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 주()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42. 익괘(益卦)[卦象:풍뢰익(益)]

 巽上

 震下

()[.우뢰]이 아래에 있고, ()[.바람]이 위에 있다.

 

利有攸往利涉大川
()은 가서 펼침[]이 이로우며 큰 내를 건너야 이롭다.
[孔穎達 疏]正義曰:「增足之名損上益下故謂之益下已有矣而上更益之明聖人利物之無已也損卦則損下益上益卦則損上益下得名皆就下而不據上者向秀云:「明王之道志在惠下故取下謂之損與下謂之益。」既上行惠下之道利益萬物動而無違何往不利故曰利有攸往」。以益涉難理絕險阻故曰利涉大川」。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라는 것은넉넉하게 더함의 이름이며위를 덜어 아래에 더하기 때문에 말하기를 ()’이라 한 것이다.
아래가 이미 소유하고 있으면서 위에서 다시 더해주니성인(聖人)이 사물을 이롭게 함이 끝이 없음을 밝힌 것이다.
손괘(損卦)는 아래를 덜어 위에 더하고 익괘(益卦)는 위를 덜어 아래에 더하여이름을 얻음이 모두 아래를 취하면서 위를 근거하지 않은 것인데향수(向秀)가 이르기를 밝은 왕의 도()는 뜻이 아래를 은혜롭게 함에 있기 때문에 아래를 취함을 말하기를 ()’이라 하고 아래에 줌을 말하기를 ()’이라 한다.”라고 하였다.
이미 위에서 아래를 은혜롭게 하는 도()를 행하여 만물에 더하여 이롭고 움직여서 어김이 없으면 어디로 간들 이롭지 않겠는가그러므로 가서 펼침[]이 이롭다[利有攸往]”라고 말한 것이다더해줌[]으로써 어려움을 건너면 험하고 막히는 이치가 끊어지기 때문에 큰 내를 건넘이 이롭다[利涉大川]”라고 말한 것이다.

 

[孔穎達 疏] 正義曰:「增足之名損上益下故謂之益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라는 것은, 넉넉하게 더함의 이름이며, 위를 덜어 아래에 더하기 때문에 말하기를 ()’이라 한 것이다.

下已有矣而上更益之明聖人利物之無已也

아래가 이미 소유하고 있으면서 위에서 다시 더해주니, 성인(聖人)이 사물을 이롭게 함이 끝이 없음을 밝힌 것이다.

損卦則損下益上益卦則損上益下得名皆就下而不據上者向秀云:「明王之道志在惠下故取下謂之損與下謂之益。」

손괘(損卦)는 아래를 덜어 위에 더하고 익괘(益卦)는 위를 덜어 아래에 더하여, 이름을 얻음이 모두 아래를 취하면서 위를 근거하지 않은 것인데, 향수(向秀)가 이르기를 밝은 왕의 도()는 뜻이 아래를 은혜롭게 함에 있기 때문에 아래를 취함을 말하기를 ()’이라 하고 아래에 줌을 말하기를 ()’이라 한다.”라고 하였다.

既上行惠下之道利益萬物動而無違何往不利故曰利有攸往」。以益涉難理絕險阻故曰利涉大川」。

이미 위에서 아래를 은혜롭게 하는 도()를 행하여 만물에 더하여 이롭고 움직여서 어김이 없으면 어디로 간들 이롭지 않겠는가. 그러므로 가서 펼침[]이 이롭다[利有攸往]”라고 말한 것이다. 더해줌[]으로써 어려움을 건너면 험하고 막히는 이치가 끊어지기 때문에 큰 내를 건넘이 이롭다[利涉大川]”라고 말한 것이다.

 

損上益下民說无疆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 "()은 위를 덜어 아래에 더하니 백성들이 끝이 없이 설득되고,


王弼 注】 陽也陰也巽非違震者也處上而巽不違於下損上益下之謂也
왕필 주】 ()은 양()이고 손()괘는 음()이다()은 진()을 어기는 자가 아니며 위에 처하면서 겸손하여 아래를 어기지 않음은 위를 덜어 아래에 더함을 말함이다.
[孔穎達 疏]正義曰此就二體釋卦名之義柔損在上剛動在下上巽不違於下,「損上益下之義也既居上者能自損以益下則下民歡說無復疆限益卦所以名益者正以損上益下民說無疆者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이는 두 몸체[]를 취하여 괘이름[卦名]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부드러운 덜어냄이 위에 있고 굳센 움직임은 아래에 있어서 위가 공손하여 아래를 어기지 않음은 위를 덜어 아래에 더함[損上益下]의 뜻이다이미 위에 거주하는 자가 스스로 잘 덜어내고 그로써 아래에 더하면 아래 백성들이 설득되어 기뻐함이 다시 끝이 한계가 없다익괘(益卦)의 이름이 []’이라 한 것은바로 그로써 위를 덜어 아래에 더하니 백성들이 끝이 없이 설득됨[損上益下民說無疆]의 까닭인 것이다.
自上下下其道大光。 利有攸往中正有慶
스스로 위가 아래에 낮추니 그 도()가 크게 빛난다가서 펼침[]이 이로움은가운데[]가 바르니 경사가 있음이며,


王弼 注】 五處中正自上下下故有慶也以中正有慶之德有攸往也何適而不利哉
왕필 주】 5(九五)가 가운데[바름에 처하고 스스로 위가 아래에 낮추기 때문에 경사가 있음이다가운데[바름으로써 경사의 덕()이 있으니 가서 펼침[]이 있으면어디로 간들 이롭지 않겠는가?
[孔穎達 疏]正義曰此就九五之爻利有攸往中正有慶五處中正自上下下」,則其道光大為天下之所慶順也。「以中正有慶之德」,故所往無不利焉益之所以利有攸往正謂中正有慶故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이는 구5(九五)의 효()를 취하여 가서 펼침[]이 이로움은가운데[]가 바르니 경사가 있음[利有攸往中正有慶]”을 해석한 것이다5(九五)가 가운데[바름에 처하고 스스로 위가 아래에 잘 낮추면 그 도()가 크게 빛나며 천하가 경사로운 바에 따르는 바가 되는 것이다.
가운데[바름으로써 경사의 덕()이 있음[以中正有慶之德]이기 때문에 가는 바가 이롭지 않음이 없음이다()괘의 가서 펼침이 이롭다[利有攸往]라는 것의 꺄닭은 바로 가운데[바름이 경사가 있음을 말한 것이다.
利涉大川木道乃行
큰 내를 건너야 이로움은나무의 도()가 이에 행해짐이다.


