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 주()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47. 곤괘(困卦)[卦象:택수곤()]

 兌上

 坎下

()[.]이 아래에 있고, ()[.]가 위에 있다.  

 


()은 형통하지만,


王弼 注】 窮必通也處窮而不能自通者小人也
왕필 주】 궁하면 반드시 통함은궁함에 처하여도 스스로 잘 통하지 못하는 자이며 소인(小人)이다.
譯註 1: 說文解字注 ”, 故廬也廬者二畞半一家之居居必有木, 樹牆下以桑是也謂之困者疏廣所謂自有舊田廬令子孫勤力其中也困之本義爲止而不過引伸之爲極盡
설문해자주(說文解字注) ()”()은 옛날 농막이다. (, 농막집 려)라는 것은, 스무 이랑 반에 하나의 집안이 거주하고, 거처에는 반드시 나무가 있는데 나무는 담장 아래 뽕나무로써 이리하였다. 넓리 주석(註釋)하여 이른바 스스로 옛날 밭에는 농막집이 있으며 자손들로 하여금 그 안에서 힘써 수고하게 함이다. ()의 본 뜻은 그치게 하는데 불과한데 인신(引伸)을 하여 극진(極盡)함이 되었다.
[孔穎達 疏]正義曰:「窮厄委頓之名道窮力竭不能自濟故名為」。亨者卦德也小人遭困窮斯濫矣」。君子遇之則不改其操君子處困而不失其自通之道故曰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 곤할 곤)”라는 것은, 재앙에 곤궁하여 둔함에 맏겨짐[窮厄委頓]의 이름이며()가 궁하고 힘이 다하여 스스로 구제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름을 ()’이라고 하였다.
(형통할 형)”라는 것은()의 덕()이다소인(小人)이 곤궁함을 만나면 이에 궁()하여 넘치고군자(君子)가 그것을 만나면 그 지조를 바꾸지 않는다군자(君子)는 곤궁함에 처하여도 그 스스로 통하는 도()를 잃지 않기 때문에 ()은 형통하다[]”라고 말한 것이다.
大人吉无咎
곧아야 대인(大人)이 길하고 허물이 없으며,


王弼 注】 處困而得无咎吉乃免也
왕필 주】 곤궁함에 처하여서 허물없음을 얻고 길하니 마침내 면함이다.
[孔穎達 疏]正義曰處困而能自通必是履正體大之人能濟於困然後得吉而無咎」,故曰:「大人吉無咎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곤궁함에 처하여도 스스로 잘 통하면 반드시 이는 바른데를 밟고 몸[]이 큰 사람이니곤궁함에서 잘 구제한 뒤에야 길함을 얻어서 허물이 없기 때문에 곧아야 대인(大人)이 길하고 허물이 없다[大人吉無咎]”라고 말한 것이다.
有言不信
말이 있으면 믿지 않는다.
[孔穎達 疏]正義曰處困求濟在於正身脩德若巧言能辭人所不信則其道彌窮故誡之以有言不信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곤궁함에 처하여 구제되기를 구함은 자신이 덕()을 닦아 바로잡음에 있는데만약 교묘한 말로 말을 잘하여도 사람들이 믿지 않는 바이라면 그 도()가 더욱 궁해지기 때문에 말이 있으면 믿지 않는다[有言不信]”라고 경계를 한 것이다.

 

剛揜也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 "곤궁함은굳셈이 [부드러움에가려졌는데,


王弼 注】 剛見揜於柔也
왕필 주】 굳셈이 부드러움에 가려짐을 당하였다.
[孔穎達 疏]正義曰此就二體以釋卦名兌陰卦為柔坎陽卦為剛坎在兌下剛見揜於柔也」。剛應升進今被柔揜施之於人其猶君子為小人所蔽以為困窮矣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이는 두 몸[]을 가지고 괘()의 이름을 해석을 하였으며()는 음괘(陰卦)로 부드러움이 되고 감()은 양괘(陽卦)로 굳셈이 되는데 감()이 태()의 아래에 있으니이는 굳셈이 부드러움에 가려짐을 당하였음[剛見揜於柔也]”이다.
굳셈은 올라가 응()에 나아가는데 지금 부드러움에 가림을 당하였으니사람에게 베풀어 보면 그는 군자(君子)가 소인(小人)에게 가림을 당하는 바가 되어서 그로써 곤궁하게 되었음과 같은 것이다.
險以說困而不失其所亨
험함으로써 설득하여도 곤궁하지만 그 형통한 바를 잃지 않으니,


王弼 注】 處險而不改其說困而不失其所亨也
왕필 주】 험함에 처하여서도 그 설득에 고치지 않으니 곤궁하면서 그 형통한 바를 잃지 않음이다.
[孔穎達 疏]正義曰此又就二體名訓以釋亨德也坎險而兌說所以困而能亨者良由君子遇困安其所遇雖居險困之世不失暢說之心故曰險以說困而不失其所亨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이는 또 두 몸[]의 가지고 이름을 세겨서 형통함의 덕()을 해석한 것이다()은 험함이고 태()는 설득함이며곤궁하여도 형통함을 잘하는 것의 까닭은진실로 군자(君子)가 곤궁함을 만나면 그 만난 바를 편안히 말미암아서 비록 험하고 곤궁한 세상에 거주하더라도 통쾌(痛快)하게 말하는 마음을 잃지 않기 때문에 험함으로써 설득하여도 곤궁하지만 그 형통한 바를 잃지 않는다[險以說困而不失其所亨]”라고 말한 것이다.
其唯君子乎貞大人吉以剛中也
그는 오직 군자이겠지곧은 대인(大人)이 길함은 굳셈으로써 가운데[함이고,


