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주역(周易)/2.왕필 주역주

주역 41. 손괘(損卦)[산택손]/王弼 注

by 석담 김한희 2022. 11. 19.
728x90

 왕필 주역주

 왕필(王弼.226~249)

()나라 산음(山陰, 산동성) 사람이며 자는 보사(輔嗣)이다. 풍부한 재능을 타고나 유복한 환경에서 자랐기 때문에 일찍 학계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나 24살에 요절한 뛰어난 학자이다.

 

41. 손괘(損卦)[卦象:산택손]

 艮上

 兌下

()[.]가 아래에 있고, ()[.]이 위에 있다.

 

有孚元吉无咎可貞利有攸往曷之用二簋可用享

()괘는 믿음이 있어야 크게 길하며, 바로잡을 만한 허물이 없고 다스림[]이 있는데 가야 이롭다. 무엇을 쓰겠는가? 제기 두 그릇이면 제향(祭享)할 수 있다.

 

彖曰損下益上其道上行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 "()은 아래를 덜어서 위에 더하여, 그 도()가 위로 행하니,

王弼 注 艮為陽兌為陰凡陰順於陽者也陽止於上陰說而順損下益上上行之義也

왕필 주()이 양()이 되고 태()가 음()이 되며 모든 음이 양에 순종하는 자이다. ()이 위에 그치면 음()이 설득되어서 순종하며 아래를 덜어서 위에 더함이 위로 행함의 뜻이다.

損而有孚元吉无咎可貞利有攸往 

덜어내는데 믿음이 있어야 크게 길하고, 바로잡을 수 있는 허물이 없고 펼침[]이 있는데 가야 이롭다.

王弼 注 損之為道損下益上損剛益柔也損下益上非補不足也損剛益柔非長君子之道也為損而可以獲吉其唯有孚乎? 損而有孚則元吉无咎而可正利有攸往矣損剛益柔不以消剛損下益上不以盈上損剛而不為邪益上而不為諂則何咎而可正雖不能拯濟大難以斯有往物无距也

왕필 주덜어냄[]의 도()가 됨은, 아래를 덜어서 위에 더하고 굳셈을 덜어서 부드러움에 더함이며, 굳셈을 덜어 부드러움에 보탬은 군자의 도()를 자라게 함이 아니다. 덜어냄을 실천하여서 길함을 얻을 수 있음은 오직 믿음에 있겠는가? 덜어내어서 믿음이 있으면 크게 길하고 허물이 없으면서 바를 수가 있으니 펼침[]이 있는데 가야 이롭다. 굳셈을 덜어 부드러움에 더하여 굳셈이 사라지게 하지 않으며, 아래를 덜어 위에 더하여 위쪽에 가득 차지 않게 함이다. 굳셈을 덜어서 간사함이 되지 않고 위에 더해도 아첨함이 되지 않으면 무슨 허물이 되며 바로잡을 수 있겠는가? 비록 큰 어려움을 잘 구제하지는 못하지만 이렇게 함으로써 가면 남[사물]을 막을 것이 없다.

曷之用 

무엇을 쓰겠는가?

王弼 注 辭也曷之用言何用豐為也

왕필 주()은 어조사이다. ‘무엇을 쓰겠는가?’ 무엇을 풍성하게 사용하겠는가라는 말이다.

二簋可用享 

그릇 둘로도 제사를 지낼 수 있음

王弼 注 二簋質薄之器也行損以信雖二簋而可用享

왕필 주제기 두 그릇은, 질박(質朴)하고 얇은 그릇이며 덜어냄을 믿음으로서 행하면 비록 두 그릇이라도 제향(祭享)을 지낼 수 있음이다.

二簋應有時 

그릇 둘이 응()하는 때가 있으며,

王弼 注 至約之道不可常也

왕필 주검소함이 지극함의 도()이니 항상 할 수 있음은 아니다.

損剛益柔有時 

굳셈을 덜어 부드러움에 보탬이 때가 있으니,

王弼 注 下不敢剛貴於上行損剛益柔之謂也剛為德長損之不可以為常也

왕필 주아래가 감히 굳세지 못하여 위에 행함을 귀하게 함은, 굳셈을 덜어 부드러움에 더함을 말함이다. 굳셈은 덕()을 자라게 하고 덜어냄은 항상 할 수 있음은 아니다.