王弼 注】 木者以涉大川為常而不溺者也以益涉難同乎木也
 왕필 주】 나무[]라는 것은[]로써 큰 내를 건넘을 항상 하면서도 빠지지 않는 것이다더함으로써 어려움을 건넘이니 나무와 한가지이다.
[孔穎達 疏]正義曰此取譬以釋利涉大川木體輕浮以涉大川為常而不溺也以益涉難如木道之涉川涉川無害方見益之為利故云利涉大川木道乃行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이는 비유를 취하여 그로써 큰 내를 건넘이 이로움[利涉大川]”을 해석한 것이다나무의 몸체[]는 가볍게 뜨며 그로써 큰 내를 건넘을 항상하면서도 빠지지 않으니더함으로써 어려움을 건넘이 나무의 도()가 냇물을 건너는 것과 같다냇물을 건넘에 해가 없어야 바야흐로 더함의 이로움이 됨을 보기 때문에 이르기를 큰 내를 건너야 이로움은나무의 도()가 이에 행해짐이다[利涉大川木道乃行]”라고 한 것이다.
益動而巽日進无疆天施地生其益无方
더함이 움직이면서 겸손하니 날로 나아감이 끝이 없다하늘이 베풀고 땅은 낳아 그 더함이 방소(方所)가 없다.


王弼 注】 損上益下
왕필 주】 위를 덜어 아래에 더함이다.
[孔穎達 疏]正義曰:「益動而巽日進無疆自此已下廣明益義前則就二體明損上益下以釋卦名以下有動求上能巽接損上益下之義今執二體更明得益之方也若動而驕盈則彼損無已若動而卑巽則進益無疆故曰益動而巽日進無疆」。「天施地生其益無方此就天地廣明益之大義也天施氣於地地受氣而化生亦是損上益下義也其施化之益無有方所故曰天施地生其益無方」。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더함이 움직이면서 겸손하니 날로 나아감이 끝이 없다[益 動而巽 日進无疆]”라는 것은이로부터 이하는 더함[]의 뜻을 넓혀 밝힌 것이다.
앞에서는 두 몸체[]를 취하고 위를 덜어 아래에 더함을 밝혀 그로써 괘()의 이름을 해석하였으며그로써 아래가 움직임을 구함이 있으면 위에서 공손히 잘 접하는데바로 위를 덜어 아래에 더함[損上益下]”의 뜻이다.
지금 두 몸체[]를 잡고 다시 더함을 얻음의 방법을 밝혔는데만약 움직이면서 교만함이 가득 차면 저 덜어짐이 끝이 없지만 만약 움직이면서 낮추고 겸손하면 나아가 더함이 끝이 없기 때문에 더함이 움직이면서 겸손하니 날로 나아감이 끝이 없다[益動而巽日進無疆]”라고 말한 것이다.
하늘이 베풀고 땅은 낳아 그 더함이 방소(方所)가 없다[天施地生 其益无方]”라는 것은이는 하늘과 땅을 취하여 더함[]의 큰 뜻을 넓혀 밝힌 것이다.
하늘이 기운을 땅에 베풀고 땅이 기운을 받아서 달라져서 생겨나는데또한 바로 위를 덜어 아래에 더험[損上益下]의 뜻이며그 달라져서 더함을 베풀어 유익함이 사방 곳처가 없기 때문에 하늘이 베풀고 땅은 낳아 그 더함이 방소(方所)가 없다[天施地生其益無方]”라고 말한 것이다.
凡益之道與時偕行
모든 더함[]의 도()는 때와 더블어 함께 행한다."


王弼 注】 益之為用施未足也滿而益之害之道也故凡益之道與時偕行也
왕필 주】 더해 줌[]의 쓰임이 됨은넉넉하지 않은데에 베풀고가득한데도 더해 줌은 해침의 도()이다그러므로 모든 더해 줌의 도()는 때와 더블어 함께 행한다.
[孔穎達 疏]正義曰雖施益無方不可恒用當應時行之故舉凡益總結之故曰凡益之道與時偕行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비록 더함을 베풂이 사방이 없지만 항상 사용해서는 안 되며마땅히 때에 응()하여 행해야 하기 때문에 모든 더함[凡益]’을 들어 총괄하여 맺었기 때문에 모든 더함[]의 도()는 때와 더블어 함께 행한다[凡益之道與時偕行也]”라고 말한 것이다.

 

[孔穎達 疏] 正義曰:「益動而巽日進無疆自此已下廣明益義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더함이 움직이면서 겸손하니 날로 나아감이 끝이 없다[益 動而巽 日進无疆]”라는 것은, 이로부터 이하는 더함[]의 뜻을 넓혀 밝힌 것이다.

前則就二體明損上益下以釋卦名以下有動求上能巽接損上益下之義

앞에서는 두 몸체[]를 취하고 위를 덜어 아래에 더함을 밝혀 그로써 괘()의 이름을 해석하였으며, 그로써 아래가 움직임을 구함이 있으면 위에서 공손히 잘 접하는데, 바로 위를 덜어 아래에 더함[損上益下]”의 뜻이다.

