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덕경(道德經) 32장
道常無名,
樸雖小, 天下莫能臣也.
侯王若能守之, 萬物將自賓.
天地相合, 以降甘露,
民莫之令而自均.
始制有名,
名亦旣有, 夫亦將知止,
知止可以不殆.
譬道之在天下, 猶川谷之於江海.
도(道)는 항상[恒] 이름이 없지만,
바탕이 비록 작더라도 천하가 신하로 삼을 수 없다.
제후와 제왕이 만약 잘 지켜 나가면, 만물이 장차 스스로 손님이 된다.
하늘과 땅이 서로 화합하여 그로서 달콤한 이슬이 내리고,
백성들은 명령이 없더라도 스스로 균등히 한다.
제도를 시작하면 이름이 있다.
이름이 또한 이미 있으면 그 또한 장차 그침을 알아야 한다.
그침을 알면 위태롭지 않음으로 할 수 있다.
도가 천하에 있음을 비유하면, 계곡의 시내물이 강과 바다에 흘러감과 같다.
◎ 도덕경 백서(帛書)본
마왕퇴(馬王堆) 한묘(漢墓)에서 발굴된 백서(帛書)는 ‘도덕경 통행본’과 거의 같은 두 종류의 ‘노자 백서본(老子 帛書本)이 발견되었는데 갑본(甲本)은 한고조(漢高祖, 재위 BC206∼BC195) 이전의 것이고 을본(乙本)은 그 이후의 것으로 판명되었다.
○ 백서(帛書)본 32장
갑본(甲本)
道恆無名‧幄唯□□□□□□□□王若能守之萬物將自賓天地相谷以俞甘洛∠民莫之□□□均焉始制有□□□□有夫□□□□□□所以不□俾道之在天□□□□浴之與江海也
을본(乙本)
道恆無名樸唯小而天下弗敢臣侯王若能守之萬物將自賓天地相合以俞甘洛□□□令而自均焉始制有名﹦亦既有夫亦將知﹦止﹦所以不殆卑□□在天下也猷小浴之與江海也
◎ 도덕경 초죽간(楚竹簡)본
1993년 중국 호북성 초나라 무덤에서 백서본 보다 300년 앞선 “초간(楚簡)”이 출토 되었는데 기원전 500년의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죽간이 3묶음으로 나뉘어져 있어서 갑본, 을본, 병본으로 하였다.
○ 초죽간(楚竹簡) 甲-10
道恒亡名
도는 항상 이름이 없지만
樸雖微 天地弗敢臣
바탕[통나무]은 비록 미세해도 하늘과 땅이 감히 신하로 하지 못한다.
侯王如能□之 萬物將自賓∙
제후와 왕이 만약 잘 □나가면 만물이 장차 스스로 손님이 된다.
○ 초죽간(楚竹簡) 甲-11
天地相合也 以雨甘露
하늘과 땅이 서로 합하여, 그로써 달콤한 이슬을 내리니
民莫之命天自均
백성들은 명령하는 하늘이 없어도 스스로 균등히 한다.
安始制有名∘ 亦旣有
어찌 시작을 제어하여 이름을 지을까? [이름이]또한 이미 있으면,
夫亦將知∘ 止∘ 所以不殆
그[이름] 또한 장차 알게 되고, 그치니, 위태롭지 않은 까닭이다.
譬道之在天下也
비유하여 도가 천하에 있음은,
猶小谷之與江海∙
작은 계곡이 흘러서 강과 바다에 같이함과 같다.
'▣ 도덕경(道德經) > 1.도덕경[1章~81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도덕경(道德經) 34장 (0) | 2023.09.09 |
---|---|
◎ 도덕경(道德經) 33장 (0) | 2023.09.07 |
◎ 도덕경(道德經) 제31장 (1) | 2023.09.03 |
◎ 도덕경(道德經) 30장 (0) | 2023.09.01 |
◎ 도덕경(道德經) 29장 (1) | 2023.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