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왕필 주역주
○ 왕필(王弼.226~249)
위(魏)나라 산음(山陰, 산동성) 사람이며 자는 보사(輔嗣)이다. 풍부한 재능을 타고나 유복한 환경에서 자랐기 때문에 일찍 학계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나 24살에 요절한 뛰어난 학자이다.
54. 귀매괘(歸妹卦)[卦象:뇌택귀매]
☳ 震上
☱ 兌下
태(兌)[澤.못]가 아래에 있고, 진(震)[雷.우뢰]이 위에 있다.
歸妹,征凶,无攸利。
귀매(歸妹)는 가면 흉하고 펼침[伸]이 없어야 이롭다.
【王弼 注】 妹者,少女之稱也。兌為少陰,震為長陽,少陰而承長陽,說以動,嫁妹之象也。
【왕필 주】매(妹, 누이 매)라는 것은, 소녀를 칭함이다. 태(兌)는 소음(少陰)이 되고 진(震)은 장양(長陽)이 되며 소녀[少陰]인데 장남[長陽]을 받들어 설득되어 그로써 움직임이 시집가는 소녀[嫁妹]의 모습[象]이다.
《彖》曰:歸妹,天地之大義也。 天地不交,而萬物不興。歸妹,人之終始也。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 "귀매(歸妹)는 하늘과 땅의 큰 뜻이다. 하늘과 땅이 사귀지 않고서는 만물이 일어나지 못하니, 귀매(歸妹)는 사람의 마침과 시작이다.
【王弼 注】 陰陽既合,長少又交,天地之大義,人倫之終始。
【왕필 주】 음(陰)과 양(陽)이 이미 합하고 장남과 소녀가 또 사귐이 천지의 큰 뜻이며 사람 윤리의 마침과 사작이다.
說以動,所歸妹也。
설득되어 그로써 움직임은, 소녀가 시집가는 바이다.
【王弼 注】 少女而與長男交,少女所不樂也。而今說以動,所歸必妹也。雖與長男交嫁而係娣,是以說也。
【왕필 주】소녀이면서 장남과 더블어 사귀니 소녀는 즐겁지 않은 바이다. 그런데 지금 설득되어서 움직임은 시집가는 바가 반드시 소녀이다. 비록 장남과 더블어 사귀며 시집가는데 잉첩(媵妾)에 묶이니 바로 그로써 설득됨이다.
征凶,位不當也。
가면 흉함은, 자리가 마땅하지 않음이다.
【王弼 注】 履於不正,說動以進,妖邪之道也。
【왕필 주】 바르지 않음을 밟고 설득되어 움직여 그로써 나아가니 요망(妖妄)하고 간사(奸邪)함의 도(道)이다.
无攸利,柔乘剛也。
펼침[伸]이 없어야 이로움은, 부드러움[五爻]이 굳셈[四爻]을 올라탔음이다."
【王弼 注】 以征則有不正之凶,以處則有乘剛之逆。
【왕필 주】그로써 가면 바르지 않음의 흉함이 있고 그로써 처하면 굳셈을 올라타는 거스름이 있다.
《象》曰:澤上有雷,歸妹,君子以永終知敝。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못 위에 우레가 있음이 귀매(歸妹)괘인데, 군자가 그로써 마침이 영원함과 [만물이] 망가짐을 안다."
【王弼 注】 歸妹,相終始之道也,故以永終知敝。
【왕필 주】소녀가 시집감[歸妹]은 서로 마치고 시작함의 도(道)이다, 그러므로 그로써 마침이 영원함과 [만물이] 망가짐을 안다.
初九,歸妹以娣,跛能履征吉。
초구(初九)는 소녀가 잉첩(媵妾)으로 시집가는데, 절름발이라도 잘 이행하여 가니 길하다.
【王弼 注】 少女而與長男為耦,非敵之謂,是娣從之義也。妹,少女之稱也。少女之行,善莫若娣。夫承嗣以君之子,雖幼而不妄行。少女以娣,雖跛能履,斯乃恒久之義,吉而相承之道也。以斯而進,吉其宜也。
【왕필 주】소녀(少女)이면서 장남(長男)과 더블어 짝짓게 되고 대적을 함이 아님을 가리키니 이는 잉첩(媵妾)이 따라 간다는 뜻이다. 매(妹, 누이 매)는 소녀를 칭함이다. 소녀(少女)의 [시집] 감은 잉첩[娣] 같이 좋은 것이 없는데, 그는 군주의 자식으로 후사를 이으니 비록 어리지만 망령되이 가지는 않으며, 소녀가 잉첩[娣]으로 가면 비록 절름발이 이더라도 잘 이행하니, 이는 바로 항상하고 오래함의 뜻이며, 길하면서 서로 [후사를] 이어주는 도(道)이다. 이로써 하여 나아가면 길함이 마땅하다.
《象》曰:歸妹以娣,以恒也。跛能履吉,相承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소녀가 잉첩(媵妾)으로 시집감은, 그로써 항상함이다. 절름발이라도 잘 이행하여 길함은, 도와서 계승함이다.”
九二,眇能視,利幽人之貞。
구이(九二)는 애꾸눈이 잘 보니, 숨은 사람의 곧음이라야 이롭다.
【王弼 注】 雖失其位,而居內處中,眇猶能視,足以保常也。在內履中,而能守其常,故利幽人之貞也。
【왕필 주】비록 그 지위를 잃었지만 안에 거주하고 가운데에 처하였으니 애꾸눈이 오히려 잘 보고 넉넉하게 그로써 떳떳함을 보존한다. 안에 있으며 가운데[中]를 밟고서 그 떳떳함을 잘 지키기 때문에 숨은 사람의 곧음이라야 이롭다.
