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왕필 주역주
○ 왕필(王弼.226~249)
삼국시대 위(魏)나라 산음(山陰, 산동성) 사람이며 자는 보사(輔嗣)이다. 풍부한 재능을 타고나 유복한 환경에서 자랐기 때문에 일찍 학계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나 24살에 요절한 뛰어난 학자이다. 하안과 함께 위진(魏晉) 현학(玄學, 老莊學)의 시조로 일컬어진다. 저서는 『주역주(周易注)』와『노자주(老子注)』가 있다.
8. 비괘(比卦)[卦象:수지비]
☵ 坎上
☷ 坤下
곤[地.땅]이 아래에 있고, 감[水.물]이 위에 있다.
比,吉,原筮,元永貞,无咎。不寧方來,後夫凶。
비(比;맞닿음)는 길(吉)한데, 근원을 점쳐서 시작이 오래 곧아야 허물이 없고, 사방에서 오지만 편안하지 않으며, 뒷 사람은 흉하다.
《彖》曰:比,吉也。比,輔也,下順從也。原筮,元永貞,无咎,以剛中也。
《단전》에서 말하였다:"비(比;맞닿음)는 길(吉)함이다. 맞닿음은 도움이며, 아래가 순하게 따른다. ‘근원을 점쳐서 시작이 오래 곧아야 허물이 없음’은 굳셈으로써 가운데(中)하기 때문이다.“
【王弼 注】 處比之時,將原筮以求无咎,其唯元永貞乎?夫群黨相比,而不以「元永貞」,則凶邪之道也。若不遇其主,則雖永貞而猶未足免於咎也。使永貞而无咎者,其唯九五乎?
【왕필 주】맞닿은[比] 때에 처하고, 장차 근원을 점쳐서 허물 없음을 구하였는데, 그 오직 크게 오래 곧게 하겠는가? 그(夫) 무리와 당이 서로 친하여서 그로써 ‘시작을 오래 곧음'으로 않으면 흉함과 간사한 도(道)이다. 만약 그 주체[主]를 만나지 못하면 비록 오래 곧아도 오히려 허물을 면함에 넉넉하지 않다. '오래도록 곧게 하여서 허물이 없는' 것은 오직 구오(九五)이겠지?
不寧方來,上下應也。
'사방에서 오지만 편안하지 않음'은 위와 아래가 응(應)함이다.
【王弼 注】 上下无陽以分其民,五獨處尊,莫不歸之。上下應之,既親且安,安則不安者託焉,故不寧方所以來,上下應故也。夫无者求有,有者不求所與;危者求安,安者不求所保。火有其炎,寒者附之。故已苟安焉,則不寧方來矣。
【왕필 주】위와 아래에 양(陽)이 없음으로써 그 백성들이 나누어지는데, 구5(九五)가 홀로 높이 처하여 귀의(歸依)를 하지 않음이 없다. 상.하가 응(應)을 하여서 이미 친하고 또 편안한데, 편안하면 편안하지 않은 자가 그것[安]에 의탁하기 때문에 편안하지 않음이 사방에서 오는 까닭이며, 상.하가 응(應)하는 연고(緣故)이다. 대저 없는 자가 있음을 구하고 있는 자는 줄 곳을 구하지 않으며; 위태로운 자가 편안을 구하고 편안한 자는 보존할 곳을 구하지 않는다. 불은 불꽃이 있으며 추운 것이 그에 붙기 때문에 이미 진실로 그곳이 편안하다면 편안하지 않은 사방에서 오게 된다.
後夫凶,其道窮也。
“뒤에 사내가 흉함”은 그 도가 궁함이다.
【王弼 注】 將合和親而獨在後,親成則誅,是以凶也。
【왕필 주】장차 친함에 화합하면서 홀로 뒤에 있는데 친함을 이루면 베어내니[주벌(誅罰)] 이로서 흉함이다.
《象》曰:地上有水,比。先王以建萬國,親諸侯。
《상전》에서 말하였다:"땅 위에 물이 있음은 맞닿음[比]이다. 선왕이 그로써 여러 나라를 세우고 제후를 친히 하였다."
