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역 주(注)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40. 해괘(解卦)[卦象:뇌수해]
☳ 震上
☵ 坎下
감(坎)[水.물]이 아래에 있고, 진(震)[雷.우뢰]이 위에 있다.
解,利西南。 해(解)는 서남쪽이 이롭고, 【王弼 注】 西南,眾也。解難濟險,利施於眾也。亦不困于東北,故不言不利東北也。 【왕필 주】 서남(西南)은 무리이다. 어려움을 해결하고 험함을 구제하면 이로움이 무리에게 베풀어지며, 또한 동북(東北)에서도 곤궁하지 않기 때문에 이롭지 않은 동북(東北)을 말하지 않았다. |
[孔穎達 疏]正義曰:「解」者,卦名也。然解有兩音,一音古買反,一音胡買反,「解」謂解難之初,「解」謂既解之後。《彖》稱「動而免乎險」,明非解眾難之時,故先儒皆讀為「解」。《序卦》云:「物不可以終難,故受之以解。解者,緩也。」然則「解」者,險難解,釋物情舒緩,故為「解」也。「解利西南」者,西南坤位,坤是眾也。施解於眾,則所濟者弘,故曰「解利西南」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해(解)”라는 것은, 괘(卦)의 이름이다. 그러나 해(解)는 두가지 음(音)이 있는데, 한 음(音)은 고와 매의 반절음이고 한 음(音)은 호와 매의 반절음이며, 개[解]는 어려움을 푸는 초기를 말하고, 해(解)는 이미 어려움의 뒤를 말한다. 〈단전(彖傳)〉에 “움직여서 험함을 면함”을 칭함은, 여러 어려움을 풀 때가 아님이 분명하기 때문에 선유(先儒)가 모두 “개[解]”로 하여 읽었다. 〈서괘전(序卦傳)〉에 이르기를 “사물은 끝내 어려울 수는 없기 때문에 해(解)괘로 받았으며, 해(解)라는 것은, 느슨함이다.”라고 하였는데, 그렇다면 해(解)라는 것은 험난함이 풀어지고 사물의 정(情)이 퍼지고 느슨해짐으로 해석했기 때문에 ‘해(解)’가 되는 것이다. “해(解)는 서남쪽이 이롭고[解 利西南]”라는 것은, 서남(西南)은 곤(坤)의 방위이며, 곤(坤)은 바로 무리이다. 무리에게 풀림[解]을 베풀면 구제되는 자가 많아지는 바이기 때문에 “해(解)는 서남쪽이 이롭다[解 利西南]”라고 말한 것이다.」 |
[孔穎達 疏] 正義曰:「解」者,卦名也。然解有兩音,一音古買反,一音胡買反,「解」謂解難之初,「解」謂既解之後。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해(解)”라는 것은, 괘(卦)의 이름이다. 그러나 해(解)는 두가지 음(音)이 있는데, 한 음(音)은 고와 매의 반절음이고 한 음(音)은 호와 매의 반절음이며, 개[解]는 어려움을 푸는 초기를 말하고, 해(解)는 이미 어려움의 뒤를 말한다.
《彖》稱「動而免乎險」,明非解眾難之時,故先儒皆讀為「解」。
〈단전(彖傳)〉에 “움직여서 험함을 면함”을 칭함은, 여러 어려움을 풀 때가 아님이 분명하기 때문에 선유(先儒)가 모두 “개[解]”로 하여 읽었다.
《序卦》云:「物不可以終難,故受之以解。解者,緩也。」然則「解」者,險難解,釋物情舒緩,故為「解」也。
〈서괘전(序卦傳)〉에 이르기를 “사물은 끝내 어려울 수는 없기 때문에 해(解)괘로 받았으며, 해(解)라는 것은, 느슨함이다.”라고 하였는데, 그렇다면 해(解)라는 것은 험난함이 풀어지고 사물의 정(情)이 퍼지고 느슨해짐으로 해석했기 때문에 ‘해(解)’가 되는 것이다.