《象》曰:利幽人之貞,未變常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숨은 사람의 곧음이라야 이로움은, 떳떳함이 변하지 않았음이다."
六三,歸妹以須,反歸以娣。
육삼(六三)은 소녀가 시집가서 그로써 비천[須]해지니, 돌이켜 잉첩[娣]으로서 시집간다.
【王弼 注】 室主猶存,而求進焉,進未值時,故有須也。不可以進,故反歸待時,以娣乃行也。
【왕필 주】안방 주인이 오히려 있는데도 나아가를 구하니 나아가도 아직 값어치 있는 때가 아니기 때문에 천해짐[수염]이 있다. 나아갈 수 없기 때문에 돌아와 때를 기다려 시집가는데 잉첩으로써 마침내 감이다.
《象》曰:歸妹以須,未當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소녀가 시집가서 그로써 비천해짐은, 아직 마땅하지 않음이다.”
九四,歸妹愆期,遲歸有時。
구사(九四)는 소녀가 시집가는데 기한을 어기니, 시집감이 늦어짐은 때가 있음이다.
【王弼 注】 夫以不正无應而適人也,必須彼道窮盡,无所與交,然後乃可以往,故愆期遲歸,以待時也。
【왕필 주】그가 바르지 않음으로써 응(應)이 없는데도 남에게 가면, 반드시 저쪽의 도(道)가 궁함을 다하여 더블어 사귀는 바가 없어서 비천[須]해진 연후에야 비로소 갈 수가 있기 때문에 기한을 어기고 시집감이 늦어지니 그로써 때를 기다림이다.
《象》曰:愆期之志,有待而行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기한을 어김의 뜻은, 기다림이 있고서 행[혼인]함이다.”
六五,帝乙歸妹,其君之袂,不如其娣之袂良,月幾望,吉。
육오(六五)는 제을(帝乙)이 누이를 시집보내는데, 그 군주의 소매가 잉첩[娣]의 좋은 소매 만 못하지만, 달이 거의 보름이니 길하다.
【王弼 注】 歸妹之中,獨處貴位,故謂之帝乙歸妹也。袂,衣袖,所以為禮容者也。其君之袂,謂帝乙所寵也,即五也。為帝乙所崇飾,故謂之其君之袂也。配在九二,兌少震長,以長從少,不若以少從長之為美也,故曰不若其娣之袂良也。位在乎中,以貴而行,極陰之盛,以斯適配,雖不若少,往亦必合,故曰月幾望吉也。
【왕필 주】귀매(歸妹)괘의 가운데 홀로 귀한 지위에 처하기 때문에 일컫기를 "제을(帝乙)이 누이를 시집보낸다."라고 했다. 몌(袂, 소매 몌)는 옷의 소매인데 예절의 얼굴로 삼는 까닭인 것이다. 그 임금의 소매는 제을(帝乙)의 총애하는 바를 일컫는데 즉 육5(六五)이다. 제을(帝乙)이 꾸밈을 숭상하는 바로 하였기 때문에 일컫기를 그 임금의 소매라 하였다. 배필이 구2(九二)에 있는데 태(兌)는 소녀(少女)이고 진(震)은 장남(長男)이니, 장남(長男)으로써 소녀(少女)를 따름은 소녀(少女)를 가지고 장남(長男)을 따르는 것 보다 아름다움으로 삼지 않는다. 그러므로 “그 잉첩[娣]의 좋은 소매에 같지는 못하다.”라고 말한 것이다. 지위가 가운데[中]에 있으면서 귀함으로써 행하니 음(陰)의 성(盛)함이 지극하며, 이로써 배필에게 가면 비록 소녀(少女)만 못하나 가면 또한 반드시 합하기 때문에 “달이 거의 보름이니, 길하다.”라고 말한 것이다.
《象》曰:帝乙歸妹,不如其娣之袂良也, 其位在中,以貴行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제을(帝乙)이 누이를 시집보내는데 잉첩의 훌륭한 소매 만 못함은, 그 지위가 가운데[中]에 있어서 그로써 귀함을 행함이다.”
上六,女承筐无實,士刲羊无血,无攸利。
상육(上六)은 여자가 광주리를 받드는데 담긴 과실이 없고, 남자[관리]가 양을 베었는데 피가 없으니, 펼침[敒]이 없어야 이롭다.
【王弼 注】 羊,謂三也。處卦之窮,仰无所承,下又无應,為女而承命,則筐虛而莫之與。為士而下命,則刲羊而无血。刲羊而无血,不應所命也。進退莫與,故曰无攸利也。
【왕필 주】양(羊)은 육3(六三)을 가리킨다. 괘(卦)의 처함이 궁하고 우러러 받들 곳이 없으며 아래로 또 응(應)이 없으니 여자를 하여서 명을 받들면 광주리가 비어서 주는 것이 없고, 남자[관리]를 삼아서 명을 내리면 양을 잡는데도 피가 없다. 양을 잡는데도 피가 없으니 명하는 바에 응하지 않음이다. 나아가고 물러남은 더블음이 없기 때문에 “펼침[敒]이 없어야 이롭다.”라고 말했다.
《象》曰:上六无實,承虛筐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상육(上六)이 열매가 없음은, 빈 광주리를 받드는 것이다.”
'◑왕필 주역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 56. 려괘(旅卦)[화산려]/王弼 注 (0) | 2022.12.07 |
---|---|
주역 55. 풍괘(豊卦)[뇌화풍]/王弼 注 (1) | 2022.12.06 |
주역 53. 점괘(漸卦)[풍산점]/王弼 注 (0) | 2022.12.04 |
주역 52. 간괘(艮卦)[중산간]/王弼 注 (1) | 2022.12.02 |
주역 51. 진괘(震卦)[중뢰진]/王弼 注 (1) | 2022.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