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왕필 주역주』
○ 왕필(王弼.226~249)
위(魏)나라 산음(山陰, 산동성) 사람이며 자는 보사(輔嗣)이다. 풍부한 재능을 타고나 유복한 환경에서 자랐기 때문에 일찍 학계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나 24살에 요절한 뛰어난 학자이다. 하안과 함께 위진(魏晉) 현학(玄學, 老莊學)의 시조로 일컬어진다. 저서는 『주역주(周易注)』와『노자주(老子注)』가 있다.
11. 태괘(泰卦)[卦象:지천태]
☷ 坤上
☰ 乾下
건[天.하늘]이 아래에 있고, 곤[地.땅]이 위에 있다.
泰,小往大來,吉亨。
태(泰)는, 작음[小]이 가고 큼[大]이 오니, 길하고 형통하다.
《彖》曰:泰,小往大來,吉亨。則是天地交,而萬物通也,上下交而其志同也。內陽而外陰,內健而外順,內君子而外小人。君子道長,小人道消也。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태(泰)는 소(小)가 가고 대(大)가 오니 길하고 형통함은, 곧 이는 천지가 사귀어서 만물이 통하고 위와 아래가 사귀어서 그 뜻이 같아짐이다. 양(陽)이 안[아래]에 있고 음(陰)이 밖[위]에 있으며, 안이 굳세고 밖이 유순하며, 군자가 안에 있고 소인이 밖에 있음이니, 군자의 도는 자라나고 소인의 도는 사라짐이다.”
《象》曰:天地交,泰,后以財成天地之道,輔相天地之宜,以左右民。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하늘과 땅의 사귐이 태(泰)이니, 임금이 천지의 도(道)를 재물로 이룸으로써, 천지의 마땅함을 서로 도우며[輔相] 그로써 백성을 좌우[보호]로 한다."
【王弼 注】 泰者,物大通之時也。上下大通,則物失其節,故財成而輔相,以左右民也。
【왕필 주】태(泰)라는 것은 사물이 크게 통하는 때이다. 위와 아래가 크게 통하면 사물은 그 마디를 잃기 때문에 재물을 이루어서 서로 도우며 그로써 백성을 좌우[보호]로 한다.
初九,拔茅茹,以其彙,征吉。
초구(初九)는 띠풀을 뽑으니 엉켜있는데, 그 무리로써 나가야 길하다.
【王弼 注】 茅之為物,拔其根而相牽引者也。茹,相牽引之貌也。三陽同志,俱志在外;初為類首,己舉則從,若茅茹也。上順而應,不為違距,進皆得志,故以其類征吉。
【왕필 주】띠풀의 사물 됨은, 그 뿌리를 뽑으면 서로 끌어 당기는 것이다. 여(茹)는 서로 끌어 당기는 모양이다. 세 양(陽)은 뜻이 같고 모두 뜻이 밖에 있으며, 초구(初九)가 부류의 머리가 되어 자기가 일어나면 따르니 띠풀이 엉켜있음과 같다. 위쪽이 순하여 응하고 어겨서 막으려 하지 않으니 나아가면 모두 뜻을 얻기 때문에 그 부류로써 나가면 길함이다.
《象》曰:拔茅征吉,志在外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띠풀을 뽑고서 나가야 길함은 뜻이 밖에 있음이다.”
九二,包荒,用馮河, 不遐遺;朋亡, 得尚于中行。
구이효는 거칠어도 품는다. 황하를 업신여겨[무모함]도 등용하고 멀리까지 남기지 않아야 패거리[벗]가 없어지며, 가운데[六五]로 가서 높은 이[짝]를 얻는다.
