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왕필 주역주
○ 왕필(王弼.226~249)
위(魏)나라 산음(山陰, 산동성) 사람이며 자는 보사(輔嗣)이다. 풍부한 재능을 타고나 유복한 환경에서 자랐기 때문에 일찍 학계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나 24살에 요절한 뛰어난 학자이다. 하안과 함께 위진(魏晉) 현학(玄學, 老莊學)의 시조로 일컬어진다. 저서는 『주역주(周易注)』와『노자주(老子注)』가 있다.
6. 송괘(訟卦)[卦象:천수송]
☰ 乾上
☵ 坎下
감[水.물]이 아래에 있고 건[天.하늘]이 위에 있다.
訟,有孚,窒惕,中吉,終凶。
송(訟)은, 믿음이 있어도 막히면 두렵고, 가운데는 길하지만 마침은 흉하다.
【王弼 注】 窒,謂窒塞也。能惕*,然後可以獲中吉。
【왕필 주】 "질(窒)"은 변방이 막힘을 일컫는다. 두려움을 잘 견딘 연후에 가운데가 길함을 얻을 수 있다.
*「能惕」或作「皆惕」。"능척"은 어떤데에는 "개척"으로 쓰였다.
利見大人,不利涉大川。
대인을 보아야 이롭고, 큰 내를 건너면 이롭지 않다.
《彖》曰, 訟,上剛下險,險而健、訟。訟,有孚窒惕,中吉,剛來而得中也。終凶,訟不可成也。利見大人,尚中正也。不利涉大川,入于淵也。
《단전》에서 말하였다. “송(訟)괘는 위는 강하고 아래는 험하며, 험하고 굳건함이 송괘이다. 송(訟)은 믿음이 있으면 막혀서 두렵지만, 가운데 길함[中吉]은 굳셈이 와서 중을 얻었음이다. 마침이 흉함[終凶]은 송사를 이룰 수 없음이다. 대인을 보아야 이로움[利見大人]은 중정을 숭상함이다. 큰 내를 건너면 이롭지 않음[不利涉大川]은 못에 들어가기 때문이다.”
【王弼 注】 凡不和而訟,无施而可,涉難特甚焉。唯有信而見塞懼者,乃可以得吉也。猶復不可終,中乃吉也。不閉其源,使訟不至,雖每不枉,而訟至終竟,此亦凶矣。故雖復有信而見塞懼,猶不可以為終也。故曰「訟,有孚,窒惕,中吉,終凶」也。无善聽者,雖有其實,何由得明,而令有信塞懼者得其中吉?必有善聽之主焉,其在二乎?以剛而來,正夫群小,斷不失中,應斯任也。
【왕필 주】대체로 화합하지 못하면 송사하고, 베품이 없어야 할 수 있으며, 그곳[송사]을 건너는데 어려움이 특히 심하다. 오직 믿음이 있으면서 막힐까 두려움을 보이는 자는, 이에 길함을 얻을 수 있은데, 오히려 다시 끝낼 수 없으니, 가운데가 이에 길함이다. 그 근원을 닫지 않아야 송사를 오지 못하도록 하는데, 비록 매번 굽히지 않으면 송사가 이르러 마침내 끝나니 이 또한 흉함이다. 그러므로 비록 다시 진실함이 있더라도 막혀서 두려움이 나타나니, 오히려 끝나게 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말하기를 "송(訟)은 믿음이 있어도 막혀서 두려우니, 가운데에 길하더라도 마침은 흉하다."라고 했다.
[송사를] 잘 들음이 없는 자는, 비록 그 실체가 있어도 무엇을 말미암아 밝음을 얻겠으며, 그리고 믿음이 있으나 막혀서 두려운 자로 하여금 그 가운데 길함을 얻겠는가? 반드시 그곳에는 [송사를] 잘 듣는 주체[主]가 있는데, 그는 구2(九二)에 있겠지? 강함으로써 와서 저 작은 무리를 바로잡고 중을 잃지 않고 결단하여 이 임무에 호응함이다.
