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주역(周易)/2.왕필 주역주

주역 43. 쾌괘(夬卦)[택천쾌]/王弼 注

by 석담 김한희 2022. 11. 21.
728x90

 왕필 주역주

 왕필(王弼.226~249)

()나라 산음(山陰, 산동성) 사람이며 자는 보사(輔嗣)이다. 풍부한 재능을 타고나 유복한 환경에서 자랐기 때문에 일찍 학계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나 24살에 요절한 뛰어난 학자이다.

 

43. 쾌괘(夬卦)[卦象:택천쾌]

 兌上

 乾下

()[.하늘]이 아래에 있고, ()[.]가 위에 있다.

 

揚于王庭孚號有厲告自邑不利即戎利有攸往

()는 왕의 정원에서 드날리니 호령이 미덥지만 위태함이 있어서 스스로 읍에 고하며, 오랑캐에 나아감이 이롭지 않지만 가서 다스려[]야 이롭다

 

王弼 注 與剝反者也剝以柔變剛至於剛幾盡夬以剛決柔如剝之消剛剛隕則君子道消柔消則小人道隕君子道消則剛正之德不可得直道而用刑罰之威不可得坦然而行揚于王庭其道公也

왕필 주()괘와 박()괘는 반대(反對)하는 것이다. ()괘는 부드러움으로써 굳셈으로 변하는데 굳셈에 이르름이 거의 다함이고, ()괘는 굳셈으로써 박()괘의 굳셈을 소멸됨과 같다. 굳셈이 무너지면 군자(君子)의 도()가 사라지고 부드러움이 사라지면 소인(小人)의 도()가 무너지니, 군자(君子)의 도()가 사라지면 굳세고 바름의 덕()을 곧은 도()로 사용하면 안되고 형벌의 위엄을 평탄한 것처럼 행하면 안되며, 왕의 정원에서 드날림은 그 도()가 공적인 것이다.

 

決也剛決柔也 健而說決而和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 "()괘는 결단함이다. 굳셈이 부드러움을 결단함이다. 굳세면서도 설득되어 결단하여서 어울린다.

王弼 注 健而說則決而和矣

왕필 주굳셈이 설득되면 결단하여서 어울린다.

揚于王庭柔乘五剛也

왕의 정원에서 드날림은, 부드러움이 다섯 굳셈을 타고 있음이고,

王弼 注 剛德齊長一柔為逆眾所同誅而无忌者也故可揚于王庭

왕필 주굳셈은 덕이 가지런히 자라고 하나의 부드러움이 거역을 하면 무리가 함께 베어내는 바이라서 꺼림이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왕의 정원에서 드날릴 수 있다.

孚號有厲其危乃光也

호령이 미덥지만 위태함이 있음는, 그 위태로움이 마침내 드러남이다.

王弼 注 剛正明信以宣其令則柔邪者危故曰其危乃光也

왕필 주굳세어 바름과 밝은 믿음으로써 그 호령이 마땅하다면 부드럽고 사악한 자가 위태롭기 때문에 말하기를 그 위태로움이 마침내 드러난다.“라고 했다.

告自邑不利即戎所尚乃窮也

스스로 읍에 고하며, 오랑캐에 나아감이 이롭지 않음은, 숭상하는 바가 마침내 궁함이다.

王弼 注 以剛斷制告令可也告自邑謂行令於邑也用剛即戎尚力取勝也 尚力取勝物所同疾也

왕필 주굳셈으로써 제단(制斷)하여 령을 고할 수 있음이다. 스스로 읍에 고함은, 읍에 령을 행함을 말함이다. 굳셈을 사용하여 오랑캐에 나아감은, 힘을 숭상하여 이기기를 취함이며 힘을 숭상하여 이기기를 취하면 남[사물]이 같이 미워하는 바이다.

利有攸往剛長乃終也

가서 다스려[]야 이로움은, 굳셈이 자라 마침내 끝마침이다.

王弼 注 剛德愈長柔邪愈消故利有攸往道乃成也

왕필 주 굳센 덕()이 더욱 자라고 부드러러운 간사함이 더욱 사라지기 때문에 가서 다스려[]야 이로우며 ()가 마침내 이루어짐이다.

