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 주()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46. 승괘(升卦)[卦象:지풍승()]

 坤上

 巽下

()[.바람]이 아래에 있고, ()[.]이 위에 있다.

 

元亨用見大人勿恤
()은 크게 형통하고 대인을 만나 등용되니 근심하지 말라,


王弼 注】 巽順可以升陽爻不當尊位无嚴剛之正則未免於憂故用見大人乃勿恤也
왕필 주】 겸손하게 따르니 올라갈 수 있는데양효가 높은 지위를 담당하지 못하고 엄하고 굳센 바름이 없다면 근심을 면하지 못하기 때문에 대인을 만나 등용되니 이에 근심하지 말라고 함이다.
[孔穎達 疏]正義曰元亨,「」,卦名也升者登上之義升而得大通故曰元亨。「用見大人勿恤升者登也陽爻不當尊位無剛嚴之正則未免於憂故用見大德之人然後乃得無憂恤故曰用見大人勿恤」。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은 크게 형통하고[升 元亨]”라는 것은, ‘(오를 승)’은 괘()의 이름이다. ‘()’라는 것은위로 올라가는 뜻이며올라가서 크게 통함을 얻기 때문에 ()은 크게 형통하다[升 元亨]”라고 말한 것이다.
대인을 만나 등용되니 근심하지 말라[用見大人 勿恤]”라는 것은, ‘()’은 올라감이며양효(陽爻)가 높은 지위에 마땅하지 못하여 굳세고 엄함의 바름이 없으면 근심을 면치 못하기 때문에 큰 덕()의 사람을 만나 등용 된 연후에야 비로소 속태우는 근심이 없음을 얻기 때문에 대인을 만나 등용되니 근심하지 말라[用見大人勿恤]”라고 말한 것이다.
南征 吉
남쪽으로 가면 길하다.


王弼 注】 以柔之南則麗乎大明也
왕필 주】 그로써 부드러움이 남쪽으로 가면 큰 밝음에 붙음이다.
[孔穎達 疏]正義曰非直須見大德之人復宜適明陽之地若以陰之陰彌足其闇也南是明陽之方故云南征吉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큰 덕()의 사람을 만남을 모름지기 바로함이 아니고다시 밝은 양()의 땅에 감이 마땅하며만약 음()으로써 음()에 가면 그 어둠이 더욱 더해진다남쪽은 바로 밝은 양()의 방위이기 때문에 남쪽으로 가면 길하다[南征吉]”라고 말한 것이다.

  

柔以時升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 "부드러움으로써 때맞게 올라가서,


王弼 注】 柔以其時乃得升也
왕필 주】 부드러움으로써 그 때맞으니 바로소 올라감을 얻음이다.
[孔穎達 疏]正義曰:「之為義自下升高故就六五居尊以釋名之意六五以陰柔乏質起升貴位若不得時則不能升耳故曰柔以時升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이 뜻이 됨은아래로부터 높은데로 올라감이기 때문에 육5(六五)가 높은데에 거주함을 가지고 그로써 이름을 ()’이라 해석했다는 뜻이다.
5(六五)가 음()의 부드러움으로써 자질이 모자라는데 일어나 귀한 지위에 올랐으니만약 때를 얻지 못하면 잘 올라가지 못하기 때문에 부드러움으로써 때맞게 올라간다[柔以時升]”라고 말한 것이다.
巽而順剛中而應是以大亨
공손하면서 따르고 굳센 가운데 이면서 응()하니이로써 크게 형통함이다.


王弼 注】 純柔則不能自升剛亢則物不從既以時升又巽而順剛中而應以此而升故得大亨
왕필 주】 순수하게 부드러우면 스스로 잘 오르지 못하고 굳세고 높으면 남[사물]이 따르지 않는다이미 그로써 때맞게 오르고 또 공손하면서 따르며 굳센 가운데 이면서 응()하니이렇게 하여서 오르기 때문에 크게 형통함을 얻는다.
[孔穎達 疏]正義曰此就二體及九二之爻元亨之德也。「純柔則不能自升剛亢則物所不從」。卦體既巽且順爻又剛中而應於五有此眾德故得元亨」。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이는 두 몸[]이 구2(九二)의 효()에 미침을 가지고 원형(元亨)의 덕()을 해석한 것이다순수한 부드러움이면 스스로 잘 올라가지 못하고 굳세고 높으면 남[사물]이 따르지 않는 바인데()의 몸[]이 이미 공손하고 또 순하며 효()가 또 굳센 가운데[剛中]이면서 육5(六五)에 응()하니 이러한 여러 덕()을 소유했기 때문에 크게 형통함[元亨]”을 얻는 것이다.
用見大人勿恤有慶也南征吉志行也
대인을 만나 등용되니 근심하지 말라함은경사가 있음이다남쪽으로 가면 길함은뜻이 행해짐이다.