王弼 注】 處困而用剛不失其中履正而能體大者也能正而不能大愽未能濟困者也故曰貞大人吉也
왕필 주】 곤궁함에 처하면서 굳셈을 사용하고 그 가운데[]를 잃지 않으니 바른데를 밟고서 몸[]을 크게 잘하는 자이다바로잡기를 잘하면서도 크게 넓게 잘하지 않으니 곤궁함을 잘 구제하는 자가 아니다그러므로 "곧아야 대인이 길하다."라고 말했다.
[孔穎達 疏]正義曰:「其唯君子乎結歎處困能通非小人之事唯君子能然也。「大人吉以剛中此就二五之爻大人之義剛則正直所以為貞中而不偏所以能大若正而不大未能濟困處困能濟濟乃得吉而無咎也故曰大人吉以剛中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그는 오직 군자이겠지![其唯君子乎]”라는 것은, ‘곤궁함에 처하여도 잘 통함은소인(小人)의 일이 아니고 오직 군자(君子)가 그렇게 잘함을 종결하여 감탄한 것이다.
곧은 대인이 길함은 굳셈으로써 가운데 함이고[貞 大人吉 以剛中]”라는 것은이는 구2(九二)와 구5(九五)의 효()를 가지고 곧은 대인[貞大人]’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굳셈이 정직함은 곧음이 되는 까닭이고가운데[]이면서 치우치지 않음은 크게 잘하는 까닭인데만약 바르면서도 크지 않으면 곤궁함을 잘 구제하지 못하고곤궁함에 처하여 잘 구제하면 구제함이 마침내 길함을 얻어서 허물이 없다그러므로 곧은 대인이 길함은 굳셈으로써 가운데 함이다[貞 大人吉 以剛中]”라고 말한 것이다.
有言不信尚口乃窮也
말을 해도 믿지 않음은 입을 숭상하면 마침내 궁함이다."


王弼 注】 處困而言不見信之時也非行言之時而欲用言以免必窮者也其吉在於貞大人口何為乎
왕필 주】 곤궁함에 처하여서 말하니 믿음을 받지 못하는 때이다말을 행하는 때가 아닌데도 말을 사용하여 면하기를 바라니 반드시 궁한 자이다그 길함은 대인(大人)의 곧음에 있는데 입이 무엇을 하겠는가?
[孔穎達 疏]正義曰處困求通在於修德非用言以免困徒尚口說更致困窮故曰尚口乃窮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곤궁함에 처하여 통함을 구함은()을 닦음에 있고 말함으로써 곤궁함을 면함에 사용함이 아니며무리가 입으로 말함을 숭상하면 다시 곤궁함을 부르기 때문에 입을 숭상하면 마침내 궁함이다[尚口乃窮]”라고 말한 것이다.

 

澤无水君子以致命遂志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못에 물이 없음이 곤()괘인데군자가 그로써 목숨을 바쳐 뜻을 완수(完遂)한다."


王弼 注】 澤无水則水在澤下水在澤下困之象也處困而屈其志者小人也君子固窮道可忘乎?
왕필 주】 못에 물이 없다면 물이 못 아래에 있으며물이 못 아래에 있음은 곤궁함의 모습[]이다곤궁함에 처하여서 그 뜻을 굽히는 자는 소인(小人)이다군자(君子)는 궁함에 확고(確固)한데 도()를 잊을 수 있겠는가?
[孔穎達 疏]正義曰:「澤無水謂水在澤下則澤上枯槁萬物皆困故曰澤無水困。「君子以致命遂志君子之人守道而死雖遭困厄之世期於致命喪身必當遂其高志不屈撓而移改也故曰致命遂志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못에 물이 없음이 곤()괘이다[澤无水 困]”라는 것은물이 못 아래에 있으면 못 위가 말라 시듦을 말하는데 만물이 모두 곤궁하기 때문에 못에 물이 없음이 곤()괘이다[澤无水 困]”라고 말한 것이다.
군자가 그로써 목숨을 바쳐 뜻을 완수(完遂)한다[君子以致命遂志]”라는 것은군자(君子)인 사람은 도()를 지키면서 죽는데 비록 곤궁한 재앙의 세상을 만나더라도 목숨을 바쳐서 자신을 잃을 것을 기약하며 반드시 그 높은 뜻을 마땅히 완수하는데 흔들려 굽히면서 고쳐 옮기지 않기 때문에 목숨을 바쳐 뜻을 완수한다[致命遂志]”라고 말한 것이다.

 

初六臀困于株木入于幽谷三歲不覿
초육(初六)은 나무 그루터기에 궁둥이가 곤궁하니그윽한 골짜기로 들어가서 삼년을 만나보지 못한다.


王弼 注】 最處底下沉滯卑困居无所安故曰臀困于株木也欲之其應二隔其路居則困于株木進不獲拯必隱遯者也故曰入于幽谷也困之為道不過數歲者也以困而藏困解乃出故曰三歲不覿也
왕필 주】 가장 낮은 아래에 처하여 가라앉아 막히어 낮고 곤궁하며 거주함에 편안한 곳이 없기 때문에 나무 그루터기에 궁둥이가 곤궁하다.”라고 말한 것이다그 응()에 가고자 하는데 구2(九二)가 그 길을 가로막아서거주하면 나무 그루터기에 곤궁하고 나아가면 구원을 얻지 못하니 반드시 은둔할 자이다그러므로 그윽한 골짜기로 들어간다.”라고 말한 것이다곤궁[]함이 도()가 됨은몇 년을 지나지 않는 것이고그로써 곤궁하여서 숨었는데 곤궁함이 풀리면 마침내 나오기 때문에 “3년을 만나보지 못한다.”라고 말한 것이다.
[孔穎達 疏]初六臀困於株三歲不覿」。○正義曰:「臀困於株木初六處困之時以陰爻最居窮下沈滯卑困居不獲安若臀之困於株木故曰臀困於株木。「入于幽谷有應在四而二隔之居則困株進不獲拯勢必隱遯者也故曰入于幽谷也」。「三歲不覿困之為道不過數歲困窮乃出故曰三歲不覿
공영달소(孔穎達 疏)】 ()의 {초육둔곤우주(初六臀困于株)에서 삼세불적(三歲不覿)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나무 그루터기에 궁둥이가 곤궁하니[臀困于株木]”라는 것은초육(初六)이 곤궁함의 때에 처하여 음효(陰爻)로써 가장 궁한 아래에 거주하고 가라앉아 막히어 낮고 곤궁하며 거주함에 편안함을 얻지 못하니마치 궁둥이가 나무 그루터기에 곤궁함과 같기 때문에 나무 그루터기에 궁둥이가 곤궁하다[臀困于株木]”라고 말한 것이다.
그윽한 골짜기로 들어가서[入于幽谷]”라는 것은()이 구4(九四)에 있는데도 구2(九二)가 가로막아서거주하면 그루터기에 곤궁하고 나아가면 구원을 얻지 못하니형세가 반드시 은둔할 자이다그러므로 그윽한 골짜기로 들어간다[入于幽谷]”라고 말한 것이다.
삼년을 만나보지 못한다[三歲不覿]”라는 것은곤궁[]함이 도()가 됨은 몇 년을 지나지 않아서 곤궁한 궁함에서 마침내 나오기 때문에 삼년을 만나보지 못한다[三歲不覿]”라고 말한 것이다.
入于幽谷幽不明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그윽한 골짜기로 들어감은그윽하여 밝지 않음이다."