「解利西南」者,西南坤位,坤是眾也。施解於眾,則所濟者弘,故曰「解利西南」也。
“해(解)는 서남쪽이 이롭고[解 利西南]”라는 것은, 서남(西南)은 곤(坤)의 방위이며, 곤(坤)은 바로 무리이다. 무리에게 풀림[解]을 베풀면 구제되는 자가 많아지는 바이기 때문에 “해(解)는 서남쪽이 이롭다[解 利西南]”라고 말한 것이다.」
无所往,其來復吉。有攸往,夙吉。 소[행재소(行在所)]가 없는데 가면 거기서 와서 회복하여 길하고, 다스림[敒]이 있는데 가면 빨리 해야 길하다. 【王弼 注】 未有善於解難而迷於處安也。解之為義,解難而濟厄者也。无難可往,以解來復,則不失中。有難而往,則以速為吉者。无難則能復其中,有難則能濟其厄也。 【왕필 주】 어려움을 풀기를 잘하면서 처함이 편안함에 미혹(迷惑)한 자는 있지 않다. 해(解)의 뜻이 됨은, 어려움을 풀고 재액(災厄)을 구제하는 것이며, 가서 할 수 있는 어려움이 없는데 그로써 와서 회복하여 해결(解決)하면 가운데[中]를 잃지 않고, 어려움이 있으면서 가면 빨리 함으로써 길(吉)하게 되는 것은, 어려움이 없으면 그 가운데[中]에 회복을 잘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면 그 재액(災厄)을 잘 구제한다. |
[孔穎達 疏]正義曰:「無所往」者,上言「解難濟險,利施於眾」。此下明救難之時,誡其可否。若無難可往,則以來復為吉。若有難可往,則以速赴為善,故云「無所往,其來復吉,有攸往夙吉」。設此誡者,褚氏云:「世有無事求功,故誡以無難宜靜,亦有待敗乃救,故誡以有難須速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소[행재소(行在所)]가 없는데 가면[无所往]”라는 것은, 위에서는 ‘어려움을 풀고 험함을 구제함은 이익이 여러 사람에게 베풂어진다[解難濟險,利施於眾]’고 말을 했는데, 이 아래는 어려움을 구제하는 때에 그 가부(可否)를 경계(警戒)함을 밝힌 것이다. 만약 가서 어려움이 없으면 와서 회복함으로써 길함으로 삼고, 만약 가서 어려움이 있으면 빨리 달려감으로써 좋음으로 여기기 때문에 이르기를 “소[행재소(行在所)]가 없는데 가면 거기서 와서 회복하여 길하고, 다스림[敒]이 있는데 가면 빨리 해야 길하다[無所往,其來復吉,有攸往夙吉]”라고 한 것이다. 이를 베풀어 경계(警戒)한 것은, 저씨[褚氏(褚仲都)]가 이르기를 “세상에 일이 없는데도 공(功)을 구하기 때문에 어려움이 없으면 마땅히 고요해야 함을 경계하였고, 또한 실패를 기다림이 있어야 마침내 구원하기 때문에 어려움이 있으면 모름지기 속히 함으로 경계하였다.”라고 하였다.」 |
[孔穎達 疏] 正義曰:「無所往」者,上言「解難濟險,利施於眾」。此下明救難之時,誡其可否。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소[행재소(行在所)]가 없는데 가면[无所往]”라는 것은, 위에서는 ‘어려움을 풀고 험함을 구제함은 이익이 여러 사람에게 베풂어진다[解難濟險,利施於眾]’고 말을 했는데, 이 아래는 어려움을 구제하는 때에 그 가부(可否)를 경계(警戒)함을 밝힌 것이다.
若無難可往,則以來復為吉。若有難可往,則以速赴為善,故云「無所往,其來復吉,有攸往夙吉」。
만약 가서 어려움이 없으면 와서 회복함으로써 길함으로 삼고, 만약 가서 어려움이 있으면 빨리 달려감으로써 좋음으로 여기기 때문에 이르기를 “소[행재소(行在所)]가 없는데 가면 거기서 와서 회복하여 길하고, 다스림[敒]이 있는데 가면 빨리 해야 길하다[無所往,其來復吉,有攸往夙吉]”라고 한 것이다.
設此誡者,褚氏云:「世有無事求功,故誡以無難宜靜,亦有待敗乃救,故誡以有難須速也。」
이를 베풀어 경계(警戒)한 것은, 저씨[褚氏(褚仲都)]가 이르기를 “세상에 일이 없는데도 공(功)을 구하기 때문에 어려움이 없으면 마땅히 고요해야 함을 경계하였고, 또한 실패를 기다림이 있어야 마침내 구원하기 때문에 어려움이 있으면 모름지기 속히 함으로 경계하였다.”라고 하였다.」
《彖》曰:解,險以動,動而免乎險,解。 《단전(彖傳)》에 말하였다. "해(解)는 험함으로써 움직이고, 움직이면서 험함에서 벗어나 해결(解決)됨이다." 【王弼 注】 動乎險外,故謂之免。免險則解,故謂之解。 【왕필 주】 험함이 밖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일컫기를 면한다고 했으며, 험함을 벗어나면 풀리기 때문에 일컫기를 풀림[解]이라 했다. |
[孔穎達 疏]正義曰:此就二體以釋卦名。遇險不動,無由解難。動在險中,亦未能免咎。今動於險外,即見免脫於險,所以為「解」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이는 두 몸체[體]를 취하여 그로써 괘(卦)의 이름을 해석하였다. 험함을 만나 움직이지 않으면 어려움을 풀 방법이 없고, 움직임이 험한 가운데에 있으면 또한 허물을 잘 면하지 못하는데, 지금 험함의 밖에서 움직이니 바로 험함을 벗어나 면함이니, ‘해(解)괘’가 되는 까닭이다.」 |