王弼 注】 巽順以升至于大明志行之謂也
왕필 주】 겸손하게 따름으로써 올라가니 크게 밝음에 이르고 뜻이 행하여 짐을 말함이다.
[孔穎達 疏]正義曰:「用見大人勿恤有慶以大通之德,「用見大人」,不憂否塞必致慶善故曰有慶也」。「南征吉志行之於闇昧則非其本志今以柔順而升大明其志得行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대인을 만나 등용되니 근심하지 말라함은경사가 있음이다[用見大人 勿恤 有慶]”라는 것은크게 통한 덕()을 가지고 대인(大人)을 만나 등용되니 꽉 막힘을 근심하지 않고 반드시 좋은 경사를 이이루기 때문에 경사가 있다[有慶也]”라고 말한 것이다.
남쪽으로 가면 길함은뜻이 행해짐이다[南征 吉 志行]”라는 것은어두운 곳으로 가면 그 본래의 뜻이 아니며지금 부드럽고 순함으로써 큰 밝음에 올라감은 그 뜻이 행해짐을 얻은 것이다.

 

地中生木君子以順德積小以高大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땅 가운데[]에 나무가 자람이 승()괘이며군자가 그로써 순한 덕()을 쌓으니 작음을 가지고 높고 크게 함이다."
[孔穎達 疏]正義曰:「地中生木,「地中生木」,始於細微以至高大故為升象也。「君子以順德積小以高大地中生木始於毫末終至合抱君子象之以順行其德積其小善以成大名系辭:「善不積不足以成名」,是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땅 가운데[]에 나무가 자람이 승()괘이며[地中生木 升]”라는 것은땅 가운데 나무가 자람은 미세한 데에서 시작하여 그로써 높고 큼에 이르렀기 때문에 승()의 모습[]이 된 것이다.
군자가 그로써 순한 덕()을 쌓으니 작음을 가지고 높고 크게 함이다[君子以順德 積小以高大]”라는 것은땅 가운데 나무가 자람은 털끝만 한 데에서 시작하여 마침내 한 아름에 이르니군자(君子)가 모습[]을 하여서 그 덕()을 순하게 행하여 작은 착함을 쌓아 그로써 큰 이름을 이루기 때문에 계사전(繫辭傳)에 이르기를 ()이 쌓이지 않으면 이름을 이룸으로 부족하다[善不積不足以成名]”라고 하였으니이것이다.

 

初六允升大吉
초육(初六)은 올라감이 마땅하니 크게 길하다.


王弼 注】 當也巽卦三爻皆升者也雖无其應處升之初與九二九三合志俱升當升之時升必大得是以大吉也
왕필 주】 ()은 마땅함이다()괘의 세 효()가 모두 올라가는 자이다비록 그 응()이 없고 올라감의 처음에 처하며 구이(九二)와 구삼(九三)효가 뜻을 합하여 함께 올라간다올라가는 때가 마땅하고 올라가면 반드시 크게 얻으며 이로써 크게 길함이다.
[孔穎達 疏]正義曰當也巽卦三爻皆應升上而二三有應於五升之不疑惟初無應於上恐不得升當二三升時與之俱升必大得矣故曰允升大吉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맏 윤)’은 마땅함이다손괘(巽卦)의 세 효()가 모두 응()이 위로 올라가서2(九二)와 구3(九三)은 육5(六五)와 상육(上六)에 응()이 있어서 올라감을 의심하지 않지만오직 초육(初六)만이 위에 응()이 없어서 올라감을 얻지 못하고 두려워 한다마땅히 구2(九二)와 구3(九三)이 올라갈 때 초육(初六)〉 더블어서 함께 올라가면 반드시 크게 얻는다그러므로 올라감이 마땅하니크게 길하다[允升大吉]”라고 말한 것이다.
允升大吉上合志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올라감이 마땅하니 크게 길함은위에 뜻을 합하기 때문이다."
[孔穎達 疏]正義曰上謂二三也與之合志俱升乃得大吉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올라감[]’은 구2(九二)와 구3(九三)을 말하며그들과 더불어 뜻을 합하여 함께 올라가면 마침내 크게 길함[大吉]”을 얻는 것이다.

 

九二乃利用禴无咎
구이(九二)는 믿고서 이에 약()제사를 지내야 이롭고 허물이 없다.