王弼 注】 言幽者不明之辭也入于不明以自藏也
왕필 주】 그윽함을 말하는 것은밝지 않음을 말함이다밝지 않음으로 들어감은 그로써 자신을 감춤이다.
[孔穎達 疏]正義曰:「幽不明,《辭惟釋幽字言幽者正是不明之辭所以入不明以自藏而避困也釋株者初不謂之株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그윽하여 밝지 않음이다[幽不明]”라는 것은상전(象傳)에 말은 오직 (그윽할 유)’자를 해석하였으며, ‘()’라고 말한 것은바로 이는 밝지 못하다는 말이고밝지 못함으로 들어간 까닭은 그로써 스스로 감추어서 곤궁함을 피하였음이다. ‘(그루 주)’를 해석한 것은초육(初六)이 주()라고 말한 것이 아니다.

 

[孔穎達 疏] 初六臀困於株三歲不覿」。

공영달소(孔穎達 疏) () {초육둔곤우주(初六臀困于株)에서 삼세불적(三歲不覿)까지.}

正義曰:「臀困於株木初六處困之時以陰爻最居窮下沈滯卑困居不獲安若臀之困於株木故曰臀困於株木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나무 그루터기에 궁둥이가 곤궁하니[臀困于株木]”라는 것은, 초육(初六)이 곤궁함의 때에 처하여 음효(陰爻)로써 가장 궁한 아래에 거주하고 가라앉아 막히어 낮고 곤궁하며 거주함에 편안함을 얻지 못하니, 마치 궁둥이가 나무 그루터기에 곤궁함과 같기 때문에 나무 그루터기에 궁둥이가 곤궁하다[臀困于株木]”라고 말한 것이다.

入于幽谷有應在四而二隔之居則困株進不獲拯勢必隱遯者也故曰入于幽谷也」。

그윽한 골짜기로 들어가서[入于幽谷]”라는 것은, ()이 구4(九四)에 있는데도 구2(九二)가 가로막아서, 거주하면 그루터기에 곤궁하고 나아가면 구원을 얻지 못하니, 형세가 반드시 은둔할 자이다. 그러므로 그윽한 골짜기로 들어간다[入于幽谷]”라고 말한 것이다.

三歲不覿困之為道不過數歲困窮乃出故曰三歲不覿

삼년을 만나보지 못한다[三歲不覿]”라는 것은, 곤궁[]함이 도()가 됨은 몇 년을 지나지 않아서 곤궁한 궁함에서 마침내 나오기 때문에 삼년을 만나보지 못한다[三歲不覿]”라고 말한 것이다.

 

九二困于酒食朱紱方來利用亨祀征凶无咎
구이(九二)는 술과 밥에 곤궁한데도 주불[朱紱; 귀인]이 바야흐로 오니 제사를 올림이 이로우며가면 흉하지만 허물은 없다.
※ 朱紱(주불) : 제복(祭服)의 무릎 덮개[폐슬(蔽膝)]이다.


王弼 注】 以陽居陰尚謙者也居困之時處得其中體夫剛質而用中履謙應不在一心无所私盛莫先焉夫謙以待物物之所歸剛以處險難之所濟履中則不失其宜无應則心无私恃以斯處困物莫不至不勝豐衍故曰困于酒食美之至矣北方之卦也朱紱南方之物也處困以斯能招異方者也故曰朱紱方來也豐衍盈盛故曰利用亨祀盈而又進傾之道也以此而征凶誰咎乎故曰征凶无咎
왕필 주】 ()으로써 음()에 거주하니 겸손을 숭상하는 자이며곤궁한 때에 거주하고 가운데[]를 얻어 처하며그 굳센 자질을 몸[]하면서 가운데[]가 겸손함을 이행하고 응()이 한곳에 만 있지 않으며 마음에 사사로운 바가 없으니성함이 이것 보다 앞선데가 없다겸손함으로써 남[사물]을 대하면 남[사물]이 귀의하는 곳이고굳셈으로써 험함에 처하면 어려움이 구제되는 곳이다가운데[]를 이행하면 그 마땅함을 잃지 않고()이 없으면 마음에 사사로이 믿음이 없으며이로써 곤궁함에 처하면 남[사물]이 이르지 않음이 없으니 풍부하고 넓음을 이길 수 없기 때문에 술과 밥에 곤궁하지만 아름다움이 지극한 것이다.
()은 북쪽 방향의 괘()이고주불(朱紱)은 남쪽 방향의 물건이다곤궁에 처하기를 이로써 하면 이는 다른 지방을 잘 불러오는 자이다그러므로 주불(朱紱)이 바야흐로 온다.”라고 말한 것이다풍부하고 넓음이 가득하고 성하기 때문에 제사를 올리는 것이 이로운 것이다가득한데 또 나아감은 기울어지는 도()이니이로써 하여 가면 흉하지만 누구의 허물인가그러므로 가면 흉하지만 허물은 없다.”라 말한 것이다.
[孔穎達 疏]九二困於酒食無咎」。
正義曰:「困於酒食九二體剛居陰處中無應體剛則健能濟險也居陰則謙物所歸也處中則不失其宜無應則心無私黨處困以斯物莫不至不勝豐衍故曰困於酒食。「朱紱方來利用享祀祭服也北方之卦也南方之物處困用謙能招異方者也故曰朱紱方來舉異方者明物無不至酒食豐盈異方歸向祭則受福故曰利用享祀」。「征凶無咎盈而又進傾敗之道以征必凶故曰征凶」。自進致凶無所怨咎故曰無咎
공영달소(孔穎達 疏)】 ()의 {구이곤우주식(九二困于酒食)에서 무구(无咎)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술과 밥에 곤궁한데[困于酒食]”라는 것은2(九二)는 굳센 몸[]이 음()에 거주하여 가운데[]에 처하고 응()이 없다[]이 굳세면 굳건하여 험함을 잘 구제하고()에 거주하면 겸손하니 남[사물]이 귀의(歸依)하는 곳이다가운데[]에 처하면 그 마땅함을 잃지 않고()이 없으면 마음이 사사로운 무리[]함이 없다곤궁함에 처함이 이로써 하면 남[사물]이 이르지 않음이 없어서 풍부하고 넓음을 다 하디 못하기 때문에 술과 밥에 곤궁하다.”라고 말한 것이다.
주불[蔽膝; 귀인]이 바야흐로 오니 제사를 올림이 이로우며[朱紱方來 利用享祀]”라는 것은, ‘(인끈 불)’은 제복(祭服)이고()은 북쪽 방위의 괘()이며, ‘()’은 남방(南方)의 물건이다곤궁에 처하여 겸손함을 사용하면 다른 지방을 잘 불러오는 자이다그러므로 붉은 패슬이 바야흐로 온.”라고 말한 것이다.
다른 지방을 든 것은[사물]이 이르지 않음이 없음을 밝혔음이고술과 밥이 풍부하여 가득하고 다른 지방이 향하여 귀의(歸依)하니제사하면 복을 받기 때문에 제사를 올림이 이롭다.”라고 말한 것이다.
가면 흉하지만 허물은 없다[征凶 无咎]”라는 것은가득한데 또 나아감은 기울고 패하는 도()이니그로써 가면 반드시 흉하기 때문에 가면 흉하다.”라고 말한 것이다스스로 나아가 흉함에 이르면 원망하고 허물할 곳이 없기 때문에 허물은 없다.”라고 말한 것이다.
困于酒食中有慶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술과 밥에 곤궁함은 가운데[]에 경사가 있음이다."
[孔穎達 疏]正義曰:「中有慶言二以中德被物物之所賴故曰有慶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가운데[]에 경사가 있음이다[中有慶]”라는 것은2(九二)가 가운데 덕()으로써 남[사물]에게 입혀서 남[사물]이 의뢰하는 바가 됨을 말하기 때문에 경사가 있다.”라고 말한 것이다.