解,利西南,往得眾也。其來復吉,乃得中也。有攸往夙吉,往有功也。天地解而雷雨作,雷雨作而百果草木皆甲坼, 해(解)가 서남(西南)이 이로움은, 가면 무리를 얻음이다. 와서 회복하여 길함은, 이에 가운데를 얻음이다. 다스림[敒]이 있는데 가면 빨리 해야 길함은, 가면 공(功)이 있음이다. 하늘과 땅이 풀리면서 우레와 비가 일어나고, 우레와 비가 일어나면서 온갖 과일과 초목이 모두 싹이 나오고[껍질이 터짐], 【王弼 注】 天地否結,則雷雨不作。交通感散,雷雨乃作也。雷雨之作,則險厄者亨,否結者散,故百果草木皆甲坼也。 【왕필 주】 하늘과 땅이 막히고 맺어지면, 우레와 비가 일어나지 않는데, 사귀어 통하고 느끼고 흩어져야 우뢰와 비가 비로소 일어난다. 우뢰와 비가 일어나면 재액(災厄)이 험한 것이 형통하고 막히고 맺어진 것이 흩어지기 때문에 온갖 과일과 초목이 모두 껍질이 터진다. |
[孔穎達 疏]「解利西南」至「百果草木皆甲坼」。 ○正義曰:「解利西南往得眾」者,「解」之為義,兼濟為美。往之西南得施解於眾,所以為利也。「其來復吉乃得中也」者,無難可解,退守靜默,得理之中,故云「乃得中」也。「有攸往,夙吉,往有功也」者,解難能速,則不失其幾,故「往有功也」。「天地解而雷雨作雷雨作,而百果草木皆甲圻」者,此因震、坎有雷雨之象,以廣明「解」義。天地解緩,雷雨乃作。雷雨既作,百果草木皆孚甲開坼,莫不解散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해이서남(解利西南)에서 백과초목개갑탁(百果草木皆甲坼)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해(解)가 서남(西南)이 이로움은, 가면 무리를 얻음이다[解利西南 往得衆]”라는 것은, 해(解)괘의 뜻이 됨은, 겸하여 구제함을 아름다움으로 삼음이며, 서남(西南)쪽으로 가서 무리에게 베풀어 풀림[解]을 얻으니, 이로움이 되는 까닭이다. “와서 회복하여 길함은, 이에 가운데를 얻음이다[其來復吉 乃得中也]”라는 것은, 풀 수 있는 어려움이 없어서 물러나 고요함과 침묵을 지켜서 가운데中]를 얻는 이치이기 때문에 이르기를 “이에 가운데를 얻음이다[乃得中也]”라고 한 것이다. “다스림[敒]이 있는데 가면 빨리 해야 길함은, 가면 공(功)이 있음이다[有攸往 夙吉 往有功也]”라는 것은, 어려움을 풀기를 속히 잘하면 그 기회를 잃지 않기 때문에 ‘가면 공(功)이 있음이다[往有功也]’. “하늘과 땅이 풀리면서 우레와 비가 일어나고, 우레와 비가 일어나면서 온갖 과일과 초목이 모두 싹이 나오고[天地解而雷雨作 雷雨作而百果草木皆甲坼]”라는 것은, 이는 진(震)과 감(坎)에 우레와 비의 모습[象]이 있음을 말미암아 그로써 풀림[解]의 뜻을 넓리 밝힌 것이다. 하늘과 땅이 느슨하게 풀리면 우레와 비가 마침내 일어나고, 우레와 비가 이미 일어나면 온갖 과일과 초목이 모두 품은 껍질이 터져서 열리며 풀리어 흩어지지[解散] 않음이 없는 것이다.」 |
解之時大矣哉! 풀림[解]의 때가 크도다!“ 【王弼 注】 无所而不釋也。難解之時,非治難時,故不言用。體盡於解之名,无有幽隱,故不曰義。 【왕필 주】 [어려움이] 풀리지 않는 바가 없음이다. 어려움이 풀리는 때는, 다스림이 어려운 때가 아니기 때문에 쓰임[用]을 말하지 않았다. 몸[體]은 풀림을 다한 이름인데 깊고 은밀함이 없기 때문에 뜻[義]을 말하지 않았다. |
[孔穎達 疏]正義曰:結歎解之大也。自天地至於草木,無不有「解」,豈非大哉!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풀림[解]의 큼을 맺어서 감탄함이며, 하늘과 땅으로부터 초목에 이르기까지 풀리지[解] 않음이 없으니, 어찌 큼이 아니겠는가!」 |
[孔穎達 疏] 「解利西南」至「百果草木皆甲坼」。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해이서남(解利西南)에서 백과초목개갑탁(百果草木皆甲坼)까지.}
○正義曰:「解利西南往得眾」者,「解」之為義,兼濟為美。往之西南得施解於眾,所以為利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해(解)가 서남(西南)이 이로움은, 가면 무리를 얻음이다[解利西南 往得衆]”라는 것은, 해(解)괘의 뜻이 됨은, 겸하여 구제함을 아름다움으로 삼음이며, 서남(西南)쪽으로 가서 무리에게 베풀어 풀림[解]을 얻으니, 이로움이 되는 까닭이다.
「其來復吉乃得中也」者,無難可解,退守靜默,得理之中,故云「乃得中」也。
“와서 회복하여 길함은, 이에 가운데를 얻음이다[其來復吉 乃得中也]”라는 것은, 풀 수 있는 어려움이 없어서 물러나 고요함과 침묵을 지켜서 가운데中]를 얻는 이치이기 때문에 이르기를 “이에 가운데를 얻음이다[乃得中也]”라고 한 것이다.
「有攸往,夙吉,往有功也」者,解難能速,則不失其幾,故「往有功也」。
“다스림[敒]이 있는데 가면 빨리 해야 길함은, 가면 공(功)이 있음이다[有攸往 夙吉 往有功也]”라는 것은, 어려움을 풀기를 속히 잘하면 그 기회를 잃지 않기 때문에 ‘가면 공(功)이 있음이다[往有功也]’.
「天地解而雷雨作雷雨作,而百果草木皆甲圻」者,此因震、坎有雷雨之象,以廣明「解」義。
“하늘과 땅이 풀리면서 우레와 비가 일어나고, 우레와 비가 일어나면서 온갖 과일과 초목이 모두 싹이 나오고[天地解而雷雨作 雷雨作而百果草木皆甲坼]”라는 것은, 이는 진(震)과 감(坎)에 우레와 비의 모습[象]이 있음을 말미암아 그로써 풀림[解]의 뜻을 넓리 밝힌 것이다.
