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시경(詩經)』

≪국풍(國風) 제4용풍(鄘風≫

 

◎ 51. 체동(蝃蝀, 무지개)

 

蝃蝀在東 莫之敢指

(체동재동 막지감지)

동쪽에 뜬 무지개 감히 손가락질하는 이 없구나

女子有行 遠父母兄弟

(여자유행 원부모형제)

여자가 결혼을 하면 부모형제를 멀리 떠난다네

 

朝隮于西 崇朝其雨

(조제우서 숭조기우)

서쪽에 아침 무지개 뜨니 식전 내 비가 내리네

女子有行 遠兄弟父母

(여자유행 원형제부모)

여자가 결혼을 하면 부모형제를 멀리 떠난다네

 

乃如之人也 懷昏姻也

(내여지인야 회혼인야)

이와 같이 하는 사람은 혼인만을 생각하는데

大無信也 不知命也

(대무신야 불지명야)

너무나 믿음이 없어서 천명을 알지 못한다네

 

《蝃蝀》三章,章四句。

 

 

◎ 모시전(毛詩傳)

『모시전(毛詩傳)』은 한(漢)나라 모형(毛亨, ?~?)이 『시』에 전(傳)을 붙여 『모시고훈전(毛詩詁訓傳)』을 지었는데, 정현(鄭玄)이 전(箋)을 달고 공영달(孔穎達)이 소(疏)를 지어서 전해 오는 오늘날의 『시경』이다.

 

【毛詩序】 <蝃蝀>, 止奔也. 衛文公, 能以道化其民, 淫奔之恥, 國人不齒也.

【모시 서】 <체동(蝃蝀)>은 [바람 나서] 달아남을 그치게 한 시(詩)이다. 위(衛)나라 문공(文公)이 도리로써 백성들을 잘 교화하였으며, 음란하여 달아나는 것을 부끄러워하고 나라 사람들이 나이대접을 안했다.

 

蝃蝀在東,莫之敢指。

<동쪽에 뜬 무지개 감히 손가락질하는 이 없구나>

【毛亨 傳】 蝃蝀,虹也。夫婦過禮則虹氣盛,君子見戒而懼諱之,莫之敢指。

【모형 전】 체동(蝃蝀)은 무지개이다. 부부의 예(禮)가 지나치면 무지개 기운이 많아지고, 군자는 경계하여 보면서 꺼리고 두려워하면 감히 손가락질 함이 없음이다.

女子有行,遠父母兄弟。

<여자가 결혼을 하면 부모형제를 멀리 떠난다네>

 

朝隮於西,崇朝其雨。

<서쪽에 아침 무지개 뜨니 식전 내 비가 내리네>

【毛亨 傳】 隮,升。崇,終也。從旦至食時為終朝。

【모형 전】 제(隮)는 오름이다. 숭(崇)은 마침이다. 세벽부터 밥먹을 때에 이르름을 종조(終朝)라고 한다.

女子有行,遠兄弟父母。

<여자가 결혼을 하면 부모형제를 멀리 떠난다네>

 

乃如之人也,懷昏姻也。

<이와 같이 하는 사람은 혼인만을 생각하는데>

【毛亨 傳】 乃如是淫奔之人也。

【모형 전】 내여(乃如)는 이 음란하여 달아나는 사람이다.

大無信也,不知命也。

<너무나 믿음이 없어서 천명을 알지 못한다네>

【毛亨 傳】 不待命也。

【모형 전】 바른 명(命)을 기다리지 않음이다.

 

《蝃蝀》三章,章四句。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