【王弼 注】 萬國以比建,諸侯以比親。
【왕필 주】 많은 나라를 맞닿음[比]으로써 세우고, 제후는 맞닿음으로써 친해진다.
初六,有孚比之,无咎。有孚盈缶,終來,有它吉。
초육(初六)은 맞닿아[比] 나가 믿음이 있어야 허물이 없고, 질장군을 가득 채워 믿음이 있어야 마침내 와서 다른 길함이 있다.
【王弼 注】 處比之始,為比之首者也。夫以不信為比之首,則禍莫大焉,故必「有孚盈缶」,然後乃得免比之咎,故曰「有孚比之,无咎」也。處比之首,應不在一,心无私吝,則莫不比之。著信立誠,盈溢乎質素之器,則物終來无衰竭也。親乎天下,著信盈缶,應者豈一道而來?故必有他吉也。
【왕필 주】맞닿음[比]의 시작에 처하여 맞닿아 나가는 머리가 되는 것이다. 그로써 맞닿아 나가는 머리가 되었음을 믿지 않으면 화(禍)가 이보다 더 클 수 없기 때문에 반드시 질장구에 가득 채워 믿음이 있게 한 뒤에야 비로소 맞닿음[比]의 허물을 면하기 때문에 말하기를 “맞닿아[比] 나가 믿음이 있어야 허물이 없다[有孚比之,无咎]라고 하였다. 맞닿음[比]의 머리에 처하여 응(應)함이 하나에 있지 않아서 마음에 사사로운 인색함이 없으면 친하지 않음이 없다. 믿음을 드러내고 성실함을 세워서 바탕이 소박한 그릇에 차고 넘치게 하면 사물이 마침내 와서 줄어들고 다함이 없다. 천하에 친해져서 믿음을 드러내고 질장구에 가득차면 응(應)하는 자가 어찌 한가지 도(道)에서 오겠는가? 그러므로 반드시 다른 길함도 있다.
《象》曰:比之初六,有它吉也。
《상전》에서 말하였다:“초육(初六)이 맞닿아[比] 나감은, 다른 길함이 있음이다.”
六二,比之自內,貞吉。
육이(六二)는 자신이 안에서 맞닿아[比] 나가는데 곧아야 길하다.
【王弼 注】 處比之時,居中得位,而繫應在五,不能來它,故得其自內貞吉而已。
【왕필 주】맞닿은[比] 때에 처하여 가운데[中] 자리를 얻어서 거주하면서 구5(九五)에 메달려 응(應)하며, 다른데서 잘 오지 못하게 하기 때문에 그 '자신이 안에서 곧아야 길함'을 얻을 뿐이다.
《象》曰:比之自內,不自失也。
《상전》에서 말하였다:“자신이 안에서 맞닿아[比] 나가니 자신을 잃지 않음이다."
六三,比之匪人。
육삼(六三)은 맞닿아[比] 나가는데 [친한] 사람이 아니다. <※내가 친하려고 나아감이다>
【王弼 注】 四自外比,二為五貞,近不相得,遠則无應,所與比者,皆非己親,故曰「比之匪人」。
【왕필 주】육4(六四)는 자신[六三]과 밖으로 맞닿고[比], 육2(六二)는 구5(九五)의 곧음이 되며, 가까이는 서로 얻지 못하고 먼데는 응(應)이 없으며 함께하는 곳의 맞닿은[比] 자가 모두 자기와 친하지 않기 때문에 말하기를 "맞닿아[比] 나가는데 [친한] 사람이 아니다."라고 했다.
《象》曰:比之匪人,不亦傷乎!
《상전》에서 말하였다:“맞닿아[比] 나가는데 [친한] 사람이 아님은, 또한 속상하지 않겠는가?"
六四,外比之,貞吉。
육사(六四)는 밖으로 맞닿아[比] 나가려면, 곧아야 길하다.
【王弼 注】 外比於五,履得其位,比不失賢,處不失位,故貞吉也。
【왕필 주】밖으로 구5(九五)에 맞닿아[比] 그 지위를 얻어 오르며 친해도 현명함을 잃지 않고 처함에 지위를 잃지 않기 때문에 곧아야 길함이다.
