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학십도(聖學十圖)[李滉]11

◎ 제10. 숙흥야매잠도(夙興夜寐箴圖)/성학십도(聖學十圖) ▣ 제10. 숙흥야매잠도(夙興夜寐箴圖)≪숙흥야매잠도(夙興夜寐箴圖)≫는퇴계 이황(李滉)이 1568년(선조 1)에 왕(王:宣祖)에게 올린 상소문 ≪진성학십도차병도(進聖學十圖箚幷圖)≫의 열 번째 그림인데, ≪숙흥야매잠도(夙興夜寐箴圖)≫는 중국 남송 때 학자 남당(南塘) 진백(陳伯)이 스스로를 경계하기 위하여 지은 숙흥야매잠을 퇴계가 도표로 그린 것이다. 숙흥야매는 『시경』에 나오는 말이며 ‘일찍 일어나고 늦게 잠을 자는’ 부지런히 일한다는 뜻이다. ‘경(敬)’을 도(道)의 중심에 놓고 새벽부터 밤까지 모든 순간마다 경(敬)을 놓지 말 것을 말하고 있다.퇴계는 이 숙흥야매잠을 분석하고 도표로 그려서, ‘성학십도’의 마지막으로 삼았으며 숙오(夙寤), 신흥(晨興), 독서(讀書), 응사(應事), 일건(日乾), 석척(.. 2024. 6. 19.
◎ 제9. 경재잠도(敬齋箴圖)/성학십도(聖學十圖) ▣ 제9. 경재잠도(敬齋箴圖)≪경재잠도(敬齋箴圖)≫는퇴계 이황(李滉; 1501~1570)이 1568년(선조 1) 왕(王:宣祖)에게 올린 상소문 ≪진성학십도차병도(進聖學十圖箚幷圖)≫의 아홉 번째 그림인데, ≪경재잠도(敬齋箴圖)≫는 주희(朱熹; 1130~1200)가 장식(張栻; 1133~1180)의 〈주일잠(主一箴)〉을 읽고 그 뜻을 취하여 경재(敬齋)라는 서재의 벽에 써 붙이고 스스로를 경계한 〈경재잠(敬齋箴)〉을 왕백(王柏 ; 1197~1274)이 그림으로 그린 것이다. 이황(李滉)은 주희(朱熹)의 말을 인용하여 설명을 하고 이어서 〈경재잠(敬齋箴)〉의 틀을 설명하면서 오징(吳澄 ; 1249~1333)의 분석을 인용하였는데, ‘경재잠(敬齋箴)’은 모두 10장으로 되어 있으며 첫째 장은 고요히 있을 때(靜.. 2024. 6. 17.
◎ 제8. 심학도(心學圖) /성학십도(聖學十圖) ▣ 제8. 심학도(心學圖)≪심학도(心學圖)≫는1568년(선조 1)에 퇴계 이황(李滉)이 왕(王:宣祖)에게 올린 상소문 ≪진성학십도차병도(進聖學十圖箚幷圖)≫의 여덟 번째 그림인데, ≪심학도(心學圖)≫는 도와 도설이 모두 중국 원(元)나라 정복심(程復心, 1257~1341)의 저작이며, 심법(心法)에 대해 양심(良心)과 본심(本心)에서 출발하여 사십부동심(四十不動心)과 칠십이종심(七十而從心)까지 공부하는 과정을 그린 것으로 마음의 다양성을 체계화하고 경을 통한 수양방법의 양식을 구성하였다. 아래 ‘○右林隱程氏’ 부터는 퇴계 이황이 정복심(程復心)에 관하여 보충한 글이다. ◎ 第八 심학도(心學圖) ​【 원문 】  □ 心學圖說林隱程氏 復心 曰。赤子心是人欲未汨之良心。人心卽覺於欲者。大人心是義理具足之本心。道心卽覺於義.. 2024. 6. 15.