今執二體更明得益之方也若動而驕盈則彼損無已若動而卑巽則進益無疆故曰益動而巽日進無疆」。

지금 두 몸체[]를 잡고 다시 더함을 얻음의 방법을 밝혔는데, 만약 움직이면서 교만함이 가득 차면 저 덜어짐이 끝이 없지만 만약 움직이면서 낮추고 겸손하면 나아가 더함이 끝이 없기 때문에 더함이 움직이면서 겸손하니 날로 나아감이 끝이 없다[益動而巽日進無疆]”라고 말한 것이다.

天施地生其益無方此就天地廣明益之大義也

하늘이 베풀고 땅은 낳아 그 더함이 방소(方所)가 없다[天施地生 其益无方]”라는 것은, 이는 하늘과 땅을 취하여 더함[]의 큰 뜻을 넓혀 밝힌 것이다.

天施氣於地地受氣而化生亦是損上益下義也其施化之益無有方所故曰天施地生其益無方」。

하늘이 기운을 땅에 베풀고 땅이 기운을 받아서 달라져서 생겨나는데, 또한 바로 위를 덜어 아래에 더험[損上益下]의 뜻이며, 그 달라져서 더함을 베풀어 유익함이 사방 곳처가 없기 때문에 하늘이 베풀고 땅은 낳아 그 더함이 방소(方所)가 없다[天施地生其益無方]”라고 말한 것이다.

 

風雷君子以見善則遷有過則改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바람과 우레가 익()괘이니군자가 그로써 착함을 보면 옮겨가고 허물이 있으면 고친다."


王弼 注】 遷善改過益莫大焉
왕필 주】 착함에 옴겨가고 잘못을 고치면더해줌이 이것보다 큰 것이 없다.
[孔穎達 疏]正義曰:《子夏傳:「雷以動之風以散之萬物皆盈。」孟僖亦與此同其意言必須雷動於前風散於後然後萬物皆益如二月啟蟄之後風以長物八月收聲之後風以殘物風之為益其在雷後故曰風雷遷謂遷徙慕尚改謂改更懲止遷善改過益莫大焉故君子求益見善則遷有過則改六子之中並有益物猶取雷風者何晏云:「取其最長可久之義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자하역전(子夏易傳)에 이르기를 우레로써 움직여 가고 바람으로써 흩어지게 하니 만물이 모두 가득 찬다.”라고 하였고맹희(孟僖또한 이와 더블어 뜻이 같은데반드시 모름지기 우레가 앞에서 움직이고 바람이 뒤에서 흩으며 그러한 뒤에야 만물이 모두 더해짐[]을 말한 것이다.
2(二月)에 [우레가땅속 벌레를 일깨운 뒤에 바람으로써 사물을 자라게 하고, 8(八月)에 [우레를거둔 뒤에 바람으로써 사물을 쇠잔(衰殘)하게 함과 같은데바람이 더함[]이 됨은 우레의 뒤에 있기 때문에 바람과 우레가 익()괘이다[風雷]”라고 말한 것이다.
(옮길 천)은 옮겨가고 사모하고 숭상함을 말하고(고칠 개)는 고쳐서 다시 징계하고 그침을 말하며착함으로 옮겨가서 허물을 고치면 더함[]이 이보다 더 큼이 없기 때문에 군자(君子)가 더함[]을 구하며 그로써 착함을 보면 옮겨가고 허물이 있으면 고침[見善則遷有過則改]이다.
여섯 효[六子가운데에 모두 남[사물]을 더함이 있는데 오직 우레와 바람을 취한 것은하안(何晏)이 이르기를 가장 길게 오래할 수 있음의 뜻을 취하였다[取其最長可久之義也]”라고 하였다.

 

[孔穎達 疏] 正義曰:《子夏傳:「雷以動之風以散之萬物皆盈。」孟僖亦與此同其意言必須雷動於前風散於後然後萬物皆益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자하역전(子夏易傳)에 이르기를 우레로써 움직여 가고 바람으로써 흩어지게 하니 만물이 모두 가득 찬다.”라고 하였고, 맹희(孟僖) 또한 이와 더블어 뜻이 같은데, 반드시 모름지기 우레가 앞에서 움직이고 바람이 뒤에서 흩으며 그러한 뒤에야 만물이 모두 더해짐[]을 말한 것이다.

如二月啟蟄之後風以長物, 八月收聲之後風以殘物風之為益其在雷後故曰風雷

2(二月) [우레가] 땅속 벌레를 일깨운 뒤에 바람으로써 사물을 자라게 하고, 8(八月) [우레를] 거둔 뒤에 바람으로써 사물을 쇠잔(衰殘)하게 함과 같은데, 바람이 더함[]이 됨은 우레의 뒤에 있기 때문에 바람과 우레가 익()괘이다[風雷]”라고 말한 것이다.

遷謂遷徙慕尚改謂改更懲止遷善改過益莫大焉故君子求益見善則遷有過則改

(, 옮길 천)은 옮겨가고 사모하고 숭상함을 말하고, (, 고칠 개)는 고쳐서 다시 징계하고 그침을 말하며, 착함으로 옮겨가서 허물을 고치면 더함[]이 이보다 더 큼이 없기 때문에 군자(君子)가 더함[]을 구하며 그로써 착함을 보면 옮겨가고 허물이 있으면 고침[見善則遷有過則改]이다.

六子之中並有益物猶取雷風者何晏云:「取其最長可久之義也。」

여섯 효[六子] 가운데에 모두 남[사물]을 더함이 있는데 오직 우레와 바람을 취한 것은, 하안(何晏)이 이르기를 가장 길게 오래할 수 있음의 뜻을 취하였다[取其最長可久之義也]”라고 하였다.

 

初九利用為大作元吉无咎
초구(初九)는 크게 하여 만들어 써야 이로우며크게 길하고 허물이 없다.


