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왕필 주역주
○ 왕필(王弼.226~249)
위(魏)나라 산음(山陰, 산동성) 사람이며 자는 보사(輔嗣)이다. 풍부한 재능을 타고나 유복한 환경에서 자랐기 때문에 일찍 학계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나 24살에 요절한 뛰어난 학자이다.
17. 수괘(隨卦)[卦象:택뢰수]
☱ 兌上
☳ 震下
진[雷.우뢰]가 아래에 있고, 태[澤.연못]이 위에 있다.
隨,元亨利貞,无咎。
수(隨)는 커짐에 형통하고 이로움에 곧아야 허물이 없다.
《彖》曰:隨,剛來而下柔,動而說,隨。 大亨貞无咎,而天下隨時。隨時之義大矣哉!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 "수(隨)는 강함이 와서 부드러움에 아래하고, 움직여서 설득됨이 수(隨)이다. 커짐에 형통하고 곧아야 허물이 없으면서 천하가 때를 따르니, 때를 따름의 뜻[義]이 크도다 !"
【王弼 注】 震剛而兌柔也。以剛下柔,動而之說,乃得隨也。為隨而不大通,逆於時也;相隨而不為利, 正災之道也。故大通利貞,乃得无咎也。
為隨而令大通利貞,得於時也,得時則天下隨之矣。隨之所施,唯在於時也。時異而不隨,否之道也,故隨時之義大矣哉。
【왕필 주】진(震)은 강함이고 태(兌)는 부드러움이다. 강함으로써 부드러움에 아래하고 움직여 나가서 설득하니 이에 따름을 얻는다. 따르게 하면서 커짐에 통하지 않으면 때를 거스름이며, 서로 따르면서 이롭게 하지 못하면 바로 재앙의 도(道)이다. 그러므로 커짐에 통하고 곧아야 이로우며 이에 허물 없음을 얻는다. 따르게 하여서 커짐에 통하고 이로움에 곧음으로 하여금 때를 얻었으며, 때를 얻으면 천하가 따른다. 따르면서 베푸는 바는 오직 때에 있으며, 때가 달라서 따르지 않으면 막힘의 도(道)이다, 그러므로 때를 따르는 뜻[義]이 크도다.
《象》曰:澤中有雷,隨;君子以嚮晦入宴息。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못[澤] 가운데에 우레가 있음이 수(隨)이며, 군자가 그로서 어둠이 내리면 들어가 편안하게 쉰다."
【王弼 注】 澤中有雷,動說之象也。物皆說隨,可以无為,不勞明鑒,故君子嚮晦入宴息也。
【왕필 주】못[澤] 가운데 우뢰[雷]가 있으니 움직여 설득을 하는 모습[象]이다. 사물은 모두 설득되어 따르고 함이 없음으로서 할 수 있으며 수고하지 않아도 거울처럼 밝기 때문에 군자는 어둠이 내리면 들어가 편안하게 쉰다.
初九,官有渝,貞吉,出門交有功。
초구(初九)는 관직에 변함이 있으니 곧아야 길하고, 문을 나가 사귀면 공(功)이 있다.
【王弼 注】 居隨之始,上无其應,无所偏係,動能隨時,意无所主者也。隨不以欲,以欲隨宜者也。故官有渝變,隨不失正也。出門无違,何所失哉!
【왕필 주】수(隨)의 시작에 거주하고 위쪽에 응(應)이 없으며 치우쳐 묶인 곳이 없고 때를 잘 따라 움직이니 뜻을 주장(主)하는 바가 없는 자이다. 따름을 욕심으로 하지 않고 그로써 마땅함을 따르고자 하는 자이다. 그러므로 관직이 바뀌어 변함이 있어도 따름에 그 바름을 잃지 않는다. 문을 나가 어김이 없으니 어찌 잃을 곳 이겠는가?
