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왕필 주역주

○ 왕필(王弼.226~249)

()나라 산음(山陰, 산동성) 사람이며 자는 보사(輔嗣)이다. 풍부한 재능을 타고나 유복한 환경에서 자랐기 때문에 일찍 학계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나 24살에 요절한 뛰어난 학자이다. 하안과 함께 위진(魏晉) 현학(玄學, 老莊學)의 시조로 일컬어진다. 저서는 주역주(周易注)노자주(老子注)가 있다.

 

9. 소축괘(小畜卦)[卦象:풍천소축]

 巽上

 乾下

[.하늘]이 아래에 있고, [.바람]이 위에 있다.

 

小畜

소축(小畜), 형통하니

王弼 注 不能畜,大止健剛志, 故行是以亨

왕필 주강건(剛健)한 뜻으로 큼을 그치게 하여 잘 쌓이지 않기 때문에 이로써 형통함을 행함이다.

密雲不雨自我西郊

구름이 빽빽한데 비가 오지 않음은, [구름이]나의 서쪽 교외로부터 왔기 때문이다

 

彖曰小畜柔得位而上下應之曰小畜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작게 쌓이지만 부드러움이 자리를 얻어서 위와 아래가 응()을 하니, 소축(小畜)이라고 말하였다.

王弼 注 謂六四也成卦之義在此爻也體无二陰以分其應故上下應之也既得其位而上下應之三不能陵小畜之義也

왕필 주4(六四)를 말하고, ()의 뜻을 이룸이 이 효()에 있다. []에 음()이 둘이 없음으로써 그 응()을 나누기 때문에 위와 아래에 응()을 한다. 이미 그 지위를 얻어서 위와 아래가 응()을 하니 구3(九三)이 능멸하지 못하며 소축(小畜)의 뜻이다.

健而巽剛中而志行乃亨密雲不雨尚往也自我西郊施未行也

굳건하면서 공손하고 굳센 가운데[]이면서 뜻을 행하니 이에 형통하다구름이 빽빽하지만 비 내리지 않음은, 높이 올라 감이다. 나의 서쪽 교외로 부터는, 아직 베풂을 행하지 못했음이다.“

王弼 注 小畜之勢足作密雲乃自我西郊未足以為雨也何由知未能為雨夫能為雨者陽上薄陰陰能固之然後烝而為雨今不能制初九之復道固九二之牽復九三更以不能復為劣也下方尚往施豈得行故密雲而不能為雨尚往故也何以明之

去陰能固之然後乃雨乎上九獨能固九三之路故九三不可以進而輿說輻也能固其路而安於上故得既雨既處若四三皆能若上九之善畜則能雨明矣故舉一卦而論之能為小畜密雲而已

陰苟不足以固陽則雖復至盛密雲自我西郊故不能雨也雨之未下即施之未行也。《全論一卦之體故曰密雲不雨」。《各言一爻之德故曰既雨既處

왕필 주】 소축(小畜)의 형세는, 빽빽한 구름이 넉넉히 만들어졌으나, 이에 나의 서쪽 교외로 부터 와서 비를 내리게 하기에는 넉넉하지 않다. 어떤 이유로 비가 잘 되지 못하는지 아는가? 그 비가 잘 되게 하는 것은, ()이 올라가면 음()이 엷어지고 음()이 굳게 잘 견뎌낸 연후에 수증기가 되어서 비가 된다. 지금 초구(初九)의 회복하는 도() 잘 제어하지 못하니 구2(九二)가 끌어줌을 굳게 회복하며, 3(九三)이 다시 잘 돌아가지 못해서 열악하게 됨이다. 아래 방향이 높이 올라가니, 베풂이 어찌 행해지겠는가? 그러므로 구름이 빽빽한데도 비가 잘 되지 않으며, 높이 올라가는 연고인데, 무엇으로서 밝게 하겠는가? ()이 그것[]을 굳게 잘 막은 연후에야 비로소 비가 내리겠지? 상구(上九)가 홀로 구3(九三)의 길을 굳게 잘 막고 있기 때문에 구3(九三)이 나아갈 수가 없어서 수레의 바퀴살이 빠졌으며, 그 길을 굳게 잘 막아서 위에서 편안하기 때문에 이미 비가 내렸고 이미 머무를 곳을 얻었다. 만약 육4(六四)와 구3(九三)이 모두 상구(上九)의 착하게 쌓는 것처럼 잘하면 비가 잘 내림이 분명하다. 그러므로 한 괘()를 들어서 논하여 조금 쌓임은 빽빽한 구름이 잘 될 뿐이다.

()이 진실로 양()을 굳게 막음으로 부족하면 비록 다시 성대함에 이르러 빽빽한 구름이 나의 서교(西郊)로부터 오기 때문에 비가 잘 내리지 않는데, 비가 아직 내리지 못함은 바로 베풂이 행해지지 않은 것이다.