王弼 注】 處益之初居動之始體夫剛德以莅其事而之乎巽以斯大作必獲大功夫居下非厚事之地在卑非任重之處大作非小功所濟故元吉乃得无咎也
왕필 주】 더함[]의 처음에 처하고 움직임의 시작에 거주하며 그 굳센 덕()을 몸[]하여 그로써 그 일에 이르면서 겸손함으로 가고 이러함으로써 크게 만들면 반드시 큰 공()을 얻는다그가 아래에 거주함은 일을 두텁게 하려는 곳[]이 아니고 낮은데 있음은 무거운 임무에 처함이 아니며 크게 만듦은 작은 공()을 구제하는 바가 아니기 때문에 근본이 길하니 이에 허물이 없음을 얻는다.
[孔穎達 疏]正義曰:「大作謂興作大事也初九處益之初居動之始有興作大事之端又體剛能幹應巽不違有堪建大功之德故曰利用為大作然有其才而無其位得其時而無其處雖有殊功人不與也時人不與則咎過生焉故必元吉」,乃得無咎」,故曰元吉無咎」。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크게 만듦은[大作]”은 큰 일을 일으켜 남듦을 말한다.
초구(初九)가 익()괘의 처음에 처하고 움직임의 시작에 거주하여 큰 일의 단서를 일으켜 만들고또 몸[]이 굳세어 잘 주간하고()에 응()하여 어기지 않으니큰 공()의 덕()을 감당하여 세움이 있기 때문에 크게 하여 만들어 써야 이롭다[利用為大作]”라고 말한 것이다.
그러나 그 재주가 있으면서도 지위가 없으니 때를 얻었으나 처소가 없어서 비록 뛰어난 공()이 있으나 사람들이 허여(許與)하지 않으며시절의 사람들이 허여하지 않으면 거기에 허물이 생겨나기 때문에 반드시 크게 길함이고 마침내 허물이 없음을 얻기 때문에 크게 하고 허물이 없다[元吉无咎]”라고 말한 것이다.
元吉无咎下不厚事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크게 길하고 허물이 없음은아래 일이 두텁지 않음이다."


王弼 注】 時可以大作而下不可以厚事得其時而无其處故元吉乃得无咎也
왕필 주】 때가 크게 일으킬 수 있지만 아래에서는 두터운 일을 할 수 없으며 그 때를 얻었는데도 그 처함이 없기 때문에 근본이 길하니 이에 허물 없음을 얻는다.
[孔穎達 疏]正義曰:「下不厚事厚事猶大事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아래 일이 두텁지 않음이다[下不厚事]”라는 것은두터운 일[厚事]은 큰 일[大事]과 같음이다.

 

[孔穎達 疏] 正義曰:「大作謂興作大事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크게 만듦은[大作]”은 큰 일을 일으켜 남듦을 말한다.

初九處益之初居動之始有興作大事之端又體剛能幹應巽不違有堪建大功之德故曰利用為大作

초구(初九)가 익()괘의 처음에 처하고 움직임의 시작에 거주하여 큰 일의 단서를 일으켜 만들고, 또 몸[]이 굳세어 잘 주간하고, ()에 응()하여 어기지 않으니, 큰 공()의 덕()을 감당하여 세움이 있기 때문에 크게 하여 만들어 써야 이롭다[利用為大作]”라고 말한 것이다.

然有其才而無其位得其時而無其處雖有殊功人不與也時人不與則咎過生焉故必元吉」,乃得無咎」,故曰元吉無咎」。

그러나 그 재주가 있으면서도 지위가 없으니 때를 얻었으나 처소가 없어서 비록 뛰어난 공()이 있으나 사람들이 허여(許與)하지 않으며, 시절의 사람들이 허여하지 않으면 거기에 허물이 생겨나기 때문에 반드시 크게 길함이고 마침내 허물이 없음을 얻기 때문에 크게 하고 허물이 없다[元吉无咎]”라고 말한 것이다.

 

六二或益之十朋之龜弗克違永貞吉王用享于帝
육이(六二)는 혹 열명의 벗이 더해주면 거북이라도 어기지 못하지만 영원히 곧게 해야 길하며왕이 상제에게 제향(祭享)을 올려야 길하다.


王弼 注】 以柔居中而得其位處內履中居益以沖益自外來不召自至不先不為則朋龜獻策同於損卦六五之位位不當尊故吉在永貞也帝者生物之主興益之宗出震而齊巽者也六二居益之中體柔當位而應於巽享帝之美在此時也
왕필 주】 부드러움으로써 가운데[]에 거주하면서 그 지위를 얻어 안에 처하고 가운데[]를 밟고 있으니 거주함이 더함으로써 화합함이다밖으로 부터 와서 더함은부르지 않아도 스스로 이르러 앞서지 않고 하지도 않으면 벗과 거북이 계책을 올림이 손괘(의 육5(六五)의 지위와 같다지위가 높은데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길함이 영원히 곧게함에 있음이다.
상제[]라는 것은 사물을 낳음의 주체이고 더함을 일으키는 종주(宗主)이며()에서 나와서 손()을 구제하는 자이다2(六二)가 더함[]의 가운데에 거주하여 몸체[]가 부드럽고 지위가 마당하면서 손()에 응()하니상제(上帝)에게 제향함의 아름다움이 이때에 있는 것이다.
[孔穎達 疏]六二王用享于帝吉」。
正義曰六二體柔居中當位應巽是居益而能用謙沖者也居益用謙則物自外來」,朋龜獻策弗能違也同於損卦六五之位故曰或益之十朋之龜弗克違然位不當尊故永貞乃吉故曰永貞吉」。天也王用此時以享祭於帝明靈降福故曰王用享於帝吉
공영달소(孔穎達 疏)】 ()의 {육이(六二)에서 왕용향우제길[王用享于帝吉)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2(六二)는 몸체[]가 부드럽고 가운데[]에 거주하며 지위를 마땅하고 손()에 응()하니이는 더함에 거주하여서 겸손하게 화함을 잘 사용하는 자이다.
더함[]에 거주하고 겸손함을 사용하면 남[사물]이 밖에서 오며벗과 거북이 계책을 올리니 잘 어기지 못하는데손괘(損卦)의 육5(六五)의 지위와 같기 때문에 혹 열명의 벗이 더해주면 거북이라도 어기지 못한다[或益之十朋之龜弗克違]”라고 말한 것이다.
그러나 지위가 높은데에 마땅하지 않기 때문에 오래도록 곧으니 이에 길하기 때문에 오래도록 곧게해야 길하다[永貞吉]”라고 말한 것이다상제[]는 하늘이다왕이 이때를 사용하여 그로써 상제(上帝)에게 제향(祭享)하여 신령(神靈)에게 밝은 복을 내리기 때문에 왕이 상제에게 제향(祭享)을 올려야 길하다[王用享於帝吉]”라고 한 것이다.
或益之自外來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혹 더해 줌은밖으로부터 온다."
[孔穎達 疏]正義曰:「自外來明益之者從外自來不召而至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밖으로부터 온다[自外來]”라는 것은더하는 자가 밖에서부터 스스로 와서 부르지 않았는데 이름을 밝힌 것이다.

