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왕필 주역주(王弼 周易注)
○ 왕필(王弼.226~249)
위(魏)나라 산음(山陰, 산동성) 사람이며 자는 보사(輔嗣)이다. 풍부한 재능을 타고났으나 24살에 요절한 뛰어난 학자이다. 하안과 함께 위진(魏晉) 현학(玄學, 老莊學)의 시조로 일컬어진다. 저서는 『주역주(周易注)』와『노자주(老子注)』가 있다.
13. 동인괘(同人卦)[卦象:천화동인]
☰ 乾上
☲ 離下
리[火.불]이 아래에 있고, 건[天.하늘]이 위에 있다.
同人于野,亨。利涉大川。利君子貞。
동인(同人)은, 사람들과 들에서 함께해야 형통하며, 큰 내를 건너야 이롭고 군자가 곧아야 이롭다.
《彖》曰:同人,柔得位得中,而應乎乾,曰同人。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 "동인(同人)은, 부드러움이 지위를 얻고 가운데[中]를 얻어서 건(乾)에 응(應)하기에 동인(同人)이라 말하였다."
【王弼 注】 二為同人之主。
【왕필 주】 육2(六二)가 동인(同人)의 주체가 된다.
同人曰,同人于野,亨。利涉大川,乾行也。
동인(同人)에 말하였다. "사람들이 들에서 함께해야 형통하며 큰 내를 건너야 이로움은, 건(乾)의 행함이다.
【王弼 注】 所以乃能同人于野,亨,利涉大川,非二之所能也,是乾之所行,故特曰同人曰。
【왕필 주】이에 사람들과 들에서 함께 잘해야 형통하며 큰 내를 건너야 이로움의 까닭은, 육2(六二)가 잘하는 바가 아니며, 이는 건(乾)의 행하는 바이기 때문에 특별히 '동인왈(同人曰)'이라고 말하였다."
文明以健,中正而應,君子正也。
밝은 문체로써 굳세고 가운데 바르면서 응함이 군자의 바름이다.
【王弼 注】 行健不以武,而以文明用之;相應不以邪,而以中正應之。君子正也,故曰利君子貞。
【왕필 주】굳셈을 행함을 무력으로서가 아니고 밝음 문채로써 사용을 하며, 서로 호응함을 사악함으로서가 아니라 가운데 바름으로써 호응을 함이 군자의 바름이며, 그러므로 "군자가 곧아야 이롭다"라고 말하였다.
唯君子為能通天下之志。
오직 군자만이 천하의 뜻을 잘 통하게 한다."
【王弼 注】 君子以文明為德。
【왕필 주】 군자는 밝은 문체로써 덕(德)을 실천함이다.
《象》曰:天與火,同人;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하늘과 불[火]이 동인(同人)이니,
【王弼 注】 天體在上而火炎上,同人之義也。
【왕필 주】하늘의 몸체가 위에 있어서 불꽃이 위로 타 올라감이, 동인(同人)의 뜻이다.
君子以類族辨物。
군자는 부류로써 족(族)의 사물을 분별한다."
【王弼 注】 君子小人,各得所同。
【왕필 주】 군자(君子)와 소인(小人)은 각각 같은 바를 얻는다.
初九,同人于門,无咎。
초구(初九)는 사람들이 문밖에서 함께 하니, 허물이 없다.
【王弼 注】 居同人之始,為同人之首者也。无應於上,心无係吝,通夫大同,出門皆同,故曰同人于門也。出門同人,誰與為咎?
【왕필 주】동인(同人)의 시작에 머무르니, 동인(同人)의 머리가 되는 자이다. 위쪽에 응(應)이 없으니 마음이 인색함에 묶임이 없고, 그들이 크게 함께 통하여 문을 나가 모두 함께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문밖에서 함께한다."라고 말하였다. 문을 나가 사람들과 함께하면 누구와 더블어 허물이 되겠는가?
《象》曰:出門同人,又誰咎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문을 나가 사람들과 함께 함을 또 누가 허물하겠는가?"
六二,同人于宗,吝。
육이(六二)는 사람들이 종족(宗族)끼리 함께하니, 부끄럽다.
【王弼 注】 應在乎五,唯同於主,過主則否,用心偏狹,鄙吝之道。
【왕필 주】응(應)이 구5(九五)에 있고 오직 주인[主]과 함께하여 주인이 잘못하면 막히고 마음 씀이 치우치고 좁으니 더러운 부끄러움의 도(道)이다.
《象》曰:同人于宗,吝道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사람들이 종족(宗族)끼리 함께함은, 부끄러운 도(道)이다."
九三,伏戎于莽, 升其高陵,三歲不興。
구삼(九三)은 군사를 풀 속에 매복시키고, 높은 언덕에 올라 [살피지만] 삼 년을 일으키지 못한다.
【王弼 注】 居同人之際,履下卦之極,不能包弘上下,通夫大同;物黨相分,欲乖其道,貪於所比,據上之應。其敵剛健,非力所當,故伏戎于莽,不敢顯亢也。升其高陵,望不敢進,量斯勢也,三歲不能興者也。三歲不能興,則五道亦以成矣,安所行焉?
