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왕필 주역주
○ 왕필(王弼.226~249)
위(魏)나라 산음(山陰, 산동성) 사람이며 자는 보사(輔嗣)이다. 풍부한 재능을 타고나 유복한 환경에서 자랐기 때문에 일찍 학계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나 24살에 요절한 뛰어난 학자이다.
22. 비괘(賁卦)[卦象:산화비]
☶ 艮上
☲ 離下
리[火.불]가 아래에 있고, 간[山.산]이 위에 있다.
賁,亨,小利有攸往。
비(賁)는 형통하지만, 가서 다스림이 있어야 조금 이롭다.
《彖》曰:賁亨,柔來而文剛,故亨。分剛上而文柔,故小利有攸往。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 “비(賁)가 형통함은, 부드러움이 와서 굳셈을 꾸미기 때문에 형통하고, 굳셈이 나뉘어 올라가서 부드러움을 꾸미기 때문에 가서 다스림이 있어야 조금 이롭다.”
【王弼 注】 剛柔不分,文何由生?故坤之上六來居二位,柔來文剛之義也。柔來文剛,居位得中,是以亨。乾之九二,分居上位,分剛上而文柔之義也。剛上文柔,不得中位,不若柔來文剛,故小利有攸往。
【왕필 주】굳셈과 부드러움이 나누지 않으면 문채가 무엇을 말미암아 생겨나겠는가? 곤(坤)의 상육(上六)이 내려와 2위(二位)에 거주함이, 부드러움이 내려와 굳셈을 꾸밈의 뜻이다. 부드러움이 내려와 굳셈을 꾸미고 지위에 거주하고 가운데[中]를 얻었으니 이로써 형통한 것이다.
건(乾)의 구2(九二)가 나뉘어 윗자리에 거주함은 굳셈을 나누어 위로 올라가서 부드러움을 꾸밈의 뜻이다. 굳셈이 위로 올라가서 부드러움을 꾸미지만 가운데[中] 자리를 얻지 못해서, 부드러움이 내려와 굳셈을 꾸밈과는 같지 않기 때문에 가서 다스림이 있어야 조금 이롭다.
天文也。
하늘의 문채이다.
【王弼 注】 剛柔交錯而成文焉,天之文也。
【왕필 주】굳셈과 부드러움이 섞이어 사귀면서 문채가 이루어 짐은, 하늘의 문채이다.
文明以止,人文也。
문채가 밝으로서 그치니 사람의 문채이다.
【王弼 注】 止物不以威武而以文明,人之文也。
【왕필 주】사물을 그치게 함을 위엄과 무력으로서가 아니고 밝은 문채로서 함은, 사람의 문채이다.
觀乎天文,以察時變;觀乎人文,以化成天下。
하늘의 문채를 관찰하여 그로써 사시의 변화를 살피고, 사람의 문채를 관찰하여 그로써 천하가 달라짐을 이룬다.
【王弼 注】 解天之文,則時變可知也;解人之文,則化成可為也。
【왕필 주】하늘의 문채를 풀면 때의 변함을 알 수 있고, 사람을 문채를 풀면 달라져서 이룸을 할 수 있다.
《象》曰:山下有火,賁。君子以明庶政,无敢折獄。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산 아래 불이 있음이 비[賁꾸밀 비]이다. 군자가 그로써 여러 정사(政事)를 밝히지만 감히 옥사(獄事)를 결단함은 없다."
【王弼 注】 處賁之時,止物以文明,不可以威刑,故君子以明庶政,而无敢折獄。
【왕필 주】꾸밈[賁]의 때에 처하여 문채를 밝힘으로서 사물이 그침을 형벌의 위세로서 할 수 없기 때문에 '군자가 그로써 여러 정사(政事)를 밝히지만 감히 옥사(獄事)를 결단함은 없다.'라고 했다.
初九,賁其趾,舍車而徒。
초구(初九)는 그 발을 꾸미니, 수레를 버리고 걸어간다.
【王弼 注】 在賁之始,以剛處下,居於无位,棄於不義,安夫徒步以從其志者也。故飾其趾,舍車而徒,義弗乘之謂也。
【왕필 주】꾸밈[賁]의 시작에 있고, 굳셈으로써 아래에 처하며 지위가 없는 데에 거주하니 의롭지 않음을 버리고 그 도보가 편암함을 가지고 그 뜻을 따르는 자이다. 그러므로 그 발을 꾸미고 수레를 버리고서 걸어감은, 그것을 타지 않음이 옳음을 말함이다.
《象》曰:舍車而徒,義弗乘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수레를 버리고서 걸어감은 타지 않음이 옳음이다."
六二,賁其須。
육이(六二)는 그 수염을 꾸민다.
【王弼 注】 得其位而无應,三亦无應,俱无應而比焉,近而相得者也。須之為物,上附者也。循其所履以附於上,故曰賁其須也。
【왕필 주】그 지위를 얻었지만 응(應)이 없고, 구3(九三) 또한 응(應)이 없으니 응(應)이 없음을 갖추고서 그곳에 친하여 가까우면서 서로 얻는 것이다. 수염의 사물 됨은 위쪽으로 붙는 것이고, 그 밟은 곳을 따라서 위쪽에 붙기 때문에 "그 수염을 꾸민다."라고 말했다.