 

[孔穎達 疏] 六二王用享于帝吉」。

공영달소(孔穎達 疏) () {육이(六二)에서 왕용향우제길[王用享于帝吉)까지.}

正義曰六二體柔居中當位應巽是居益而能用謙沖者也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2(六二)는 몸체[]가 부드럽고 가운데[]에 거주하며 지위를 마땅하고 손()에 응()하니, 이는 더함에 거주하여서 겸손하게 화함을 잘 사용하는 자이다.

居益用謙則物自外來」,朋龜獻策弗能違也同於損卦六五之位故曰或益之十朋之龜弗克違

더함[]에 거주하고 겸손함을 사용하면 남[사물]이 밖에서 오며, 벗과 거북이 계책을 올리니 잘 어기지 못하는데, 손괘(損卦)의 육5(六五)의 지위와 같기 때문에 혹 열명의 벗이 더해주면 거북이라도 어기지 못한다[或益之十朋之龜弗克違]”라고 말한 것이다.

然位不當尊故永貞乃吉故曰永貞吉」。天也王用此時以享祭於帝明靈降福故曰王用享於帝吉

그러나 지위가 높은데에 마땅하지 않기 때문에 오래도록 곧으니 이에 길하기 때문에 오래도록 곧게해야 길하다[永貞吉]”라고 말한 것이다. 상제[]는 하늘이다. 왕이 이때를 사용하여 그로써 상제(上帝)에게 제향(祭享)하여 신령(神靈)에게 밝은 복을 내리기 때문에 왕이 상제에게 제향(祭享)을 올려야 길하다[王用享於帝吉]”라고 한 것이다.

 

六三益之用凶事无咎有孚中行告公用圭
육삼(六三)은 더해줌[]을 흉한 일에 쓰면 허물은 없다가운데로 행하여 믿음이 있어야 공()에게 고하는 규()를 사용한다.


