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왕필 주역주

 왕필(王弼.226~249)

()나라 산음(山陰, 산동성) 사람이며 자는 보사(輔嗣)이다. 풍부한 재능을 타고나 유복한 환경에서 자랐기 때문에 일찍 학계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나 24살에 요절한 뛰어난 학자이다.

 

45. 췌괘(萃卦)[卦象:택지췌]

 兌上

 坤下

()[.]이 아래에 있고, ()[.]가 위에 있다.

 

췌괘(萃卦)는 형통하며,

王弼 注 聚乃通也

왕필 주모으면 비로소 통함이다.

王假有廟

왕이 사당을 둠에 이르며,

王弼 注 至也王以聚至有廟也

왕필 주(, 이를 격)은 이르름[]이며, 왕이 모음으로써 사당이 있음에 이르름이다.

譯註 1: 禮記』 《禮運 故天子祭天地諸侯祭社稷祝嘏莫敢易其常古是謂大假

(예기』 《예운그러므로 천자는 하늘과 땅에 제사하고, 제후는 사직에 제사 지낸다. ()과 하()는 그것이 옛날 불변의 예법이기에 감히 바꿀 수 없다. 이것을 일컫기를 <대가(大假)>라 한다.)

 하사(嘏辭) : 제사를 지낼 때에, ()이 제주(祭主)에게 내리는 축복의 말이다.

【石潭 案】 : “하(假)” 는 『예기』 《禮運》의 ‘정현 주’에 ”嘏,本或作假[‘하’는 원본에 혹 하(假:멀 하)로 쓰였다]라고 하였으며 “嘏,祝為屍致福於主人之辭也[‘하’는 축(祝)을 하여서 주인의 말에 시신의 복이 이르도록 함이다]라고 하였다. 

利見大人利貞

대인(大人)을 만남이 이롭고 형통한데 곧아야 이롭다

王弼 注 聚得大人乃得通而利正也

왕필 주모아서 대인(大人)을 얻으며, 마침내 통함을 얻는데 바름이 이롭다.

用大牲吉

큰 희생(犧牲)을 써야 길하며

王弼 注 全乎聚道用大牲乃吉也聚道不全而用大牲神不福也

왕필 주모으는 도()에 온전하고 큰 희생을 써야 비로소 길하다. 모으는 도()가 온전하지 않으면서 큰 희생을 쓰면 신이 복을 내리지 않는다.

利有攸往

가서 펼침[]이 이롭다.

 

聚也順以說剛中而應故聚也

단전(彖傳) 말했다. () 모음이다설득함으로써 순종하고가운데가 굳세 ()하기 때문에 모임이다

王弼 注 但順而說則邪佞之道也剛而違於中應則強亢之德也何由得聚順說而以剛為主主剛而履中履中以應故得聚也

왕필 주다만 순하면서 설득되면 간사하고 아첨함의 도()이고, 굳세면서 가운데[]와 응()을 어기면 강하고 높은 덕()인데, 무엇을 말미암아 모임을 얻겠는가? 순하여 설득되어서 굳셈을 가지고 주인을 하는데 주인이 굳세면서 가운데를 밟고 가운데를 밟고 그로써 응()하기 때문에 모음을 얻는다.

王假有廟致孝享也

왕이 이르러 사당에 있음은, 효도의 제향을 이르름이다

王弼 注 全聚乃得致孝之亨也

왕필 주모음이 온전해야 비로소 효도의 제향을 올릴 수 있음이다.

利見大人聚以正也

대인(大人) 만나야 이롭고 형통함은모음이 바름이다.

王弼 注 大人體中正者也通聚以正聚乃得全也

왕필 주대인(大人)은 몸이 가운데 바른[中正] 자이다. 모음이 바름을 통해야 모음이 마침내 온전함을 얻는다.

用大牲吉利有攸往順天命也

 희생을 사용하면 길하고 가서 펼침[]이 이로움은, 하늘의 명에 순종함이다.

王弼 注 順以說而不捐剛順天命者也天德剛而不違中順天則說而以剛為主也

왕필 주순함으로써 설득되면서 굳셈을 내놓지 않으니 하늘의 명을 따르는 자이다. 하늘의 덕(), 굳세면서 가운데를 어기지 않고 하늘에 순종하여 설득되면서 굳셈으로써 주인을 삼음이다.