王弼 注】 與五為應往必見任體夫剛德進不求寵閑邪存誠志在大業故乃利用納約于神明矣
왕필 주】 5(六五)와 응()을 하여 가면 반드시 신임을 받는다굳센 덕()을 몸[]하여 나아가 총애를 구하지 않고 간사함을 막아 성실함을 보존하며 뜻이 대업(大業)에 있기 때문에 비로소 신명(神明)에게 간략한 제사를 지냄이 이로움이다.
[孔穎達 疏]正義曰九二與五為應往升於五必見信任故曰」。二體剛德而履乎中進不求寵志在大業用心如此乃可薦其省約於神明而無咎也故曰孚乃利用禴無咎」。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2(九二)는 육5(六五)와 더불어 응()이 되므로 가서 육5(六五)로 올라가면 반드시 신임(信任)을 받기 때문에 믿는다[]”라고 말한 것이다.
2(九二)는 몸[굳센 덕()을 하면서 가운데[]을 밟고 나아가 총애를 구하지 않으며 뜻이 대업(大業)에 있는데마음 씀을 이와 같이 하고 비로소 신명(神明)에게 간략한 제사를 올려야 허물이 없을 수 있다그러므로 신믿고서 이에 약()제사를 지내야 이롭고 허물이 없다[孚乃利用禴無咎]”라고 말한 것이다.
九二之孚有喜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2(九二)가 믿고 감은기쁨이 있음이다."
[孔穎達 疏]正義曰:「有喜也上升則為君所任薦約則為神所享斯之為喜不亦宜乎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기쁨이 있음이다[有喜也]”라는 것은위로 올라가면 군주가 맡기는 바가 되니 간략한 제사를 올리면 신()이 흠향하는 바가 되며이렇게 하여 기쁨이 되니 또한 마땅하지 않은가?

 

九三升虛邑
구삼(九三)은 빈 고을에 올라간다.


王弼 注】 履得其位以陽升陰以斯而舉莫之違距故若升虛邑也
왕필 주】 그 지위를 얻어 자리하고 양()으로써 음()에 올라가며 이렇게 하여서 거동(擧動)하면 어기고 막는 이가 없기 때문에 빈 고을에 올라가는 것과 같음이다.
[孔穎達 疏]正義曰九三履得其位升於上六上六體是陰柔不距於己若升空虛之邑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3(九三)이 그 지위를 얻어 밟고 상육(上六)으로 올라가는데상육(上六)은 몸[]이 부드러운 음()이여서 자기를 막지 않으니텅빈 고을에 올라가는 것과 같음이다.
升虛邑无所疑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빈 고을에 올라감은의심할 바가 없음이다."
王弼 注】 往必得也


왕필 주】 가면 반드시 얻는다.
[孔穎達 疏]正義曰:「無所疑往必得邑何所疑乎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의심할 바가 없다[无所疑]”라는 것은가면 반드시 고을을 얻는데어찌 의심을 하겠는가?

  

六四王用亨于岐山无咎
육사(六四)는 왕이 기산(岐山)에서 형통함을 써야 길하고 허물이 없다


王弼 注】 處升之際下升而進可納而不可距也距下之進攘來自專則殃咎至焉若能不距而納順物之情以通庶志則得吉而无咎矣岐山之會順事之情无不納也
왕필 주】 올라가는 즈음에 처하고 아래가 올라가면서 나아가니 받아들일 수 있지만 막으면 안 된다아래가 나아감을 막고 오는 자를 스스로 오로지 물리친다면 재앙과 허물이 그곳에 이르른다만약 잘 막지 않으면서 들이고 남[사물]의 정()을 순종하며 그로써 여러 뜻에 통하면 길함을 얻어서 허물이 없게 된다기산(岐山)의 모임은 일의 실정에 순종하여 받아들이지 않음이 없는 것이다.
譯註 1: 詩經』 綿237古公亶父來朝走馬率西水滸至于岐下
시경[237]고공단보께서 일찍이 말을 달려 서쪽 칠수 가를 따라 기산(岐山) 아래에 이르셨다.
기산(岐山) : 고공단보가 살고 있는 땅에 융적(戎狄)이 쳐들어와 땅과 백성을 요구하였는데 고공단보는 백성들이 군주를 따르는 것은 자신들을 이롭게 하려 함인데백성이 나에게 속하든 융적(戎狄)에 속하든 아무 상관이 없는데백성을 죽여가면서 군주를 하지는 않지 않겠소라고 하며 땅을 버리고 옮겨가서 다시 정착을 한 곳이 기산(岐山아래이다
[孔穎達 疏]正義曰:「王用亨於岐山六四處升之際下體二爻皆來上升可納而不可距事同文王岐山之會故曰王用亨於岐山也」。「吉無咎若能納而不距順物之情則得吉而無咎故曰吉無咎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왕이 기산(岐山)에서 형통함을 써야[王用亨于岐山]”라는 것은4(六四)가 올라가는 즈음에 처하는데 하체(下體)의 두 효()가 모두 와서 위로 올라가니 받아들일 수 있지만 막으면 안 되며일이 문왕(文王)의 기산(岐山)의 모임과 같기 때문에 왕이 기산(岐山)에서 형통함을 사용한다[王用亨於岐山也]”라고 말한 것이다.
길하고 허물이 없다[吉 无咎]”라는 것은만약 잘 받아들여서 막지 않고 남[사물]의 정()을 순종하면 길함을 얻어서 허물이 없기 때문에 길하고 허물이 없다[吉 无咎]”라고 말한 것이다.
王用亨于岐山順事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왕이 기산에서 형통함을 씀은일을 순리로 함이다."
[孔穎達 疏]正義曰:「順事順物之情而立功立事故曰順事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일을 순리로 한다[順事]”라는 것은[사물]의 정()을 순종하여서 공()을 세우고 일을 세우기 때문에 일을 순리로 한다[順事]”라고 말한 것이다.