 

[孔穎達 疏] 九二困於酒食無咎」。

공영달소(孔穎達 疏) () {구이곤우주식(九二困于酒食)에서 무구(无咎)까지.}

正義曰:「困於酒食九二體剛居陰處中無應體剛則健能濟險也居陰則謙物所歸也處中則不失其宜無應則心無私黨處困以斯物莫不至不勝豐衍故曰困於酒食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술과 밥에 곤궁한데[困于酒食]”라는 것은, 2(九二)는 굳센 몸[]이 음()에 거주하여 가운데[]에 처하고 응()이 없다. []이 굳세면 굳건하여 험함을 잘 구제하고, ()에 거주하면 겸손하니 남[사물]이 귀의(歸依)하는 곳이다. 가운데[]에 처하면 그 마땅함을 잃지 않고, ()이 없으면 마음이 사사로운 무리[]함이 없다. 곤궁함에 처함이 이로써 하면 남[사물]이 이르지 않음이 없어서 풍부하고 넓음을 다 하디 못하기 때문에 술과 밥에 곤궁하다.”라고 말한 것이다.

朱紱方來利用享祀祭服也北方之卦也南方之物處困用謙能招異方者也故曰朱紱方來

주불[蔽膝; 귀인]이 바야흐로 오니 제사를 올림이 이로우며[朱紱方來 利用享祀]”라는 것은, ‘(, 인끈 불)’은 제복(祭服)이고, ()은 북쪽 방위의 괘()이며, ‘()’은 남방(南方)의 물건이다. 곤궁에 처하여 겸손함을 사용하면 다른 지방을 잘 불러오는 자이다. 그러므로 “주불이 바야흐로 온.”라고 말한 것이다.

舉異方者明物無不至酒食豐盈異方歸向祭則受福故曰利用享祀」。

다른 지방을 든 것은, [사물]이 이르지 않음이 없음을 밝혔음이고, 술과 밥이 풍부하여 가득하고 다른 지방이 향하여 귀의(歸依)하니, 제사하면 복을 받기 때문에 제사를 올림이 이롭다.”라고 말한 것이다.

征凶無咎盈而又進傾敗之道以征必凶故曰征凶」。自進致凶無所怨咎故曰無咎

가면 흉하지만 허물은 없다[征凶 无咎]”라는 것은, 가득한데 또 나아감은 기울고 패하는 도()이니, 그로써 가면 반드시 흉하기 때문에 가면 흉하다.”라고 말한 것이다. 스스로 나아가 흉함에 이르면 원망하고 허물할 곳이 없기 때문에 허물은 없다.”라고 말한 것이다.

 

六三困于石據于蒺蔾入于其宮不見其妻
육삼(六三)은 돌에 곤궁하고 남가새풀에 근거하니그 집에 들어가도 아내를 만나지 못하며 흉하다.