王弼 注】 以陰居陽求益者也故曰益之益不外來己自為之物所不與故在謙則戮救凶則免以陰居陽處下卦之上壯之甚也用救衰危物所恃也故用凶事乃得无咎也若能益不為私志在救難壯不至亢不失中行以此告公國主所任也用圭之禮備此道矣故曰有孚中行告公用圭也公者臣之極也凡事足以施天下則稱王次天下之大者則稱公六三之才不足以告王足以告公而得用圭也故曰中行告公用圭
왕필 주】 ()으로서 양()에 거주하며 더해줌을 구하는 자이다그러므로 더해 준다.”라고 말한 것이다더해줌[]이 밖에서 오지 않고 자기가 스스로 그것을 하며 남[사물]이 주지 않는 바이기 때문에 겸손하게 있으면 죽임을 당하지만 흉함을 구원하면 면한다()으로써 양()에 거주하고 하괘(下卦)의 위에 있으며 건장함이 심함은쇠함과 위태로움의 구원을 사용하면 남[사물]이 믿는 바이다그러므로 흉한 일에 사용해야 비로소 허물이 없음을 얻음이다만약 더해줌이 사사로움을 잘 하지 않고 뜻이 어려움을 구제하는 데에 있으면건장함이 끝까지 이르지 않고 가운데로 행함을 잃지 않으며 그로써 공()에게 고하면 나라의 주인이 신임하는 바이니()를 사용하는 예()가 이 도()에 구비되었다그러므로 믿음이 있어야 공()에게 고하는 규()를 사용한다.”라고 말했다. ‘()’이라는 것은 신하의 꼭대기이다모든 일이 천하에 넉넉하게 베풀어지면 ()’이라 칭하고천하의 큰 것에 다음인 자를 ()’이라 칭한다3(六三)의 재주는 왕()에게 고함으로는 부족하고 공()에게 고함으로 넉넉하여 규()를 사용함을 얻음이다그러므로 가운데[]로 행하여 공()에게 고하는 규()를 사용한다.”라고 말한 것이다.
[孔穎達 疏]六三告公用圭」。
正義曰六三以陰居陽不能謙退是求益者也故曰益之」。「益不外來已自為之物所不與」。若以謙道責之則理合誅戮若以救凶原之則情在可恕然此六三,「以陰居陽處下卦之上壯之甚也」。用此以救衰危則物之所恃所以用凶事而得免咎故曰益之用凶事無咎」。若能求益不為私己志在救難為壯不至亢極能適於時是有信實而得中行故曰有孚中行用此有孚中行之德執圭以告於公公必任之以救衰危之事故曰告公用圭」。
以陰居陽告公用圭也」。
正義曰告王者宜以文德燮理使天下人寧不當恒以救凶用志褊狹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의 {육삼(六三]에서 고공용규(告公用圭)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3(六三)이 음()으로써 양()에 거주하여 겸손한 물러남을 잘하지 않으니이는 더함을 구하는 자이다그러므로 더하여 준다[益之]”라고 말한 것이다.
더해줌[]이 밖에서 오지 않고 자기가 스스로 그것을 하며 남[사물]이 주지 않는 바이다[益不外來已自為之物所不與]”라고 함은만약 겸손한 도리로써 꾸짖는다면 이치가 책하여 죽임에 합당하고만약 흉함을 구원함으로써 원래로 돌리면 정()이 용서할 만함에 있다.
그러나 이 육3(六三)이 ()으로써 양()에 거주하여 하괘(下卦)의 위에 있으니건장함이 심하다[以陰居陽處下卦之上壯之甚也]’라고 함은이것을 사용하여 쇠함과 위태로움을 구원하면 남[사물]이 믿는 바이니흉한 일에 사용해야 허물을 면함을 얻기 때문에 더해줌[]을 흉한 일에 쓰면 허물은 없다[益之用凶事無咎]”라고 말한 것이다.
만약 더해줌[]을 잘 구함이 자기를 사사롭게 함이 아니고 뜻이 어려움을 구제함에 있으며 건장함이 높은 꼭대기에 이르지 않아서 때에 적당하게 잘하면이는 진실한 믿음이 있으면서 가운데[]로 행함을 얻기 때문에 가운데로 행하여 믿음이 있다[有孚中行]”라고 말한 것이다.
이 가운데로 행하여 믿음이 있음[有孚中行]’의 덕()을 사용하여 규()를 잡고 그로써 공()에게 고하면 공()이 반드시 쇠함과 위태로움을 구원하는 일을 맡기기 때문에 ()에게 고하는 규()를 사용한다[告公用圭]”라고 말한 것이다.
○ 【왕필 주(王弼 注)의 이음거양(以陰居陽)에서 고공용규야(告公用圭也)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왕에게 고함[告王]”라는 것은마땅히 문덕(文德)으로써 이치에 변하여 천하 사람들로 하여금 편안하게 하고마땅히 항상 흉함을 구원하여 뜻을 씀이 편협(褊狹)해서는 안 된다.
益用凶事固有之也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더함[]을 흉한 일에 사용함은굳게 소유하도록 함이다."


王弼 注】 用施凶事乃得固有之也
왕필 주】 흉한 일에 베풀어 사용하니 이에 굳게 소유함을 얻는다.
[孔穎達 疏]正義曰:「固有之明其為救凶則不可求益施之凶事乃得固有其功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굳게 소유를 한다[固有之]”라는 것은그 흉함을 구원함이라면 더함[] 구해서는 안 되며흉한 일에 베풀어 주어야 비로소 그 공()을 굳게 소유함이 얻어짐을 밝힌 것이다.

 

[孔穎達 疏] 六三告公用圭」。

공영달소(孔穎達 疏) () {육삼(六三]에서 고공용규(告公用圭)까지.}

正義曰六三以陰居陽不能謙退是求益者也故曰益之」。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3(六三)이 음()으로써 양()에 거주하여 겸손한 물러남을 잘하지 않으니, 이는 더함을 구하는 자이다. 그러므로 더하여 준다[益之]”라고 말한 것이다.

益不外來已自為之物所不與」。若以謙道責之則理合誅戮若以救凶原之則情在可恕

더해줌[]이 밖에서 오지 않고 자기가 스스로 그것을 하며 남[사물]이 주지 않는 바이다[益不外來已自為之物所不與]”라고 함은, 만약 겸손한 도리로써 꾸짖는다면 이치가 책하여 죽임에 합당하고, 만약 흉함을 구원함으로써 원래로 돌리면 정()이 용서할 만함에 있다.

然此六三,「以陰居陽處下卦之上壯之甚也」。用此以救衰危則物之所恃所以用凶事而得免咎故曰益之用凶事無咎」。

그러나 이 육3(六三) ()으로써 양()에 거주하여 하괘(下卦)의 위에 있으니, 건장함이 심하다[以陰居陽處下卦之上壯之甚也]’라고 함은, 이것을 사용하여 쇠함과 위태로움을 구원하면 남[사물]이 믿는 바이니, 흉한 일에 사용해야 허물을 면함을 얻기 때문에 더해줌[]을 흉한 일에 쓰면 허물은 없다[益之用凶事無咎]”라고 말한 것이다.

若能求益不為私己志在救難為壯不至亢極能適於時是有信實而得中行故曰有孚中行

만약 더해줌[]을 잘 구함이 자기를 사사롭게 함이 아니고 뜻이 어려움을 구제함에 있으며 건장함이 높은 꼭대기에 이르지 않아서 때에 적당하게 잘하면, 이는 진실한 믿음이 있으면서 가운데[]로 행함을 얻기 때문에 가운데로 행하여 믿음이 있다[有孚中行]”라고 말한 것이다.

用此有孚中行之德執圭以告於公公必任之以救衰危之事故曰告公用圭」。

 가운데로 행하여 믿음이 있음[有孚中行]’의 덕()을 사용하여 규()를 잡고 그로써 공()에게 고하면 공()이 반드시 쇠함과 위태로움을 구원하는 일을 맡기기 때문에 ()에게 고하는 규()를 사용한다[告公用圭]라고 말한 것이다.