《象》曰:官有渝,從正吉也。出門交有功,不失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관직에 바뀜이 있음은, 바름을 따라야 길함이다. 문을 나가 사귀면 공(功)이 있음은, [바름을] 잃지 않음이다.”
六二,係小子,失丈夫。
육이(六二)는 어린이[初九]에게 묶이면 장부[九五]를 잃는다.
【王弼 注】 陰之為物,以處隨世,不能獨立,必有係也。居隨之時,體分柔弱,而以乘失剛動,豈能秉志,違於所近,隨此失彼,弗能兼與。五處己上,初處己下,故曰係小子,失丈夫也。
【왕필 주】음(陰)의 사물이 되고 그로써 수(隨)의 세상에 처하며 홀로 잘 서지 못하니 반드시 매임이 있다. 수(隨)의 때에 거주하고 몸은 부드러움과 약함으로 나누어져서 그로써 강함을 잃고 움직이는데 어찌 뜻을 잘 잡아서 가까운 곳에 어기고 이쪽을 따르면 저쪽을 잃어버리니 겸하여 함께 잘하지는 못한다. 구오(九五)가 자기의 위에 처하고 초구(初九)가 자기 아래에 처하기 때문에 "어린이[上]에게 매이면 장부[下]를 잃는다."라고 했다.
《象》曰:係小子,弗兼與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어린이[初九]에게 묶임은, 겸하여 함께하지 못함이다."
六三,係丈夫,失小子,隨有求得,利居貞。
육삼(六三)은 장부[九五]에 매이면 어린이[初九]를 잃으니, 따라야 구함을 얻음이 있고 곧아야 거주함이 이롭다.
【王弼 注】 陰之為物,以處隨世,不能獨立,必有係也。隨體下卦,二已據初,將何所附?故舍初係四,志在丈夫。四俱无應,亦欲於己隨之,則得其所求矣,故曰隨有求得也。應非其正,以係於人,何可以妄,故利居貞也。初處己下,四處己上,故曰係丈夫,失小子也。
【왕필 주】음(陰)이 사물이 되고 그로써 수(隨)의 세상에 처하며 홀로 서기를 잘하지 못하니 반드시 매임이 있다. 수(隨)의 몸[體] 아래괘이고 육이(六二)가 이미 초구(初九)에 근거하였는데 장차 어느 곳에 붙겠는가? 그러므로 초구(初九)를 버리고 구4(九四)에 매이지만 뜻은 장부[下]에게 있다. 구4(九四)는 갖추었으나 응함이 없고 또한 자기에게 따르기를 바라니 곧 그 구하는 바를 얻는다, 그러므로 "따라가면 구함을 얻음이 있다.“라고 말하였다. 응함이 바르지 않는데 그로써 남에게 매이면 어찌 망령되게 할 수 있는가, 그러므로 "곧게 거주해야 이롭다."라고 하였다. 초구(初九)가 자기의 아래에 처하고 구4(九四)가 자기의 위에 처하기 때문에 말하기를 ”장부[下]에 매이면 어린이[上]를 잃는다."라고 말하였다.
《象》曰:係丈夫,志舍下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장부[九五]에 묶임은, 뜻이 아래를 버림이다."
【王弼 注】 下,謂初也。
【왕필 주】 아래[下]는 초구(初九)를 가리킨다.
九四,隨, 有獲貞凶,有孚在道以明,何咎。
구사(九四)는 따르는데 붙잡고 있으면 곧아도 흉하지만, 믿음이 있고 도(道)에 있으며 그로써 밝은데 어찌 허물이 있겠는가?
【王弼 注】 處說之初,下據二陰,三求係己,不距則獲,故曰隨有獲也。居於臣地,履非其位,以擅其民,失於臣道,違正者也,故曰貞凶。體剛居說,而得民心,能幹其事,而成其功者也。雖違常義,志在濟物,心存公誠,著信在道,以明其功,何咎之有!