王弼 注】 石之為物堅而不納者也謂四也三以陰居陽志武者也四自納初不受己者二非所據剛非所乘上比困石下據蒺藜无應而入焉得配偶在困處斯凶其宜也
왕필 주】 돌이 사물이 됨은단단하여서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이며 구4(九四)를 말함이다3(六三)은 음()으로써 양()에 거주하여 뜻이 무인(武人)인 자이다4(九四)는 스스로 초육(初六)을 받아들여서 자기[六三]를 받아들이지 않는 자이고2(九二)는 근거할 곳이 아니며굳셈[九二]은 탈 곳이 아니다위로 곤궁한 돌에 가깝고아래는 남가새풀[蒺藜]에 근거하여 응()이 없는데도 들어가니 어찌 짝 만남을 얻겠는가곤궁함에 있으면서 이러함에 처하니 흉함이 당연하다.
[孔穎達 疏六三困于石不見其妻凶」。○正義曰:「困于石據於蒺藜石之為物堅剛而不可入也蒺藜之草有剌而不可踐也六三以陰居陽志懷剛武己又無應欲上附於四四自納於初不受己者也故曰困于石下欲比二二又剛陽非己所據故曰據於蒺藜。「入于其宮不見其妻凶無應而入難得配偶譬於入宮不見其妻處困以斯凶其宜也故曰入于其宮不見其妻
공영달소(孔穎達 疏)】 ()의 {육삼곤우석(六三困于石)에서 불견기처흉(不見其妻凶)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돌에 곤궁하고 남가새풀에 근거하니[困于石 據于蒺藜]”라는 것은돌이 물건이 됨은 단단하고 굳세어서 들어갈 수가 없고남가새[질려(蒺藜)]란 풀은 가시가 있어서 밟을 수가 없다.
3(六三)이 음()으로써 양()에 거주하고 뜻이 굳센 무인을 품고자기가 또 응()이 없으며 위로 구4(九四)에게 붙고자 하나 구4(九四)가 스스로 초육(初六)을 받아들이고 자기를 받아들이지 않는 자이다그러므로 돌에 곤궁하다.”라고 말한 것이다.
아래로 구2(九二)를 가까이 하고자 하나 구2(九二)가 또 굳센 양()이어서 자기가 근거할 곳이 아니기 때문에 남가새풀[蒺藜]에 근거한다.”라고 말한 것이다.
그 집에 들어가도 아내를 만나지 못하며 흉하다[入于其宮 不見其妻 凶]”라는 것은()이 없는데도 들어가면 짝 만남을 얻기 어려우니비유하면 집에 들어감에 그 아내를 만나지 못하고 곤궁에 처하기를 이로써 하면 흉함이 당연하다그러므로 집에 들어가도 아내를 만나지 못하여 흉하다.”라고 말한 것이다.
據于蒺蔾乘剛也入于其宮不見其妻不祥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남가새풀에 근거함은 굳셈을 올라탐이다그 집에 들어가도 아내를 보지 못함은 상서롭지 못함이다.”
[孔穎達 疏正義曰:「乘剛明二為蒺藜也。「不祥也善也吉也不吉必有凶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굳셈을 올라탐이다[乘剛]”라는 것은2(九二)가 남가새풀[질려(蒺藜)]이 됨을 밝힌 것이다. “상서롭지 못함이다[不祥也]”라는 것은, ‘상서 상)’은 좋음이고 길함이니길하지 못하면 반드시 흉함이 있는 것이다.

 

[孔穎達 疏] 六三困于石不見其妻凶」。

공영달소(孔穎達 疏) () {육삼곤우석(六三困于石)에서 불견기처흉(不見其妻凶)까지.}

正義曰:「困于石據於蒺藜石之為物堅剛而不可入也蒺藜之草有剌而不可踐也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돌에 곤궁하고 남가새풀에 근거하니[困于石 據于蒺藜]”라는 것은, 돌이 물건이 됨은 단단하고 굳세어서 들어갈 수가 없고, 남가새[질려(蒺藜)]란 풀은 가시가 있어서 밟을 수가 없다.

六三以陰居陽志懷剛武己又無應欲上附於四四自納於初不受己者也故曰困于石

3(六三)이 음()으로써 양()에 거주하고 뜻이 굳센 무인을 품고, 자기가 또 응()이 없으며 위로 구4(九四)에게 붙고자 하나 구4(九四)가 스스로 초육(初六)을 받아들이고 자기를 받아들이지 않는 자이다. 그러므로 돌에 곤궁하다.”라고 말한 것이다.

下欲比二二又剛陽非己所據故曰據於蒺藜

아래로 구2(九二)를 가까이 하고자 하나 구2(九二)가 또 굳센 양()이어서 자기가 근거할 곳이 아니기 때문에 남가새풀[蒺藜]에 근거한다.”라고 말한 것이다.

入于其宮不見其妻凶無應而入難得配偶譬於入宮不見其妻處困以斯凶其宜也故曰入于其宮不見其妻

그 집에 들어가도 아내를 만나지 못하며 흉하다[入于其宮 不見其妻 凶]”라는 것은, ()이 없는데도 들어가면 짝 만남을 얻기 어려우니, 비유하면 집에 들어감에 그 아내를 만나지 못하고 곤궁에 처하기를 이로써 하면 흉함이 당연하다. 그러므로 집에 들어가도 아내를 만나지 못하여 흉하다.”라고 말한 것이다.

 

九四來徐徐困于金車有終
구사(九四)가 서서히 오니 쇠 수레[金車]에 곤궁하여부끄럽지만 마침은 있다.


王弼 注】 金車謂二也二剛以載者也故謂之金車徐徐者疑懼之辭也志在於初而隔於二履不當位威命不行棄之則不能欲往則畏二故曰來徐徐困于金車有應而不能濟之故曰吝也然以陽居陰履謙之道量力而處不與二爭雖不當位物終與之故曰有終也
왕필 주】 쇠 수레[金車]는 구2(九二)를 말함이며2(九二)는 굳셈으로써 싣는 자이다그러므로 말하기를 금거(金車)’라고 하였다서서(徐徐)라는 것은의심하고 두려워하는 말이다뜻이 초육(初六)에 있는데도 구2(九二)에게 막히고밟은데가 지위에 합당하지 않으며 위엄과 명령이 행해지지 못한다그것[初六]을 버리려고 하나 잘하지 못하고 가고자 하면 구2(九二)가 두렵기 때문에 서서히 오니 쇠 수레에 곤궁하다.”라고 말한 것이다()이 있으나 구제를 잘 안 해주기 때문에 부끄럽다.”라고 말한 것이다그러나 양()으로써 음()에 거주하고 겸손한 도()를 이행하며 힘을 헤아려서 처하고 구2(九二)와 다투지 않으니비록 지위가 마당하지 않지만 남[사물]이 끝내 함께 하기 때문에 마침은 있다.”라고 말한 것이다.
[孔穎達 疏]九四來徐徐有終」。
正義曰何氏云:「九二以剛德勝故曰'金車'。」「徐徐疑懼之辭九四有應於初而礙於九二故曰困于金車」。欲棄之惜其配偶疑懼而行不敢疾速來徐徐有應而不敢往可恥可恨故曰以陽居陰不失謙道為物之所與故曰有終
공영달소(孔穎達 疏)】 ()의 {구사래서서(九四來徐徐)에서 유종(有終)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하씨[何氏(何妥)]가 이르기를 2(九二)는 굳센 덕()을 가지고 이기기 때문에 쇠 수레[金車]’라고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서서(徐徐)”라는 것은의심하고 두려워하는 말이다4(九四)가 초육(初六)에 응()이 있으면서도 구2(九二)에게 막혔[障礙]기 때문에 쇠 수레[金車]에 곤궁하다.”라고 말한 것이다.
버리고자 하면서도 그 짝을 만남이 애석(愛惜)하여 의심하고 두려워하면서 가니 감히 빨리 속히 하지 못하기 때문에 서서히 온다[來徐徐]”라고 하였다.
()이 있는데도 감히 가지 못하면 부끄럽고 한스러울 만하기 때문에 부끄럽다[]”라고 말한 것이다()으로써 음()에 거주하고 겸손한 도()를 잃지 않으며 남[사물]들이 함께하는 곳이 되기 때문에 마침이 있다[有終]”라고 말한 것이다.
來徐徐志在下也雖不當也有與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서서히 옴은뜻이 아래에 있으니비록 마땅하지 않으나 함께 하는 이가 있다.”