【왕필 주】동인(同人)의 즈음[경계]에 거주하고 아래 괘의 꼭대기를 밟았으니, 위와 아래를 널리 품어서 그들의 대동(大同)에 잘 통하지 못한다. 사물의 당(黨)은 서로 나뉘어지고 그 도(道)를 어기며 맞닿은[比] 바를 탐하여 위쪽[九五]의 응(應)을 차지 하려고 한다. 그 상대[敵]가 강건하여 힘이 감당할 바가 아니기 때문에 군대를 풀에 매복하고, 감히 드러나게 항거하지 못한다. 높은 언덕에 올라가서 감히 나아가지 못하고 바라보며, 이러한 형세를 헤아려서 3년이 되어도 [군대를] 잘 일으키지 못하는 것이다. 3년을 잘 일으키지 못하면 구5(九五)의 도(道)가 또한 그로써 이루어지는데, 어찌 [출동을] 행할 수 있겠는가?
《象》曰:伏戎于莽,敵剛也。三歲不興,安行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군사를 풀 속에 매복함은 적이 강함이며, 삼년 동안 일으키지 못하였는데 어떻게 행하겠는가?"
【王弼 注】 安,辭也。
【왕필 주】 안(安)은 [의문] 어조사이다.
九四,乘其墉,弗克攻,吉。
구사(九四)는 그 담에 올라타고 공격을 하지 못하니 길하다.
【王弼 注】 處上攻下,力能乘墉者也。履非其位,以與人爭。不克則反,反則得吉也。不克乃反,其所以得吉,困而反則者也。
【왕필 주】위에 처하면서 아래를 공격하니 힘이 담을 잘 올라 타는 자이다. 그 지위가 아닌데를 밟고 그로서 남과 더블어 다투는데, 이기지 못하면 돌아오며 돌아오면 길함을 얻는다. 이기지 못하여 이에 돌아옴이 그 길함을 얻는 까닭이며, 곤란하면 돌아옴이 법칙인 것이다.
《象》曰:乘其墉,義弗克也,其吉,則困而反則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담에 올라감은 이길 수 없다는 뜻이고, 그 길함은 법칙이 곤란하여 법칙으로 돌아왔음이다."
九五,同人先號咷而後笑,大師克,相遇。
구오(九五)는 사람들과 함께하여 먼저는 울부짖고 뒤에는 웃으니, 큰 군대가 이겨야 서로 만난다.
【王弼 注】 《彖》曰:「柔得位得中,而應乎乾,曰同人。」然則體柔居中,眾之所與;執剛用直,眾所未從,故近隔乎二剛,未獲厥志,是以先號咷也。居中處尊,戰必克勝,故後笑也。不能使物自歸,而用其強直,故必須大師克之,然後相遇也。
【왕필 주】《단전(彖傳)》에 말하기를 "부드러움이 지위를 얻고 가운데[中]를 얻어서 건(乾)에 호응하기에 '동인(同人)'이라 말하였다."라고 하였다. 그렇다면 몸체[體]가 부드럽고 가운데[中]에 거주하며 무리를 하여 함께하는 바이고, 강함을 잡고 곧음을 씀은 무리가 따르지 않는 바이기 때문에 가까이 두 강함[九三, 九四]에게 막혀서 뜻을 얻지 못하며, 이로써 먼저 울부짖는다. 가운데[中]에 거주하고 높은데에 처하여 싸우면 반드시 이기기 때문에 뒤에는 웃는다. 사물이 스스로 돌아가게 하면서 그 강직함을 잘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반드시 모름지기 큰 군대가 이기며, 그러한 한 뒤에야 서로 만난다.
《象》曰:同人之先,以中直也。大師相遇,言相克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사람들과 함께 먼저함은 그로써 가운데[中]가 곧음이며, 큰 군대가 서로 만남은 서로 이김을 말함이다.”
上九,同人于郊,无悔。
상구(上九)는 사람들과 교외에서 함께 하니 후회가 없다.
【王弼 注】 郊者,外之極也。處同人之時,最在於外,不獲同志,而遠於內爭,故雖无悔吝,亦未得其志。
【왕필 주】교(郊)라는 것은, [성(城)] 밖의 끝이다. 사람들과 함께하는 때에 처하여 가장 밖에 있으니 같은 뜻을 얻지 못하여서 안에서 다툼에 멀어지기 때문에 비록 후회하고 부끄러움은 없지만 또한 아직 그 뜻은 얻지는 못함이다.
《象》曰:同人于郊,志未得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사람들이 교외에서 함께 함은, 뜻을 아직 얻지 못함이다.
【王弼 注】 凡處同人而不泰焉,則必用師矣。不能大通,則各私其黨而求利焉。楚人亡弓,不能亡楚;愛國愈甚,益為它災,是以同人不弘,剛健之爻,皆至用師也。
【왕필 주】대체로 사람들이 함께하면서 그곳이 태평하지 않음에 처하면 반드시 군대를 써야 한다. 크게 통하면, 각각 그 당을 사사로이 하여서 그곳에 이로움을 잘 구하지 못한다. 초(楚)나라 사람이 활을 잃어버려도 초나라에서 잘 없어지지 않으며, 나라를 아낌이 심하게 넘치면 더하여 다른 재앙이 되는데, 이로써 사람들이 함께 넓히지 못하고 강건한 효(爻)는 모두 군대를 사용함에 이르는 것이다.
'◑왕필 주역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왕필 주역주/15. 겸괘(謙卦)[卦象:지산겸] (0) | 2022.06.09 |
---|---|
▣ 왕필 주역주/14. 대유괘(大有卦)[卦象:화천대유] (0) | 2022.06.07 |
▣ 왕필 주역주 12. 비괘(否卦)[卦象:천지비] (0) | 2022.06.04 |
▣ 『왕필 주역주』11. 태괘(泰卦)[卦象:지천태] (0) | 2022.06.03 |
▣ 『왕필 주역주』10. 리괘(履卦)[卦象:천택리] (0) | 2022.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