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왕필 주역주
○ 왕필(王弼.226~249)
위(魏)나라 산음(山陰, 산동성) 사람이며 자는 보사(輔嗣)이다. 풍부한 재능을 타고나 유복한 환경에서 자랐기 때문에 일찍 학계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나 24살에 요절한 뛰어난 학자이다.
62. 소과괘(小過卦)[卦象:뇌산소과]
☳ 震上
☶ 艮下
간(艮)[山.산]이 아래에 있고, 진(震)[雷.우뢰]이 위에 있다.
小過 亨,利貞。可小事,不可大事。飛鳥遺之音,不宜上,宜下,大吉。
소과(小過)는 형통하고 곧음이 이로우니, 작은 일은 할 수 있으나 큰일은 할 수 없다. 새가 소리를 잃고 날아가는데 올라가면 마땅하지 않지만 내려오면 마땅하며 크게 길하다.
【王弼 注】 飛鳥遺其音,聲哀以求處,上愈无所適,下則得安。愈上則愈窮,莫若飛鳥也。
【왕필 주】 새가 그 소리를 잃고 날아가며 슬픈 소리로써 처할데를 구하는데, 올라가면 맞이하는 바 없어 구차(苟且)하지만 내려오면 편안함을 얻는다. 올라감이 구차(苟且)하면 아래[窮]가 구차함이 나는 새 보다 더함이 없다.
《彖》曰:小過,小者過而亨也。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 "소과(小過)는 작은 것이 지나치면서 형통함이고,
【王弼 注】 小者,謂凡諸小事也。過於小事而通者也。
【왕필 주】작은 것은, 모든 여러 작은 일을 말하는데 작은 일에 지나쳐서 통하는 것이다.
過, 以利貞與時行也。
지나침은 곧음이 이로움으로써 때와 더블어 행함이다.
【王弼 注】 過而得以利貞,應時宜也。施過於恭儉,利貞者也。
【왕필 주】지나쳐서 곧음이 이로움으로써 얻음은, 응(應)하는 때가 마땅함이다. 지나침을 공손과 검소함에 베풂이 곧음이 이로운 것이다.
柔得中,是以小事吉也。剛失位而不中,是以不可大事也。
부드러움[陰]이 가운데를 얻었으니 이로써 작은 일이 길함이고, 굳셈[陽]이 지위를 잃고서 가운데[中]하지 못하니 이로써 큰 일은 할 수 없다.
【王弼 注】 成大事者,必在剛也。柔而浸大,剝之道也。
【왕필 주】큰 일을 이루는 자는 반드시 굳셈[剛]에 있으니, 부드러우면서 잠기어 커짐은 벗겨지는 도(道)이다.
有飛鳥之象焉,
나는 새의 모습[象]이 그곳에 있다.
【王弼 注】 不宜上,宜下,即飛鳥之象。
【왕필 주】올라감은 마땅하지 않고 내려와야 마땅함이 바로 날아가는 새의 모습[象]이다.
飛鳥遺之音,不宜上,宜下,大吉,上逆而下順也。
'나는 새가 소리를 남기는데 올라가면 마땅하지 않고 내려와야 마땅하며 크게 길함'은, 올라감은 거스름이지만 내려감은 순응함이다."
【王弼 注】 上則乘剛,逆也;下則承陽,順也。施過於不順,凶莫大焉;施過於順,過更變而為吉也。
【왕필 주】올라가면 굳셈을 타니 거스름이고, 내려오면 양(陽)을 받드니 순응함이다. 지나침을 순하지 않음에 베풀면 흉함이 이보다 큰 것이 없고, 지나침을 순함에 베풀면 지나침을 고쳐 변하여서 길함이 된다.
《象》曰:山上有雷,小過。君子以行過乎恭,喪過乎哀,用過乎儉。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산 위에 우레가 있음이 소과(小過)괘인데, 군자가 그로써 행함은 공손함이 지나치게 하며 상사(喪事)는 슬픔이 지나치게 하며, 쓰임에는 검소함이 지나치게 한다.”
初六,飛鳥以凶。
초육(初六)은 나는 새는 그로써 흉하다.
【王弼 注】 小過,上逆下順,而應在上卦。進而之逆,无所錯足,飛鳥之凶也。
【왕필 주】소과(小過)는 올라가 거스르고 내려가 순종하면서 응(應)이 상괘(上卦)에 있는데, 나아가서 거스름에 가면 발 둘 곳이 없으니 나는 새가 흉함이다.
《象》曰:飛鳥以凶,不可如何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나는 새가 그로써 흉함은, 어찌 할 수 없음이다."
六二,過其祖,遇其妣;不及其君,遇其臣 , 无咎。
육이(六二)는 그 할아버지를 지나 할머니를 만나고, 그 임금에게 미치지 못했으나 신하를 만났으니 허물은 없다.
