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왕필 주역주
○ 왕필(王弼.226~249)
위(魏)나라 산음(山陰, 산동성) 사람이며 자는 보사(輔嗣)이다. 풍부한 재능을 타고나 유복한 환경에서 자랐기 때문에 일찍 학계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나 24살에 요절한 뛰어난 학자이다.
57. 손괘(巽卦)[卦象:중풍손]
☴ 巽上
☴ 巽下
손(巽)[風.바람]이 아래에 있고, 손(巽)[風.바람]이 또 위에 있다.
巽,小亨。
손(巽)은 조금 형통하니,
【王弼 注】 全以巽為德,是以小亨也。上下皆巽,不違其令,命乃行也。故申命行事之時,上下不可以不巽也。
【왕필 주】온전히 유순(柔順)함으로써 덕(德)을 삼으니 이로써 조금 형통하다. 위와 아래가 모두 유순(柔順)하고 그 령(令)을 어기지 않으니 명(命)이 비로소 행해진다. 그러므로 일을 행하는 때에는 거듭 명령을 내려 위와 아래가 유순(柔順)하지 않으면 안 된다.
利有攸往,
가서 펼침[敒]이 있어야 이롭고,
【王弼 注】 巽悌以行,物无距也。
【왕필 주】유순(柔順)하고 공손함으로써 행하면, 남[사물]들의 막음이 없다.
利見大人。
대인(大人)을 만나봄이 이롭다.
【王弼 注】 大人用之,道愈隆。
【왕필 주】대인(大人)을 쓰게 되면 도(道)가 더욱 높아진다.
《彖》曰:重巽以申命,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 "손(巽)괘가 거듭됨으로써 명령을 거듭하니,
【王弼 注】 命乃行也。未有不巽而命行也。
【왕필 주】명령이 비로소 행해짐이다. 유순(柔順)하지 않는데도 명령을 행해짐은 있지 않다.
剛巽乎中正而志行。
굳셈이 가운데 바름[中正]에서 유순(柔順)하여서 뜻이 행해진다.
【王弼 注】 以剛而能用巽,處乎中正,物所與也。
【왕필 주】굳셈으로써 유순(柔順)함을 잘 사용하고 가운데 바름[中正]에 처하니 남[사물]이 함께하는 바이다.
柔皆順乎剛,
부드러움이 모두 굳셈에 순응하고,
【王弼 注】 明无違逆,故得小亨。
【왕필 주】밝음은 어기고 거스름이 없기 때문에 조금 형통함을 얻는다.
是以小亨,利有攸往,利見大人。
이로써 조금 형통하니, 가서 펼침[敒]이 있어야 이롭고, 대인(大人)을 봄이 이롭다.
《象》曰:隨風巽,君子以申命行事。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바람을 따름이 손(巽)괘인데, 군자가 그로써 명령을 거듭하여 일을 행한다."
初六,進退,利武人之貞。
초육(初六)은 나아가고 물러나니, 무인(武人)의 곧음이 이롭다.
【王弼 注】 處令之初,未能服令者也,故進退也。成命齊邪,莫善武人,故利武人之貞以整之。
【왕필 주】 명령(命令)의 처음에 처하니 아직 명령(命令)을 잘 복종하도록 못하는 자이다, 그러므로 나아갔다 물러났다 함이다. 명령을 이루고 간사함을 가지런히 함은 무인 보다 잘함이 없기 때문에 무인의 곧음으로써 정리(整理)를 함이 이롭다.
《象》曰:進退,志疑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나아가고 물러남은, 뜻이 의심스러움이다.”
【王弼 注】 巽順之志,進退疑懼。
【왕필 주】유순하게 따름의 뜻은, 나아가고 물러남이 의심나고 두려움이다.
利武人之貞,志治也。
무인(武人)의 곧음이 이로움은, 다스림을 뜻함이다.“
九二,巽在床下,用史巫紛若 吉 无咎。
구이(九二)는 유순(柔順)하여 상(床) 아래에 있으니, [命令을] 축사(祝史)와 점치는 사람[巫人]이 풍성(豊盛)한 듯이 사용하면 길하여 허물이 없어진다.
【王弼 注】 處巽之中,既在下位,而復以陽居陰,卑巽之甚,故曰巽在床下也。卑甚失正則入于咎過矣。能以居中而施至卑於神祇,而不用之於威勢,則乃至于紛若之吉,而亡其過矣。故曰「用史巫紛若,吉,无咎」也。
【왕필 주】손(巽)괘의 가운데에 처하고 이미 아래 지위에 있으면서 다시 양(陽)으로써 음(陰)에 거주하며 유순(柔順)하여 낮춤이 심하기 때문에 "유순하여 상 아래에 있다."라고 말했다. 낮음이 심하여 바름을 잃으면 허물과 재앙에 들어간다. 가운데 머무름을 잘하면서 천신(天神)과 땅귀신[地祇]에 지극한 낮춤을 베풀면서 위엄있는 형세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마침내 풍성(豊盛)함의 길함에 이르러서 그 허물이 없어진다. 그러므로 말하기를 "사관(史官)과 점치는 사람[巫人]이 풍성(豊盛)한 듯이 사용하여 길하고 허물이 없다."라고 했다.
《象》曰:紛若之吉。得中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풍성(豊盛)한 듯이 길함은, 가운데[中]를 얻었음이다."
九三,頻巽吝。
구삼(九三)은 [命令이] 자주 유순(柔順)하니 부끄럽다.
