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왕필 주역주

 왕필(王弼.226~249)

()나라 산음(山陰, 산동성) 사람이며 자는 보사(輔嗣)이다. 풍부한 재능을 타고나 유복한 환경에서 자랐기 때문에 일찍 학계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나 24살에 요절한 뛰어난 학자이다.

 

53. 점괘(漸卦)[卦象:풍산점]

 巽上

 艮下

()[.]이 아래에 있고, ()[.바람]이 위에 있다.

 

女歸吉利貞

()은 여자가 시집감이 길하고, 곧아야 이롭다.

王弼 注 漸者漸進之卦也止而巽以斯適進漸進者也以止巽為進故女歸吉也進而用正故利貞也

왕필 주(, 점점 점)이란 것은, 점점 나아가는 괘()이다. 그치면서 겸손하니 이로써 나아가 맞이하여 점점 나아가는 자이다. 그치고 공손함으로써 나아가려고 하기 때문에 여자의 시집감이 길()함인데, 나아가면서 바름을 쓰기 때문에 곧음이 이로운 것이다.

 

漸之進也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 "점진적으로 나아감은,

王弼 注 之於進也

왕필 주 나아감으로 감이다.

女歸吉也, 進得位往有功也, 進以正可以正邦也 其位剛得中也

여자가 시집감이 길함은 나아가 지위를 얻어 감에 공()이 있으니 바름으로써 나아가야 나라를 바로잡을 수 있다. 그 자리가 굳세어 가운데[]를 얻었다.

王弼 注 以漸進得位也

왕필 주그로써 점점 나아가 지위를 얻었음이다.

止而巽動不窮也

그치고서 공손하니, 움직임이 궁하지 않다."

 

山上有木君子以居賢德善俗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산 위에 나무가 있음이 점()괘인데, 군자가 그로써 현명한 덕()과 착한 풍속에 거주했다."

王弼 注 賢德以止巽則居風俗以止巽乃善

왕필 주현명한 덕()은 그침과 겸손함으로써 하면 [지위에] 거주하고, 풍속은 그침과 겸손함으로써 마침내 착해진다.

 

 

初六鴻漸于干小子厲有言无咎

초육(初六)은 기러기가 물가[가물 한]로 점점 나아가니, 어린아이는 위태하고 말이 있지만 허물은 없다.

王弼 注 水鳥也適進之義始於下而升者也故以鴻為喻六爻皆以進而履之為義焉始進而位乎窮下又无其應若履于干危不可以安也始進而未得其位則困於小子窮於謗言故曰小子厲有言也困於小子讒諛之言未傷君子之義故曰无咎也

왕필 주(기러기 홍)은 물새이다. 나아가 맞이함의 뜻은 아래에서 시작하여서 올라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기러기로써 비유를 하였다. 여섯 효()가 모두 그로써 나아가면서 이행을 하는 그곳을 뜻으로 삼고 나아가기 시작하여서 궁한 아래에 자리하며 또 그 응()이 없는데, 만약 물가를 밟으면 위태로워 편안함이 안 된다. 나아가기 시작하면서 그 자리를 얻지 못하면 어린아이에게는 곤하고 헐뜯는 말에 궁하기 때문에 "어린아이는 위태하고 [비방하는] 말이 있다."라고 말했다. 어린아이에게는 곤함은 아첨하여 참소하는 말인데 아직 군자의 뜻은 상하지는 않았기 때문에 "허물이 없다."라고 말했다.

小子之厲義无咎也

상전에서 말하였다. “어린아이의 위태로움은, 뜻에 허물이 없음이다.”

 

六二鴻漸于磐飲食衎衎

육이(六二)는 기러기가 반석으로 점점 나아가 음식을 매우 즐겁게 먹으니 길하다.

王弼 注 山石之安者也進而得位居中而應本无祿養進而得之其為歡樂願莫先焉

왕필 주(, 너럭바위 반), 산의 돌이 편안한 것이다. 나아가서 지위를 얻고 가운데 거주하면서 응()하며 본래 녹을 길러줌이 없는데도 나아가서 얻게 되니 기쁘고 즐겁게 되어 훤함이 그것 보다 앞섬이 없다.

飲食衎衎不素飽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음식을 매우 즐겁게 먹음은, 바탕이 배부르지 않음이다."