【王弼 注】 體健居中而用乎泰,能包含荒穢,受納馮河者也。用心弘大,无所遐棄,故曰不遐遺也。无私无偏,存乎光大,故曰朋亡也。如此乃可以得尚于中行。尚,猶配也。中行,謂五。
【왕필 주】굳센 몸[體]의 가운데[中]에 거주하면서 통함[泰]을 쓰고 거칠고 더러움을 잘 싸서 담으니 사나운 황하가 받아 들이는 것이다. 마음 씀이 크게 넓으면 멀리 버려지는 바 없기 때문에 "멀리 버려지지 않는다[不遐遺]"라고 말하였고, 사사로움이 없고 치우침이 없으며 크게 빛남[光大]에 있어야 하기 때문에 "동문을 멀리한다[朋亡]"라고 말했다. 이와 같이 이에 가운데로 가서 높은 이[짝]를 얻을 수 있음이다. "상(尚)"은 짝과 같고, 가운데로 감은 육5(六五)를 가리킨다.
《象》曰:包荒,得尚于中行,以光大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거칢을 품고 가운데로 가서 높은 이[짝]를 얻음은, 그로써 크게 빛남이다.”
九三,无平不陂,无往不復,艱貞无咎。勿恤其孚,於食有福。
구삼(九三)은 평평함은 기울지 않음이 없고, 가면 돌아오지 않음이 없으니, 어려워도 곧아야 허물이 없다. 그 믿음을 근심하지 말아야 먹는데 복(福)이 있다.
【王弼 注】 乾本上也,坤本下也,而得泰者,降與升也。而三處天地之際,將復其所處。復其所處則上守其尊,下守其卑,是故无往而不復也,无平而不陂也。處天地之將閉,平路之將陂,時將大變,世將大革,而居不失其正,動不失其應,艱而能貞,不失其義,故无咎也。信義誠著,故不恤其孚而自明也,故曰「勿恤其孚,于食有福」也。
【왕필 주】 건(乾)의 근본은 위쪽이고, 곤(坤)의 근본은 아래쪽이며, 그리고 통함(泰)을 얻은 것은 내려감[陰]과 올라감[陽]이다. 그런데 구삼(九三)은 하늘과 땅의 경계에 처하며 장차 그 처하는 곳으로 돌아 온다. 그 처하는 곳으로 돌아오면 위로 그 높음을 지키고 아래로는 그 낮음을 지키는데, 이 때문에 가는데가 없으니 돌아오지 않으며 평평함이 없으니 기울지도 않는다.
천지가 장차 닫힘에 처하고 평평한 길이 장차 기울며, 시절이 장차 크게 변하고 세상이 장차 크게 개혁되면서 거주함에 그 바름을 잃지 않고, 움직여도 그 응함을 잃지 않으며, 어려워도 곧게 잘하고 그 옳음을 잃지 않기 때문에 허물이 없다. 믿음과 의리(義理)가 성실(誠實)하게 드러나기 때문에 그 믿음을 근심하지 않아도 스스로를 밝아진다. 그러므로 "그 믿음을 근심하지 말아야, 먹는 데에 복(福)이 있다."라고 말했다.
《象》曰:无往不復,天地際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가는데가 없고 돌아오지도 않음은, 하늘과 땅의 경계[사귐]이기 때문이다."
【王弼 注】 天地將各分,復之際。
【왕필 주】하늘과 땅이 장차 각각 나누어, 돌아가는 경계이다.
六四,翩翩,不富以其鄰,不戒以孚。
육사(六四)는 훨훨[翩翩] 나부끼니 그 이웃이 부유하지 않은데도 경계하지 않고 그로써 믿는다.
【王弼 注】 乾樂上復,坤樂下復,四處坤首,不固所居,見命則退,故曰翩翩也。坤爻皆樂下,己退則從,故不待富而用其鄰也。莫不與己同其志願,故不待戒而自孚也。
【왕필 주】건(乾)은 위로 돌아가야 즐겁고 곤(坤)은 아래로 돌아가야 즐거운데, 육4(六四)가 곤(坤)의 첫 머리에 처하여 거주하는 곳이 견고하지 않아서 명령을 들으면 물러나기 때문에 “훨훨 翩翩”이라고 말했다. 곤(坤)의 효(爻)는 모두 아래하기를 즐겨하고 자기가 물러가면 따르기 때문에 부유하기를 기다리지 않고서 그 이웃을 쓴다. 그 뜻을 원함을 자기와 더블어 같이하기 때문에 경계함을 기다리지 않고서 스스로 믿는다.
