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논어주소(論語註疏)』

◎ 『논어(論語)』

○ 위정(為政) 卷​ 2- 13

2-13) 子貢問君子, 子曰: "先行其言而後從之."

(자공문군자, 자왈: "선행기언이후종지.")

자공이 군자(君子)에 대해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먼저 그 말을 행[실천]하고서, 뒤에 그것[결과]에 따른다.”

 

《논어집해(論語集解)》

『논어집해(論語集解)』는 중국 위(魏)나라의 정치가이자 사상가였던 하안(何晏, 193 ~ 249)이 당시까지 전해지던 공자(孔子, B.C.551~B.C.479)가 지은 『논어(論語)』에 대한 주석을 모아 편찬한 책이다. 『논어집해(論語集解)』에는 공안국(孔安國, BC156?~BC74), 정현(鄭玄, 127~200), 마융(馬融, 79~166), 왕숙(王肅, 195~256), 포함(包咸, BC6~65), 주생렬(周生烈, ?~220) 등의 주석이 실려있으며, 하안(何晏)의 견해 역시 수록되어 있다.

【集解】 子貢問君子。子曰:「先行其言而後從之。」(孔曰:「疾小人多言而行之不周。」 ◎공안국이 말하였다:소인(小人)이 말이 많으면서 행함은 두루하지 않음을 미워하셨음이다.)

 
 
 
 

《논어주소(論語註疏)》

 
공자(孔子, B.C.551~B.C.479)가 지은 논어(論語)에 하안(何晏, 193~249 魏)이 주(註)를 달아 논어집해(論語集解)를 지었으며, 북송(北宋)의 형병(邢昺, 932~1010)이 논어집해(論語集解)에 소(疏)를 붙여서 논어주소(論語註疏)를 지었다.
 

【註疏】 ​「子貢問君子。子曰:先行其言而後從之」。

○【註疏】 논어 경문(經文)의 "자공이 군자에 대해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먼저 그 말을 실천하고서 뒤에 그 결과에 따른다.'[子貢問君子。子曰:先行其言而後從之]"까지​

○正義曰:此章疾小人多言,而行之不周也。

○正義曰:이 장(章)은 소인(小人)이 말이 많으면서 행동이 두루하지 않음을 미워하신 것이다.

子貢問於夫子曰:「君子之德行何如?」

자공(子貢)이 선생님[夫子]께 말하기를 “군자(君子)의 덕(德)을 행함은 어떠하여야 합니까?”라고 물었다.

夫子答之曰:「君子先行其言,而後以行從之,言行相副,是君子也。」

부자(夫子)께서 답하시기를 “군자는그 말을 먼저 실행하고 그리고 뒤에 말로써 그것[행동]을 따른다.”고 대답하셨으니, 말과 행동이 서로 맞아야 바로 군자이다."고 하셨다.

 

728x90
728x90

도덕경 왕필(王弼)注

◎ 도덕경(道德經) 56장

知者不言, 言者不知.

塞其兌, 閉其門,

挫其銳, 解其紛,

和其光, 同其塵, 是謂玄同.

故不可得而親, 不可得而疎,

不可得而利, 不可得而害,

不可得而貴, 不可得而賤. 故爲天下貴.

아는 자는 말하지 않고 말하는 자는 알지 못한다.

그 입을 막아 문을 닫고,

그 날카로움을 무디게 하여 얼킴[忿]을 풀며,

빛에 어울리고 티끌에 함께 하면, 이것을 ‘현동(玄同)’이라 말한다.

그러므로 친함을 얻을 수 없지만 소원(疏遠)함도 얻을 수 없고,

이로움을 얻을 수 없지만 해로움도 얻을 수 없으며,

귀함을 얻을 수 없지만 천함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천하에 귀함이 된다.

​◎ 도덕경 56장/왕필(王弼)注

ㅡ 왕필(王弼.226~249)

위(魏)나라 산음(山陰, 산동성) 사람이며 풍부한 재능을 타고 났으나 24살에 요절한 뛰어난 학자이다. 하안과 함께 위진(魏晉) 현학[老莊學]의 시조로 일컬어진다.

知者不言,

<아는 자는 말하지 않고, >

【王弼 注】 因自然也。

【왕필 주】 스스로 그러함을 말미암음이다.

言者不知。

<말하는 자는 알지 못한다. >

【王弼 注】 造事端也。

【왕필 주】 일의 단서를 지음이다.

塞其兌,閉其門,挫其銳,

<그 입을 막아 문을 닫으며, 그 날카로움을 무디게 하여 >

【王弼 注】 含守質也。

【왕필 주】 바탕을 머금고 지킴이다.

解其分,

<분함[忿]을 풀며, >

【王弼 注】 除爭原也。

【왕필 주】 다툼의 근원을 제거함이다.

和其光,

<그 빛에 어울리고 >

【王弼 注】 無所特顯則物無所偏爭也。

【왕필 주】 특별히 나타날 바 없다면 사물은 치우쳐서 다투는 바가 없음이다.

同其塵,

< 티끌에 함께 하는데, >

【王弼 注】 無所特賤則物無所偏恥也。

【왕필 주】 특별히 천한 바 없다면 사물은 부끄러움에 치우치는 바가 없다.

是謂玄同。故不可得而親,不可得而疏;

<이것을 일컬어 ‘근본에 함께함[玄同]’이라 한다. 그러므로 그 친함을 얻을 수 없으나 소원(疏遠)함도 얻을 수 없고, >

【王弼 注】 可得而親,則可得而疏也。

【왕필 주】 그 친함을 얻을 수 있다면 그 소원함을 얻을 수 있음이다.

不可得而利,不可得而害;

<그 이로움을 얻을 수 없으나 해로움도 얻을 수 없으며, >

【王弼 注】 可得而利,則可德而害也。

【왕필 주】 그 이로움을 얻을 수 있다면 그 해로움도 얻을 수 있음이다.

不可得而貴,不可得而賤。

<그 귀함을 얻을 수 없으나 천함도 얻을 수 없다.>

【王弼 注】 可得而貴,則可得而賤也。

【왕필 주】 그 귀함을 얻을 수 있다면 그 천함도 얻을 수 있음이다.

故為天下貴。

<그러므로 천하에 귀함이 된다.>

【王弼 注】 無物可以加之也。

【왕필 주】 사물을 더해 줌으로서 할 수 없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