天地解緩,雷雨乃作。雷雨既作,百果草木皆孚甲開坼,莫不解散也。
하늘과 땅이 느슨하게 풀리면 우레와 비가 마침내 일어나고, 우레와 비가 이미 일어나면 온갖 과일과 초목이 모두 품은 껍질이 터져서 열리며 풀리어 흩어지지[解散] 않음이 없는 것이다.」
《象》曰:雷雨作,解,君子以赦過宥罪。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우레와 비가 일어남이 해(解)괘이며, 군자가 그로써 잘못을 사면하고 죄를 너그럽게 한다.“ |
[孔穎達 疏]正義曰:赦謂放免,過謂誤失,宥謂寬宥,罪謂故犯,過輕則赦,罪重則宥,皆解緩之義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사(赦, 용서할 사)는, 사면하여 풀어줌을 말하고, 과(過, 지날 과)는 잘못하여 실수함을 말하며 유(宥, 너그러울 유)는 관대하여 너그러움을 말하고, 죄(罪, 허물 죄)는 범죄의 연고(緣故)를 말함이다. 허물이 가벼우면 사면하고 죄가 무거우면 너그럽게 함은 모두 느슨하게 풀어줌의 뜻이다.」 |
初六,无咎。 초육(初六)은 허물이 없다. 【王弼 注】 解者,解也。屯難盤結,於是乎解也。處蹇難始解之初,在剛柔始散之際,將赦罪厄,以夷其險。處此之時,不煩於位而无咎也。 【왕필 주】 해(解)라는 것은 풀림이며, 어렵고 어려운 엉기어 맺힘이 여기에서 풀린다. 건(蹇)의 어려움이 풀리기 시작하는 처음에 처하고 굳셈과 부드러움이 흩어지기 시작하는 즈음에 있어서 장차 죄와 곤액을 사면하여 그로써 험함을 평이하게 하는데, 이러한 때에 처하여 지위에 번거롭지 않아서 허물이 없음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夫險難未夷,則賤弱者受害,然則蹇難未解之時,柔弱者不能無咎,否結既釋之後,剛強者不復陵暴。初六,「處蹇難始解之初,在剛柔始散之際」,雖以柔弱處無位之地,逢此之時,不慮有咎,故曰「初六無咎」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그 험난함이 평이해지지 않으면 천하고 약한 자가 해침를 받는데, 그렇다면 매우 어려움이 풀리지 않았을 때에는 부드럽고 약한 자가 허물을 잘 없애지 못하고, 막히고 맺힘이 이미 풀어진 뒤에는 굳세고 강한 자가 다시 능멸하고 사납지는 않는다. 초육(初六)이 ‘건(蹇)의 어려움이 풀리기 시작하는 처음에 처하고 굳셈과 부드러움이 흩어지기 시작하는 즈음에 있음[處蹇難始解之初,在剛柔始散之際]’이니, 비록 부드럽고 약함으로써 지위가 없는 자리[땅]에 처하였으나 이러한 때를 만나서는 허물이 있음을 염려하지 않기 때문에 “초육(初六)은 허물이 없다[初六無咎]”라고 말한 것이다.」 |
《象》曰:剛柔之際,義无咎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굳셈과 부드러움의 맞닿음은, 의로워서 허물이 없다." 【王弼 注】 或有過咎,非其理也。義,猶理也。 【왕필 주】 혹 잘못된 허물이 있으나, 그 도리(도理)는 아니다. 옳음[義]은 도리와 같다. |
[孔穎達 疏]正義曰:「義無咎」者,「義」猶理也,剛柔既散,理必無咎,或有過咎,非理之當也,故曰「義無咎」也。 ○注「有過咎」至「義猶理也」。 ○正義曰:「或有過咎,非其理也」者,或本無此八字。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의무구[義无咎]”라는 것의 ‘의(義)’는 이치와 같다. 굳셈과 부드러움이이미 흩어지면 이치상 반드시 허물이 없으니, 혹 잘못된 허물이 있음은 이치의 마땅함이 아니다. 그러므로 “이치상 허물이 없다[義無咎]”라고 말한 것이다.」 ○ 【왕필 주(王弼 注)】의 “유과구(有過咎)에서 의유리야(義猶理也)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혹 잘못된 허물이 있으나, 그 도리(도理)는 아니다[或有過咎 非其理也]”라는 것은, 어떤 본(本)에는 이 여덟 자가 없다.」 |