 

鴻漸于陸夫征不復婦孕不育利禦寇

구삼(九三)은 기러기가 뭍으로 점점 나아가니, 남편이 잡으러가서 돌아오지 않았는데, 부인이 잉태하면 기르지 못하여 흉하다, 도적을 막아야 이롭다

王弼 注 高之頂也進而之陸與四相得不能復反者也夫征不復樂於邪配則婦亦不能執貞矣非夫而孕故不育也三本艮體而棄乎群醜與四相得遂乃不反至使婦孕不育見利忘義貪進忘舊凶之道也異體合好順而相保物莫能間故利禦寇也

왕필 주(, 뭍 륙)은 높은데의 꼭대기이다. 나아가서 뭍에 가니 육4(六四)와 더블어 서로 얻으니 다시 잘 돌아오지 못하는 자이다. 남편이 잡으러 가서 돌아오지 않는데 간사함에 짝하여 즐긴다면 부인 또한 곧음을 잘 지키지 않음이다. 남편이 아닌데 잉태했기 때문에 기르지 못함이다. 3(九三)은 본래 어진 몸[]인데도 무리가 추함을 버리고 육4(六四)와 더불어 서로 얻어 드디어 비로소 돌아오지 아니하여 부인으로 하여금 [남의 자식을] 임신하게 하여 기르지 못함에 이르렀으니, 이익을 보고 의리를 잊으며 나아가기를 탐하여 옛 것을 잊음은 흉()함의 도()이다. []이 다른데도 좋아서 합하고 순종하면서 서로 보존(保全)하면 남[사물]들이 잘 간섭함이 없기 때문에 도적을 막음이 이로운 것이다.

夫征不復離群醜也婦孕不育失其道也利用禦寇順相保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남편이 잡으러가서 돌아오지 않음은, 무리의 부류(部類)를 떠났다. 부인은 잉태해도 기르지 못함은, 그 도()를 잃었음이다. 도적을 막는데 사용함이 이로움은, 순종하여 서로 보존함이다.” 

 

六四源漸于木或得其桷无咎

육사(六四)는 기러기가 나무[]로 점점 나아가 혹 그 서까래를 얻으면, 허물이 없다.

王弼 注 鳥而之木得其宜也或得其桷遇安棲也雖乘于剛志相得也

왕필 주새 이면서 나무에 감은 그 마땅함을 얻음이고, 혹 서까래를 얻음은 편안히 깃들 데를 만남이다. 비록 굳셈에 올라타지만 뜻은 서로 얻음이다.

或得其桷順以巽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혹 그 튼튼한 가지를 얻음은, 순하여 그로써 공손함이다.”

 

九五鴻漸于陵婦三歲不孕終莫之勝

구오(九五)는 기러기가 구릉으로 점점 나아가니, 부인이 삼년을 잉태하지 못하지만 끝내는 이기지 못하여 길하다.

王弼 注 次陸者也進得中位而隔乎三四不得與其應合故婦三歲不孕也各履正而居中三四不能久塞其塗者也不過三歲必得所願矣進以正邦三年有成成則道濟故不過三歲也

왕필 주구릉[]은 뭍에 버금가는 것이다. 나아가 가운데 지위를 얻었는데도 구3(九三)과 육4(六四)에 막혀서 그 응()과 함께 합함을 얻지 못하기 때문에 부인이 삼년을 임신하지 못했다. [六二 九五] 각각 바른데를 밟고서 가운데[]에 거주하니 구3(九三)과 육4(六四)가 그 길을 오래도록 잘 막지는 못하니, 삼년을 지나지 않아서 반드시 원하는 바를 얻는다. 나아가 연방(聯邦)을 바로잡음으로써 삼년이면 이루어짐이 있으며 이루어지면 도()가 구제되기 때문에 삼년을 넘기지 않는 것이다. 

終莫之勝吉得所願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끝내는 이기지 못하하여 길함은, 원하던 바를 얻었음이다.”

 

上九鴻漸于陸其羽可用為儀

상구(上九)는 기러기가 뭍으로 점점 나아가는데, 그 날개를 거동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니, 길하다

王弼 注 進處高絜不累於位无物可以屈其心而亂其志峨峨清遠儀可貴也故曰其羽可用為儀

왕필 주나아가 고결(高絜)한데에 처하지만 지위에 묶이지 못하고 그 마음을 굽힐 수 있지만 그 뜻이 어지럽히는 사물이 없어서, 높이 높이 날아 맑고 멀리 거동하니 귀할 수 있다. 그러므로 그 날개를 거동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니 길하다.”라고 말했다. 

其羽可用為儀吉不可亂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그 날개를 거동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니 길함은, 어지럽힐 수가 없음이다.”

  

 잡괘전(雜卦傳) : 漸女歸待男行也.<“괘는 여자가 시집가려고 남자의 행함(行事)을 기다림이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