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왕필 주역주(王弼 周易注)
○ 왕필(王弼.226~249)
위(魏)나라 산음(山陰, 산동성) 사람이며 자는 보사(輔嗣)이다. 풍부한 재능을 타고났으나 24살에 요절한 뛰어난 학자이다. 하안과 함께 위진(魏晉) 현학(玄學, 老莊學)의 시조로 일컬어진다. 저서는 『주역주(周易注)』와『노자주(老子注)』가 있다.
14. 대유괘(大有卦)[卦象:화천대유]
☲ 離上
☰ 乾下
건[天.하늘]이 아래에 있고, 리[火.불]가 위에 있다.
大有,元亨。
대유(大有)는, 크게 형통한다.
【王弼 注】 不大通,何由得大有乎?大有,則必元亨矣。
【왕필 주】크게 통하지 않으면 무엇을 말미암아 크게 있음을 얻겠는가? 크게 있으면 반드시 크게 형통한다.
《彖》曰:大有,柔得尊位,大中而上下應之,曰大有。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 "대유(大有)는 부드러움이 높은 지위와 큰 가운데[中]를 얻고서 위와 아래가 응(應)을 하므로 대유(大有)라고 말하였다."
【王弼 注】 處尊以柔,居中以大,體无二陰以分其應,上下應之,靡所不納,大有之義也。
【왕필 주】높음으로써 부드러움에 처하고 가운데[中]로써 큼에 머무르며 몸[體]을 두 음(陰)으로써 그 응(應)을 나누고 위와 아래가 호응을 하여 받아들이지 않는 바가 없음이 대유(大有)의 뜻이다.
其德剛健而文明,應乎天而時行,是以元亨。
그 덕(德)이 강건(剛健)하면서 문채가 밝고, 하늘에 호응하여서 때에 맞게 행하는데, 이로써 크게 형통함이다."
【王弼 注】 德應於天,則行不失時矣。剛健不滯,文明不犯,應天則大,時行无違,是以元亨。
【왕필 주】덕(德)이 하늘에 응하면 행함이 때를 잃지 않는다. 강건(剛健)하여 막히지 않고 문채가 밝아서 범하지 않으며 하늘에 응하면 커지고 때맞게 행하여 어김이 없으니 이로써 크게 형통함이다.
《象》曰:火在天上,大有;君子以遏惡揚善,順天休命。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불이 하늘 위에 존재함이 대유(大有)괘이며, 군자가 그로서 악(惡)을 막고 선(善)을 드날려서 하늘에 순종하고 명(命)에 따른[休]다.“
【王弼 注】 大有,包容之象也。故遏惡揚善,成物之美,順夫天德,休物之命。
【왕필 주】대유(大有)는 품어서 용납하는 모습[象]이다. 그러므로 악(惡)을 막고 선(善)을 드날려서 사물의 아름다움을 이루고 그 하늘의 덕(德)을 따라서 사물의 명(命)에 따른[休]다.
初九,无交害。匪咎,艱則无咎。
초구(初九)는 사귐에 해로움이 없으니, 허물은 아니지만 어렵게 하면 허물이 없다.
【王弼 注】 以夫剛健為大有之始,不能履中,滿而不溢;術斯以往,後害必至,其欲匪咎,艱則无咎也。
【왕필 주】그 강건(剛健)으로써 대유(大有)의 시작이 되고 가운데[中]로 이행을 잘 안 해서 가득 차는데도 넘치지 않으며, 이로서 가는 술수는 뒤에 해로움이 반드시 이르는데, 그 하고자함이 허물이 아니기에 고생하면 허물이 없음이다.
《象》曰:大有初九,无交害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대유(大有)의 초구(初九)는, 사귐에 해로움이 없음이다.”
九二,大車以載,
구이(九二)는 큰 수레로써 짐을 싣고,
【王弼 注】 任重而不危。
【왕필 주】무겁게 실어서 위태롭지 않다.
有攸往,无咎。
다스려진데[攸] 가야 허물이 없다.
【王弼 注】 健不違中,為五所任;任重不危,致遠不泥,故可以往而无咎也。
【왕필 주】굳셈이 가운데[中]를 어기지 않고 임하는 곳이 육5(六五)가 되며, 무겁게 실어서 위태하지 않고 멀리 이르러도 진창이 아니기 때문에 그로써 가서 허물이 없음을 할 수 있다.
《象》曰:大車以載,積中不敗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큰 수레로써 짐을 실음은, 가운데[中]에 쌓으면 패하지 않는다."
九三,公用亨于天子,小人弗克。
구삼(九三)은 공(公)이 천자에게 형통함을 쓰는데, 소인은 이루어내지 못한다.
【王弼 注】 處大有之時,居下體之極,乘剛健之上,而履得其位,與五同功,威權之盛,莫此過焉。公用斯位,乃得通乎天子之道也。小人不克,害可待也。
【왕필 주】대유(大有)의 때에 처하고 아래 몸[體]의 꼭대기에 거주하며, 강건(剛健)함의 위를 올라타고서 그 지위를 얻어 밟고 육5(六五)와 더블어 공(功)을 함께하니, 권위의 성대함이 이보다 더한 것이 없다. 공(公)이 이 지위를 사용하여 마침내 천자의 도(道)에 통함을 얻었다. 소인(小人)은 이루어내지 못하니 해로움이 기다릴 수 있다.