◎ 제7. 인설도(仁說圖) /성학십도(聖學十圖) ▣ 제7. 인설도(仁說圖)≪인설도(仁說圖)≫는1568년(선조 1)에 퇴계 이황(李滉)이 왕(王:宣祖)에게 올린 상소문 ≪진성학십도차병도(進聖學十圖箚幷圖)≫의 일곱 번째 그림인데, ≪인설도(仁說圖)≫는 주자의 인설도(仁說圖)의 원문과 주자의 인설(仁說)을 합친 것이다. 인설도(仁說圖)는 주자어류에 나오고 인설(仁說)은 주자대전에 나오며, 성리대전(性理大全)에는 모두 실려 있다. 아래 ‘○右仁說’은 퇴계 이황이 보충한 글이다. ◎ 第七 인설도(仁說圖)    □ 第七 仁說圖朱子曰。仁者。天地生物之心。而人之所得以爲心。未發之前。四德具焉。而惟仁則包乎四者。是以。涵育渾全。無所不統。所謂生之性愛之理。仁之體也。已發之際。四端著焉。而惟惻隱則貫乎四端。是以。周流貫徹。無所不通。所謂性之情愛之發。仁之用也。專言則未發是體。已發是用。偏言則仁是.. 2024. 6. 13.
◎ 제6. 심통성정도(心統性情圖) /성학십도(聖學十圖) ▣ 제6. 심통성정도(心統性情圖)≪심통성정도(心統性情圖)≫는1568년(선조 1)에 퇴계 이황(李滉)이 왕(王:宣祖)에게 올린 상소문 ≪진성학십도차병도(進聖學十圖箚幷圖)≫의 여섯 번째 그림인데 원나라 정복심(程復心,1260~1368)이 그린 상도(上圖)에 퇴계가 중도(中圖)와 하도(下圖)를 그려 붙이고 정복심의 심통성정도설(心統性情圖說)에 퇴계가 설명을 덛붙였다.퇴계가 그린 그림은 젊은 후학 고봉 기대승(高峯. 奇大升)과 8년에 걸친 서신으로 토론한 왕복서의 산물로 볼 수 있는데 맹자의 4단과 중용의 정(情)이 발하기 전의 중과 발하여 중에 들어 맞은 화와 예기 예운의 칠정을 모두 담아서 그렸다.​◎ 第六 심통성정도(心統性情圖) ○ 상도(上圖)의 원 안에“[心統性情(마음이 성과 정을 거느린다)]”이고, 우.. 2024. 6. 11.
◎ 제5. 백록동규도(白鹿洞規圖) /성학십도(聖學十圖) ▣ 제5. 백록동규도(白鹿洞規圖)≪백록동규도(白鹿洞規圖)≫는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1)이 1568년(선조 1)에 왕(王)에게 올린 상소문 ≪진성학십도차병도(進聖學十圖箚幷圖)≫의 다섯 번째 그림이다. ≪백록동규도(白鹿洞規圖)≫의 첫 부분의 ○동규후서(洞規後敍)는 주자(朱子)가 지어서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의 학도에게 게시하였던 백록동규(白鹿洞規)인데, 조선조(朝鮮朝) 서원(書院)에서 학규(學規)의 모범으로 중요시하여 왔다.≪백록동규도(白鹿洞規圖)≫는 퇴계가 동규후서(洞規後敍)의 규문(規文)에 의하여 그린 그림인데, 이 도(圖)는 제 1층에 오륜(五倫)을 배치하고 제 2층은 중용(中庸) 20장에 나오는 “선을 선택하여 굳게 잡아 자신은 성실하게 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졌으며, 제 3층에서는 .. 2024. 6. 8.
◎ 제4. 대학도(大學圖) /성학십도(聖學十圖) ▣ 제4. 대학도(大學圖)≪대학도(大學圖)≫는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1)이 1568년(선조 1)에 왕(王)에게 올린 상소문 ≪진성학십도차병도(進聖學十圖箚幷圖)≫의 네 번째 그림이다. ≪대학도(大學圖)≫ 첫 부분의 “대학경(大學經)”은 예기(禮記)』 제42편에 실려 있는 ≪대학(大學)≫의 경문(經文)인데 송(宋)나라 주희(朱熹, 1130~1200)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으면서 경문의 말미에 있는 “此謂知本,此謂知之至也.”를 잘라낸 것이고, 이어서 “혹문(或問)”은 어떤사람이 “경(敬)을 어떻게 힘을 씁니까?”라고 물으니, 주희(朱熹)가 대답하여 설명하는 부분이며, 아래 “우공씨(右孔氏)”는 퇴계 이황이 쓴 글인데, 윗 글의 출처가 공자가 남긴 《대학》의 첫 장이고, 그림은 고려 말.. 2024. 6. 5.