《象》曰:天與水違行,訟。君子以作事謀始。
《상전》에서 말하였다: "하늘이 물과 더블어 행함을 어김이 송(訟)이다. 군자가 그로써 계획을 비롯하여 일을 만든다.“
【王弼 注】 聽訟,吾猶人也,必也使無訟乎? 无訟在於謀始,謀始在於作制。契之不明,訟之所以生也。物有其分,職不相濫,爭何由興? 訟之所以起,契之過也。故有德司契而不責於人。
【왕필 주】[공자께서] “내가 송사를 들음은 남들과 같지만, 반드시 송사가 없도록 해야 돼겠지?”라고 하셨는데, 송사가 없음은 시작을 도모(圖謀)함에 있고, 시작을 도모함은 법제를 만듦에 있다. 계약(契約)을 하면서 밝지 않음이, 송사가 생겨나는 까닭이다. 사물은 그 분수가 있는데, 직분을 서로 남용(濫用)하지 않으면 다툼이 무엇을 말미암아 일어나겠는가? 송사가 잃어나는 까닭은, 계약(契約)의 잘못이다. 그러므로 계약을 맡은 이가 덕(德)이 있으면 남을 책망하지 않는다.
初六,不永所事,小有言,終吉。
초육(初六)은, 일[송사]하는 바를 오래 하지 않아야, 말썽이 조금 있으나 마침은 길하다.
【王弼 注】 處訟之始,訟不可終,故不永所事,然後乃吉。凡陽唱而陰和,陰非先唱者也。四召而應,見犯乃訟。處訟之始,不為訟先,雖不能不訟而了,訟必辯明也。
【왕필 주】 송사의 시작에 처하여 송사를 끝낼 수가 없기 때문에 일[송사]하는 바를 길게하지 않은 연후에 이에 길함이다. 대체로 양(陽)이 부르면 음(陰)이 화답하며 음(陰)이 먼저 부르는 것이 아니다. 구4(九四)가 부르면 응하고 침범함이 보이면 이에 송사한다. 송사의 시작에 처하여 송사를 먼저 하지는 않았으며 비록 송사를 안 함은 잘 못하였으나 송사를 마침은 반드시 밝게 변론한다.
《象》曰:不永所事,訟不可長也。雖小有言,其辯明也。
《상전》에서 말하였다:“일[송사]을 하는 바를 오래 하지 않음은 송사를 길게 할 수 없음이다. 비록 말썽이 조금 있으나 그를 변론(辯論)하여 밝힘이다.”
九二,不克訟,歸而逋, 其邑人三百戶,无眚。
구이(九二)는 송사를 이기지 못하고 돌아가서 그 읍으로 도망가는데 사람이 삼백호이면 재앙이 없다.
【王弼 注】 以剛處訟,不能下物,自下訟上,宜其不克。若能以懼,歸竄其邑,乃可以免災。邑過三百,非為竄也,竄而據強,災未免也。
【왕필 주】굳셈으로써 송사에 처하고 사물에 잘 낮추지 않으며 아래에서 위를 송사하니 마땅히 그를 이기지 못한다. 만약 능히 두려움으로서 돌아가 그 읍에 숨으면, 이에 재앙을 면할 수 있다. 읍이 삼백호를 넘으면 숨으려 함이 아니며 숨으면서 강함에 근거하면 재앙을 면할 수 없다.
《象》曰:不克訟,歸逋竄也。自下訟上,患至掇也。
《상전》에서 말하였다:“송사를 이기지 못함은 돌아가 도망하여 숨음이다. 아래에서 위를 송사함은 근심을 주워 담음에 이르름이다."
六三,食舊德,貞厲,終吉。或從王事,无成。
육삼(六三)은 옛 덕(德)으로 먹는데 곧아서 위태로우나 마침은 길하다. 혹 왕의 일에 종사하더라도 이룸은 없다.
