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논어주소(論語註疏)』​

◎ 『논어(論語)』

○ 학이(學而) 卷1-16

1-16) 子曰:「 不患人之不己知,患不知人也。」

(자왈: "불환인지불기지, 환부지인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남이 자기를 알아주지 않음을 근심하지 않고, 남을 알지 못함을 근심한다.”

 

《논어집해(論語集解)》

『논어집해(論語集解)』는 중국 위(魏)나라의 정치가이자 사상가였던 하안(何晏, 193 ~ 249)이 당시까지 전해지던 공자(孔子, B.C.551~B.C.479)가 지은 『논어(論語)』에 대한 주석을 모아 편찬한 책이다. 『논어집해(論語集解)』에는 공안국(孔安國, BC156?~BC74), 정현(鄭玄, 127~200), 마융(馬融, 79~166), 왕숙(王肅, 195~256), 포함(包咸, BC6~65), 주생렬(周生烈, ?~220) 등의 주석이 실려있으며, 하안(何晏)의 견해 역시 수록되어 있다.
 

【集解】 子曰: "不患人之不己知, 患不知人也."

 『논어집해(論語集解)』 주석 없음.

 

 

 
 

《논어주소(論語註疏)》

공자(孔子, B.C.551~B.C.479)가 지은 논어(論語)에 하안(何晏, 193~249 魏)이 주(註)를 달아 논어집해(論語集解)를 지었으며, 북송(北宋)의 형병(邢昺, 932~1010)이 논어집해(論語集解)에 소(疏)를 붙여서 논어주소(論語註疏)를 지었다.
 

【註疏】 “子曰:不患人之不己知,患不知人也”。

【註疏】 논어 경문(經文)의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남이 자기를 알아주지 않음을 근심하지 않고, 남을 알지 못함을 근심한다.'[子曰:不患人之不己知,患不知人也]”

○正義曰:此章言人當責己而不責人。

○正義曰:이 장(章)은 사람은 자기를 책망하고 남을 책망하지 않아야 함을 말하였다.

凡人之情,多輕易於知人,而患人不知己,故孔子抑之云:“我則不耳。不患人之不己知,但患己不能知人也。”

무릇 사람의 마음은 남을 아는 데에는 가볍고 쉬움이 많으면서 남이 자기를 알아주지 않음을 걱정하기 때문에 공자께서 억제하면서 이르시기를 “나는 그렇게 않을 뿐이다.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음을 걱정하지 않고 단지 자기가 남을 잘 알지 못함을 걱정한다.”라고 하셨다.

 

728x90
728x90

도덕경 왕필(王弼)注

◎ 도덕경(道德經) 43장

天下之至柔,

馳騁天下之至堅.

無有入無間,

吾是以知無爲之有益.

不言之敎無爲之益,

天下希及之.

천하의 지극한 부드러움은,

천하의 지극한 굳셈을 말달려서 부린다.

없음이 없음의 사이에 들어가면 있음이 되는데,

내가 이로써 없음이 함을 하여 있음이 더해짐을 알았다.

말을 하지 않는 가르침은 없음이 함을 하여 더해짐인데,

천하에서 그에 미치는 이가 드물었다.

◎ 도덕경 43장/왕필(王弼)注

ㅡ 왕필(王弼.226~249)

위(魏)나라 산음(山陰, 산동성) 사람이며 풍부한 재능을 타고 났으나 24살에 요절한 뛰어난 학자이다. 하안과 함께 위진(魏晉) 현학(玄學, 老莊學)의 시조로 일컬어진다.

天下之至柔,馳騁天下之至堅。

<천하의 지극한 부드러움은, 천하의 지극한 굳셈을 달려가서 부린다. >

【王弼 注】 氣無所不入,水無所不出於經。

【왕필 주】 기는 들어가지 못하는 곳이 없고, 물은 경서(經書)에 나오지 않는 바 없다.

無有入無閒,吾是以知無為之有益。

<없음[無]이 없음의 사이[無閒]에 들어가면 있음[有]이 되는데, 내가 이로써 없음[無]이 함을 하여[爲之] 있음[有]이 더해짐[益]을 알았다. >

【王弼 注】 虛無柔弱,無所不通,無有不可窮,至柔不可折,以此推之,故知無為之有益也。

【왕필 주】 텅빔과 없음 부드러움과 약함은 통하지 않는 곳이 없으며, 없음[無]과 있음[有]은 다 할 수가 없고 지극한 부드러움은 꺽을 수가 없으며 이로서 미루었기 때문에 없음[無]이 함을 하여[爲之]서 있음[有]이 더해짐[益]을 알았다.

不言之教,無為之益,天下希及之。

<말을 하지 않은 가르침은, 없음[無]이 함을 하여[爲之] 더해짐[益]인데, 천하에 그것에 미치는 이가 드물었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