九二,田獲三狐,得黃矢,貞吉。 구이(九二)는 사냥하여 여우 세 마리[三陰]를 잡고 누런 화살을 얻지만, 곧아야 길하다. 【王弼 注】 狐者,隱伏之物也。剛中而應,為五所任,處於險中,知險之情,以斯解物,能獲隱伏也,故曰田獲三狐也。黃,理中之稱也。矢,直也。田而獲三狐,得乎理中之道,不失枉直之實,能全其正者也,故曰「田獲三狐,得 黃矢,貞吉」也。 【왕필 주】 여우[호(狐)]라는 것은, 숨어 엎드리는 동물이다. 굳센 가운데 이면서 응(應)하는데 임하는 곳이 육5(六五)가 되며 험한 가운데에 처하고 험한 실정을 알며, 이를 가지고 남[사물]을 풀어주면 숨어 엎드려 있는 것을 잘 잡는다. 그러므로 “사냥하여 여우 세 마리를 잡는다.”라고 말했다. 황(黃)은 이치가 맞음을 말하고, 화살[矢]은 곧음이다. 사냥을 하여서 세 마리의 여우를 잡음은, 이치가 알맞음의 도(道)를 얻어서 굽고 곧음의 실제를 잃지 않으며 그 바름을 온전히 잘하는 자이다. 그러므로 “사냥하여 세 마리의 여우를 잡고 누런 화살을 얻었는데, 곧아야 길하다.”라고 말을 한 것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田獲三狐」者,狐是隱伏之物,三為成數,舉三言之,搜獲歡盡。九二以剛居中而應於五,為五所任,處於險中,知險之情,以斯解險,無險不濟,能獲隱伏,如似田獵而獲窟中之狐,故曰「田獲三狐」。「得黃矢,貞吉」者,黃,中之稱。矢,直也。田而獲三狐,得乎無理中之道,不失枉直之實,能全其正者也,故曰「得黃矢貞吉」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사냥하여 여우 세 마리를 잡고[田獲三狐]”라는 것은, ‘여우[狐]’는 바로 숨어 엎드리는 동물이다. ‘삼(三)’은 성수(成數)가 되며, 삼(三)을 들어 말을 했음은 찾아서 잡았으니 기쁨을 다한 것이다. 구2(九二)가 굳셈으로써 가운데[中]에 거주하면서 육5(六五)에 응(應)하고 육5(六五)가 신임하는 바가 되며, 험한 가운데에 처하여 험함의 실정을 아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험함을 풀면 험함을 구제하지 못함이 없어서 숨어 엎드려 있는 것을 잘 잡으니, 사냥함을 닮았으며 굴 속의 여우를 잡는 것과 같기 때문에 “사냥하여 여우 세 마리를 잡는다[田獲三狐]”라고 말한 것이다. “누런 화살을 얻지만, 곧아야 길하다[得黃矢 貞吉]”라는 것의, ‘황(黃)’은 가운데[中]를 칭함이며, ‘화살[矢]’은 곧은 것이다. 사냥하여서 여우 세 마리를 잡음은, 이치의 맞지 않은 도(道)를 얻얻지만 굽고 곧음의 실제를 잃지 않으니 그 바름을 온전히 잘하는 자이다. 그러므로 “누런 화살을 얻지만, 곧아야 길하다[得黃矢 貞吉]”라고 말한 것이다.」 |
《象》曰:九二貞吉,得中道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구2(九二)가 곧아야 길함은, 알맞은 도(道)를 얻음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得中道也」者,明九二位既不當,所以得「貞吉」者,由處於中,得乎理中之道故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알맞은 도(道)를 얻음이다[得中道也]”라는 것은, 구2(九二)의 지위가 이미 마땅하지 않음은, ‘곧아야 길함[貞吉]’을 얻은 까닭이란 것이, 가운데[中]에 처함을 말미암아 이치의 알맞은 도(道)를 얻는 연고(緣故)를 밝힌 것이다.」 |
[孔穎達 疏] 正義曰:「田獲三狐」者,狐是隱伏之物,三為成數,舉三言之,搜獲歡盡。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사냥하여 여우 세 마리를 잡고[田獲三狐]”라는 것은, ‘여우[狐]’는 바로 숨어 엎드리는 동물이다. ‘삼(三)’은 성수(成數)가 되며, 삼(三)을 들어 말을 했음은 찾아서 잡았으니 기쁨을 다한 것이다.
九二以剛居中而應於五,為五所任,處於險中,知險之情,以斯解險,無險不濟,能獲隱伏,如似田獵而獲窟中之狐,故曰「田獲三狐」。
구2(九二)가 굳셈으로써 가운데[中]에 거주하면서 육5(六五)에 응(應)하고 육5(六五)가 신임하는 바가 되며, 험한 가운데에 처하여 험함의 실정을 아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험함을 풀면 험함을 구제하지 못함이 없어서 숨어 엎드려 있는 것을 잘 잡으니, 사냥함을 닮았으며 굴 속의 여우를 잡는 것과 같기 때문에 “사냥하여 여우 세 마리를 잡는다[田獲三狐]”라고 말한 것이다.
