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주역(周易)/3.주역정의(周易正義)62

주역 64. 미제괘(未濟卦)[화수미제]/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역 주(注)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64. 미제괘(未濟卦)[卦象:화수미제] ☲ 離上 ☵ 坎下 감(坎)[水.물]이 아래에 있고, 리(離)[火.불]가 위에 있다. 未濟,亨,小狐汔濟,濡其尾,无攸利。 미제(未濟)는 형통하고, 작은 여우가 거의 건너는데 그 꼬리를 적시니, 펼침[伸]이 없어야 이롭다. [孔穎達 疏]正義曰:「未濟,亨」者,「未濟」者,未能濟渡之名也。未濟之時,小才居位,不能建功立德,拔難濟險。若能執柔用中,委任賢哲,則未濟有可濟之理,所以得通,故曰「未濟,亨」。「小狐汔濟,濡其尾,無攸利」者,汔者,將盡之名。小才不能濟難,事同小狐雖難渡水,而無餘力,必須水汔,方可涉川。未及登岸,而濡其尾,濟不免濡,豈.. 2022. 11. 10.
주역 63. 기제괘(旣濟卦)[수화기제]/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역 주(注)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63. 기제괘(旣濟卦)[卦象:수화기제] ☵ 坎上 ☲ 離下 리(離)[火.불]가 아래에 있고, 감(坎)[水.물]이 위에 있다. 既濟,亨小, 利貞。初吉終亂。 기제(旣濟)는 형통함이 작으니 곧아야 이로우며, 처음은 길하고 마침에는 어지럽다. [孔穎達 疏]正義曰:「既濟,亨小,利貞,初吉終亂」者,濟者,濟渡之名,既者,皆盡之稱,萬事皆濟,故以「既濟」為名。既萬事皆濟,若小者不通,則有所未濟,故曰「既濟,亨小」也。小者尚亨,何況於大?則大小剛柔,各當其位,皆得其所。當此之時,非正不利,故曰「利貞」也。但人皆不能, 居安思危,慎終如始,故戒以今日。既濟之初,雖皆獲吉,若不進德脩業至於終極.. 2022. 11. 8.
주역 62. 소과괘(小過卦)[뇌산소과]/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역 주(注)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62. 소과괘(小過卦)[卦象:뇌산소과] ☳ 震上 ☶ 艮下 간(艮)[山.산]이 아래에 있고, 진(震)[雷.우뢰]이 위에 있다. 小過 亨,利貞。可小事,不可大事。飛鳥遺之音,不宜上,宜下,大吉。 소과(小過)는 형통하고 곧음이 이로우니, 작은 일은 할 수 있으나 큰일은 할 수 없다. 새가 소리를 잃고 날아가는데 올라가면 마땅하지 않지만 내려오면 마땅하며 크게 길하다. 【王弼 注】 飛鳥遺其音,聲哀以求處,上愈无所適,下則得安。愈上則愈窮,莫若飛鳥也。 【왕필 주】 새가 그 소리를 잃고 날아가며 슬픈 소리로써 처할데를 구하는데, 올라가면 맞이하는 바 없어 구차(.. 2022. 11. 7.
주역 61. 중부괘(中孚卦)[풍택중부]/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역 주(注)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61. 중부괘(中孚卦)[卦象:풍택중부] ☴ 巽上 ☱ 兌下 태(兌)[澤.못]가 아래에 있고, 손(巽)[風.바람]이 위에 있다. 中孚,豚魚吉。利涉大川,利貞。 가운데를 믿음[중부(中孚)]은, 돼지와 물고기까지 길하고, 큰 내를 건넘이 이로우며 곧아야 이롭다. [孔穎達 疏]正義曰:「中孚,豚魚吉」者,「中孚」,卦名也。信發於中,謂之中孚。魚者,蟲之幽隱。豚者,獸之微賤。人主內有誠信,則雖微隱之物,信皆及矣。莫不得所而獲吉,故曰「豚魚吉」也。「利涉大川,利貞」者,微隱獲吉,顯者可知。既有誠信,光被萬物,萬物得宜,以斯涉難,何往不通?故曰「利涉大川」。信而不正,凶邪之道,故利在貞也。.. 2022. 11. 6.