《象》曰:賁其須,與上興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그 수염을 꾸밈은, 위와 더블어 흥함이다."
九三,賁如濡如,永貞吉。
구삼(九三)은 꾸며서 윤택하니, 오래 곧아야 길하다.
【王弼 注】 處下體之極,居得其位,與二相比,俱履其正,和合相潤,以成其文者也。既得其飾,又得其潤,故曰「賁如濡如」也。永保其貞,物莫之陵,故曰「永貞吉」也。
【왕필 주】하체(下體)의 꼭대기에 처하고 그 지위를 얻어 거주하며 육2(六二)와 더블어 서로 친하고 그 바름을 밟고 갖추며 어울려 합하니 서로 윤택하고 그로서 그 문채를 이룬 것이다. 이미 그 꾸밈을 얻고 또 윤택함을 얻었기 때문에 말하기를 "꾸민 듯 윤택한 듯 하다."라고 했다. 그 곧음을 오래 지키면 사물은 능멸함이 없기 때문에 "오래 곧아야 길하다."라고 말했다.
《象》曰:永貞之吉,終莫之陵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오래 곧음의 길함은, 끝내 능멸함이 없음이다."
六四,賁如皤如,白馬翰如。匪寇婚媾。
육사(六四)는 꾸미고 흰 듯한 백마가 날아갈 듯하니, 도둑이 아니고 혼인을 함이다.
【王弼 注】 有應在初而閡於三,為己寇難,二志相感,不獲通亨,欲靜則疑初之應,欲進則懼三之難,故或飾或素,內懷疑懼也。鮮絜其馬,翰如以待,雖履正位,未敢果其志也。三為剛猛,未可輕犯,匪寇乃婚,終无尤也。
【왕필 주】응(應)이 초구(初九)에 있으나 구3(九三)에게 막혀서 자기의 어려운 도적이 되니, 둘[初九와 六四]의 뜻이 서로 감응하지만 통하여 형통함을 얻지는 못하므로, 고요하고자 하면 초구(初九)의 응(應)을 의심하고 나아가고자 하면 구3(九三)의 어려움을 두려워하기 때문에 혹 꾸미고 혹 흰색이어서 안에 의심과 두려움을 품는다. 그 말[馬]을 곱게 깨끗이 하여 날아갈 듯함으로써 기다리니, 비록 바른 자리를 밟고 있으나 그 뜻을 감히 결행하지는 못한다. 구3(九三)이 굳세고 사나워서 가볍게 범할 수가 없으니, 도적이 아니어서 이에 혼인하니 끝내 허물이 없음이다.
《象》曰:六四當位,疑也。匪寇婚媾,終無尤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육사(六四)는 마땅히 지위가 의심스럽다. 도둑이 아니고 혼인을 하게되니 마침내 허물이 없음이다.”
六五,賁於丘園,束帛戔戔, 吝,終吉。
육오(六五)는 언덕과 동산을 꾸미는데, 비단 묶음이 너무 적어 부끄럽지만 마침은 길하다.
【王弼 注】 處得尊位,為飾之主,飾之盛者也。施飾於物,其道害也。施飾丘園,盛莫大焉,故賁於束帛,丘園乃落;賁於丘園,帛乃戔戔。用莫過儉,泰而能約,故必吝焉,乃得終吉也。
【왕필 주】높은 지위를 얻어서 처하고 꾸밈의 주체가 되었으니 꾸밈이 성대한 자이다. 사물에 꾸밈을 베풀면 그 도(道)가 해롭다. 언덕과 동산을 꾸며 베푸니 이보다 큼이 없이 성대하기 때문에 비단을 묶어서 꾸미니 언덕과 동산이 이에 떨어지고, 언덕과 동산을 꾸민 비단이 이에 너무 적다. 씀은 검소함보다 좋은 것이 없으니, 크면서도 절약을 잘하기 때문에 반드시 인색해야 이에 마침은 길함을 얻는다.
《象》曰:六五之吉,有喜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육5(六五)의 길함은 기쁨이 있음이다.”
上九,白賁,无咎。
상구(上九)는 꾸밈을 희게 하면 허물이 없다.
【王弼 注】 處飾之終,飾終反素,故在其質素,不勞文飾而无咎也。以白為飾,而无患憂,得志者也。
【왕필 주】꾸밈의 마침에 처하여 꾸밈을 마치고 바탕으로 돌이가기 때문에 그 본질이 바탕에 있으니 문채를 꾸밈에 수고롭지 않으면서 허물이 없다. 흰색으로 꾸밈을 하면서 근심과 우려가 없으니 뜻을 얻은 자이다.
《象》曰:白賁无咎,上得志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꾸밈을 희게 하면 허물이 없음은, 위쪽이 뜻을 얻었음이다.”
'◑왕필 주역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4. 복괘(復卦)[卦象:지뢰복]/왕필 주역주 (0) | 2022.06.21 |
---|---|
▣ 왕필 주역주/23. 박괘(剝卦)[卦象:산지박] (0) | 2022.06.19 |
▣ 왕필 주역주/21. 서합괘(噬嗑卦)[卦象:화뢰서합] (0) | 2022.06.16 |
▣ 왕필 주역주/20. 관괘(觀卦)[卦象:풍지관] (0) | 2022.06.15 |
▣ 왕필 주역주/19. 임괘(臨卦)[卦象:지택림] (0) | 2022.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