 

六五貞吉升階
육오(六五)는 곧아야 길하고계단[阼階]을 올라간다.


王弼 注】 升得尊位體柔而應納而不距任而不專故得貞吉升階而尊也
왕필 주 높은 지위를 얻어 올라가고 몸[]이 부드러우면서 응()하니 받아들이고서 막지 않으며 맏기는데도 전횡(專橫)하지 않기 때문에 곧아야 길함을 얻고 계단[阼階]을 올라가서 높아진다.
[孔穎達 疏]正義曰:「貞吉升階六五以柔居尊位納於九二不自專權故得貞吉升階」。保是尊貴而踐阼矣故曰貞吉升階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곧아야 길하고계단[阼階]을 올라간다[貞吉 升階]”라는 것은5(六五)가 부드러움으로써 높은 지위에 거주하며 구2(九二)를 받아들여 스스로 권세를 전횡하지 않기 때문에 곧아야 길하고동쪽 계단[阼階]을 올라감[貞吉 升階]”을 얻는다이는 높고 귀함을 보존하면서 동쪽 계단[阼階]을 밟는다그러므로 곧아야 길하고동쪽계단[阼階]을 올라간다[貞吉 升階]”라고 말한 것이다.
貞吉升階大得志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곧아야 길하고동쪽계단[阼階]을 올라감은크게 뜻을 얻음이다.”
[孔穎達 疏]正義曰:「大得志居中而得其貞吉」,處尊而保其升階」,志大得矣故曰大得志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크게 뜻을 얻는다[大得志]”라는 것은가운데[]에 거주하여서 곧고 길함을 얻고 높은데에 처하여 동쪽계단[阼階]으로 올라감을 보전함은 뜻을 크게 얻는 것이다그러므로 크게 뜻을 얻는다[大得志]”라고 말한 것이다.

 

上六冥升利于不息之貞
상육(上六)은 올라가 어두우니쉬지 않고 곧아야 이롭다.


王弼 注】 處升之極進而不息者也進而不息故雖冥猶升也故施於不息之正則可用於為物之主則喪矣終於不息消之道也
왕필 주 올라감의 꼭대기에 처하고 나아가서 쉬지 않는 자이며나아가서 쉬지 않기 때문에 비록 어둡지만 오히려 올라감이다그러므로 쉬지 않음의 바름을 베풀면 할 수 있지만 남[사물]의 주인 됨을 하면 잃고쉬지 않음을 끝내면 소멸(消滅)하는 도()이다.
[孔穎達 疏]正義曰:「冥升冥猶暗也處升之上進而不已則是雖冥猶升也故曰冥升」。「利於不息之貞若宴升在上陵物為主則喪亡斯及若潔已脩身施於為政則以不息為美故曰利於不息之貞」。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올라가 어두우니[冥升]”라는 것은, ‘(어두울 명)’은 어두움과 같으며올라감의 위쪽에 처하여 나아가면서 그치지 않으면 이는 비록 어두우나 오히려 올라감이다그러므로 올라가 어둡다[冥升]”라고 말한 것이다.
쉬지 않고 곧아야 이롭다[利于不息之貞]”라는 것은만약 내실에 올라가 위에 있으며 남[사물]을 능멸하는 주장을 하면 죽어 없어짐이 이에 미치고만약 자기 자신을 닦아서 깨끗이 하고 정사(政事)를 함에 베풀면 그로써 아름다움이 됨을 쉬지 않기 때문에 쉬지 않고 곧아야 이롭다[利于不息之貞]”라고 말한 것이다.
冥升在上消不富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올라가 어두움은위에 있으니 사라져 부유하지 못함이다.”


王弼 注】 勞不可久也
왕필 주 수고로움을 오래할 수 없음이다.
[孔穎達 疏]正義曰:「消不富雖為政不息交免危咎然勞不可久終致消衰故曰消不富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사라져 부유하지 않음이다[消不富]”라는 것은비록 정사(政事)를 하기를 쉬지 않으니 위태로움과 허물을 서로 면하는데그러나 수고로움을 오래할 수가 없어서 끝내 사라지고 쇠약함을 이루기 때문에 사라져 부유하지 못함이다[消不富]”라고 말한 것이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