 

澤上於天君子以施祿及下居德則忌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이 하늘[]에 올라감이 쾌()괘이니, 군자가 그로써 베풀어 녹(祿)이 아래에 미치고, ()에 거주하며 조심[꺼림]한다.“

王弼 注 澤上於天夬之象也澤上於天必來下潤施祿及下之義也夬者明法而決斷之象也禁也法明斷嚴不可以慢故居德以明禁也施而能嚴嚴而能施健而能說決而能和美之道也

왕필 주못이 하늘에 올라감이 쾌()괘의 모습[]이며, 못이 하늘에 오르면 반드시 내려와 아래를 적시니 녹(祿)을 베풀어 아래에 미침의 뜻이다. ()라는 것은, 법을 밝혀서 결단을 하는 모습[]이다. ()는 금함이다. 법이 분명하고 결단이 엄해야 하며, 거만(倨慢)하면 안 되기 때문에 덕()에 거주하여 금함을 밝혔다. 베풀면서 능히 엄()하고 엄()하면서 잘 베풀며 굳세면서도 잘 설득하고 결단하면서도 잘 어울림이 아름다운 도()이다.

 

 

初九壯于前趾往不勝為咎

초구(初九)는 앞 발이 건장하지만 가서 이기지 못하니 허물이 된다

王弼 注 居健之初為決之始宜審其策以行其事壯其前趾往而不勝宜其咎也

왕필 주굳셈의 처음에 거주하고 결단을 하는 시작이니 마땅히 계책(計策)으로 행하는 그 일을 살핀다. 그 앞 발이 건장하게 갔는데도 이기지 못하니 마땅히 그 허물이다.

不勝而往咎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이기지 못하는데도 감은 허물이다.“

王弼 注 不勝之理在往前也

왕필 주이기지 못함의 이치는 가는데 앞에 있음이다.

 

九二惕號莫夜有戎勿恤

구이(九二)는 두려워 부르짖으며 밤 늦도록 오랑케가 있더라도 걱정하지 말라.

王弼 注 居健履中以斯決事能審己度而不疑者也故雖有惕懼號呼莫夜有戎不憂不惑故勿恤也

왕필 주굳셈에 거주하고 가운데를 밟고서 이로써 일을 결단하니, 자기를 헤아려 잘 심사하여서 의혹하지 않는 자이다. 그러므로 비록 두려워 경계하고 부르짖으며 호령하고 밤늦도록 오랑캐가 있더라도 근심하지 않고 의혹하지 않기 때문에 걱정하지 말라함이다.

有戎無恤得中道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오랑케가 있더라도 걱정이 없음은, 가운데 도[中道]를 얻었음이다.”

 

九三壯于頄有凶, 獨行遇雨君子夬夬若濡有慍无咎

구삼(九三)은 광대뼈[上六]에게 씩씩하면 흉함이 있고, 홀로 가면 비를 만난다. 군자가 결단하여 터놓으니 젖는 듯하여 원망(怨望)이 있지만 허물은 없다.

王弼 注 面權也謂上六也最處體上故曰權也剝之六三以應陽為善夫剛長則君子道興陰盛則小人道長然則處陰長而助陽則善處剛長而助柔則凶矣夬為剛長而三獨應上六助於小人是以凶也君子處之必能棄夫情累決之不疑故曰夬夬也若不與眾陽為群而獨行殊志應於小人則受其困焉遇雨若濡有恨而无所咎也

왕필 주()는 얼굴의 광대뼈[, 광대뼈 관]이고, 상육(上六)을 말한다. 가장 위쪽 몸에 처하기 때문에 "광대뼈[]"라고 말한다. ()괘의 육삼(六三), ()에 응()함으로써 착하게 되는데 그 굳셈이 자라면 군자(君子)의 도()가 일어나고 음()이 성하면 소인(小人)의 도()가 자라난다. 그렇다면 음()이 자라남에 처하여 양()을 도우면 착함이고, 굳셈이 자라남에 처하여 부드러움을 도우면 흉함이다. ()괘는 굳셈이 자라나게 되어서 구3(九三)이 홀로 상육(上六)에 응()하여 소인을 도와주니 바로 그로써 흉함이다. 군자가 거기에 처하면 반드시 정()에 얽매임을 잘 버리고 결단을 하여 의심하지 않기 때문에 결단하여 터놓는다.”라고 말한 것이다.