《象》曰:翩翩不富,皆失實也。不戒以孚,中心願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훨훨 나부끼고 부유하지 않음은 모두 실질을 잃었음이다. 경계하지 않고서 믿음은 마음 속에서 원함이다.”
六五,帝乙歸妹,以祉元吉。
육오(六五)는 제을(帝乙)이 누이를 시집보내니, 그로써 복(福)을 받아 크게 길하다.
【王弼 注】 婦人謂嫁曰歸,泰者,陰陽交通之時也。女處尊位,履中居順,降身應二,感以相與,用中行願,不失其禮。帝乙歸妹,誠合斯義。履順居中,行願以祉,盡夫陰陽交配之宜,故元吉也。
【왕필 주】부인이 시집감을 일컬어 귀(歸)라고 말하고, 태(泰)라는 것은 음(陰)과 양(陽)이 사귀어 통하는 때이다. 여자가 높은 지위에 처하고 가운데(中)에 올라서 순함에 거주하며, 자신을 낮추어 구2(九二)에 응(應)해서 감응하여 서로 함께하며, 중간을 써서 원함을 행하여 그 예를 잃지 않으니, 재을(帝乙)이 누이를 시집보냄이 진실로 이 뜻에 부합한다. 유순함을 이행하고 가운데 거주하여 원함을 행하여 그로써 복을 받아서 음(陰)과 양(陽)이 사귀어 짝함이 마땅함을 다하기 때문에 크게 길함이다.
《象》曰:以祉元吉,中以行願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복을 받음으로써 크게 길함은, 가운데[中]로써 원함을 행하기 때문이다."
上六,城復于隍,勿用師,自邑告命,貞吝。
상육(上六)은 성(城)이 [무너져] 해자[隍]로 돌아가니, 무리[군대]를 쓰지 말아야 하고 자기 고을에 명을 내리니 곧으면 부끄럽다.
【王弼 注】 居泰上極,各反所應,泰道將滅,上下不交,卑不上承,尊不下施,是故城復于隍,卑道崩也。勿用師,不煩攻也。自邑告命,貞吝,否道已成,命不行也。
【왕필 주】태(泰)의 맨 꼭대기에 거주하고 각각 응하는 곳에 돌아가며 통함[泰]의 도(道)가 장차 감해져서 위[坤]와 아래[乾]가 서로 사귀지 않고 낮은데도 위쪽에 받들지 않으며 높으면서 아래에 배풀지 않으니 이 때문에 성이 [무너져] 해자로 돌아가 낮은 도(道)가 무너짐이다. ‘무리[군대]를 쓰지 말아야’는 번잡한 공격을 않음이다. ‘자기 고을에 명을 내리니 곧으면 부끄럽다’함은 막힘의 도(道)가 이미 명이 행해지지 않는 것이다.
《象》曰:城復于隍,其命亂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성(城)이 [무너져] 해자[隍]로 돌아감은, 그 명(命)이 혼란하기 때문이다.”
'◑왕필 주역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왕필 주역주/13. 동인괘(同人卦)[卦象:천화동인] (0) | 2022.06.05 |
---|---|
▣ 왕필 주역주 12. 비괘(否卦)[卦象:천지비] (0) | 2022.06.04 |
▣ 『왕필 주역주』10. 리괘(履卦)[卦象:천택리] (0) | 2022.06.02 |
▣ 왕필 주역주/9. 소축괘(小畜卦)[卦象:풍천소축] (0) | 2022.05.31 |
▣ 왕필 주역주/8. 비괘(比卦)[卦象:수지비] (0) | 2022.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