觀其所聚而天地萬物之情可見矣

 모으는 바를 관찰하여서 천지(天地)와 만물의 실정을 볼 수가 있다.

王弼 注 方以類聚物以群分情同而後乃聚氣合而後乃群

왕필 주방소(方所)로써 부류를 모으고 사물로써 무리를 나눈다. 실정이 같은 이후에 비로소 모으고 기운이 합해진 이후에 비로소 무리한다.

 

澤上於地君子以除戎器戒 不虞

상전(象傳) 말했다. "못이 땅 보다 위에 있음이 ()괘이다. 군자는 그로써 병기를 덜어내고 경계를 기물하여 근심하지 않는다."

王弼 注 聚而无防則眾生心

왕필 주모으기만 하고 방비함이 없으면 무리가 욕심이 생겨난다.

 

 

初六有孚不終乃亂乃萃若號一握為笑勿恤往无咎

초육(初六) 믿음이 있지만 끝내지 못하니 이에 혼란하기도 하고 모이기도 한다. 만약 발호하면 한 줌 웃음이 되니 동정(同情)하지 말고, 가야 허물이 없다.

王弼 注 有應在四而三承之心懷嫌疑故有孚不終也不能守道以結至好迷務競爭故乃亂乃萃也一握者小之貌也為笑者懦劣之貌也己為正配三以近寵若安夫卑退謙以自牧則勿恤而往无咎也

왕필 주()이 구4(九四)에 있는데 육3(六三)이 그것[九四]을 받들어서 마음에 싫어하는 의심을 품기 때문에 믿음이 있으나 끝마치지 못함이다. ()를 잘 지켜서 그로써 지극히 좋아함을 맺지 않고 미혹(迷惑)함에 힘쓰고 다투어 경쟁하기 때문에 이에 혼란하기도 하고 모이기도 함이다. '한 줌[一握]'이라는 것은 작은 모양이고, '웃음이 된다[為笑]'는 것은 나약(懦弱)하고 용렬(庸劣)한 모양이다. 자기가 바른 배필이 되었는데 육3(六三)으로써 가까운데를 총애(寵愛)하니, 만약 낮추고 물러감을 편안히 여겨 겸손함으로써 스스로 기르면 동정(同情)하지 말고 가야 허물이 없음이다.

乃亂乃萃其志亂也

상전(象傳) 말했다. “이에 혼란하기도 하고 모이기도함은,  뜻이 어지러움이다."

 

六二引吉无咎孚乃利用禴

육이(六二) 이끌어야 길하고 허물이 없으며, 믿고 마침내 간소한 제사[] 지내니 이롭다.

王弼 注 居萃之時體柔當位處坤之中己獨處正與眾相殊異操而聚民之多僻獨正者危未能變體以遠於害故必見引然後乃吉而无咎也殷春祭名也四時祭之省者也居聚之時處於中正而行以忠信故可以省薄薦於鬼神也

왕필 주모음[]의 때에 거주하고 몸[]이 부드러워 지위가 마땅하다. ()의 가운데 처하고 자기 홀로 바름에 처하며 무리가 더블어 서로 다르고 지조(志操)가 다른데도 모으니, 백성들은 많이 궁벽(窮僻)해지고 바른 자가 홀로 위태로우며 몸[]을 바꿈으로써도 능히 해로움을 멀리하지 못하기 때문에 반드시 이끌어준 연후에야 비로소 길하여 허물이 없음을 본다. ‘(, 봄 제사 약)’은 은()나라의 봄 제사 이름이며, 사철 제사(四時祭) 중에 살피는 것이다. 모움의 때에 거주하고 가운데 바름[中正]에 처해서 충성과 믿음으로 행하기 때문에 살핌으로써 적은 제수를 귀()와 신()에게 올릴 수 있는 것이다.

引吉无咎中未變也

상전(象傳) 말했다. "이끌어야 ()하고 허물이 없음은가운데가 변하지 않았음이다."