損益盈虛與時偕行 

덜고 더함과 채우고 비움은, 때에 더블어 함께 행한다.“

王弼 注 自然之質各定其分短者不為不足長者不為有餘損益將何加焉非道之常故必與時偕行也

왕필 주스스로 그러함의 본질은 각각 그 나눔을 정하는데, 짧은 것은 부족하지 않게 하고 긴 것은 남음이 있게 하지 않으며 덜고 보탬에 장차 무엇을 더하겠는가? ()가 항상함이 아니기 때문에 반드시 때와 더블어 함께 행함이다.

 

山下有澤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산 아래 못이 있는 것이 손()괘이니,

王弼 注 山下有澤損之象也

왕필 주산 아래 못이 있음은 손()괘의 모습[]이다.

君子以懲忿窒欲 

군자(君子)가 그로써 분함를 징계(懲戒)하고 욕심을 막는다.

王弼 注 可損之善莫善忿欲也

왕필 주덜어냄을 착하게 할 수 있음은, 분함과 욕심보다 착함이 없다.

 

初九已事遄往无咎酌損之 

초구(初九)는 일이 끝나면 빨리 가야 허물이 없으니, 짐작(斟酌)하여 덜어내야 한다

王弼 注 損之為道損下益上損剛益柔以應其時者也居於下極損剛奉柔則不可以逸處損之始則不可以盈時已則往不敢宴安乃獲无咎也剛以奉柔雖免乎咎猶未親也故既獲无咎復自酌損乃得合志也速也

왕필 주덜어냄[]의 도()를 실천함은, 아래를 덜어서 위에 더하고 굳셈을 덜어서 부드러움에 더하며 그로써 그 때에 응()하는 자이다. 아래 꼭대기에 거주하고 굳셈을 덜어서 부드러움을 받들면 편안할 수가 없으며, 덜어냄[]의 시작에 처한다면 채움으로 할 수가 없으니, 때가 그치면 가서 감히 잔치가 편안하지 않지만 이에 허물 없음을 얻는다. 굳셈으로서 부드러움을 받들어 비록 허물을 면하나 아직 친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이미 허물 없음을 얻고 다시 스스로 짐작(斟酌)하여 덜어야 비로소 뜻이 합함을 얻는다. (, 빠를 천)은 속히 함이다.

已事遄往尚合志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일을 마치면 빨리 감은 오히려 뜻에 부합함이다.“

王弼 注 尚合於志故速往也

왕필 주오히려 뜻에 부합하기 때문에 속히 감이다.

 

九二利貞征凶弗損益之 

구이(九二)는 곧음이 이롭고 가면 흉하니, 덜어내지 말고 더해주어야 한다.

王弼 注 柔不可全益剛不可全削下不可以无正初九已損剛以順柔九二履中而復損己以益柔則剝道成焉故不可遄往而利貞也進之於柔則凶矣故曰征凶也故九二不損而務益以中為志也

왕필 주부드러움은 온전히 더해서는 안 되고 굳셈은 온전히 깎아서는 안 되며, 아래는 바름이 없어서는 안 된다. 초구(初九)가 이미 굳셈을 덜어냄으로써 부드러움에 순종하였는데 구이(九二)가 가운데[] 를 밟고서 다시 자기를 덜어냄으로써 부드러움에 더한다면 박()괘의 도()가 그곳에 이루기 때문에 속히 가서는 안 되며 곧아야 이로움이다. 부드러움에 나아 간다면 흉하다, 그러므로 "가면 흉하다."라고 말했다. 그러므로 구이(九二)는 덜어내지 않으면서 더함에 힘 쓰고, 가운데[]로써 뜻을 삼는다.

九二利貞中以為志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2(九二)는 곧아야 이로움은, 가운데[]로써 뜻을 삼음이다."

  

六三三人行則損一人一人行則得其友

육삼(六三)은 세 사람이 가면 한 사람을 덜어내고, 한 사람이 가면 그 벗을 얻는다.

王弼 注 損之為道損下益上其道上行三人謂自六三已上三陰也三陰並行以承於上則上失其友內无其主名之曰益其實乃損故天地相應乃得化淳男女匹配乃得化生陰陽不對生可得乎故六三獨行乃得其友三陰俱行則必疑矣

왕필 주()괘가 도()를 실천함은, 아래를 덜어 위에 더하여 그 도()가 위로 행함이다. 사람 셋은 육3(六三)으로 부터 이상 세 음()을 말함이다. 세 음()이 나란히 행하여 그로써 상구(上九)를 받들면 상구(上九)가 그 벗을 잃고 안에 주인이 없으며, 이름을 더함[]이라 말했으나 그 실제는 마침내 덜어냄[]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이 서로 응()해야 비로소 달라져 함을 얻고 남자와 여자가 짝의 배필이 되어야 비로소 달라져 낳음을 얻는다. ()과 양()이 상대하지 못하면 낳음을 얻을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육3(六三)이 홀로 행하더러도 마침내 벗을 얻지만, 두 음()과 함께 행하면 반드시 의심하게 된다.