「得黃矢,貞吉」者,黃,中之稱。矢,直也。田而獲三狐,得乎無理中之道,不失枉直之實,能全其正者也,故曰「得黃矢貞吉」也。
“누런 화살을 얻지만, 곧아야 길하다[得黃矢 貞吉]”라는 것의, ‘황(黃)’은 가운데[中]를 칭함이며, ‘화살[矢]’은 곧은 것이다. 사냥하여서 여우 세 마리를 잡음은, 이치의 맞지 않은 도(道)를 얻얻지만 굽고 곧음의 실제를 잃지 않으니 그 바름을 온전히 잘하는 자이다. 그러므로 “누런 화살을 얻지만, 곧아야 길하다[得黃矢 貞吉]”라고 말한 것이다.」
六三,負且乘,致寇至,貞吝。 육삼(六三)은 [九四를] 짊어지고 또 [九二에] 올라타서 도적이 이르도록 했으니, 곧으면 부끄럽다. 【王弼 注】 處非其位,履非其正,以附於四,用夫柔邪以自媚者也。乘二負四,以容其身。寇之來也,自己所致,雖幸而免,正之所賤也。 【왕필 주】 그 지위가 아닌데 처하고 그 바르지 않은데를 밟고서 그로써 구4(九四)에 붙으니 부드럽고 간사함을 사용하여 그로써 스스로 아첨하는 자이다. 구2(九二)를 타고 구4(九四)를 짊어지며 그로써 자신을 용납한다. 도둑이 옴은 스스로 자기가 들인 바이니, 비록 다행히 면하지만 바름이 천한 바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負且乘致寇至」者,六三,矢正無應,下乘於二,上附於四,即是用夫邪佞以自說媚者也。乘者,君子之器也。負者,小人之事也。施之於人,即在車騎之上,而負於物也。故寇盜知其非巳所有,於是競欲奪之,故曰「負且乘致寇至」也。「貞吝」者,負乘之人,正其所鄙,故曰「貞吝」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짊어지고 또 올라타서 도적이 이르도록 했으니[負且乘 致寇至]”라는 것은, 육3(六三)이 바름을 잃고 응(應)이 없으며, 아래로 구2(九二)를 타고 위로 구4(九四)에 붙으며, 나아가 바로 간사함과 말재주를 사용함으로써 스스로 설득하고 아첨하는 자이다. ‘승(乘, 탈 승)’이라는 것은, 군자(君子)의 기물이고 ‘부(負, 질 부)’라는 것은, 소인(小人)의 일이며, 사람에게 베풀면 바로 수레와 기마의 위에 있으면서 물건을 짊어짐이다. 그러므로 도둑들이 자기[六三]의 소유한 바가 아닌 줄을 알고 이에 다투어 빼앗고자 하기 때문에 “짊어지고 또 올라타서 도적이 이르도록 했다[負且乘致寇至]”라고 말한 것이다. “곧으면 부끄럽다[貞吝]”라는 것은, 지고 타는 사람은 그 비천(鄙賤)한 바에 바르기 때문에 “곧으면 부끄럽다[貞吝]”라고 말한 것이다.」 |
《象》曰:負且乘,亦可醜也,自我致戎,又誰咎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짊어지고 또 올라탐은 또한 추 할 수 있음이고, 스스로 나에게 오랑케를 이르게 했는데 또 누구를 허물하겠는가?” |
[孔穎達 疏]正義曰:「亦可醜也」者,天下之醜多矣,此是其一,故曰「亦可醜也」。「自我致戎,又誰咎也」者,言此寇雖由已之招,非是他人致此過咎,故曰「又誰咎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또한 추 할 수 있음이고[亦可醜也]”라는 것은, 천하의 추함이 많음은, 이것이 바로 그중에 하나이기 때문에 “또한 추 할 수 있다[亦可醜也]”라고 말한 것이다. “스스로 나에게 오랑케를 이르게 했는데 또 누구를 허물하겠는가?[自我致戎 又誰咎也]”라는 것은, 이 도적이 비록 자기의 부름을 말미암음은, 바로 타인이 이 잘못한 허물을 불러들임이 아님을 말하였기 때문에 “또 누구를 허물하겠는가?[又誰咎也]”라고 말한 것이다.」 |
[孔穎達 疏] 正義曰:「負且乘致寇至」者,六三,矢正無應,下乘於二,上附於四,即是用夫邪佞以自說媚者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짊어지고 또 올라타서 도적이 이르도록 했으니[負且乘 致寇至]”라는 것은, 육3(六三)이 바름을 잃고 응(應)이 없으며, 아래로 구2(九二)를 타고 위로 구4(九四)에 붙으며, 나아가 바로 간사함과 말재주를 사용함으로써 스스로 설득하고 아첨하는 자이다.
乘者,君子之器也。負者,小人之事也。施之於人,即在車騎之上,而負於物也。故寇盜知其非巳所有,於是競欲奪之,故曰「負且乘致寇至」也。
‘승(乘, 탈 승)’이라는 것은, 군자(君子)의 기물이고 ‘부(負, 질 부)’라는 것은, 소인(小人)의 일이며, 사람에게 베풀면 바로 수레와 기마의 위에 있으면서 물건을 짊어짐이다. 그러므로 도둑들이 자기[六三]의 소유한 바가 아닌 줄을 알고 이에 다투어 빼앗고자 하기 때문에 “짊어지고 또 올라타서 도적이 이르도록 했다[負且乘致寇至]”라고 말한 것이다.
「貞吝」者,負乘之人,正其所鄙,故曰「貞吝」也。
“곧으면 부끄럽다[貞吝]”라는 것은, 지고 타는 사람은 그 비천(鄙賤)한 바에 바르기 때문에 “곧으면 부끄럽다[貞吝]”라고 말한 것이다.」