주역 60. 절괘(節卦)[수택절]/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역 주(注)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60. 절괘(節卦)[卦象:수택절] ☵ 坎上 ☱ 兌下 태(兌)[澤.못]가 아래에 있고, 감(坎)[水.물]이 위에 있다. 節,亨,苦節不可貞。 절(節)은 형통하며, 괴로운 절제(節制)는 곧으면 안 된다. [孔穎達 疏]正義曰:「節」,卦名也。《彖》曰:「節以制度。」《雜卦》云:「節,止也。」然則節者制度之名。節,止之義,制事有節,其道乃亨,故曰「節,亨」。節須得中,為節過苦,傷於刻薄,物所不堪,不可復正,故曰「苦節不可貞」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절(節, 마디 절)’은 괘(卦)의 이름이다. 〈단전(彖傳)〉에 “절제(節制)함으로써 법도.. 2022. 11. 5.
주역 58. 태괘(兌卦)[중택태]/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역 주(注)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58. 태괘(兌卦)[卦象:중택태] ☱ 兌上 ☱ 兌下 태(兌)[澤.못]가 아래에 있고, 태(兌)[澤.못]가 또 위에 있다. 兌亨,利貞。 태(兌)는 형통하지만, 곧아야 이롭다. [孔穎達 疏]正義曰:兌,說也。《說卦》曰:「說萬物者莫說乎澤。」以兌是象澤之卦,故以「兌」為名。澤以潤生萬物,所以萬物皆說:施於人事,猶人君以恩惠養民,民無不說也。惠施民說,所以為亨。以說說物,恐陷諂邪,其利在於貞正。故曰「兌,亨利貞」。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태(兌, 바꿀 태)’는 설득함이며, 〈설괘전(說卦傳)〉에 말하기를 “만물(萬物)을 벗기는 것은 못[澤.. 2022. 11. 1.
주역 57. 손괘(巽卦)[중풍손]/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역 주(注)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57. 손괘(巽卦)[卦象:중풍손] ☴ 巽上 ☴ 巽下 손(巽)[風.바람]이 아래에 있고, 손(巽)[風.바람]이 또 위에 있다. 巽,小亨。 손(巽)은 조금 형통하니, 【王弼 注】 全以巽為德,是以小亨也。上下皆巽,不違其令,命乃行也。故申命行事之時,上下不可以不巽也。 【왕필 주】 온전히 유순(柔順)함으로써 덕(德)을 삼으니 이로써 조금 형통하다. 위와 아래가 모두 유순(柔順)하고 그 령(令)을 어기지 않으니 명(命)이 비로소 행해진다. 그러므로 일을 행하는 때에는 거듭 명령을 내려 위와 아래가 유순(柔順)하지 않으면 안 된다. [孔穎達 疏]正義曰「巽者卑.. 2022. 10. 31.
주역 56. 려괘(旅卦)[卦象:화산려]/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역 주(注)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56. 려괘(旅卦)[卦象:화산려] ☲ 離上 ☶ 艮下 간(艮)[山.산]이 아래에 있고, 리(離)[火.불]가 위에 있다. 旅,小亨。旅貞吉。 려(旅)는 조금 형통하니, 나그네는 곧아야 길하다. 【王弼 注】 不足全夫貞吉之道,唯足以為旅之貞吉,故特重曰旅貞吉也。 【왕필 주】 그 곧음이 길함의 도(道)를 온전히 하기는 부족하고, 오직 나그네가 곧음을 실천함으로써 길함이 넉넉하기 때문에 특히 거듭 말하기를 "나그네는 곧아야 길하다."라고 했음이다. [孔穎達 疏]正義曰:旅者,客寄之名,羈旅之稱,失其本居,而寄他方,謂之為旅。既為羈旅,苟求僅存,雖得自通,非甚光大,故《旅.. 2022. 10. 28.