【王弼 注】 頻,頻蹙也,不樂而窮,不得已之謂也。以其剛正而為四所乘,志窮而巽,是以吝也。
【왕필 주】빈(頻, 자주 빈)은 자주 재촉함인데, 즐겁지 않으면서 궁하여 부득이함을 말한다. 그로써 그 굳센 바름인데도 육4(六四)에게 탐을 당하는 바가 되니 뜻이 궁하여서 유순(柔順)하며, 이 때문에 부끄러운 것이다.
《象》曰:頻巽之吝,志窮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자주 유순함의 부끄러움은, 뜻이 궁함이다."
六四,悔亡。田獲三品。
육사(六四)는 후회가 없어짐은, 사냥에서 세가지 품(品)을 얻었음이다.
【王弼 注】 乘剛,悔也。然得位承五,卑得所奉,雖以柔御剛,而依尊履正,以斯行命,必能獲強暴,遠不仁者也。獲而有益,莫善三品,故曰悔亡,田獲三品。一曰乾豆,二曰賓客,三曰充君之庖。
【왕필 주】굳셈을 올라탓음을 후회함이다. 그러나 지위를 얻어 구5(九五)를 받들고 낮은데도 받드는 바를 얻었으니 비록 부드러움으로서 굳셈을 제어하면서 높은데 의지하고 바름을 이행하며 이로써 명을 행하니 반드시 강하고 사나움을 잘 얻어 어질지 않는 자를 멀리한다. 획득하여서 더함이 있음은, 세가지 품(品) 보다 좋음이 없기 때문에 말하기를 “후회가 없어짐은, 사냥에서 세가지 품(品)을 얻었음이다.”라고 했는데, 하나는 천제의 제기[乾豆]를 말하고, 둘은 손님[賓客] 접대를 말하며, 셋은 군주의 푸줏간에 채움을 말한다.
《象》曰:田獲三品,有功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사냥을 하여 세가지 품(品)을 얻음은, 공(功)이 있음이다.”
九五,貞吉,悔亡,无不利,无初有終。先庚三日,後庚三日,吉。
구오(九五)는 [명령(命令)이] 곧아야 길하고 후회가 없어지며 이롭지 않음이 없으니 처음은 없으나 마침은 있다. 바꿈[庚]은 삼일을 먼저하고 바꿈[庚]에서 뒤로 삼일을 하면 길하다.
【王弼 注】 以陽居陽,損於謙巽,然秉乎中正以宣其令,物莫之違,故曰「貞吉,悔亡,无不利」也。化不以漸,卒以剛直用加於物,故初皆不說也。終於中正,邪道以消,故有終也。申命令謂之庚。夫以正齊物,不可卒也。民迷固久,直不可肆也。故先申三日,令著之後,復申三日,然後誅而无咎怨矣。甲,庚,皆申命之謂也。
【왕필 주】양(陽)으로써 양(陽)에 거주하여 겸손하고 유순함을 덜어낸다, 그러나 가운데 바름을 잡고 그로써 명령(命令)이 마땅하니 남[사물]들이 어김이 없기 때문에 “곧아야 길하고 후회가 없어지며 이롭지 않음이 없다.”라고 말했다. 달라짐을 점진적으로 하지 않고 끝냄은 굳세고 곧음으로써 남[사물]에게 더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처음은 모두 설득되지 않는다. 가운데 바름에서 마치고 간사함을 도(道)로써 없애기 때문에 끝마침이 있음이다. 명령을 거듭함을 일컫기를 경(庚)이라 한다. 그[命令]로써 남[사물건]을 가지런히 바로잡음은, 졸지(猝地)에는 안 되고, 백성들의 혼미함이 굳게 오래되어 곧바로 [명령을] 벌리면 안된다. 그러므로 먼저 [명령을] 3일을 거듭하고 명령이 드러난 뒤에 다시 3일을 거듭헌 연후에 주벌하면 허물과 원망이 없다. 갑(甲)과 경(庚)은 모두 거듭 명(命)을 내림을 말한다.
《象》曰:九五之吉,位正中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구오(九五)의 길함은, 지위가 바른 가운데[正中]이기 때문이다."
上九,巽在床下,喪其資斧,貞凶。
상구(上九)는 유순함이 상(牀) 아래에 있어서 그 사용하는 도끼를 잃었으니, 곧으면 흉하다.
【王弼 注】 處巽之極,極巽過甚,故曰巽在床下也。斧,所以斷者也。過巽失正,喪所以斷,故曰「喪其資斧,貞凶」也。
【왕필 주】유순함[巽]의 꼭대기에 처하여 지극한 유순함이 지나치게 심하기 때문에 “유순함이 상(床) 아래에 있다.”라고 말했다. 도끼[斧]는 바로써 끊는 것이다. 유순함이 지나치면 바름을 잃고 결단하는 바를 잃기 때문에 “그 사용할 도끼를 잃으니, 곧으면 흉하다.”라고 말했다.
《象》曰:巽在床下,上窮也。喪其資斧,正乎凶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유순함이 상(床) 아래에 있음은, 위쪽이 궁함이다. 그 사용할 도끼를 잃었음은, 흉함으로 바로잡힘이다.”
'◑왕필 주역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 59. 환괘(渙卦)[풍수환]/王弼 注 (0) | 2022.12.13 |
---|---|
주역 58. 태괘(兌卦)[중택태]/王弼 注 (0) | 2022.12.10 |
주역 56. 려괘(旅卦)[화산려]/王弼 注 (0) | 2022.12.07 |
주역 55. 풍괘(豊卦)[뇌화풍]/王弼 注 (1) | 2022.12.06 |
주역 54. 귀매괘(歸妹卦)[뇌택귀매]/王弼 注 (0) | 2022.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