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왕필 주역주(王弼 周易注)

○ 왕필(王弼.226~249)

()나라 산음(山陰, 산동성) 사람이며 자는 보사(輔嗣)이다. 풍부한 재능을 타고났으나 24살에 요절한 뛰어난 학자이다. 하안과 함께 위진(魏晉) 현학(玄學, 老莊學)의 시조로 일컬어진다. 저서는 주역주(周易注)노자주(老子注)가 있다.

 

16. 예괘(豫卦)[卦象:뇌지예]

 震上

 坤下

[.]이 아래에 있고, [.우뢰]이 위에 있다.

 

利建侯行師

예괘(豫卦)는 제후를 세워 군대를 움직임이 이롭다.

 

剛應而志行順以動順以動故天地如之而況建侯行師乎? 天地以順動故日月不過而四時不忒聖人以順動則刑罰清而民服豫之時義大矣哉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 "()는 강[]함이 응하여 뜻이 행해지고, 순함으로써 움직임이 예()이다. ()는 순함으로써 움직이기 때문이며 하늘과 땅도 그와 같은데, 하물며 제후를 세우고 군대를 움직임에는 어떠할까? 하늘과 땅은 순응하여 움직이기 때문에 해와 달이 지나치지 않으면서 네 계절이 어긋나지 않으며, 성인이 그로써 순응하여 움직이면 형벌이 맑아져서 백성들이 복종한다. ()의 때가 의미가 크도다!"

 

雷出地奮先王以作樂崇德殷薦之上帝以配祖考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우레가 땅에서 나와 떨침이 예()이며, 선왕이 그로써 음악을 지어 덕()을 높이고 크게[] 상제께 제사를 올리고 그로써 조상과 아버지를 배향(配享)한다."

 

 

初六,鳴豫,凶。

초육(初六)은 안락(安樂)함이 들리[]면 흉하다.

王弼 注 處豫之初而特得志於上樂過則淫志窮則凶豫何可鳴

왕필 주()의 처음에 처하면서 특히 위쪽의 뜻을 얻는다. 즐거움이 지나치면 음란해지고 뜻이 궁해지면 흉해 지는데 안락(安樂)하다면 어찌 소문 날 수 있겠는가?

初六鳴豫志窮凶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초육의 안락함이 들림은, 뜻이 다하여 흉함이다."

 

六二,介于石,不終日貞吉。

육이(六二) [안락함이] 돌에 끼었으니, 하루 종일 곧지 않아야 길하다.

王弼 注 處豫之時得位履中安夫貞正不求苟豫者也順不苟從豫不違中是以上交不諂下交不瀆明禍福之所生故不苟說辯必然之理故不改其操介如石焉不終日明矣

왕필 주()의 때에 처하여 지위를 얻고 가운데[]를 밟고서 편안한 장부가 곧고 바르며, 구차하게 안락함을 구하지 않는 자이다. 순한데도 구차하게 따르지 않고 편안한데도 가운데를 어기지 않으니 바로 그로써 위로 사귀면서 아첨하지 않고 아래로 사귀면서 더럽히지 않는다.

()와 복()이 생겨나는 바에 밝기 때문에 구차하게 설명하지 않고, 반드시 그러하는 이치를 분별하기 때문에 그 지조를 고치지 않는다. 돌에 낀 것과 같으니, 날이 저물도록 밝지 않다.

不終日貞吉以中正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종일 토록 곧지 않아야 길함은, 그로써 가운데 바로[中正]함 이다."

譯註 1:『周易』繫辭傳 下⇒君子見幾而作,不俟終日。《易》曰:『介於石,不終日,貞吉。』介如石焉,寧用終日,斷可識矣。

 

『주역(周易)』계사전 下⇒군자는 기미를 보고서 작업(作業)하며 하루가 끝나기를 기다리지 아니하는데, 《역(易)》에 말하기를 '돌보다 견고(堅固)하여 [위태함이] 종일 하지는 않으니 곧고 길하다.'고 하였는데, 그것이 돌과 같이 견고한데 어찌 종일 쓰이겠는가? [위태함이] 끊어짐을 알 수 있다.