以陰居陽告公用圭也」。

○ 【왕필 주(王弼 注) 이음거양(以陰居陽)에서 고공용규야(告公用圭也)까지

正義曰告王者宜以文德燮理使天下人寧不當恒以救凶用志褊狹也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왕에게 고함[告王]”라는 것은, 마땅히 문덕(文德)으로써 이치에 변하여 천하 사람들로 하여금 편안하게 하고, 마땅히 항상 흉함을 구원하여 뜻을 씀이 편협(褊狹)해서는 안 된다.

 

六四中行告公從利用為依遷國
육사(六四)는 가운데[]로 행하여 공()에게 고하면 따르고나라를 옮겨 의지를 함이 이롭다


王弼 注】 居益之時處巽之始體柔當位在上應下卑不窮下高不處亢位雖不中用中行者也以斯告公何有不從以斯依遷誰有不納也
왕필 주】 더함[]의 때에 거주하고 손()의 시작에 처하며 몸체[]가 부드럽고 지위가 마땅하고 위에 있으면서 아래에 응()하고낮아도 아래에 궁하지 않으며 높아도 꼭대기에 처하지 않으니지위가 비록 가운데[]가 아니지만 가운데[]로 행함을 사용하는 자이다이로써 공()에게 고하면 어찌 따르지 않음이 있겠으며이로써 의지하여 옮기면 누가 받아들이지 않겠는가?
[孔穎達 疏]正義曰六四居益之時處巽之始體柔當位在上應下卑不窮下高不處亢位雖不中用中行者也」,故曰中行以此中行之德有事以告於公公必從之故曰告公從用此道以依人而遷國者人無不納故曰利用為依遷國遷國國之大事明以中行雖有大事而無不利周之東遷晉鄭焉依之義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4(六四)가 더함[]의 때에 거주하고 손()의 시작에 처하며 몸체[]가 부드럽고 지위가 마땅하며 위에 있으면서 아래에 응()하고낮아도 아래에 궁하지 않으며 높아도 꼭대기에 처하지 않으니지위가 비록 가운데[]가 아니지만 가운데[]로 행함을 사용하는 자이다그러므로 가운데로 행한다[中行]”이라 말한 것이다.
이 가운데[]로 행함의 덕()을 가지고 일이 있어 그로써 공()에게 고하면 공()이 반드시 따르기 때문에 ()에게 고하면 따른다[告公從]”라고 말한 것이다.
이 도()를 사용하여 그로써 남에게 의지하여서 나라를 옮기는 자는 사람들이 받아들이지 않음이 없기 때문에 나라를 옮겨 의지를 함이 이롭다[利用為依遷國]”라고 말한 것이다.
나라를 옮김은 나라의 큰 일이니가운데[]로 행함으로써 비록 큰 일이 있으나 이롭지 않음이 없음을 밝힘인데()나라가 동쪽으로 천도할 적에 진()나라와 정()나라에 의지했음의 뜻과 같음이다.
告公從以益志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공에게 고하면 따름은그로써 뜻을 더함이다.”


王弼 注】 志得益也
왕필 주】 뜻이 더함[]을 얻음이다.
[孔穎達 疏]正義曰:「以益志既為公所從其志得益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그로써 뜻을 더함[以益志]”라는 것은이미 공()이 따르는 바가 되어서 그 뜻이 더함[]을 얻는 것이다.

 

[孔穎達 疏] 正義曰六四居益之時處巽之始體柔當位在上應下卑不窮下高不處亢位雖不中用中行者也」,故曰中行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4(六四) 더함[]의 때에 거주하고 손()의 시작에 처하며 몸체[]가 부드럽고 지위가 마땅하며 위에 있으면서 아래에 응()하고, 낮아도 아래에 궁하지 않으며 높아도 꼭대기에 처하지 않으니, 지위가 비록 가운데[]가 아니지만 가운데[]로 행함을 사용하는 자이다. 그러므로 가운데로 행한다[中行]”이라 말한 것이다.

以此中行之德有事以告於公公必從之故曰告公從

이 가운데[]로 행함의 덕()을 가지고 일이 있어 그로써 공()에게 고하면 공()이 반드시 따르기 때문에 ()에게 고하면 따른다[告公從]”라고 말한 것이다.

用此道以依人而遷國者人無不納故曰利用為依遷國

이 도()를 사용하여 그로써 남에게 의지하여서 나라를 옮기는 자는 사람들이 받아들이지 않음이 없기 때문에 나라를 옮겨 의지를 함이 이롭다[利用為依遷國]”라고 말한 것이다.

遷國國之大事明以中行雖有大事而無不利周之東遷晉鄭焉依之義也

나라를 옮김은 나라의 큰 일이니, 가운데[]로 행함으로써 비록 큰 일이 있으나 이롭지 않음이 없음을 밝힘인데, ()나라가 동쪽으로 천도할 적에 진()나라와 정()나라에 의지했음의 뜻과 같음이다.

 

九五有孚惠心勿問元吉有孚惠我
구오(九五)는 은혜로운 마음은 묻지 말고 믿어야 크게 길하고나의 덕()을 은혜롭게 믿는다.