【王弼 注】 過而得之謂之遇。在小過而當位,過而得之謂也。祖,始也,謂初也。妣者居內履中而正者也。過初而履二位,故曰過其祖而遇其妣。過而不至於僭,盡於臣位而已,故曰不及其君,遇其臣,无咎。
【왕필 주】지나치면서 얻게 됨을 일컫기를 "우[偶, 우연(偶然)]"라고 하며, 작은 지나침이 있으면서 자리가 마땅하니 지나치면서 얻었음을 말함이다. 할아버지[祖]는 시작이고 초육(初六)을 말함이며, 비(妣)라는 것은 안에 거주하여 가운데를 밟고서 바른 자이다. 초육(初六)을 지나서 육2(六二)의 자리를 밟았기 때문에 "그 할아버지를 지나가 할머니를 만났다."라고 말했다. 지나치면서도 주제넘음에 이르지는 않았으며 신하의 자리를 다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그 임금에게 미치지 못했으나 신하를 만났으니 허물은 없다."라고 말했다.
《象》曰:不及其君,臣不可過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임금에게 미치지 못했음은, 신하는 지나칠 수 없음이다."
九三,弗過防之,從或戕之,凶。
구삼(九三)은 지나치게 방비를 하지 않고 따르면 혹 해치려고 하니 흉하다.
【王弼 注】 小過之世,大者不立,故令小者得過也。居下體之上,以陽當位,而不能先過防之,至令小者咸過而復應而從焉。其從之也,則戕之,凶至矣。故曰弗過防之,從或戕之,凶也。
【왕필 주】소과(小過)의 세상에서는 큰 것이 서지 못하기 때문에 작은 것으로 하여금 지나침을 얻게함이다. 하체(下體)의 위에 거주하여 양(陽)으로써 지위가 마땅하지만, 미리 지나침을 잘 방비하지 못하여 작은 것으로 하여금 다 지나쳐서 다시 응(應)하고서 따름에 이른다. 따라서 가면 해침을 당하여 흉함이 이른다. 그러므로 “지나치게 방비를 하지 않고 따르면 혹 해치려고 하니, 흉하다.”라고 말한 것이다.
《象》曰:從或戕之,凶如何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따르면 혹 해치려고 하는데, 흉함을 어찌하겠는가?”
九四,无咎,弗過遇之。往厲必戒,勿用永貞。
구사(九四)는 허물이 없으니, 지나치게 만나려 하지 말고, 가면 괴로우니 반드시 경계하여야 하며, 길게 곧음에는 쓰지 말아야 한다.
【王弼 注】 雖體陽爻而不居其位,不為貴主*,故得无咎也。失位在下,不能過者也。以其不能過,故得合於免咎之宜,故曰弗過遇之。夫宴安酖毒,不可懷也。處於小過不寧之時,而以陽居陰,不能有爲者也。以此自守,免咎可也;以斯攸往,危之道也。不交於物,物亦弗與,无援之助,故危則必戒而已,无所告救也。沈沒怯弱,自守而已,以斯而處於群小之中,未足任者也;故曰勿用永貞,言不足用之於永貞。
*「貴主」或作「責主」。
【왕필 주】비록 몸[體]이 양효(陽爻)이지만 그 지위에 거주하지 않으니 귀한 주인이 되지 못하기 때문에 허물 없음을 얻는다. 지위를 잃고 아래에 있어서 지나침을 잘하지 않는 자이며, 그로써 지나침을 잘 안 하기 때문에 허물 면함의 마땅함에 부합하기 때문에 “지나치게 만나려 하지 말라”라고 말한 것이다. 편안한 잔치는 짐새의 독[酖毒]이니 품어서는 안 되며, 작은 지나침에 처하여 편안하지 않은 때인데도 양(陽)으로써 음(陰)에 거주하여 일을 잘 할 수 있는 자가 아니고 이로써 스스로 지키면 허물을 면할 수 있으며, 이로써 펼쳐[攸] 나가면 위태로움의 도(道)이다. 남[사물]과 사귀지 않으니 남들[사물]도 또한 함께하지 않아 구원을 하여 도움이 없기 때문에 위태로우면 반드시 경계할 뿐이니, 구원을 알릴 곳이 없다. 침몰하고 겁내고 약하여 스스로 지킬 뿐이니, 이렇게 함으로써 여러 소인(小人)의 가운데에 처하여 책임이 넉넉하지 못한 자이다. 그러므로 “길게 곧음을 쓰지 말아야 한다”라고 말하였으니, 길게 곧음에 쓰기에는 부족함을 말한 것이다.
《象》曰:弗過遇之,位不當也。往厲必戒,終不可長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지나치게 만나려 하지 말라함은, 지위가 마땅하지 않음이다. 가면 위태로우니 반드시 경계하여야 함은, 끝내 길게 할 수 없음이다.”