주역 55. 풍괘(豊卦)[뇌화풍]/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역 주(注)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55. 풍괘(豊卦)[卦象:뇌화풍] ☳ 震上 ☲ 離下 리(離)[火.불]가 아래에 있고, 진(震)[雷.우뢰]이 위에 있다. 豐,亨。王假之, 풍(豊)은 형통하고, 왕이 축복[하사(嘏辭)]을 주니, 【王弼 注】 大而亨者,王之所至。 【왕필 주】 크고 형통한 것은 왕이 이르른 곳[행재소(行在所)]이다. [孔穎達 疏]正義曰:「豐,亨」者,「豐」,卦名也,《彖》及《序卦》皆以「大」訓「豐」也,然則豐者,多大之名,盈足之義,財多德大,故謂之為豐。德大則無所不容,財多則無所不齊。無所擁礙謂之為「亨」,故曰「豐,亨」。「王假之」者,假,至也,豐亨之道,王之所尚,非有王者之德,不能至之,故.. 2022. 10. 26.
주역 54. 귀매괘(歸妹卦)[뇌택귀매]/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역 주(注)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54. 귀매괘(歸妹卦)[卦象:뇌택귀매] ☳ 震上 ☱ 兌下 태(兌)[澤.못]가 아래에 있고, 진(震)[雷.우뢰]이 위에 있다. 歸妹,征凶,无攸利。 귀매(歸妹)는 가면 흉하고 펼침[伸]이 없어야 이롭다. 【王弼 注】 妹者,少女之稱也。兌為少陰,震為長陽,少陰而承長陽,說以動,嫁妹之象也。 【왕필 주】 매(妹, 누이 매)라는 것은, 소녀를 칭함이다. 태(兌)는 소음(少陰)이 되고 진(震)은 장양(長陽)이 되며 소녀[少陰]인데 장남[長陽]을 받들어 설득되어 그로써 움직임이 시집가는 소녀[嫁妹]의 모습[象]이다. [孔穎達 疏]正義曰:歸妹者,卦名也。婦人謂嫁曰.. 2022. 10. 24.
주역 53. 점괘(漸卦)[풍산점]/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역 주(注)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53. 점괘(漸卦)[卦象:풍산점] ☴ 巽上 ☶ 艮下 간(艮)[山.산]이 아래에 있고, 손(巽)[風.바람]이 위에 있다. 漸,女歸吉。利貞。 점(漸)은 여자가 시집감이 길하고, 곧아야 이롭다. 【王弼 注】 漸者,漸進之卦也。止而巽,以斯適進,漸進者也。以止巽為進,故女歸吉也。進而用正,故利貞也。 【왕필 주】 점(漸, 점점 점)이란 것은, 점점 나아가는 괘(卦)이다. 그치면서 겸손하니 이로써 나아가 맞이하여 점점 나아가는 자이다. 그치고 공손함으로써 나아가려고 하기 때문에 여자의 시집감이 길(吉)함인데, 나아가면서 바름을 쓰기 때문에 곧음이 이로운 것이다.. 2022. 10. 23.
주역 52. 간괘(艮卦)[중산간]/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역 주(注)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52. 간괘(艮卦)[卦象:중산간] ☶ 艮上 ☶ 艮下 간(艮)[山.산]이 아래에 있고, 간(艮)[山.산]이 또 위에 있다. 艮其背, 그 등에 그치면 【王弼 注】 目无患也。 【왕필 주】 눈은 근심이 없다. [孔穎達 疏]正義曰:目者,能見之物,施止於面,則抑割所見,強隔其欲,是目見之所患。今施止於背,則「目無患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눈[目]”라는 것은, 잘 보는 물건이니, 얼굴에 그침을 베풀면 보는 바를 억지로 끊고 그 하고자 함을 강제로 막으니, 이는 눈이 보는 곳이 근심이다. 지금 그침을 등에 베풀면 “눈은 근심.. 2022. 10.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