 一人行三則疑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한 사람이 행함은, 셋이 하면 의심하여서이다."

 

六四損其疾使遄有喜无咎 

육사(六四)는 그 병을 덜어내는데 빨리하게 해야 기쁨이 있고 허물이 없다.

王弼 注 履得其位以柔納剛能損其疾也疾何可久? 故速乃有喜損疾以離其咎有喜乃免故使速乃有喜有喜乃无咎也

왕필 주그 지위를 얻어 밟고 그로써 부드러움이 굳셈을 받아들이니 그 병을 잘 덜어냄인데, 병이 어찌 오래 할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빨리해야 이에 기쁨이 있음이다. 병을 덜어냄으로써 그 허물을 이별하고 기쁨이 있으며 마침내 면하기 때문에 빨리 하도록 해야 이에 기쁨이 있고 기쁨이 있으니 이에 허물이 없음이다.

損其疾亦可喜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그 병을 덜어냄은, 또한 기뻐할 수 있음이다.”

 

六五或益之十朋之龜, 弗克違元吉 

육오(六五)는 혹 더해주어서 열 묶음의 거북도 어기지 못하니 크게 길하다

王弼 注 以柔居尊而為損道江海處下百谷歸之履尊以損則或益之矣黨也龜者決疑之物也陰非先唱柔非自任尊以自居損以守之故人用其力事竭其功知者慮能明者慮策弗能違也則眾才之用盡矣獲益而得十朋之龜足以盡天人之助也

왕필 주부드러움으로써 높은데에 거주하면서 덜어냄[]의 도()를 행하니, 강과 바다가 아래에 처하여 온갖 골짜기의 물이 돌아온다. 높은데를 밟고 그로써 덜어내[]면 혹 더해주는 것이다. ‘(, 벗 붕)’은 무리이며, 거북이라는 것은 의혹을 결단하는 물건이다. ()은 먼저 부르지 않고 부드러움은 스스로 맡는 자가 아니며, 높음을 가지고 자처하고 덜어냄[]으로써 지켜내기 때문에 사람들이 그 힘을 사용하고 일이 그 공()을 다함이다. 지혜로운 자가 잘 생각하고 현명한 자가 계책을 생각하여도 잘 어기지 못한다면 여러 인재의 사용을 다한다. 더함을 얻고 열 종류의 거북을 얻으면 하늘과 사람의 도움을 다함이 넉넉한 것이다.

六五元吉自上祐也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5(六五)가 크게 길함은, 위로부터 도와줌이다."

  

上九弗損益之无咎貞吉利有攸往得臣无家 

상구(上九)는 덜지 않고 더해주니 허물이 없으나 곧아야 길하며 가서 펼침[, 펼 신]이 있어야 이롭고 신하를 얻지만 집안은 없다 

王弼 注 處損之終上无所奉損終反益剛德不損乃反益之而不憂於咎用正而吉不制於柔剛德遂長故曰弗損益之无咎貞吉利有攸往居上乘柔處損之極尚夫剛德為物所歸故曰得臣得臣則天下為一故无家也

왕필 주덜어냄[]의 마침에 처하고 위쪽에 받들 곳이 없어서 덜어냄[]이 끝나고 도리어 더함[]이 되는데, 굳셈의 덕()을 덜지 않고 마침내 도리어 더해주어서 허물을 근심하지 않는다. 바름을 사용하면서 길함은 부드러움을 제제하지 않고 굳셈의 덕()이 드디어 자라기 때문에 말하기를 "덜지 않고 더해주니 허물이 없으나 곧아야 길하며 가서 펼침[, 펼 신]이 있어야 이롭고 신하를 얻지만 집안은 없다.”라고 했다. 위의 부드러움을 타고 거주하며 덜어줌[]의 꼭대기에 처하여 그 굳센 덕()을 숭상하면 남[사물]이 귀의하는 곳이 되기 때문에 신하를 얻는다.”라고 말하였고, 신하를 얻으면 천하가 하나가 되기 때문에 집안이 없음이다.

弗損益之大得志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덜지 않고 더햐줌은, 크게 뜻을 얻음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