六五,密雲不雨,自我西郊,公弋取彼在穴。
육오(六五)는 구름이 빽빽하나 비가 오지 않음은 나로부터 서쪽 들에서 이니, 공(公)이 주살로 저 구멍에 있는 짐승을 잡는다.
【王弼 注】 小過,小者過於大也。六得五位,陰之盛也,故密雲不雨,至于西郊也。夫雨者,陰布於上*,而陽薄之而不得通,則烝而為雨,今艮止於下而不交焉,故不雨也。是故,小畜尚往而亨,則不雨也。小過,陽不上交,亦不雨也。雖陰盛於上,未能行其施也。公者,臣之極也,五極陰盛,故稱公也。弋,射也。在穴者,隱伏之物也。小過者,過小而難未大作,猶在隱伏者也。以陰質治小過,能獲小過者也,故曰公弋取彼在穴也。除過之道,不在取之,是乃密雲未能雨也。
*「陰布於上」或作「陰在於上」。
【왕필 주】소과(小過)는 작은 것이 큰데를 지나침이다. 육[陰]이 오[陽]의 자리를 얻었으니, 음(陰)이 성(盛)함이다. 그러므로 구름이 빽빽하지만 비가 내리지 않음은, 서쪽 교외(郊外)에서 이르른 것이다. 그 비라는 것은, 음(陰)이 위에 펼쳐져서 양(陽)이 조금만 가서 통하지 못하면 증기(蒸氣)가 되어서 비가 되는데, 지금 간(艮)이 아래에 그쳐고서 그와 사귀지 못하기 때문에 비가 내리지 않는다. 이 때문에 소축(小畜)괘는 오히려 올라가서 형통하면 비가 내리지 않고, 소과(小過)괘는 양(陽)이 위로 사귀지 않으니 또한 비가 내리지 않는다. 비록 음(陰)이 위에서 성(盛)하지만 그 베풂을 잘 행하지 못함이다. 공(公)은, 신하의 꼭대기이며, 육5(六五)가 꼭대기이고 음(陰)이 성(盛)하기 때문에 공(公)이라 칭한 것이다. 익(弋, 주살 익)은 활을 쏨이며, 구멍에 있는[在穴] 것은 엎드려 숨어 있는 동물이다. 소과(小過)라는 것은, 지나침이 적어서 어려움이 아직 크게 일어나지 않음이며 엎드려 숨어 있는 것과 같음이다. 음(陰)의 재질을 가지고 소과(小過)를 다스려서 조금 지나침[小過]을 잘 잡은 자이다. 그러므로 “공(公)이 주살로 저 구멍에 있는 짐승을 잡는다.”라고 한 것이다. 지나침을 제거하는 도(道)는, 그것을 취함에 있지 않는데, 이는 바로 구름이 빽빽해도 비가 잘 내리지 못하는 것이다.
《象》曰:密雲不雨,已上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구름이 빽빽하나 비가 오지 않음은, 이미 올라갔기 때문이다.”
【王弼 注】 陽已上,故止也。
【왕필 주】양(陽)이 이미 올라갔기 때문에 그쳤다.
上六,弗遇過之,飛鳥離之,凶,是謂災眚。
상육(上六)은 만나지 못하고 지나쳐 가니, 나는 새가 이별을 하여 흉하며, 이를 일컬어 재생(災眚)이라 한다.
【王弼 注】 小人之過,遂至上極;過而不知限,至於亢也。過至于亢,將何所遇?飛而不已,將何所託?災自己致,復何言哉!
【왕필 주】 소인(小人)의 지나침이 드디어 위쪽 꼭대기에 이르렀으며, 지나쳐서 한계를 알지 못하고 항극(亢極)에 이르렀다. 지나침이 항극(亢極)에 이르렀는데 장차 어느 곳에서 만나겠으며, 날아가서 그치지 않으면 장차 어느곳에 의탁하겠는가? 재앙을 자기가 불렀으니, 다시 무슨 말을 하겠는가!
《象》曰:弗遇過之,已亢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만나지 못하고 지나쳐 감은 이미 높아서이다.”
'◑왕필 주역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 64. 미제괘(未濟卦)[화수미제]/王弼 注 (0) | 2022.12.18 |
---|---|
주역 63. 기제괘(旣濟卦)[수화기제]/王弼 注 (0) | 2022.12.17 |
주역 61. 중부괘(中孚卦)[풍택중부]/王弼 注 (1) | 2022.12.15 |
주역 60. 절괘(節卦)[수택절]/王弼 注 (1) | 2022.12.14 |
주역 59. 환괘(渙卦)[풍수환]/王弼 注 (0) | 2022.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