九四,解而拇,朋至斯孚。 구사(九四)는 엄지발가락을 풀면 벗이 이르러 이를 믿는다. 【王弼 注】 失位不正,而比於三,故三得附之為其拇也。三為之拇,則失初之應,故解其拇,然後朋至而信矣。 【왕필 주】 지위를 잃고 바르지 않으면서 육3(六三)에 친하기 때문에 육3(六三)을 얻어 엄지발가락을 삼아서 붙는다. 육3(六三)이 엄지발가락이 되면 초육(初六)의 응(應)을 잃기 때문에 그 엄지발가락을 푼 연후에야 벗이 이르러 믿게 됨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而,汝也。拇,足大指也。履於不正,與三相比,三從下來附之,如指之附足,四有應在初。若三為之拇,則失初之應,故必「解其拇 然後朋至而信」,故曰「解而拇,朋至斯孚」。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이(而, 말 이을 이)는 너이고, 무(拇, 엄지손가락 무)는 발의 큰 발가락이다. 바르지 않음을 밟고 육3(六三)과 서로 가까우며, 육3(六三)이 아래에서 붙좇아 와서 붙음은 발가락이 발에 붙음과 같으며 구4(九四)는 응(應)이 초육(初六)에 있다. 만약 육3(六三)을 발가락으로 삼으면 초육(初六)의 응(應)을 잃기 때문에 반드시 ‘그 발가락을 푼 연후에야 벗이 와서 믿는다[解其拇 然後朋至而信]’라고 했기 때문에 “엄지발가락을 풀면 벗이 이르러 이를 믿는다[解而拇,朋至斯孚]”라고 말한 것이다.」 |
《象》曰:解而拇,未當位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엄지발가락을 풂은, 지위가 마땅하지 않음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未當位」者,四若當位履正,即三為邪媚之身,不得附之也。既三不得附四,則無所解。今須解拇,由不當位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지위가 마땅하지 않음이다[未當位]”라는 것은, 구4(九四)가 만약 지위가 마땅하고 바름을 밟으면 즉 육3(六三)이 간사하고 아첨하는 몸이 되어서 붙을 수가 없으며, 이미 육3(六三)이 구4(九四)에 붙지 않았으면 풀 곳이 없는데, 지금 모름지기 발가락을 풂은 마땅하지 않은 지위를 말미암기 때문이다.」 |
六五,君子維有解,吉。有孚于小人。 육오(六五)는 군자(君子)는 오직 풀어냄이 있어야 길하고, 소인(小人)에게 믿음이 있게 된다. 【王弼 注】 居尊履中,而應乎剛,可以有解而獲吉矣。以君子之道解難釋險,小人雖闇,猶知服之而无怨矣,故曰有孚于小人也。 【왕필 주】 가운데를 밟고 높은데 거주하면서 굳셈에 응(應)하니 풀어냄이 있음을 가지고서 길함을 얻을 수 있다. 군자(君子)의 도(道)로써 어려움을 풀고 험함을 풀면 소인(小人)이 비록 이간질하더라도 오히려 복종할 줄을 알아서 원망이 없다. 그러므로 “소인(小人)에게 믿음이 있다.”고 말한 것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君子維有解吉」者,六五,居尊履中而應於剛,是有君子之德。君子當此之時,可以解於險難。維,辭也。有解於難,所以獲吉,故曰「君子維有解吉」也。「有孚於小人」者,以君子之道解難,則小人皆信服之,故曰「有孚於小人」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군자(君子)는 오직 풀어냄이 있어야 길하고[君子維有解 吉]”라는 것은, 육5(六五)가 가운데[中]를 밟고 높은데 거주하면서 굳셈에 응(應)하니, 이는 군자의 덕(德)이 있음이다. 군자가 마땅히 이러함 때에는 험난함을 풀 수가 있다. ‘유(維)’는 어조사이다. 험난함을 풀 수 있음이 길함을 얻는 까닭이기 때문에 “군자는 오직 풀어냄이 있어야 길하다[君子維有解 吉]”라고 말한 것이다. “소인(小人)에게 믿음이 있게 된다[有孚于小人]”라는 것은, 군자의 도(道)를 가지고 어려움을 풀면 소인들이 모두 믿고 복종을 하기 때문에 “소인에게 믿음이 있게 된다[有孚于小人]”라고 말한 것이다.」 |
《象》曰:君子有解,小人退也。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군자(君子)가 풀어냄이 있음은, 소인(小人)이 물러감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小人謂作難者,信君子之德,故退而畏服之。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소인(小人)은 어려움을 일으키는 자를 말하며, 군자(君子)의 덕(德)을 믿기 때문에 물러나서 두려워하고 복종을 하는 것이다.」 |
上六,公用射隼于高墉之上,獲之,无不利。 상육(上六)은 공(公)이 높은 담 위에서 새매를 쏘아 잡음이니, 이롭지 않음이 없다. 【王弼 注】 初為四應,二為五應,三不應上,失位負乘。處下體之上,故曰高墉。墉非隼之所處,高非三之所履,上六居動之上,為解之極,將解荒悖而除穢亂者也,故用射之。極而後動,成而後舉,故必獲之而无不利也。 【왕필 주】 초육(初六)은 구4(九四)의 응(應)이 되고 구2(九二)는 육5(六五)의 응(應)을 하는데, 육3(六三)은 상육(上六)에 응(應)하지 않으니 짐을 지고 올라타서 지위를 잃는다. 하체(下體)의 위쪽에 처하였기 때문에 "높은 담"이라 말했으며, 담은 새매의 처하는 곳이 아니고, 높음은 육3(六三)이 밟고 있을 바가 아닌데, 상육(上六)이 움직임[動]의 위에 거주하여 풀림의 꼭대기가 되었으니, 장차 거친 거스름을 풀어서 더러움과 어지러움을 제거하는 자이다. 그러므로 활을 사용하여 쏜다. 지극한 뒤에 움직이고 이루어진 뒤에 거행하기 때문에 반드시 잡아서 이롭지 않음이 없음이다. |