만약 여러 양()과 무리가 되지 않으면서 홀로 가서 뜻을 달리하며 소인에게 응()하면 그 곤액(困厄)을 거기에서 받는다. 비를 만나 젖은 듯하여 한()이 있는데도 허물할 바는 없다.

君子夬夬終无咎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군자가 결단하여 터놓음은, 끝내 허물이 없음이다."

 

九四臀无膚其行次且牽羊悔亡聞言不信

구사(九四)는 볼기에 살이 없어서 그 행함을 머뭇거리나, 끌려가는 양이니 후회가 없지만 말을 들어도 믿지 않는다.

王弼 注 下剛而進非己所據必見侵傷*失其所安故臀无膚其行次且也羊者牴很難移之物謂五也五為夬主非下所侵若牽於五則可得悔亡而已剛亢不能納言自任所處聞言不信以斯而行凶可知矣

* 或作」。

왕필 주아래가 굳세면서 나아가고 자기의 근거하는 바가 아니면 반드시 침범과 상함을 당하니 그 편안한 바를 잃기 때문에 볼기에 살이 없으며 그 행함을 머뭇거림이다. ()이라는 것은, 들이받고 사나워 옮기기 어려운 동물이며, 5(九五)를 말함이다. 5(九五)가 쾌()괘의 주체가 되어 아래가 침해할 바가 아닌데, 만약 구5(九五)에게 끌려가면 후회가 없음을 얻을 수 있을 뿐이지만 굳세고 높아서 말을 잘 받아들이지 않고 처하는 바에 스스로 임하며 말을 듣고도 믿지 않고, 이러함으로써 행하니 흉함을 알 수 있다.

其行次且位不當也聞言不信聰不明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그 행함이 머뭇거림은, 지위가 마땅하지 않음이다. 말을 들어도 믿지 않음은, 들음이 밝지 못함이다.”

王弼 注 同於噬嗑滅耳之凶

왕필 주서합(噬嗑)괘의 귀가 없어짐의 흉함과 한가지이다.

 

九五莧陸夬夬中行无咎

구오(九五)는 땅 비름을 터서 끊어내고 가운데를 행해야 허물이 없다

王弼 注 莧陸草之柔脆者也決之至易故曰夬夬也夬之為義以剛決柔以君子除小人者也而五處尊位最比小人躬自決者也以至尊而敵至賤雖其克勝未足多也處中而行足以免咎而已未足光也

왕필 주땅 비름[莧陸]은 풀이 부드럽고 연한 것인데, 끊어야 바뀜에 이르르기 때문에 터서 끊어낸다.”라고 말했다. ()괘의 뜻이 됨은 굳셈으로써 부드러움을 끊어내고 그로써 군자가 소인을 제거하는 것이다그런데 구5(九五)가 높은 지위에 처하고 가장 소인에 가까우니 몸소 스스로 결단하는 자이다. 지극히 높은 자로서 지극히 낮은 자를 상대하면 비록 이기더라도 넉넉하게 넉넉하게 많지 않고, 가운데[]에 처하면서 행하여 허물을 면함이 족할 뿐이니, 빛남이 넉넉지는 않음이다.

中行无咎中未光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가운데[中道]를 행하여 허물이 없음은, 가운데[]가 아직 빛나지 못함이다."

 

上六无號終有凶

상육(上六)은 부르짖음이 없으니, 마침에 흉함이 있다

王弼 注 處夬之極小人再上君子道長眾所共棄故非號咷所能延也

왕필 주()괘의 꼭대기에 처하고 소인(小人)이 다시 올라 가려는데, 군자(君子)의 도()가 자라나 무리가 함께 버리는 바이기 때문에 울며 부르짖음이 잘 연장되는 바가 아니다. 

无號之凶終不可長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부르짖음이 없음의 흉함은, 마침은 길게 할 수 없음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