 

六三,盱豫, 悔,遲有悔。

육삼(六三), 안락(安樂)함을 쳐다보면 후회하고, 늦어도 후회가 있다

王弼 注 居下體之極處兩卦之際履非其位承動豫之主若其睢盱而豫悔亦生焉遲而不從豫之所疾位非所據而以從豫進退離悔宜其然矣

왕필 주아래 몸체[]의 꼭대기에 거주하고 양쪽 괘의 변두리에 처하며 그 지위가 아닌데를 밟고서 움직이는 예()의 주()를 받든다. 만약 부릅뜨고 쳐다보면서 안락(安樂)하면 또한 그곳에 후회가 생겨난다. 늦게 하면서 따르지 않으면 안락(安樂)함의 병인 바이다. 지위가 근거하는 곳이 아니면서 그로써 안락(安樂)을 따르니, 나아가고 물러남과 이별하고 후회함이 마땅히 그러하다.

盱豫有悔位不當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안락(安樂)함을 쳐다보면 후회가 있음은, 지위가 마당하지 않음이다."

 

九四,由豫,大有得。勿疑,朋盍簪。

구사(九四), 안락(安樂)함을 말미암아 크게 얻음이 있지만, 의심하지 말아야 동문이 빨리 모여든다.

王弼 注 處豫之時居動之始獨體陽爻眾陰所從莫不由之以得其豫故曰由豫大有得夫不信於物物亦疑焉故勿疑則朋合疾也合也疾也

왕필 주()의 때에 처하고 움직임의 시작에 거주하며 몸[]이 홀로 양효(陽爻)이니 여러 음()이 따르는 바이다. 그 안락(安樂)함을 얻기를 말미암지 않음이 없기 때문에 "안락(安樂)함을 말미암아 크게 얻음이 있다."라고 말하였다. 그것이 사물을 믿지 않으면 사물 또한 그것을 의심한다, 그러므로 의심하지 말아야 곧 동문이 빨리 합한다. ()은 합함이다. ()은 빠름이다.

由豫大有得志大行也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안락(安樂)함을 말미암아 크게 얻음이 있음은 뜻이 크게 행해짐이다."

 

六五,貞疾,恒不死。

육오(六五)는 곧음이 병이지만 항상 죽지는 않는다

王弼 注 四以剛動為豫之主專權執制非己所乘故不敢與四爭權而又居中處尊未可得亡是以必常至于貞疾恒不死而已

왕필 주구사(九四)가 강함을 가지고 움직여 예()괘의 주체가 되어서 권력을 휘두르고 제도를 잡지만 자기[六五]가 탈 곳이 아니기 때문에 감히 구사(九四)와 권력을 다투지 못한다. 그리고 또 가운데 거주하고 높은데 처하여 망하게 할 수는 없으며, 이로써 반드시 항상 곧은 병에 이르지만 항상 죽지는 않을 뿐이다.

六五貞疾乘剛也恒不死中未亡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5(六五)의 곧음의 병은 굳셈을 올라탔음이며, 항상 죽지 않음은 가운데[]를 잃지 않음이다."

 

上六,冥豫成, 有渝,无咎。

상육(上六)은 어두운 안락(安樂)함이 이루어져서 변함이 있으나 허물은 없다

王弼 注 處動豫之極極豫盡樂故至于冥豫成也過豫不已何可長乎故必渝變然後无咎

왕필 주움직여 예()의 꼭대기에 처하여 안락함이 끝나고 즐거움이 다했기 때문에 안락함이 어두움에 이르름을 이루었다. 지나친 안락함을 그치지 않는데 어찌 길게 할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반드시 넘쳐 변하며 그러한 뒤에 허물이 없다.

冥豫在上何可長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어두운 안락(安樂)함이 위에 있는데, 어찌 길게 할 수 있겠는가?"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