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주역(周易)/3.주역정의(周易正義)62

주역 51. 진괘(震卦)[중뢰진]/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역 주(注)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51. 진괘(震卦)[卦象:중뢰진] ☳ 震上 ☳ 震下 진(震)[雷.우뢰]이 아래에 있고, 진(震)[雷.우뢰]이 또 위에 있다. 震,亨。 진(震)은 형통하며, 【王弼 注】 懼以成,則是以亨。 【왕필 주】 두려움이 그로써 이루어지면 이로써 형통함이다. [孔穎達 疏]正義曰:震,動也。此象雷之卦,天之威動,故以震為名。震既威動,莫不驚懼。驚懼以威,則物皆整齊。由懼而獲通,所以震有亨德,故曰「震亨」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진(震, 우레 진)’은 움직임이다. 이는 모습[象]이 우레[雷]의 괘(卦)이고, 하늘의 위엄이 움직이기 때문에.. 2022. 10. 21.
주역 50. 정괘(鼎卦)[화풍정]/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역 주(注)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50. 정괘(鼎卦)[卦象:화풍정] ☲ 離上 ☴ 巽下 손(巽)[風.바람]이 아래에 있고, 리(離)[火.불]가 위에 있다. 鼎,元吉,亨。 정(鼎)은 크게 길해야 형통하다. 【王弼 注】 革去故而鼎取新。取新而當其人,易故而法制齊明。吉然後乃亨,故先元吉而後亨也。鼎者,成變之卦也。革既變矣,則制器立法以成之焉。變而无制,亂可待也;法制應時,然後乃吉。賢愚有別,尊卑有序,然後乃亨,故先元吉而後乃亨。 【왕필 주】 개혁[革]은 옛것을 버림이고 솥[鼎]은 새것을 취함인데, 새로움을 취하여서 그 사람들에 합당하고 옛것을 바꾸어서 법과 제도가 가지런하고 밝으면 길한 연후에 비로소.. 2022. 10. 19.
주역 49. 혁괘(革卦)[卦象:택화혁]/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역 주(注)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49. 혁괘(革卦)[卦象:택화혁] ☱ 兌上 ☲ 離下 리(離)[火.불]가 아래에 있고, 태(兌)[澤.못]이 위에 있다. 革,已日乃孚,元亨利貞,悔亡。 혁(革)은 날이 지나야 비로소 믿으며 크게 형통하고 이로움이 바르면 후회가 없어진다. 【王弼 注】 夫民可與習常,難與適變。可與樂成,難與慮始。故革之為道,即日不孚,已日乃孚也。孚,然後乃得元亨利貞悔亡也。已日而不孚,革不當也。悔吝之所生,生乎變動者也。革而當,其悔乃亡也。 【왕필 주】 대저 백성은 일상을 함께 익힐 수 있지만 변함에 함께 나아가기는 어려우며, 이루어진 것을 함께 즐길 수 있지만 시작을 함께 염려(念慮.. 2022. 10. 17.
주역 48. 정괘(井卦)[卦象:수풍정(井)]/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역 주(注)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48. 정괘(井卦)[卦象:수풍정(井)] ☵ 坎上 ☴ 巽下 손(巽)[風.바람]이 아래에 있고, 감(坎)[水.물]이 위에 있다. 井,改邑不改井, 정(井)은 고을이 바뀌어도 우물은 바뀌지 않으니, 【王弼 注】 井以不變為德者也。 【왕필 주】 우물은 변하지 않음을 가지고 덕(德)을 삼는 것이다. [孔穎達 疏]正義曰:「井」者,物象之名也。古者穿地取水,以瓶引汲,謂之為井。此卦明君子脩德養民,有常不變,終始無改,養物不窮,莫過乎井,故以修德之卦取譬名之「井」焉。「改邑不改井」者,以下明「井」有常德,此明「井」體有常,邑雖遷移而「井體」無改,故云「改邑不改井」也。 【공영달소(孔穎.. 2022. 10. 14.