【왕필 주】설득함의 처음에 처하고 아래 두 음(陰)에 근거하며 육3(六三)이 자기에게 묶이려고 하니 거리두지 않으면 얻기 때문에 "따름은 얻음이 있다."라고 말했다. 신하의 땅에 거주하고 그 지위가 아닌데를 밟으며 그로써 백성을 멋데로 하고 신하의 도(道)를 잃었으니 바름을 어긴 자이다, 그러므로 "곧으면 흉하다."라고 말했다. 몸[體]은 강하지만 설득하고 거주하여 백성의 마음을 얻으며, 그 일을 잘 주관하여서 그 공을 이루는 자이다. 비록 떳떳한 뜻을 어기지만 뜻이 사물[사람]을 구제하는데 있고 마음은 공정함을 이루고자 함에 있으며 믿음이 드러나고 도에 있으니 그로써 그 공을 밝히는데 어찌 허물 됨이 있겠는가?
《象》曰:隨有獲,其義凶也;有孚在道明, 功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따르는데 붙잡고 있음은 그 뜻이 흉하고, 믿음이 있고 도(道)에 있음은 공(功)이 밝음이다.”
九五,孚于嘉,吉。
구오(九五)는 아름다움을 믿으니, 길하다.
【王弼 注】 履正居中,而處隨世,盡隨時之宜,得物之誠,故嘉吉也。
【왕필 주】바름을 밟고서 가운데[中]에 거주하면서 따르는 세상에 처하고 때를 따름의 마땅함을 다하여 사물의 정성(精誠)을 얻었기 때문에 아름다움이 길함이다.
《象》曰:孚于嘉吉,位正中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아름다움을 믿으니 길함은, 지위가 바르고 가운데 있음이다."
上六,拘係之, 乃從維之,王用亨于西山。
상육(上六)은 붙잡아 묶어 놓고 이에 따르면 밧줄로 묶어서, 왕이 서산에 형통함으로 사용한다.
【王弼 注】 隨之為體,陰順陽者也。最處上極,不從者也。隨道已成,而特不從,故拘繫之乃從也。率土之濱,莫非王臣,而為不從,王之所討也,故維之,王用亨于西山也,兌為西方,山者,途之險隔也。處西方而為不從,故王用通于西山。
【왕필 주】수(隨)의 몸체[體]을 삼으니 음(陰)이 양(陽)에 순응하는 것이다. 가장 위쪽 꼭대기에 처하여 따르지 않는 자이다. 수(隨)의 도(道)가 이미 이루어졌는데 특별히 따르지 않기 때문에 붙잡아 묶어 놓아야 비로소 따른다. 거느린 땅의 물가가 왕의 신하 아닌데가 없으며 따르지 않으려고 하면 왕이 토벌하는 바이다. 그러므로 붙잡아 묶어 매려면 왕이 서산(西山)에 형통해야 사용하는 것이다. 태(兌)는 서쪽 방향이 되며, 산(山)은 길 중에 험하게 막힌것이다. 서방에 처하면서 따르지 않으려고 하기 때문에 왕이 서산을 통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象》曰:拘係之,上窮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붙잡아 묶음은 올라감을 다함이다."
【王弼 注】 處于上極,故窮也。
【왕필 주】위쪽 꼭대기에 처하기 때문에 다 하였음이다.
'◑왕필 주역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왕필 주역주/19. 임괘(臨卦)[卦象:지택림] (0) | 2022.06.14 |
---|---|
▣ 왕필 주역주/18. 고괘(蠱卦)[卦象:산풍고] (0) | 2022.06.12 |
▣ 왕필 주역주/16. 예괘(豫卦)[卦象:뇌지예] (0) | 2022.06.10 |
▣ 왕필 주역주/15. 겸괘(謙卦)[卦象:지산겸] (0) | 2022.06.09 |
▣ 왕필 주역주/14. 대유괘(大有卦)[卦象:화천대유] (0) | 2022.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