王弼 注】 謂初也
왕필 주 아래는 초육(初六) 가리킨다.
[孔穎達 疏]正義曰有與位雖不當執謙之故物所與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함께 하는 이가 있다[有與]”라는 것은지위가 비록 마땅하지 않으나 겸손함을 지키기 때문에 남[사물]이 함께하는 바이다.

 

[孔穎達 疏] 九四來徐徐有終」。

공영달소(孔穎達 疏) () {구사래서서(九四來徐徐)에서 유종(有終)까지.}

正義曰何氏云:「九二以剛德勝故曰'金車'。」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하씨[何氏(何妥)]가 이르기를 2(九二)는 굳센 덕()을 가지고 이기기 때문에 쇠 수레[金車]’라고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徐徐疑懼之辭九四有應於初而礙於九二故曰困于金車」。

서서(徐徐)”라는 것은, 의심하고 두려워하는 말이다. 4(九四)가 초육(初六)에 응()이 있으면서도 구2(九二)에게 막혔[障礙]기 때문에 쇠 수레[金車]에 곤궁하다.”라고 말한 것이다.

欲棄之惜其配偶, 疑懼而行, 不敢疾速來徐徐

버리고자 하면서도 그 짝을 만남이 애석(愛惜)하여 의심하고 두려워하면서 가니 감히 빨리 속히 하지 못하기 때문에 서서히 온다[來徐徐]”라고 하였다.

有應而不敢往可恥可恨故曰以陽居陰不失謙道為物之所與故曰有終

()이 있는데도 감히 가지 못하면 부끄럽고 한스러울 만하기 때문에 부끄럽다[]”라고 말한 것이다. ()으로써 음()에 거주하고 겸손한 도()를 잃지 않으며 남[사물]들이 함께하는 곳이 되기 때문에 마침이 있다[有終]”라고 말한 것이다.

 

九五劓刖困于赤紱乃徐有說利用祭祀
구오(九五)는 코와 발을 베이고 적불(赤紱신하)에 곤궁하지만 마침내 서서히 설득이 되며제사를 지냄이 이롭다.