【王弼 注】 體夫柔弱,以順於上,不為九二,自下訟上。不見侵奪,保全其有,故得食其舊德而不失也。居爭訟之時,處兩剛之間,而皆近不相得,故曰貞厲。柔體不爭,繫應在上,眾莫能傾,故曰終吉。上壯爭勝,難可忤也。故或從王事,不敢成也。
【왕필 주】 그 몸[六三]이 유약하여 그로써 위[上九]에 따르고 구2(九二)처럼 아래에서 위를 송사하지는 않는다. 침범하여 빼앗음을 보이지 않으니 그 있음을 온전히 보호하기 때문에 그 옛날 덕(德)을 얻어 먹으면서 잃지 않는다. 거주함이 송사의 다투는 때이고, 두 굳셈의 사이에 머무르면서 모두 가까운데도 서로 얻지 못하기 때문에 말하기를 "곧아서 위태롭다"라고 하였다. 부드러운 몸은 다투지 않고 위에 있는 응(應)에 메달려서 무리가 잘 기울게 함이 없기 때문에 말하기를 "마침은 길하다"라고 하였다. 위쪽이 씩씩하여 다툼에 이기므로 어려움을 거역할 수 있다. 그러므로 혹 왕의 일에 종사하더라도 감히 이루지 못한다.
《象》曰:食舊德,從上吉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옛 덕(德)을 먹음은, 윗쪽을 따르니 길함이다.”
九四,不克訟,
구사(九四)는 송사를 하지 못하고,
【王弼 注】 初辯明也。
【왕필 주】 초육(初六)의 말[조리(條理)]이 밝음이다.
復即命渝,安貞吉。
돌이켜 나아가 명(命)을 변경(變更)하여 곧음에 편안해야 길하다.
【王弼 注】 處上訟下,可以改變者也,故其咎不大。若能反從本理,變前之命,安貞不犯,不失其道,為仁由己*,故吉從之。
【왕필 주】윗쪽에 처하며 아래쪽에 송사함은 고쳐서 변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허물이 크지 않다. 만약 돌이켜 근본 이치를 잘 따르면, 앞의 명(命)은 변하고 곧음에 편안함을 범하지 않으며 그 도(道)를 잃지 않으면 어짊을 실천하는데 자기를 말미암기 때문에 길함이 따르게 된다.
*「由己」或作「猶己」。「유기(由己)」는 혹 「유기(猶己)」로 쓰였다.
《象》曰:復即命渝,安貞,不失也。
《상전》에서 말하였다:“다시 나아가 명(命)을 변경(變更)하여 곧음에 편안해야 잃지 않는다."
九五,訟元吉。
구오(九五)는 송사에 크게 길하다.
【王弼 注】 處得尊位,為訟之主。用其中正,以斷枉直。中則不過,正則不邪,剛无所溺,公无所偏,故訟元吉。
【왕필 주】처함이 높은 자리를 얻었으니 송사의 주체[主]가 된다. 그 가운데의 바름을 사용하여 그로써 굽음과 곧음을 결단한다. 가운데[中]는 곧 지나치지 않고 바름[正]은 곧 사악하지 않으며 굳셈[剛]은 빠지는 바가 없고 공평함[公]은 치우치는 바 없기 때문에 송사에 크게 길하다.
《象》曰:訟元吉,以中正也。
《상전》에서 말하였다: “송사에 크게 길함은, 가운데가 바름[中正]을 가지기 때문이다.”
上九,或錫之鞶帶,終朝三褫之。
상구(上九)는 혹 관복의 띠[鞶帶]를 하사받더라도 아침을 마치는 사이에 세 번을 벗는다.
【王弼 注】 處訟之極,以剛居上,訟而得勝者也。以訟受錫,榮何可保? 故終朝之間,褫帶者三也。
【왕필 주】 송사의 끝에 처하고 굳셈으로서 상구(上九)에 거주하니 송사하여서 승리를 얻은 자이다. 송사로써 받고 주면 영화(榮華)를 어찌 보존 할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아침을 마치는 사이에 [관복의] 띠한 것을 세번 벗는다.
《象》曰:以訟受服,亦不足敬也。
《상전》에서 말하였다: "송사로써 옷[官服]을 받음은, 또한 공경하기에 부족하다."
'◑왕필 주역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왕필 주역주/8. 비괘(比卦)[卦象:수지비] (0) | 2022.05.29 |
---|---|
▣ 왕필 주역주/7. 사괘(師卦)[卦象:지수사] (0) | 2022.05.28 |
▣ 왕필 주역주/5. 수괘(需卦)[卦象:수천수] (0) | 2022.05.26 |
▣ 왕필 주역주 /4. 蒙卦 (몽괘)[卦象:산수몽] (0) | 2022.05.25 |
▣ 왕필 주역주/3. 屯卦(준괘)[卦象:수뢰준] (0) | 2022.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