王弼 注】 得位履尊為益之主者也為益之大莫大於信為惠之大莫大於心因民所利而利之焉惠而不費惠心者也信以惠心盡物之願固不待問而元吉有孚惠我德也以誠惠物物亦應之故曰有孚惠我德
왕필 주】 지위를 얻어 높은데를 밟고 익()괘의 주체가 된 자이다더함[]이 크게 됨은 믿음[]보다 더 큼이 없고은혜가 크게 됨은 마음[]보다 더 큼이 없으며백성들이 이로운 바를 인하여서 그곳을 이롭게 하고 은혜로운데도 허비하지 않으니 마음이 은혜로운 자이다.
은혜로운 마음을 믿게 하고 남[사물]의 원함을 다하여진실로 묻기를 기다리지 않고도 크게 길함이다나의 덕()을 은혜롭게 믿음은성실함으로써 남[사물]에게 은혜로우면 남[사물]이 또한 그에 응()하기 때문에 "나의 덕()을 은혜롭게 믿음이 있다."라고 말했음이다.
[孔穎達 疏]正義曰九五得位處尊為益之主兼張德義以益物者也。「為益之大莫大於信為惠之大莫大於心因民所利而利之焉惠而不費惠心者也」。有惠有信盡物之願必獲元吉不待疑問故曰有孚惠心勿問元吉」。我既以信惠被於物物亦以信惠歸於我故曰有孚惠我德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5(九五)가 지위를 얻고 높은데 처하며 익()괘의 주체가 되어 덕()과 의()를 겸하여 베풀어 그로써 남[사물]에게 더하는 자이다.
더함[]이 크게 됨은 믿음[]보다 더 큼이 없고은혜가 크게 됨은 마음[]보다 더 큼이 없으며백성들이 이로운 바를 인하여서 그곳을 이롭게 하고 은혜로운데도 허비하지 않으니 마음이 은혜로운 자이다.
은혜가 있고 믿음이 있으며 남[사물]의 원함을 다하여 반드시 크게 길함을 얻어서 의심하는 물음을 기다리지 않기 때문에 은혜로운 마음은 묻지 말고 믿어야 크게 길하다[有孚惠心勿問元吉]”라고 말한 것이다.
내가 이미 믿음으로써 은혜를 남에게 입히면 남[사물]이 또한 믿음으로써 은혜가 나에게 돌아오기 때문에 나의 덕()을 은혜롭게 믿는다[有孚惠我德]”라고 말한 것이다.
有孚惠心勿問之矣惠我德大得志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은혜로운 마음에 믿음이 있음은묻지를 말라함이다나의 덕()에 은혜로움은크게 뜻을 얻음이다."
[孔穎達 疏]正義曰:「大得志天下皆以信惠歸我則可以得志於天下故曰大得志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크게 뜻을 얻음이다[大得志]”라는 것은천하가 모두 은혜를 믿음으로써 나에게 돌아오면 천하에 뜻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크게 뜻을 얻는다[大得志]”라고 말한 것이다.

 

[孔穎達 疏] 正義曰九五得位處尊為益之主兼張德義以益物者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5(九五)가 지위를 얻고 높은데 처하며 익()괘의 주체가 되어 덕()과 의()를 겸하여 베풀어 그로써 남[사물]에게 더하는 자이다.

為益之大莫大於信為惠之大莫大於心因民所利而利之焉惠而不費惠心者也」。

더함[]이 크게 됨은 믿음[]보다 더 큼이 없고, 은혜가 크게 됨은 마음[]보다 더 큼이 없으며, 백성들이 이로운 바를 인하여서 그곳을 이롭게 하고 은혜로운데도 허비하지 않으니 마음이 은혜로운 자이다.

有惠有信盡物之願必獲元吉不待疑問故曰有孚惠心勿問元吉」。

은혜가 있고 믿음이 있으며 남[사물]의 원함을 다하여 반드시 크게 길함을 얻어서 의심하는 물음을 기다리지 않기 때문에 은혜로운 마음은 묻지 말고 믿어야 크게 길하다[有孚惠心勿問元吉]”라고 말한 것이다.

我既以信惠被於物物亦以信惠歸於我故曰有孚惠我德

내가 이미 믿음으로써 은혜를 남에게 입히면 남[사물]이 또한 믿음으로써 은혜가 나에게 돌아오기 때문에 나의 덕()을 은혜롭게 믿는다[有孚惠我德]”라고 말한 것이다.

 

上九莫益之或擊之立心勿恒
상구(上九)는 더해[]줌이 없으니 혹 공격을 하는데마음 세움을 항상하지 말아라 흉하다


王弼 注】 處益之極過盈者也求益无已心无恒者也无厭之求人弗與也獨唱莫和是偏辭也人道惡盈怨者非一故曰或擊之
왕필 주】 더해[]줌의 꼭대기에 처하니 지나침이 가득찬 자이다구하는 더함[]을 그침이 없으니 마음을 항상함이 없는 자이다싫어함이 없음을 구하면 남이 함께하지 않으며 홀로 부르고 어울림이 없으니 이는 치우치는 주장이다사람의 도()는 가득참을 미워하며 원망하는 자가 하나가 아니기 때문에 "혹 공격을 한다."라고 말했다.
[孔穎達 疏]正義曰上九處益之極益之過甚者也求益無厭怨者非一故曰莫益之或擊之勿猶無也求益無已立心無恒者也無恒之人必凶咎之所集故曰立心勿恒」。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상구(上九)가 익()괘의 꼭대기에 처하여더해[]줌을 너무 심하게 하는 자이다더함[]을 구함에 싫어함이 없으면 원망하는 자가 하나가 아니기 때문에 더해[]줌이 없으니 혹 공격을 하는데[莫益之或擊之]”라고 말한 것이다.
(말 물)은 없음과 같으며더함[]을 구함을 그침이 없으면 이는 마음 세움을 항상함이 없는 자인데항상함이 없는 사람은 반드시 흉함과 허물의 모이는 곳이기 때문에 마음 세움을 항상하지 말아라 흉하다[立心勿恒]”라고 말한 것이다.
莫益之偏辭也或擊之自外來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더해[]줌이 없음은치우치는 주장이다혹 공격을 함은밖으로부터 온다."
[孔穎達 疏]正義曰:「偏辭此有求而彼不應偏辭也」。「自外來怨者非一不待召也故曰自外來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치우치는 주장이다[偏辭]”라는 것은이는 구함이 있으면서 저는 응()하지 않으니이것이 편벽된 말[偏辭也]’이다.


밖으로부터 온다[自外來]”라는 것은원망하는 자가 하나가 아니기에 부르기를 기다리지 않는다그러므로 밖으로부터 온다[自外來]”라고 말한 것이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