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논어주소(論語註疏)』​

◎ 『논어(論語)』 ​

○ 위정(為政) 卷​ 2- 3

​2-3) 子曰: "道之以政, 齊之以刑, 民免而無恥; 道之以德, 齊之以禮, 有恥且格."

(자왈: "도지이정, 제지이형, 민면이무치; 도지이덕, 제지이례, 유치차격.")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백성을] 정책으로써 인도하고 형벌로써 가지런히 하면, 백성들이 면하여도 부끄러워함이 없다, 덕(德)으로써 인도하고 예(禮)로써 가지런히 하면, 부끄러워함이 있고 또 올바르게 된다.”

 

《논어집해(論語集解)》

『논어집해(論語集解)』는 중국 위(魏)나라의 정치가이자 사상가였던 하안(何晏, 193 ~ 249)이 당시까지 전해지던 공자(孔子, B.C.551~B.C.479)가 지은 『논어(論語)』에 대한 주석을 모아 편찬한 책이다. 『논어집해(論語集解)』에는 공안국(孔安國, BC156?~BC74), 정현(鄭玄, 127~200), 마융(馬融, 79~166), 왕숙(王肅, 195~256), 포함(包咸, BC6~65), 주생렬(周生烈, ?~220) 등의 주석이 실려있으며, 하안(何晏)의 견해 역시 수록되어 있다.

【集解】子曰:「道之以政,(孔曰:「 政,謂法教。」 ◎공안국이 말하였다:“정(政)”은 법도를 본받게 함을 일컫는다.)齊之以刑,(馬曰:「齊整之以刑罰。」 ◎마융이 말하였다:“제(齊: 가지런할 제)”는 형을 처벌함으로써 가지런히 정돈(整頓)함이다.)民免而無恥。(孔曰:「免,苟免。」 ◎공안국이 말하였다:“면(免: 면할 면)”은 구차하게 벗어남이다.)道之以德,(包曰:「德,謂道德。」 ◎포함이 말하였다:“덕(德)”은 도덕을 일컫는다.)齊之以禮,有恥且格。」(格,正也。◎何晏 注 : “격(格: 격식 격)”은 올바름이다.)

 

 

 
 

《논어주소(論語註疏)》

공자(孔子, B.C.551~B.C.479)가 지은 논어(論語)에 하안(何晏, 193~249 魏)이 주(註)를 달아 논어집해(論語集解)를 지었으며, 북송(北宋)의 형병(邢昺, 932~1010)이 논어집해(論語集解)에 소(疏)를 붙여서 논어주소(論語註疏)를 지었다.
 

【註疏】 「 子曰」 至 「且格」。

【註疏】 논어 경문(經文)의 [자왈(子曰)]에서 [차격(且格)]까지

○正義曰:此章言為政以德之效也。

○正義曰: 이 장(章)은 덕(德)으로써 정치를 한 효과를 말한 것이다.

「道之以政」者,政,謂法教;道,謂化誘。言化誘於民,以法制教命也。

[경문(經文)에서] "정책으로써 인도하고[道之以政]라는 것은, 정(政)은 법(法)을 본받게 함을 말하고, 도(道)는 달라지도록 유도(誘導)함을 말하며, 백성을 법제와 교명으로써 달라지도록 유도함을 말한다.

「齊之以刑」者,齊,謂齊整;刑,謂刑罰。言道之以政而民不服者,則齊整之以刑罰也。

[경문(經文)에서] "형벌로써 가지런히 하면[齊之以刑]라는 것은, 제(齊: 가지런할 제)는 가지런히 정돈(整頓)함을 말하고 형(刑: 형벌 형)은 형을 처벌함을 말하며, 정책으로써 인도했는데도 백성이 복종하지 않는 것이라면 형벌로써 가지런히 정돈(整頓)함을 말함이다.

