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논어(論語)』

           卷​ 8

◎ 《태백(泰伯)》篇

8 - 19) 子曰: "大哉, 堯之爲君也! 巍巍乎唯天爲大, 唯堯則之! 蕩蕩乎民無能名焉! 巍巍乎其有成功也, 煥乎其有文章!"

(자왈: "대재, 요지위군야! 외외호유천위대, 유요칙지! 탕탕호민무능명언! 외외호기유성공야, 환호기유문장!")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크도다, 요(堯)임금이 임금 하심이여! 높고 크도다, 오직 하늘만이 위대한데 오직 요(堯)임금이 그것을 본 받으셨다! 멀고 넓도다, 백성들이 그것(德)을 칭송할 수가 없도다! 높고 크도다, 그 성공(成功)이 있으시며 밝도다, 그 문장이 있으셨도다!"

◎《논어집해(論語集解)》

『논어집해(論語集解)』는 중국 위(魏)나라의 정치가이자 사상가였던 하안(何晏, 193~ 249)이 당시까지 전해지던 공자(孔子, B.C.551~B.C.479)가 지은 『논어(論語)』에 대한 주석을 모아 편찬한 책이다. 『논어집해(論語集解)』에는 공안국(孔安國, BC156?~BC74), 정현(鄭玄, 127~200), 마융(馬融, 79~166), 왕숙(王肅, 195~256), 포함(包咸, BC6~65), 주생렬(周生烈, ?~220) 등의 주석이 실려있으며, 하안(何晏)의 견해 역시 수록되어 있다.

【集解】 子曰:「大哉,堯之為君也!巍巍乎,唯天為大,唯堯則之。(孔曰:「則,法也。美堯能法天而行化。」 ◎공안국이 말하였다:“칙(則)”은 본받음(法)이다. 요(堯)임금이 하늘을 잘 본받아서 교화를 행하였음을 찬미하였다.)蕩蕩乎,民無能名焉。(包曰:「蕩蕩,廣遠之稱。言其布德廣遠,民無能識其名焉。」 ◎포함이 말하였다:“탕탕(蕩蕩: 방탕할 탕)”은 넓고 원대함을 칭한다. 그(堯임금) 펼친 덕(德)이 넓고 원대하여 백성들이 그(堯임금) 명성을 표현할 수 없었다는 말이다.)巍巍乎,其有成功也。(功成化隆高大, 巍巍。◎何晏 注: 공적(功績)이 이루어지고 교화(敎化)가 융성하고 높고 커서 외외(巍巍)함이다.)煥乎,其有文章。(煥,明也。其立文垂製又著明。◎何晏 注: “환(煥: 빛날 환)“은 밝음이다. 그 문화를 세우고 제도를 베풀었으며 또 밝게 드러냈다.)

◎《논어주소(論語註疏)》

 
『논어주소(論語註疏)』는 공자(孔子, B.C.551~B.C.479)가 지은 논어(論語)에 하안(何晏, 193~249 魏)이 주(註)를 달아 논어집해(論語集解)를 지었으며, 북송(北宋)의 형병(邢昺, 932~1010)이 논어집해(論語集解)에 소(疏)를 붙여서 논어주소(論語註疏)를 지었다.

○ 【註疏】 “子曰”至“文章”。

○ 【註疏】 <경문(經文)의> “[자왈(子曰)]에서 [문장(文章)]까지"

○正義曰:此章歎美堯也。

○ 正義曰 : 이 장(章)은 요(堯)임금을 찬미(讚美)한 것이다.

“子曰:大哉,堯之為君也!巍巍乎,惟天為大,唯堯則之”者,則,法也。

<경문(經文)에서>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크도다, 요(堯)임금이 임금 하심이여! 높고 크도다, 오직 하늘만이 위대한데 오직 요(堯)임금이 그것을 본 받으셨다![子曰 大哉 堯之爲君也 巍巍乎 惟天爲大 唯堯則之]"라는 것은, 칙(則)은 법(法)이다.

言大矣哉,堯之為君也!聰明文思,其德高大。巍巍然有形之中,唯天為大,萬物資始,四時行焉,唯堯能法此天道而行其化焉。

크도다, 요(堯)임금의 임금 노릇하심이여!. 문장(文章)과 사상(思想)이 총명(聰明)하시어 그 덕(德)이 높고 크셨다. 높고 큰 것 처럼 형상(形狀)의 가운데 있으며 오직 하늘만이 위대해서 만물(萬物)이 비로소 태어나고 사시(四時)가 운행(運行)하는데, 오직 요(堯)임금만이 이 하늘의 도(道)를 본받아 교화(敎化)를 잘 행하였다는 말이다.

“蕩蕩乎,民無能名焉”者,蕩蕩,廣遠之稱。言其布德廣遠,民無能識其名者焉。

<경문(經文)에서> "멀고 넓도다, 백성들이 그것(≒德)을 칭송할 수가 없도다![蕩蕩乎 民無能名焉]"라는 것은, 탕탕(蕩蕩:)은 멀고 넓음을 일컫는다. 그(≒堯임금) 펼치신 덕(德)이 멀고 넓으니 백성들이 그(≒堯임금) 명성을 표현할 수 없었다는 말이다.

“巍巍乎,其有成功也”者,言其治民功成化隆,高大巍巍然。

<경문(經文)에서> "높고 크도다, 그 성공(成功)이 있으시며[巍巍乎 其有成功也]"라는 것은, 그 백성을 다스린 공적(功績)이 이루고 교화(敎化)가 융성(隆盛)함이 외외(巍巍)한 것처럼 높고 크다는 말이다.

“煥乎,其有文章”者,煥,明也。言其立文垂製又著明也。

<경문(經文)에서> "밝도다, 그 문장이 있으셨도다![煥乎 其有文章]"라는 것은, 환(煥: 빛날 환)은 밝은 것이다. 그 문화를 세우고 제도를 베풀었으며 또 밝게 드러났음을 말한 것이다.

▣ 『論語』 원문

◎ 《泰伯》篇 ​ 8 - 19

◆ 子曰: "大哉, 堯之爲君也! 巍巍乎唯天爲大, 唯堯則之! 蕩蕩乎民無能名焉! 巍巍乎其有成功也, 煥乎其有文章!"

◎《논어집해(論語集解)》

子曰:「大哉,堯之為君也!巍巍乎,唯天為大,唯堯則之。(孔曰:「則,法也。美堯能法天而行化。」 )蕩蕩乎,民無能名焉。(包曰:「蕩蕩,廣遠之稱。言其布德廣遠,民無能識其名焉。」 )巍巍乎,其有成功也。(功成化隆高大, 巍巍。)煥乎,其有文章。(煥,明也。其立文垂製又著明。 )

◎《논어주소(論語註疏)》

疏“ 子曰”至“文章”。

○正義曰:此章歎美堯也。

“子曰:大哉,堯之為君也!巍巍乎,惟天為大,唯堯則之”者,則,法也。言大矣哉,堯之為君也!聰明文思,其德高大。

巍巍然有形之中,唯天為大,萬物資始,四時行焉,唯堯能法此天道而行其化焉。

“蕩蕩乎,民無能名焉”者,蕩蕩,廣遠之稱。言其布德廣遠,民無能識其名者焉。

“巍巍乎,其有成功也”者,言其治民功成化隆,高大巍巍然。

“煥乎,其有文章”者,煥,明也。言其立文垂製又著明也。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