王弼 注】 以陽居陽任其壯者也不能以謙致物物則不附忿物不附而用其壯猛行其威刑異方愈乖遐邇愈叛刑之欲以得乃益所以失也故曰劓刖困于赤紱二以謙得之五以剛失之體在中直能不遂迷困而後能用其道者也致物之功不在於暴故曰徐也困而後乃徐徐則有說矣故曰困于赤紱乃徐有說祭祀所以受福也履夫尊位困而能改不遂其迷以斯祭祀必得福焉故曰利用祭祀也
왕필 주 ()으로써 양()에 거주하고 그 건장함에 임하는 자이며겸손함으로써 남[사물]을 오도록 잘 못하니 남[사물]이 따르지 않는다[사물]이 따르지 않음에 분해서 그 건장함과 사나움을 사용하고 그 위엄과 형벌을 행하면 다른 방향이 더욱 어긋나고 멀고 가까운데가 더욱 배반하는데형벌로 나아가 얻고자 하니 마침내 더함이 잃게 되는 까닭이다그러므로 코와 발을 베이고 적불(赤紱)에 곤궁하다.”라고 말한 것이다2(九二)가 겸손함으로써 얻는데 구5(九五)는 굳셈으로써 잃으며 몸[]이 가운데[곧음에 있어서 혼미함을 잘 이루지 못하니곤궁한 이후에 그 도()를 잘 사용하는 자이다[사물]을 오게 하는 공()은 사나움에 있지 않기 때문에 서서히라고 말한 것이다곤궁한 이후에 마침내 서서히 하면 벗어남이 있다그러므로 적불(赤紱신하)에 곤궁하지만 마침내 서시히 벗겨진.”라고 말한 것이다제사는 복()을 받는 까닭인데높은 지위를 밟고 곤궁하면서도 잘 고쳐서 그 혼미함을 이루지 않으며이로써 제사하면 반드시 그곳에서 복을 얻기 때문에 제사에 씀이 이롭다.”라고 말한 것이다.
[孔穎達 疏]九五利用祭祀」。
正義曰九五以陽居陽用其剛壯物不歸已見物不歸而用威刑行其劓刖之事既行其威刑異方愈乖遐邇愈叛」。兌為西方之卦赤紱南方之物故曰劓刖困於赤紱此卦九二為以陽居陰用其謙退能招異方之物也此言九五剛猛不能感異方之物也若但用其中正之德招致於物不在速暴而徐徐則物歸之而有說矣故曰乃徐有說居得尊位困而能反不執其迷用其祭祀則受福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의 {구오(九五)에서 이용제사(利用祭祀)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5(九五)가 양()으로써 양()에 거주하며 그 굳셈과 건장함을 사용하는데도 남[사물]이 자기에게 귀의하지 않으니[사물]이 귀의하지 않음을 보고서 위엄과 형벌을 사용하여 그 코를 베고 발을 베는 일을 행함이다이미 그 위엄과 형벌을 행하였으면 다른 지방이 더욱 어긋나고 먼데와 가까운데가 더욱 배반한다()는 서방(西方)의 괘()이고적불(赤紱)은 남방(南方)의 물건이기 때문에 코와 발을 베이고 적불(赤紱신하)에 곤궁하다[劓刖困於赤紱]”라고 말한 것이다.
이 괘()의 구2(九二)는 양()으로써 음()에 거주를 하며 겸손함과 물러남을 사용하여 다른 지방의 남[사물]을 잘 불러들인다이는 구5(九五)가 굳세고 사나워서 다른 지방의 남[사물]을 잘 감동시키지 못함을 말한 것이다.
만약 다만 그 가운데 바른 덕()을 사용하여 남[사물]을 불러서 오게하되 빠르고 사납게 하지 않고 서서히 하면 남[사물]이 귀의를 하여서 설득이 된다그러므로 마침내 서서히 설득이 된다[乃徐有說]”라고 말한 것이다.
높은 지위를 얻어 거주하고 곤궁하면서도 잘 돌이켜서 그 혼미함을 고집하지 않으며그 제사를 지내면 복()을 받는 것이다.
劓刖志未得也乃徐有說以中直也利用祭祀受福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코와 발을 베임은뜻을 얻지 못했음이다마침내 천천히 벗어남이 있음은그로써 가운데가 곧음이다제사를 지냄이 이로움은복을 받음이다.”
[孔穎達 疏]正義曰:「志未得也由物不附己己德未得故曰志未得。「乃徐有說以中直也居中得直不貪不暴終得其應乃寬緩修其道德則得喜說故云乃徐有說以中直也」。「利用祭祀受福若能不遂迷志用其中正則異方所歸祭則受福故曰利用祭祀受福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뜻을 얻지 못했음이다[志未得也]”라는 것은[사물]이 자기를 따르지 않음의 이유(理由)는 자기가 덕()을 얻지 못했기 때문에 뜻을 얻지 못함이다[志未得]”라고 말한 것이다.
마침내 천천히 벗어남이 있음은그로써 가운데가 곧음이다[乃徐有說 以中直也]”라는 것은가운데[]에 거주하고 굳음을 얻어서 탐하지 않고 사납지 않으면 끝내 그 응()을 얻으며마침내 너그럽고 느슨하여 그 도()와 덕()을 닦으면 설득되어 기쁨을 얻기 때문에 이르기를 마침내 천천히 벗어남이 있음은그로써 가운데가 곧음이다라고 한 것이다.
제사를 지냄이 이로움은복을 받음이다[利用祭祀 受福]”라는 것은만약 혼미한 뜻을 잘 이루지 않고 그 가운데가 바름을 사용하면 다른 지방이 귀의하는 바이니제사하면 복()을 받기 때문에 “‘제사를 지냄이 이로움은복을 받는다라고 말한 것이다.

[孔穎達 疏] 九五利用祭祀」。

공영달소(孔穎達 疏) () {구오(九五)에서 이용제사(利用祭祀)까지.}

正義曰九五以陽居陽用其剛壯物不歸已見物不歸而用威刑行其劓刖之事既行其威刑異方愈乖遐邇愈叛」。兌為西方之卦赤紱南方之物故曰劓刖困於赤紱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5(九五)가 양()으로써 양()에 거주하며 그 굳셈과 건장함을 사용하는데도 남[사물]이 자기에게 귀의하지 않으니, [사물]이 귀의하지 않음을 보고서 위엄과 형벌을 사용하여 그 코를 베고 발을 베는 일을 행함이다. 이미 그 위엄과 형벌을 행하였으면 다른 지방이 더욱 어긋나고 먼데와 가까운데가 더욱 배반한다. ()는 서방(西方)의 괘()이고, 적불(赤紱)은 남방(南方)의 물건이기 때문에 코와 발을 베이고 적불(赤紱; 신하)에 곤궁하다[劓刖困於赤紱]”라고 말한 것이다.

此卦九二為以陽居陰用其謙退能招異方之物也此言九五剛猛不能感異方之物也

이 괘()의 구2(九二)는 양()으로써 음()에 거주를 하며 겸손함과 물러남을 사용하여 다른 지방의 남[사물]을 잘 불러들인다. 이는 구5(九五)가 굳세고 사나워서 다른 지방의 남[사물]을 잘 감동시키지 못함을 말한 것이다.

若但用其中正之德招致於物不在速暴而徐徐則物歸之而有說矣故曰乃徐有說

만약 다만 그 가운데 바른 덕()을 사용하여 남[사물]을 불러서 오게하되 빠르고 사납게 하지 않고 서서히 하면 남[사물]이 귀의를 하여서 설득이 된다. 그러므로 마침내 서서히 설득이 된다[乃徐有說]”라고 말한 것이다.

居得尊位困而能反不執其迷用其祭祀則受福也

높은 지위를 얻어 거주하고 곤궁하면서도 잘 돌이켜서 그 혼미함을 고집하지 않으며, 그 제사를 지내면 복()을 받는 것이다.

 

上六困于葛藟于臲卼曰動悔有悔征吉
상육(上六)은 칡넝쿨과 위태로움에 곤궁하지만후회를 움직이게 말하여 후회가 있게 하면 가더라도 길하다.