[孔穎達 疏]「上六」至「無不利」。 ○正義曰:隼者,貪殘之鳥,鸇鷂之屬。墉,牆也。六三失位負乘,不應於上,即是罪釁之人,故以譬於集。此借飛鳥為喻,而居下體之上,其猶隼處高墉。隼之為鳥,宜在山林,集於人家「高墉」,必為人所繳射,以譬六三處於高位,必當被人所誅討。上六居動之上,為解之極,將解之荒悖而除穢亂,故用射之也。「極而後動,成而後舉,故必獲之,而無不利」,故曰「公用射隼于高墉之上,獲之無不利」也。公宅臣之極。上六以陰居上,故謂之「公」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상육(上六)에서 무불리(无不利)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준[隼, 송골매 준]”라는 것은, 탐욕스럽고 잔인한 새이며, 매와 새매의 등속이다. 용(墉, 담 용)은 담이다. 육3(六三)이 지위를 잃고 짐을지고 타고서 상육(上六)에 응(應)하지 않으니, 이는 바로 죄를 지은 사람이기 때문에 그로써 새매에 비유하였다. 이는 날아가는 새를 빌려 비유를 하여서, 하체(下體)의 위에 거주함이 그 새매가 높은 담에 처한 것과 같음이다. 새매의 새가 됨은, 마땅히 산림에 있어야 하는데, 사람의 집안 높은 담에 앉으면 반드시 사람들이 주살로 쏘는 바가 되니, 그로써 육3(六三)이 높은 지위에 처하면 반드시 남이 주벌(誅罰)하는 바를 당함에 비유한 것이다. 상육(上六)이 움직임[動]의 위에 거주하여 풀림[解]의 꼭대기가 되었으니, 장차 [남들이] 황폐함을 풀고서 더러움과 어지러움을 제거하기 때문에 활을 사용하여 쏘는 것이다. ‘지극한 뒤에 움직이고 이루어진 뒤에 거행하기 때문에 반드시 잡아서 이롭지 않음이 없음[極而後動,成而後舉,故必獲之,而無不利]’이기 때문에 “공(公)이 높은 담 위에서 새매를 쏘아 잡음이니, 이롭지 않음이 없다[公用射隼于高墉之上,獲之無不利]”라고 말한 것이다. 공(公)의 집은 신하의 꼭대기이니, 상육(上六)이 음(陰)으로써 위에 거주하기 때문에 말하기를 ‘공(公)’이라 한 것이다.」 |
《象》曰:公用射隼,以解悖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공(公)이 새매를 쏨은, 그로써 거슬림을 풀어냄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解悖也」者,悖,逆也。六三失位負乘,不應於上,是悖逆之人也。上六居動之上,能除解六三之荒悖,故云「以解悖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거슬림을 풀어냄이다[解悖也]”라는 것의 ‘패(悖, 거스를 패)’는 거스름이다. 육3(六三)이 지위를 잃고서 짐을지고 타고서 상육(上六)에 응(應)하지 않으니, 이는 거슬러 거역하는 사람이다. 상육(上六)이 움직임[動]의 위에 거주하여 육3(六三)의 거칠게 거스름을 잘 제거하고 풀기 때문에 이르기를 “그로써 거슬림을 풀어낸다[以解悖也]”라고 한 것이다.」 |
[孔穎達 疏] 「上六」至「無不利」。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상육(上六)에서 무불리(无不利)까지.}
○正義曰:隼者,貪殘之鳥,鸇鷂之屬。墉,牆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준[隼, 송골매 준]”라는 것은, 탐욕스럽고 잔인한 새이며, 매와 새매의 등속이다. 용(墉, 담 용)은 담이다.
六三失位負乘,不應於上,即是罪釁之人,故以譬於集。此借飛鳥為喻,而居下體之上,其猶隼處高墉。
육3(六三)이 지위를 잃고 짐을지고 타고서 상육(上六)에 응(應)하지 않으니, 이는 바로 죄를 지은 사람이기 때문에 그로써 새매에 비유하였다. 이는 날아가는 새를 빌려 비유를 하여서, 하체(下體)의 위에 거주함이 그 새매가 높은 담에 처한 것과 같음이다.
隼之為鳥,宜在山林,集於人家「高墉」,必為人所繳射,以譬六三處於高位,必當被人所誅討。
새매의 새가 됨은, 마땅히 산림에 있어야 하는데, 사람의 집안 높은 담에 앉으면 반드시 사람들이 주살로 쏘는 바가 되니, 그로써 육3(六三)이 높은 지위에 처하면 반드시 남이 주벌(誅罰)하는 바를 당함에 비유한 것이다.
上六居動之上,為解之極,將解之荒悖而除穢亂,故用射之也。
상육(上六)이 움직임[動]의 위에 거주하여 풀림[解]의 꼭대기가 되었으니, 장차 [남들이] 황폐함을 풀고서 더러움과 어지러움을 제거하기 때문에 활을 사용하여 쏘는 것이다.
「極而後動,成而後舉,故必獲之,而無不利」,故曰「公用射隼于高墉之上,獲之無不利」也。
‘지극한 뒤에 움직이고 이루어진 뒤에 거행하기 때문에 반드시 잡아서 이롭지 않음이 없음[極而後動,成而後舉,故必獲之,而無不利]’이기 때문에 “공(公)이 높은 담 위에서 새매를 쏘아 잡음이니, 이롭지 않음이 없다[公用射隼于高墉之上,獲之無不利]”라고 말한 것이다.
公宅臣之極。上六以陰居上,故謂之「公」也。
공(公)의 집은 신하의 꼭대기이니, 상육(上六)이 음(陰)으로써 위에 거주하기 때문에 말하기를 ‘공(公)’이라 한 것이다.」
'■ 주역(周易) > 3.주역정의(周易正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 42. 익괘(益卦)[卦象:풍뢰익(益)]/周易正義 (0) | 2022.10.07 |
---|---|
주역 41. 손괘(損卦)[卦象:산택손]/周易正義 (0) | 2022.10.06 |
주역 39. 건괘(蹇卦)[卦象:수산건]/周易正義 (1) | 2022.10.04 |
주역 38. 규괘(睽卦)[卦象:화택규]/周易正義 (1) | 2022.10.03 |
주역 37. 가인괘(家人卦)[卦象:풍화가인]/周易正義 (1) | 2022.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