《象》曰:公用亨于天子,小人害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공(公)이 천자에게 형통을 사용 함은, 소인은 해로움이다."
九四,匪其彭,无咎。
구사(九四)는 그 곁이 아니라야 허물이 없다.
【王弼 注】 既失其位,而上近至尊之威,下比分權之臣,其為懼也可謂危矣。唯夫有聖知者,乃能免斯咎也。三雖至盛,五不可舍,能辯斯數,專心承五,常匪其旁,則无咎矣。旁,謂三也。
【왕필 주】이미 그 지위를 잃고서 위로는 지존(至尊)의 위세에 가깝고, 아래로는 권세를 나눈 신하에 친하니 그 두려워 함이 위태롭다고 말할 수 있다. 오직 그가 성스러운 지혜가 있는 자라면 이에 이 허물을 잘 면한다. 구3(九三)이 비록 매우 성대해도 육5(六五)를 버릴 수는 없는데, 이러한 술수를 잘 변론하여 오로지 마음을 육5(六五)를 받들고 항상 그 곁[旁]으로 하지 않는다면 허물이 없다. 방(旁)은 삼효를 가리킨다.
《象》曰:匪其彭,无咎,明辯晳也 。
「상전」에서 말하였다. “그 곁이 아니라야 허물이 없음은, 재주가 두루 분명함이다."
【王弼 注】 明,猶才也。
【왕필 주】 밝음은 재주와 같다.
六五,厥孚交如,威如,吉。
육오(六五)는 그 믿음이 사귀는 듯 위엄있는 듯 해야 길하다.
【王弼 注】 居尊以柔,處大以中,无私於物,上下應之。信以發志,故其孚交如也。夫不私於物,物亦公焉;不疑於物,物亦誠焉。既公且信,何難何備?不言而教行,何為而不威如?為大有之主而不以此道,吉可得乎?
【왕필 주】높음으로써 부드럽게 거주하고 큼으로써 가운데[中]에 처하며 사물에 사사로움이 없으니 위와 아래가 호응을 한다. 믿음으로써 뜻을 드러내기 때문에 그 믿음이 사귀는 듯 함이다. 그[六五]가 사물[사람]에 사사롭지 않으니 사물 또한 그것에 공평하며, 사물을 의심하지 않으니 사물 또한 그에 진실하다. 이미 공평하고 또 믿는데 무엇이 어렵고 무엇을 대비하겠는가? 말하지 않으면서도 가르침을 행하는데 무엇을 한들 위엄 있는 듯 하지 않겠는가? 대유(大有)의 주체가 되어서 이러한 도(道)를 안하면 길함을 어찌 얻겠는가?
《象》曰:厥孚交如,信以發志也。威如之吉,易而无備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그 믿음이 사귀는 듯함은, 믿음으로써 뜻을 드러냄이다. 위엄 있는 듯 하지만 길함은, 쉬워서 대비함이 없음이다.”
上九,自天祐之,吉无不利。
상구(上九)는 하늘로부터 도움을 주니 길하여 이롭지 않음이 없다.
【王弼 注】 大有,豐富之世也。處大有之上而不累於位,志尚乎賢者也。餘爻皆乘剛,而己獨乘柔,順也。五為信德,而己履焉,履信之謂也。雖不能體柔,而以剛乘柔,思順之義也。居豐有之世,而不以物累其心,高尚其志,尚賢者也。爻有三德,盡夫助道,故繫辭具焉。
【왕필 주】대유(大有)는 풍부한 세상이다. 대유의 위에 처하면서 지위에 연루(連累)되지 않고, 뜻이 현명함을 숭상하는 것이다. 남어지 효(爻)가 모두 강함을 받드는데 자기 홀로 부드럽고 유순함을 받든다. 육5(六五)가 덕(德)을 믿게 하면서 자기는 그곳을 밟고 믿음을 이행함을 말함이다. 비록 몸[體]이 부드럽지 않으면서 강함으로써 부드러움을 받드니 순종할 뜻을 생각함이다. 풍부함이 있는 세상에 거주하면서 사물로써 그 마음에 연루(連累)되지 않고 그 뜻을 높이 숭상함이 현명함을 숭상하는 것이다. 효(爻)는 세 가지 덕(德)이 있는데 효(爻)는 세 가지 덕(德)이 있는데 그 도움의 도(道)를 다하기 때문에 계사전(繫辭傳)에 그것을 갖추었다.
《象》曰:大有上吉,自天祐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대유(大有)의 상(上)효가 길함은, 하늘로 부터 도움 받기 때문이다”.
※ (艱)어려울 간, (彭)성씨 팽『說文』(彭)鼓聲也, (祐)복 우,도울 우
'◑왕필 주역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왕필 주역주/16. 예괘(豫卦)[卦象:뇌지예] (0) | 2022.06.10 |
---|---|
▣ 왕필 주역주/15. 겸괘(謙卦)[卦象:지산겸] (0) | 2022.06.09 |
▣ 왕필 주역주/13. 동인괘(同人卦)[卦象:천화동인] (0) | 2022.06.05 |
▣ 왕필 주역주 12. 비괘(否卦)[卦象:천지비] (0) | 2022.06.04 |
▣ 『왕필 주역주』11. 태괘(泰卦)[卦象:지천태] (0) | 2022.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