◎ 제3. 소학도(小學圖) /성학십도(聖學十圖) ▣ 제3. 소학도(小學圖)≪소학도(小學圖)≫는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1)이 1568년(선조 1)에 왕(王)에게 올린 상소문 ≪진성학십도차병도(進聖學十圖箚幷圖)≫의 세 번째 그림이다. ≪소학도(小學圖)≫의 첫 부분에 주희(朱熹, 1130~1200)가 쓴 “소학제사(小學題辭)”가 있는데, 소학(小學)에서 어린아이가 가장 기본적으로 힘써야 할 원칙 등을 제시해 놓은 글이고, 이어서 “혹문(或問)”에서 대학(大學)과 소학(小學)의 관계를 설명하였으며, 아래 “우소학(右小學)”은 퇴계 이황이 쓴 글인데, 주자의 소학제사(小學題辭)에 그림이 없어서 목록에 의거하여 그림을 그려넣어 대학도(大學圖)와 비교되게 하였다.​ ​◎ 第三 소학도(小學圖)  ○ 小學題辭元亨利貞。天道之常。仁義禮智。人性之綱。凡此厥.. 2024. 6. 3.
◎ 제2. 서명도(西銘圖) /성학십도(聖學十圖) ▣ 제2. 서명도(西銘圖)​≪서명도(西銘圖)≫는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1)이 1568년(선조 1)에 왕(王)에게 올린 상소문 ≪진성학십도차병도(進聖學十圖箚幷圖)≫의 두 번째 그림인데 중국 북송의 장재(張載, 1020-1077)의 〈서명(西銘)〉을 원(元)대에 정복심(程復心, 1279-1368)이 도식화한 그림이다.  ◎ 第二西銘圖 乾稱父。坤稱母。予玆藐焉。乃混然中處。故天地之塞。吾其體。天地之帥。吾其性。民吾同胞。物吾與也。大君者。吾父母宗子。其大臣。宗子之家相也。尊高年。所以長其長。慈孤弱。所以幼其幼。聖其合德。賢其秀也。凡天下疲癃殘疾惸獨鰥寡。皆吾兄弟之顚連而無告者也。于時保之。子之翼也。樂且不憂。純乎孝者也。違曰悖德。害仁曰賊。濟惡者。不才。其踐形。惟肖者也。知化則善述其事。窮神則善繼其志。不愧屋漏爲無忝。存心養性爲匪懈.. 2024. 6. 1.
◎ 제 1. 태극도(太極圖) /성학십도(聖學十圖) ▣ 제 1. 태극도(第一太極圖)​태극도(太極圖)는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1)이 1568년(선조 1)에 왕(王)에게 올린 상소문 ≪진성학십도차병도(進聖學十圖箚幷圖)≫의 첫번째 그림인데 송나라 주돈이(周敦頤,1017~1073)가 그린 태극도(太極圖)와 태극도설(太極圖說)에 주자의 설명과 퇴계의 설명을 덛붙였다.​​◎ 태극도(太極圖)태극도(太極圖)는 그림[圖)과 그림설명[圖說]으로 되어 있다.1. 그림(圖)은 전체13개의 원이 5단으로 구성되었으며, 상부에 두 개의 원으로 된 층과 그 가운데 중앙부에 5행을 배치하였고 5행의 하부에 두 개의 원으로 된 층으로 구성되었다.이 태극도(太極圖)는 태극이 자라서 음양이 되고 음양의 활동으로 생겨나는 오행과 합해져서 남녀와 만물이 생겨나는 무신적 창조.. 2024. 5. 30.
◎ 『성학십도(聖學十圖)』 ≪진성학십도차(進聖學十圖箚)≫ ▣ 『성학십도(聖學十圖)』​조선시대 성리학자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이 1568년(선조 1) 12월 왕에게 올린 상소문인데, 선조(宣祖, 1552~1608, 재위: 1567~1608)가 성군이 되기를 바라는 뜻에서 자신이 평생 동안 공부하며 쌓아 온 학문의 내용을 정리하여 군왕의 도(道)에 관한 요체를 10가지 도표를 그려서 도식으로 설명하였으며, 명칭은 본래 <진성학십도차병도(進聖學十圖箚幷圖)>로 ≪퇴계문집(退溪文集)≫ 七卷 箚에 수록되어 있으나 일반적으로 ≪성학십도(聖學十圖)≫로 명명되고 있다.​ ◎ 성학십도(聖學十圖)서론인 <진성학십도차(進聖學十圖箚)>로 시작해서 10개의 도표와 그 해설로 되어 있는데, 도표는 태극도(太極圖)·서명도(西銘圖)·소학도(小學圖)·대학도(大學圖)·백록.. 2024. 5.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