주역 47. 곤괘(困卦)[卦象:택수곤(困)]/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역 주(注)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47. 곤괘(困卦)[卦象:택수곤(困)] ☱ 兌上 ☵ 坎下 감(坎)[水.물]이 아래에 있고, 태(兌)[澤.못]가 위에 있다. 困,亨。 곤(困)은 형통하지만, 【王弼 注】 窮必通也,處窮而不能自通者,小人也。 【왕필 주】 궁하면 반드시 통함은, 궁함에 처하여도 스스로 잘 통하지 못하는 자이며 소인(小人)이다. 譯註 1: 『說文解字注』 “困”⇒“困”, 故廬也。廬者二畞半一家之居。居必有木, 樹牆下以桑是也。謂之困者、疏廣所謂自有舊田廬令子孫勤力其中也。困之本義爲止而不過。引伸之爲極盡。 『설문해자주(說文解字注)』 “곤(困)”⇒곤(困)은 옛날 농막이다. 려(廬, 농.. 2022. 10. 13.
주역 46. 승괘(升卦)[卦象:지풍승(升)]/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역 주(注)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46. 승괘(升卦)[卦象:지풍승(升)] ☷ 坤上 ☴ 巽下 손(巽)[風.바람]이 아래에 있고, 곤(坤)[地.땅]이 위에 있다. 升,元亨。用見大人,勿恤。 승(升)은 크게 형통하고 대인을 만나 등용되니 근심하지 말라, 【王弼 注】 巽順可以升,陽爻不當尊位,无嚴剛之正,則未免於憂, 故用見大人,乃勿恤也。 【왕필 주】 겸손하게 따르니 올라갈 수 있는데, 양효가 높은 지위를 담당하지 못하고 엄하고 굳센 바름이 없다면 근심을 면하지 못하기 때문에 대인을 만나 등용되니 이에 근심하지 말라고 함이다. [孔穎達 疏]正義曰「升,元亨」者,「升」,卦名也。升者,登上之義,.. 2022. 10. 12.
주역 45. 췌괘(萃卦)[卦象:택지췌(萃)]/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역 주(注)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45. 췌괘(萃卦)[卦象:택지췌(萃)] ☱ 兌上 ☷ 坤下 곤(坤)[地.땅]이 아래에 있고, 태(兌)[澤.못]가 위에 있다. 萃,亨, 췌(萃)는 형통하며, 【王弼 注】 聚乃通也。 【왕필 주】 모으면 비로소 통함이다. [孔穎達 疏]正義曰:「萃」,卦名也,又萃聚也,聚集之義也。能招民聚物,使物歸而聚已,故名為「萃」也。亨者,通也。擁隔不通,無由得聚,聚之為事,其道必通,故云「萃亨」。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췌(萃, 모을 췌)’는 괘(卦)의 이름이고 또 모아서 거두어들임이며, 거두어 모음의 뜻이다. 백성을 부르고 물건을 모으기를 .. 2022. 10. 11.
주역 44. 구괘(姤卦)[卦象:천풍구(姤)]/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역 주(注)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44. 구괘(姤卦)[卦象:천풍구(姤)] ☰ 乾上 ☴ 巽下 손(巽)[風.바람]이 아래에 있고, 건(乾)[天.하늘]이 위에 있다. 姤,女壯,勿用取女。 구(姤)는 여자가 건장하니, 여자를 취하여 쓰지 말아야 한다. [孔穎達 疏] 正義曰:「姤,遇也。」此卦一柔而遇五剛,故名為「姤」。施之於人,則是一女而遇五男,為壯至甚,故戒之曰「此女壯甚,勿用取此女」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구(姤, 만날 구)’는 만남이다. 이 괘(卦) 하나가 부드러움인데 다섯 굳셈을 만나기 때문에 이름을 ‘구(姤, 만날 구)’라고 하였다. 사람에게 베풀면.. 2022. 10. 9.