 

六三萃如嗟如无攸利往无咎小吝

육삼(六三)은 모여서 탄식하니 이로움을 펼[]데가 없으며, 가면 허물이 없지만 조금은 부끄럽다

王弼 注 履非其位以比於四四亦失位不正相聚相聚不正患所生也干人之應害所起也萃如嗟如无攸利上六亦无應而獨立處極而憂危思援而求朋巽以待物者也與其萃於不正不若之於同志故可以往而无咎也二陰相合猶不若一陰一陽之應故有小吝也

왕필 주그 지위가 아닌데를 밟고 그로써 구4(九四)에 친하니 구4(九四) 또한 자리를 잃었는데, 서로 모음이 바르지 않으며 모음이 바르지 않으나 근심이 생겨나는 바이다. 남의 응()을 막으면 해가 일어난다. 그러므로 '모여서 탄식하니 이로움을 펼[]데가 없다'. 상육(上六) 또한 응()이 없어서 홀로 서 있고 꼭대기에 처하면서 위태로움을 근심하여 도움을 생각하여서 벗을 구하여 공손함으로써 남[사물]을 기다리는 자이다. 더블어 그 바르지 않음에 모음이 동지(同志;)에게 가는 것 보다 못하기 때문에 감으로써 허물이 없을 수 있다. 두 음()이 서로 합하였으니, 오히려 한 음()과 한 양()이 응()하는 것만 못하기 때문에 조금 부끄러움이 있음이다.

往无咎上巽也

상전(象傳) 말했다. "가면 허물이 없음은, 상육(上六)이 겸손함이다.“

 

九四大吉无咎

구사(九四) 크게 길해야 허물이 없다.

王弼 注 履非其位而下據三陰得其所據失其所處處聚之時不正而據故必大吉立夫大功然後无咎也

왕필 주그 지위가 아닌데를 밟으면서 아래 세 음()에 근거하니 그 근거하는 바를 얻지만 그 처한 곳을 잃는다. 모으는 때에 처하고 바르지 않으면서도 근거하기 때문에 반드시 크게 길하지만 큰 공을 세운 연후에야 허물이 없다.

大吉无咎位不當也

상전(象傳) 말했다. “크게 ()해야 허물이 없음은지위가 마땅하지 않음이다.”

 

九五萃有位无咎匪孚元永貞悔亡

구오(九五) 모음은 지위가 있어야 허물이 없고, 믿지 않아도 근원이 오래 곧으면 후회가 없어진다

王弼 注 處聚之時最得盛位故曰萃有位也四專而據己德不行自守而已故曰无咎匪孚」。夫脩仁守正久必悔消故曰元永貞悔亡」。

왕필 주모음의 때에 처해야 가장 성대한 지위를 얻었기 때문에 "모음은 지위가 있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4(九四)가 오로지 하여서 근거하고 자기의 덕()을 행하지 않으면 스스로를 지킬 뿐이기 때문에 허물이 없고 믿지 않음이라 했다. 그 어짊을 닦고 바름을 지키기를 오래하면 반드시 뉘우침이 사라지기 때문에 근원이 오래 곧으면 후회가 없어진다.”라고 말한 것이다.

萃有位志未光也

상전(象傳) 말했다. “모음은 지위가 있음은, 뜻이 아직 빛나지 않음이다."

 

上六齎咨涕洟无咎

상육(上六) 눈물 콧물 흘리며 탄식해야 허물이 없다.

王弼 注 處聚之時居於上極五非所乘內无應援處上獨立近遠无助危莫甚焉齎咨嗟歎之辭也若能知危之至懼禍之深憂病之甚至于涕洟不敢自安亦眾所不害故得无咎也 

왕필 주모이는 때에 처하고 올라가는 꼭대기에 거주하며 구5(九五)는 탈 곳이 아니고 안에 응원(應援)이 없다. 홀로 서서 위에 처하여 가깝고 먼 곳에 도움이 없으니, 위태로움이 이보다 더 심함이 없다. ‘재자(齎咨)’는 한탄하는 말이다. 만약 위험이 이르름을 잘 알고 재앙을 두려워하기가 깊으며 병을 염려하기가 심하여 눈물과 콧물이 지극하고 감히 스스로 편안하지 않으며 또한 무리가 해치지 못하는 바이기 때문에 허물 없음을 얻는 것이다.

齎咨涕洟未安上也

상전(象傳) 말했다. “눈물 콧물 흘리며 탄식해야 함은위쪽이 편안하지 않음이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