기 시작함은 굳셈이 기울고 부드러움이 자라면 바름이 깍이면서 흉함이 오는 것이다.

剝牀以足以滅下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평상[]을 깍아 그로써 다리를 함은, 그로서 아래를 멸()함이다."

 

六二剝牀以辨蔑貞凶

육이(六二)는 평상[]을 깍아 그로써 받침[]를 하니, 곧음을 깍아 흉하다.

王弼 注 猶甚極之辭也辨者足之上也剝道浸長故剝其辨也稍近於牀轉欲滅物之所處長柔而削正以斯為德物所棄也

왕필 주[, 업신여길 멸], 지극히 심함의 말과 같다. ()이라는 것은 발의 위쪽이다. 깍아내는 도()가 점점 자라기 때문에 그 받침[]을 깍는다. 점점 평상에 가까워지니 굴러서 사물이 처한 곳을 멸하고자 하는데 부드러움이 자라면서 바름이 깍이고 이를 가지고 덕()을 삼으면 사물을 버리는 바이다.

剝牀以辨未有與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평상[]을 깍아 그로써 받침[]를 함은, 아직 함께 함이 없음이다.”

 

六三剝之无咎

육삼(六三)은 깎아 내지만 허물은 없다.

王弼 注 與上為應群陰剝陽我獨協焉雖處於剝可以无咎

왕필 주상구(上九)와 더블어 응()이 되어 음()의 무리가 양()을 깍으며 나 홀로 그곳에 협력하니 비록 깍임[]에 처하였으나 허물이 없을 수 있다.

剝之无咎失上下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깎여 나가지만 허물이 없음은, 위와 아래를 잃음이다."

王弼 注 三上下各有二陰而三獨應於陽則失上下也

왕필 주3(六三)의 위와 아래에 각각 두 음()이 있는데, 3(六三)이 홀로 양()에 응하니 곧 위와 아래를 잃음이다.

 

六四剝牀以膚

육사(六四)는 평상[]을 깎아 그로써 피부를 하니, 흉하다.

王弼 注 二剝牀民所以安未剝其身也至四剝道浸長牀既剝盡以及人身小人遂盛物將失身豈唯削正靡所不凶

왕필 주초육(初六)과 육2(六二)가 평상[]을 깎는데도, 백성이 편안한 까닭은 아직 그 자신이 깎이지 않았음이다. 4(六四)에 이르러 깎아내는 도()가 점점 자라나면 평상이 이미 깎임을 다하여 그로써 사람의 몸에 미치며, 소인(小人)이 드디어 성대하여 사물이 장차 자신을 잃는데, 어찌 오직 바름만을 깎겠는가? 흉하지 않은 바가 없다.

剝牀以膚切近災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평상[]을 깎아 그로써 피부를 함은, 재앙에 매우 가까움이다."

 

六五貫魚以宮人寵无不利

육오(六五)는 물고기를 꿰어 그로써 궁인을 총애하니 이롭지 않음이 없다.

 

王弼 注 處剝之時居得尊位為剝之主者也剝之為害小人得寵以消君子者也若能施寵小人於宮人而已不害於正則所寵雖眾終无尤也貫魚謂此眾陰也駢頭相次似貫魚也

왕필 주깍음[]의 때에 처하고 높은 지위를 얻어 거주하니 깍음의 주체가 된 자이다. 깍음[]이 해로움이 되어 소인(小人)이 총애를 얻으니 그로써 군자(君子)를 사라지게 하는 것인데, 만약 소인(小人)에게 은총을 잘 베풀고 궁인(宮人)에게 그치며 바름을 해치지 않으면, 총애하는 바가 비록 여럿이지만 끝내 허물이 없는 것이다. ‘물고기를 뀀[貫魚]’, 이 여러 음()을 말함이며, 머리를 나란히 하여 서로 차례함이 물고기를 꿴 것과 닮았다.

以宮人寵終无尤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그로써 궁인을 총애 함은, 마침은 허물이 없음이다."

 

上九碩果不食君子得輿小人剝廬

상구(上九)는 큰 과일은 먹지 않으니, 군자(君子)는 수레를 얻고 소인(小人)은 집이 깍인다.

王弼 注 處卦之終獨全不落故果至于碩而不見食也君子居之則為民覆蔭小人用之則剝下所庇也

왕필 주()의 마침에 처하고 홀로 온전히 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과일이 큼에 이르렀는데도 먹힘을 당하지 않았다. 군자(君子)가 거주를 하면 백성을 덮어 주는 그늘이 되고, 소인(小人)이 사용을 하면 아래 덮어진 곳을 깍는다.

君子得輿民所載也小人剝廬終不可用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군자가 수레를 얻음은, 백성을 실어주는 바이다. 소인이 집을 깍음은, 마침이 쓸 수 없게 된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