단전(彖傳)은 한 효( 를 온전히 논하였으므로 빽빽한 구름이 끼고 비가 내리지 않는다.”고 하였고, 象傳은 한 효()의 덕()을 각자 말하였기 때문에 말하기를 이미 비가 오고 이미 머물렀다[既雨既處]”고 한 것이다.

 

象曰風行天上小畜君子以懿文德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바람이 하늘 위에 행함이 소축(小畜)이며, 군자가 그로서 문덕(文德)을 아름답게 한다.”

王弼 注 未能行其施者故可以懿文德而已

왕필 주 베풂을 잘 행하지 못하는 자이기 때문에 문덕(文德)을 아름답게 함으로서 할 수 있을 뿐이다.

 

 

初九,復自道,何其咎?吉。

초구(初九)는 스스로 도()를 회복하는데, 어찌 허물이겠는가? 길하다.

王弼 注 處乾之始以升巽初四為己應不距己者也以陽升陰復自其道順而无違何所犯咎得義之吉

왕필 주()의 시작에 처하여 그로서 손()의 처음에 오르는데, 4(六四)가 자기의 응()이 되어서 자기를 막지 않는 자이다. ()으로서 음()에 올라가 스스로 그 ()를 회복하고 순하면서 어김이 없으니, 어찌 허물을 범하겠는가? 옳음의 길함을 얻는다.

象曰復自道其義吉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스스로 도()를 회복함은 그 옳음이 길함이다.”

 

九二,牽復,吉。

구이(九二)는 이끌어 회복하니, 길하다.

王弼 注 處乾之中以升巽五五非畜極非固己者也雖不能若陰之不違可牽以獲復是以吉也

왕필 주】 ()의 가운데 처하여, 그로써 손()의 구5(九五)에 올라가는데, 5(九五)는 쌓임이 지극하지 않아서 기[九二]에게 확고한 자는 아니다. 비록 음()이 어기지 않는 것만 같지 못하지만, 이끌어 그로써 회복을 얻을 수 있으니 이것이 길함이다.

象曰牽復在中亦不自失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이끌어 회복함은 가운데에 있음이며, 또한 자신을 잃지 않음이다.”

 

九三,輿說輻,夫妻反目。

구삼(九三)은 수레에 바큇살이 벗겨지며 부부(夫婦)의 눈이 돌아간다.

王弼 注 上為畜盛不可牽征以斯而進故必說輻也己為陽極上為陰長畜於陰長不能自復方之夫妻反目之義也

왕필 주위쪽에 쌓음이 성대하게 되어 끌고 갈 수가 없는데, 이를 가지고서 나아가기 때문에 반드시 바퀴살이 벗겨진다. 자기는 양()이 다하게 되고 위쪽에는 음()이 자라게 되며 음()이 자라서 쌓이는데 스스로 회복을 잘 못하여 사각[輿,수레 객실] 안의 부부(夫婦)가 반목함을 뜻한다.

象曰夫妻反目不能正室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부부(夫婦)가 반목함은, 집을 잘 바로잡지 못하였음이다."

 

六四,有孚,血去惕出,无咎。

육사(六四)는 믿음[]이 있으면 피를 제거하고 두려움에서 나와 허물이 없다

王弼 注 夫言血者陽犯陰也四乘於三近不相得三務於進而己隔之將懼侵克者也上亦惡三而能制焉志與上合共同斯誠三雖逼己而不能犯故得血去懼除保无咎也

왕필 주그것을 피라고 말한 것은, ()이 음()을 범함이며, 4(六四)가 구3(九三)을 올라 타고 가까운데도 서로 얻지 못하고, 3(九三)이 나아감에 힘쓰는데 자기[六四]가 격리를 하여, 장차 침범하는 두려움을 이기는 것이다. 상구(上九) 또한 구3(九三)을 미워하지만 잘 제어하여, 뜻이 상구(上九)와 합하여 이 진실(眞實)함이 한가지로 같다. 3(九三)이 비록 자기를 핍박하면서도 잘 범하지는 못하기 때문에 피를 버리고 두려움을 덜어서 허물 없음을 보존한다.

象曰有孚惕出上合志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믿음이 있으면 두려움에서 나옴은 위쪽[上九]과 뜻을 합하였음이다.”

 

九五,有孚攣如,富以其鄰。

구오(九五), 믿음이 있어서 묶어메니 그 이웃이 부유(富有)해 진다.

王弼 注 處得尊位不疑於二來而不距二牽己攣不為專固有孚攣如之謂也以陽居陽處實者也居盛處實而不專固富以其鄰者也

왕필 주높은 자리를 얻어 처하여 구2(九二)를 의심하지 않고 오더라도 막지 않으니 구2(九二)가 끌어서 자기를 묶어메고 오로지 고집(固執)을 하지 않으니 '믿음이 있어 묶어맨다[有孚攣如]'라고 일컬었다. ()으로써 양()에 거주하며 열매에 처한 것이다. 성대함에 거주하고 열매에 처하면서 오로지 고집(固執)부리지 않으니 그 이웃이 부유해 지는 것이다.