《象》曰:外比於賢,以從上也。
《상전》에서 말하였다:"밖으로 어진 이에 맞닿아[比] 그로써 위쪽을 따름이다.”
九五,顯比。王用三驅,失前禽。邑人不誡,吉。
구오(九五)는 친함을 드러내고, 왕이 삼면(三面)몰이를 쓰면 앞의 짐승을 잃지만 고을 사람들이 경계하지 않으니 길하다.
【王弼 注】 為比之主而有應在二,顯比者也。比而顯之,則所親者狹矣。夫无私於物,唯賢是與,則去之與來,皆无失也。夫三驅之禮,禽逆來趣己則舍之,背己而走則射之,愛於來而惡於去也,故其所施,常失前禽也。以顯比而居王位,用三驅之道者也,故曰「王用三驅,失前禽也」。用其中正,征討有常,伐不加邑,動必討叛,邑人无虞,故「不誡」也。雖不得乎大人之吉,是顯比之吉也。此可以為上之使,非為上之道也。
【왕필 주】비(比)의 주체[主]가 되어서 육2(六二)에 존재하는 응(應)이 있으니, 친함을 드러내는 것이다. 친한데도 드러내 나가면 친한 것이 좁아지는 바이다. 무릇 사물에 사사로움이 없고, 오직 이와 더블어 현명하다면 떠나 가고 옴을 모두 잃음이 없다. 무릇 삼면(三面)몰이의 예(禮)는, 짐승이 거슬러 와서 자기 측을 취하면 버려두고 자기를 등지고 달아나면 쏘아 잡으며, 오는 데에는 사랑하고 달아나는 데에는 미워한다, 그러므로 그 베푸는 바가 항상 앞의 짐승을 놓아준다. 친함을 드러내면서 왕의 지위에 머무르고, 삼면(三面) 몰이의 도(道)를 쓰는 것이며, 그러므로 말하기를 "왕이 삼면(三面) 몰이를 쓰면 앞의 짐승을 놓아준다“라고 하였다. 그 가운데 바름[中正]을 사용하여, 정벌과 토벌이 떳떳함이 있고 징벌을 고을에 더하지 않으며 출동하면 반드시 배반을 토벌하니, 고을 사람들이 염려가 없기 때문에 경계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비록 대인(大人)의 길함은 얻지 못했지만 이는 친함이 드러나[顯比]는 길함이다. 이는 윗[사람]의 부림으로 여길 수 있지만 윗사람의 도리는 되지 못한다.
《象》曰:顯比之吉,位正中也。舍逆取順,失前禽也。邑人不誡,上使中也。
《상전》에서 말하였다:“맞닿아[比] 드러남의 길함은 자리가 중정(正中)함인데, 거역함을 버리고 따름을 취함은 앞의 짐승을 놓아줌이며, 고을 사람들이 경계하지 않음은 위의 부림이 중도에 맞음이다.”
上六,比之无首,凶。
상육(上六)은 맞닿아[比] 나가는데 머리가 없으니, 흉하다.
【王弼 注】 无首,後也。處卦之終,是後夫也。親道已成,无所與終,為時所棄,宜其凶也。
【왕필 주】머리가 없음은 뒤쪽이다. 괘(卦)의 마치는 곳이니 바로 뒤쪽의 사내이다. 친함의 도(道)가 이미 이루어져서 더블어 마칠 바 없으니 버릴 바의 때가 되었으니 마땅히 흉함이다.
《象》曰:比之无首,无所終也。
《상전》에서 말하였다:“맞닿아[比] 나가는데 머리가 없음은, 마칠 곳이 없음이다.”
'◑왕필 주역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왕필 주역주』10. 리괘(履卦)[卦象:천택리] (0) | 2022.06.02 |
---|---|
▣ 왕필 주역주/9. 소축괘(小畜卦)[卦象:풍천소축] (0) | 2022.05.31 |
▣ 왕필 주역주/7. 사괘(師卦)[卦象:지수사] (0) | 2022.05.28 |
▣ 왕필 주역주/6. 송괘(訟卦)[卦象:천수송] (0) | 2022.05.27 |
▣ 왕필 주역주/5. 수괘(需卦)[卦象:수천수] (0) | 2022.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