「民免而無恥」者,免,苟免也。言君上化民,不以德而以法制刑罰,則民皆巧詐苟免,而心無愧恥也。

[경문(經文)에서] "백성들이 면하여도 부끄러워함이 없다[民免而無恥]라는 것의, 면(免)은 구차하게 면함이며, 군주가 위에서 백성을 교화하면서 덕(德)으로써 하지 않고 법(法) 제도(制度)를 가지고 형(刑)을 처벌하면 백성들은 모두 교묘하게 속이고 구차하게 면하면서도 마음에 부끄러워함이 없다는 말이다.

「道之以德,齊之以禮,有恥且格」者,德,謂道德;格,正也。言君上化民,必以道德。民或未從化,則制禮以齊整,使民知有禮則安,失禮則恥。如此則民有愧恥而不犯禮,且能自脩而歸正也。

[경문(經文)에서] "덕으로써 인도하고 예로써 가지런히 하면, 부끄러워함이 있고 또 올바르게 된다[道之以德 齊之以禮 有恥且格]라는 것의, 덕(德)은 도덕(道德)을 말하고 격(格: 격식 격)은 바름이며, 군주가 위에서 백성을 교화(敎化)하면 반드시 도덕으로써 해야 한다는 말이다.

백성 중에 혹 교화(敎化)를 따르지 않으면 예(禮)를 제정(制定)함으로써 가지런히 정돈(整頓)하여 백성들로 하여금 예(禮)가 있으면 편안하고 예(禮)를 잃으면 치욕(恥辱)스러움을 알게 한다. 이와 같이 하면 백성들이 부끄러운 수취심(羞恥心)이 있어서 예(禮)를 범하지 않으며, 또 스스로 잘 닦아서 바름으로 돌아옴이다.

 

728x90
728x90

도덕경 왕필(王弼)注

◎ 도덕경(道德經) 46장

天下有道, 却走馬以糞,

天下無道, 戎馬生於郊.

禍莫大於不知足,

咎莫大於欲得,

故知足之足, 常足矣.

천하에 도가 있으면 달리는 말을 거둬들여서 거름주게 하고,

천하에 도가 없으면 군마(軍馬)가 들에서 새끼 낳는다.

재앙은 넉넉함을 알지 못함 보다 큰게 없고,

허물은 얻기를 바라는 것 보다 큰게 없다.

그러므로 넉넉함을 아는 넉넉함이 오래하는 넉넉함이다.

◎ 도덕경 46장/왕필(王弼)注

ㅡ 왕필(王弼.226~249)

위(魏)나라 산음(山陰, 산동성) 사람이며 풍부한 재능을 타고 났으나 24살에 요절한 뛰어난 학자이다. 하안과 함께 위진(魏晉) 현학[老莊學]의 시조로 일컬어진다.

天下有道,卻走馬以糞。

<천하에 도가 있으면 달리는 말을 거둬들여서 거름주게 하고>

【王弼 注】 天下有道,知足知止,無求於外,各修其內而已,故卻走馬以治田糞也。

【왕필 주】 천하에 도가 있으면 넉넉함을 알고 그침을 알며 밖에서 구함이 없으니 각각 그 안을 닦을 뿐이기 때문에 달리는 말을 거둬들여 밭의 거름을 다스린다.

天下無道,戎馬生於郊。

<천하에 도가 없으면 군마(軍馬)가 들에서 새끼 낳는다.>

【王弼 注】 貪欲無厭,不修其內,各求於外,故戎馬生於郊也。

【왕필 주】 탐하는 욕심을 싫어함이 없고 그 안을 닦지 않으며 각각 밖에서 구하기 때문에 군마(軍馬)가 들에서 살아간다.

禍莫大於不知足;咎莫大於欲得。故知足之足,常足矣。

<재앙은 넉넉함을 알지 못함 보다 큰게 없고, 허물은 얻을 욕심 보다 큰게 없다. 그러므로 넉넉함을 아는 넉넉함이 오래하는 넉넉함이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