王弼 注】 居困之極而乘於剛下无其應行則愈繞者也行則纏繞居不獲安故曰困于葛藟于臲卼也下句无困因於上也處困之極行无通路居无所安困之至也凡物窮則思變困則謀通處至困之地用謀之時也曰者思謀之辭也謀之所行有隙則獲言將何以通至困乎曰動悔令生有悔以征則濟矣故曰動悔有悔征吉
왕필 주 곤궁함의 꼭대기에 거주하면서 굳셈을 타고 아래에 그 응()이 없으니 가면 더욱 둘러싸는 자이다가면 얽어서 둘러싸니 거주함에 편안함을 얻지 못하기 때문에 칡넝쿨과 위태로움에 곤궁하지만라고 말한 것이다아래 구()에 곤()이 없음은 위의 곤()자이다곤궁[]의 꼭대기에 처하여 감에 통하는 길이 없고 거주함에 편안한 곳이 없음은 곤궁함이 지극함이다모든 사물이 궁하면 변함을 생각하고 곤궁하면 통할 것을 도모하는데지극히 곤궁한 자리에 처하였으니 계책을 사용하는 때이다. ‘()’라는 것은계책을 생각하여 말함이며계책이 행해질 곳에는 틈이 있으면 얻어지는데, “장차 어떻게 하면 지극히 곤궁함을 통하게 할 수 있겠는가?”라고 말하는 것이다후회하는 말을 움직임은후회가 있음을 생겨나게 하여서 그로써 가면 구제된다그러므로 후회를 움직여 후회가 있게 하면 가더라도 길하다.”라고 한 것이다.
[孔穎達 疏]上六困于葛藟征吉」。
正義曰葛藟引蔓纏繞之草臲卼動搖不安之辭上六處困之極極困者也而乘於剛下又無應行則纏繞居不得安故院困於葛藟於臲卼應亦言困於臲卼」,「因於上省文也。「凡物窮則思變困則謀通處至困之地」,是用謀策之時也。「思謀之辭也謀之所行有隙則獲言將何以通至困乎為之謀曰必須發動其可悔之事令其有悔可知然後處困求通可以行而獲吉曰動悔有悔征吉」。
공영달소(孔穎達 疏)】 ()의 {상육곤우갈류(上六困于葛藟)에서 정길(征吉)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갈류(葛藟)’는 덩굴이 뻗어서 얽히고 감긴 풀이고, ‘얼올(臲卼)’은 동요하여 편안하지 못하다는 말이다상육(上六)이 곤궁함의 꼭대기에 처하였으니 지극히 곤궁한 자인데그런데도 굳셈을 타고 아래에 또 응()이 없으니가면 얽히고 감겨서 거주함에 편안함을 얻지 못하기 때문에 집이 칡넝쿨과 위태로움에 곤궁하[困於葛藟於臲卼]”라고 한 것이다.
응당 위태로움에 곤궁함[困於臲卼]이라고 말해야 하는데 곤()자는 위에 곤()이 있으니글을 생략하였다모든 사물은 궁하면 변할 것을 생각하고 곤궁하면 통함을 도모하는데지극히 곤궁한 땅에 처했으니이는 계책을 도모하여 사용하는 때이다.
[]”라는 것은꾀를 생각하는 말이다도모를 하여 행하는 바는 틈이 있으면 얻어지니, “장차 어떻게 하면 지극히 곤궁함을 통하겠는가?”라고 말하는 것이다.
그것을 하여 도모하기를 반드시 결국 그 후회할 수 있는 일을 발동해야 한다.”라고 말하면 그 후회가 있음으로 하여금 알 것이니그런 뒤에 곤궁함에 처하여 통하기를 구하면 가서 길함을 얻을 수가 있기 때문에 회를 움직이게 말하여 후회가 있게 하면 가더라도 길하다[動悔有悔征吉]”라고 한 것이다.
困于葛藟未當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칡넝쿨에 곤궁함은아직 마땅하지 않음이고,


王弼 注】 所處未當故致此困也
왕필 주】 처하고 머무름이 아직 마땅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괴로움에 이르름이다.
처한 바가 마땅하지 않다그러므로 이 곤궁함을 부른 것이다.
[孔穎達 疏]正義曰:「未當也處於困極而又乘剛所處不當故致此困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아직 마땅하지 않[未當也]”라는 것은곤궁함의 꼭대기에 처하면서 또 굳셈을 타고 있으니 처한 바가 마땅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곤궁함을 부른 것이다.
動悔有悔吉行也
후회를 움직여 후회가 있게 함은행하면 길함이다.“
[孔穎達 疏]正義曰:「吉行知悔而征行必獲吉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행하면 길하다[吉行]”라는 것은후회할줄 알고서 가면 가니행하면 반드시 길함을 얻는다.

[孔穎達 疏] 上六困于葛藟征吉」。

공영달소(孔穎達 疏) () {상육곤우갈류(上六困于葛藟)에서 정길(征吉)까지.}

正義曰葛藟引蔓纏繞之草臲卼動搖不安之辭上六處困之極極困者也而乘於剛下又無應行則纏繞居不得安故院困於葛藟於臲卼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갈류(葛藟)’는 덩굴이 뻗어서 얽히고 감긴 풀이고, ‘얼올(臲卼)’은 동요하여 편안하지 못하다는 말이다. 상육(上六)이 곤궁함의 꼭대기에 처하였으니 지극히 곤궁한 자인데, 그런데도 굳셈을 타고 아래에 또 응()이 없으니, 가면 얽히고 감겨서 거주함에 편안함을 얻지 못하기 때문에 집이 칡넝쿨과 위태로움에 곤궁하[困於葛藟於臲卼]”라고 한 것이다.

應亦言困於臲卼」,「因於上省文也。「凡物窮則思變困則謀通處至困之地」,是用謀策之時也

응당 위태로움에 곤궁함[困於臲卼]이라고 말해야 하는데 곤()자는 위에 곤()이 있으니, 글을 생략하였다. 모든 사물은 궁하면 변할 것을 생각하고 곤궁하면 통함을 도모하는데, 지극히 곤궁한 땅에 처했으니, 이는 계책을 도모하여 사용하는 때이다.

思謀之辭也謀之所行有隙則獲言將何以通至困乎為之謀曰必須發動其可悔之事令其有悔可知然後處困求通可以行而獲吉曰動悔有悔征吉」。

[]”라는 것은, 꾀를 생각하는 말이다. 도모를 하여 행하는 바는 틈이 있으면 얻어지니, “장차 어떻게 하면 지극히 곤궁함을 통하겠는가?”라고 말하는 것이다.

그것을 하여 도모하기를 반드시 결국 그 후회할 수 있는 일을 발동해야 한다.”라고 말하면 그 후회가 있음으로 하여금 알 것이니, 그런 뒤에 곤궁함에 처하여 통하기를 구하면 가서 길함을 얻을 수가 있기 때문에 회를 움직이게 말하여 후회가 있게 하면 가더라도 길하다[動悔有悔征吉]”라고 한 것이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