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왕필 주역주(王弼 周易注)

○ 왕필(王弼.226~249)

()나라 산음(山陰, 산동성) 사람이며 자는 보사(輔嗣)이다. 풍부한 재능을 타고났으나 24살에 요절한 뛰어난 학자이다. 하안과 함께 위진(魏晉) 현학(玄學, 老莊學)의 시조로 일컬어진다. 저서는 주역주(周易注)노자주(老子注)가 있다.

  

15. 겸괘(謙卦)[卦象:지산겸]

 坤上

 艮下

[.]이 아래에 있고, [.]이 위에 있다.

   

君子有終

()은 형통하니, 군자는 끝마침이 있다.

 

天道下濟而光明地道卑而上行天道虧盈而益謙地道變盈而流謙鬼神害盈而福謙人道惡盈而好謙謙尊而光卑而不可踰君子之終也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 “()은 형통함이고, 하늘의 도가 아래로 구제하여 빛이 밝으며, 땅의 도는 낮으면서 위로 행한다. 하늘의 도는 가득 차면 이지러지게 하여서 겸손으로 더해주고, 땅의 도는 가득 차면 변하게 하여 겸손으로 흐르며, 귀신은 가득 차면 해롭게 하여서 겸손으로 복되게 하고, 사람의 도는 가득 차면 미워하여서 겸손함을 좋아한다. ()은 높으면서 빛나고, 낮아도 넘을 수 없으니, 군자의 끝마침이다."

 

地中有山君子以裒多益寡稱物平施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땅 속에 산이 있음이 겸괘(謙卦)인데, 군자가 그로써 많은데서 모아서 적은 데에 더해 주어, 사물을 저울질하여 베풂을 고르게 한다."

王弼 注 多者用謙以為裒少者用謙以為益隨物而與施不失平也

왕필 주많은 자는 겸손함을 씀으로써 모이게 되고, 적은 자는 겸손함을 씀으로써 더하게 되며, 사물에 따르면서 주고 베풂은 균평함을 잃지 않는다.

  

 

 初六謙謙, 君子用涉大川

초육(初六)은 군자가 겸손하고 겸손함으로 큰 내를 건너니 길하다

王弼 注 處謙之下謙之謙者也能體謙謙其唯君子用涉大難物无害也

왕필 주()의 아래에 처하여 겸손으로 나아가는 겸손한 자이다. []이 매우 겸손함을 잘함은, 오직 군자이며 큰 어려움을 건너는데 쓰더라도 사물에 해로움이 없다.

謙謙君子卑以自牧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겸손하고 겸손한 군자는, 낮춤으로써 저절로 길러진다."

王弼 注 養也

왕필 주 ()은 기름이다.

 

六二鳴謙貞吉

육이(六二)는 겸손함이 소문[]났지만 곧아야 길하다

王弼 注 鳴者聲名聞之謂也得位居中謙而正焉

왕필 주(, 울 명)이란 것은, 이름이 들리는 소리[名聲]를 말한다. 지위를 얻어서 가운데[]에 거주하니 겸손하면서 바름이다.

鳴謙貞吉中心得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겸손이 소문[]났지만 곧아야 길함은, 가운데[] 마음을 얻으려함이다."

 

九三勞謙君子有終

구삼(九三)은 겸손하게 수고하니 군자는 끝마침이 있고 길하다

王弼 注 處下體之極履得其位上下无陽以分其民眾陰所宗尊莫先焉居謙之世何可安尊上承下接勞謙匪解[]是以吉也

왕필 주아래 몸체[]의 꼭대기에 처하고 그 지위를 얻어서 이행한다. 위와 아래에 그 백성을 나누는 양()이 없어서, 여러 음()의 으뜸되는 바이며 높음이 이보다 앞섬이 없다. 겸손한 세상에 거주하는데 어찌 편안하고 높을 수 있겠는가? 위로 받들고 아래로 접하며 겸손하게 수고하고 게으르지 않으니 이로써 길()함이다.

勞謙君子萬民服也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군자가 겸손하게 수고하니 만 백성이 복종한다."

 

六四无不利撝謙

육사(六四)는 겸손하여 낮추니 이롭지 않음이 없다

王弼 注 處三之上而用謙焉則是自上下下之義也承五而用謙順則是上行之道也盡乎奉上下下之道故无不利指撝皆謙不違則也

왕필 주3(九三)의 위에 처하면서 겸손함을 사용하면, 이는 스스로 위와 아래에게 아래 함을 뜻한다. 5(六五)를 받들면서 겸손과 순종함을 사용하니, 곧 이는 위로 행하여 가는 도()이다. 상하를 받들고 아래함의 도를 다하기 때문에 이롭지 않음이 없다. 지시와 낮춤이 모두 겸손하여 법칙을 어기지 않음이다.

无不利撝謙不違則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겸손하여 낮추니 이롭지 않음이 없음은, 법칙을 어기지 않음이다."

 

六五不富以其鄰利用侵伐无不利

육오(六五)는 그 이웃이 부유하지 않으니 침략과 정벌을 이용(利用)함이, 이롭지 않음이 없다

王弼 注 居於尊位用謙與順故能不富而用其鄰也以謙順而侵伐所伐皆驕逆也

왕필 주높은 지위에 거주하고, 겸손함과 순함을 쓰기 때문에 부유하지 않은데도 그 이웃을 잘 사용한다. 겸손과 순리로써 침략하고 정벌하는데 정벌이 모두 교만하고 고역하는 곳이다.

利用侵伐征不服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침략과 정벌을 사용함은, 복종하지 않음을 정벌함이다."

 

上六鳴謙利用行師征邑國

상육(上六)은 겸손함이 소문[]나면 군대를 출동하여 읍국(邑國)을 정벌함에 써야 이롭다

王弼 注 最處於外不與內政故有名而已志功未得也處外而履謙順可以征邑國而已

왕필 주가장 밖에 처하고 안의 정사에 관여하지 않기 때문에 이름만 있을 뿐이며, 뜻하는 공()을 얻지 못한다. 밖에 처하면서 겸손한 순리를 이행하면 고을과 나라를 정벌로서 할 수 있을 뿐이다.

鳴謙志未得也可用行師征邑國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겸손함이 소문[]남은 뜻을 아직 얻지 못했으니, 군대를 출동하여 읍국(邑國)을 정벌하는데 쓸 수 있다.”

王弼 注 夫吉凶悔吝生乎動者也動之所起興於利者也故飲食必有訟訟必有眾起未有居眾人之所惡而為動者所害處不競之地而為爭者所奪是以六爻雖有失位无應乘剛而皆无凶咎悔吝者以謙為主也謙尊而光卑而不可踰信矣哉

왕필 주대저 길(), (), (), ()은 움직이는 것에서 생겨난다. 움직임의 일어나는 곳은 이로움에서 흥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음식은 반드시 송사가 있고 송사는 반드시 무리가 일어남이 있다. 여러 사람의 싫어하는 곳에 거주하면서 움직이는 자가 해로운 바는 있지 않고, 다투지 않는 땅에 처하면서 다투는 자가 빼앗는 바가 되지는 않았다. 이로써 여섯 효()는 비록 지위를 잃고 응()이 없으며 강() 함을 받듦이 있지만, 모두 흉함과 허물과 뉘우침과 부끄러움이 없는 것은 겸손으로써 주()를 삼았기 때문이다. 겸손[]은 높이면 빛나고 낮추면 넘을 수 없음을 믿게 되었도다!

 

 ()찢을 휘,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