譯註 1: 說文解字』⇒: 係也 : 係也係者絜束也易小畜有孚攣如馬曰連也虞曰引也攣者係而引之其義近擢

         『설문해자(說文解字)』⇒련(攣, 걸릴 련)은, 묶어 메달림이다. 《설문해자주(注)》 련(攣)은, 묶어 메달림이다. 계(係, 맬 계)라는 것은, 헤아려 묶음이다. 주역 <소축(小畜)괘>에 믿음이 있어서 묶어메듯 한다. 마융은 연결함이라 말했고, 우虞는 끎이라 말했다. 련(攣, 걸릴 련)이라는 것은, 메달고 끌고감이며 그 옳음을 가까이 뽑아냄이다.

象曰有孚攣如不獨富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믿음이 있어서 묶어메임은 홀로 부유함이 아니다.”

 

上九,既雨既處,尚德載。婦貞厲,月幾望,君子征凶。

상구(上九)는 이미 비가 내리고 이미 머무른다. ()을 실음을 숭상하니, 아내가 곧으면 위태롭고달이 보름에 가까우니 군자는 나서면 흉하다.

王弼 注 處小畜之極能畜者也陽不獲亨故既雨也剛不能侵故既處也體巽處上剛不敢犯尚德者也為陰之長能畜剛健德積載者也

婦制其夫臣制其君雖貞近危故曰婦貞厲也陰之盈盛莫盛於此故曰月幾望也滿而又進必失其道陰疑於陽必見戰伐雖復君子以征必凶故曰君子征凶也

왕필 주】 소축(小畜)의 꼭대기에 처하여 잘 쌓은 자이다. ()이 형통함을 얻지 못하기 때문에 이미 비가 내렸고, 굳셈이 잘 침범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미 처함[그침]이다. 몸체[]가 손()이고 위에 처하여, 굳셈이 감히 침범하지 못하니 덕()을 숭상하는 자이고, ()의 우두머리가 되어 강건함을 잘 쌓으니 덕()을 쌓아 실는 자이다. 부인이 그 남편을 제어하고 신하는 그 임금을 제어하니, 비록 곧아도 위태로움이 가깝기 때문에 '부인의 곧으면 위태롭다.'고 말했으며, ()이 가득차고 성대함이 이보다 더 성대함이 없기 때문에 '달이 거의 보름에 가깝다.'고 말했다. 가득하면서 또 나아가면 반드시 그 도()를 잃고, ()이 양()에게 의심받으면 반드시 벌하는 전쟁이 나타나니, 비록 군자가 다시해도 그로써 가면 반드시 흉하기 때문에 '군자라도 가면 흉하다.'고 말하였다.

象曰既雨既處德積載也君子征凶有所疑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이미 비가 내리고 이미 처했음[그침]은 덕()을 쌓아 실었음이다. 군자가 나서면 흉함은 의심하는 바가 있기 때문이다."

王弼 注 夫處下可以征而无咎者唯泰也則然坤本體下又順而弱不能敵剛故可以全其類征而吉也自此以往則其進各有難矣夫巽雖不能若艮之善畜猶不肯為坤之順從也故可得少進不可盡陵也是以初九九二其復則可至於九三則輿說輻也夫大畜者畜之極也畜而不已畜極則通是以其畜之盛在於四至于上九道乃大行小畜積極而後乃能畜是以四五可以進而上九說征之輻

왕필 주】 그 아래에 처하고 나갈 수 있으면서 허물이 없는 것은, 오직 태()가 곧 그러하다.

()은 본래 몸[]이 아래이고 또 순하면서 약하여 굳셈에 잘 맞서지 못하기 때문에 온전히 그 부류를 할 수 있어서 가면 길하며, 스스로 이로써 가면 그 나아감이 각각 어려움이 있다.

그 손()이 비록 간()의 착하게 쌓음에는 같게 하지 못하지만 오히려 곤()의 순종 함을 즐겨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조금 나아갈 수 있고 다 능멸할 수는 없다.

이로써 초구(初九)와 구2(九二)는 돌아오면 할 수 있고, 3(九三)에 이르르면 수레가 바퀴살이 빠진다. 그 대축(大畜)이라는 것은, 쌓임이 지극함이다. 쌓여서 그치지 않고 쌓임이 지극하면 통하며, 이로써 쌓임의 성대함이 육4(六四)와 육5(六五)에 있고, 상구(上九)에 이르면 도()가 마침내 크게 행해진다.

소축(小畜)은 쌓임이 지극한 뒤에 비로소 잘 쌓이고, 이로써 육4(六四)와 구5(九五) [初九 九二] 나아갈 수 있고, 상구(上九)는 그곳[九三]으로 가는 수레 바퀴살이 빠진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