주역 43. 쾌괘(夬卦)[卦象:택천쾌(夬)]/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역 주(注)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43. 쾌괘(夬卦)[卦象:택천쾌(夬)] ☱ 兌上 ☰ 乾下 건(乾)[天.하늘]이 아래에 있고, 태(兌)[澤.못]가 위에 있다. 夬,揚于王庭,孚號有厲,告自邑,不利即戎,利有攸往。 쾌(夬)는 왕의 정원에서 드날리니 호령이 미덥지만 위태함이 있어서 스스로 읍에 고하며, 오랑캐에 나아감이 이롭지 않지만 가서 다스려[敒]야 이롭다. 【王弼 注】 夬,與剝反者也。剝以柔變剛,至於剛幾盡。夬以剛決柔,如剝之消剛。剛隕則君子道消,柔消則小人道隕。君子道消,則剛正之德不可得直道而用,刑罰之威不可得坦然而行。揚于王庭,其道公也。 【왕필 주】 쾌(夬)괘와 박(剝)괘는 반대(反對)하는 .. 2022. 10. 8.
주역 42. 익괘(益卦)[卦象:풍뢰익(益)]/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역 주(注)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42. 익괘(益卦)[卦象:풍뢰익(益)] ☴ 巽上 ☳ 震下 진(震)[雷.우뢰]이 아래에 있고, 손(巽)[風.바람]이 위에 있다. 益,利有攸往,利涉大川。 익(益)은 가서 펼침[敒]이 이로우며 큰 내를 건너야 이롭다. [孔穎達 疏]正義曰:「益」者,增足之名,損上益下,故謂之益。下已有矣,而上更益之,明聖人利物之無已也。損卦則損下益上,益卦則損上益下,得名皆就下而不據上者,向秀云:「明王之道,志在惠下,故取下謂之損,與下謂之益。」既上行惠下之道,利益萬物,動而無違,何往不利,故曰「利有攸往」。以益涉難,理絕險阻,故曰「利涉大川」。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 2022. 10. 7.
주역 41. 손괘(損卦)[卦象:산택손]/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역 주(注)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41. 손괘(損卦)[卦象:산택손] ☶ 艮上 ☱ 兌下 태(兌)[澤.못]가 아래에 있고, 간(艮)[山.산]이 위에 있다. 損,有孚,元吉,无咎,可貞,利有攸往。曷之用?二簋可用享。 손(損)괘는 믿음이 있어야 크게 길하며, 바로잡을 만한 허물이 없고 다스림[敒]이 있는데 가야 이롭다. 무엇을 쓰겠는가? 제기 두 그릇이면 제향(祭享)할 수 있다. [孔穎達 疏]「損有孚」至「可用享」。 ○正義曰:「損」者,減損之名,此卦明損下益上,故謂之「損」。「損」之為義,「損下益上」,損剛益柔。損下益上,非補不足者也。損剛益柔,非長君子之道者也。若不以誠信,則涉諂諛而有過咎,故必「有孚」,.. 2022. 10. 6.
주역 40. 해괘(解卦)[卦象:뇌수해]/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역 주(注)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40. 해괘(解卦)[卦象:뇌수해] ☳ 震上 ☵ 坎下 감(坎)[水.물]이 아래에 있고, 진(震)[雷.우뢰]이 위에 있다. 解,利西南。 해(解)는 서남쪽이 이롭고, 【王弼 注】 西南,眾也。解難濟險,利施於眾也。亦不困于東北,故不言不利東北也。 【왕필 주】 서남(西南)은 무리이다. 어려움을 해결하고 험함을 구제하면 이로움이 무리에게 베풀어지며, 또한 동북(東北)에서도 곤궁하지 않기 때문에 이롭지 않은 동북(東北)을 말하지 않았다. [孔穎達 疏]正義曰:「解」者,卦名也。然解有兩音,一音古買反,一音胡買反,「解」謂解難之初,「解」謂既解之後。《彖》稱「動而免乎險」,.. 2022. 10.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