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경(詩經)』
≪국풍(國風) 제15 빈풍(豳風)≫
159. 구역(九罭, 아홉 코 그물)
九罭之魚、鱒魴。
(구역지어 준방)
아홉 코 그물에 걸린 물고기는 송어와 방어인데
我覯之子、袞衣繡裳。
(아구지자 곤의수상)
우리 님 만나보니 용무늬 수놓은 의상을 입으셨네
鴻飛遵渚、
(홍비준저)
기러기는 날아서 물가를 따라 가는데
公歸無所、於女信處。
(공귀무소 어여신처)
그분 돌아갈 곳 없으랴 너에게 잠시 머무셨다네
鴻飛遵陸、
(홍비준육)
기러기는 날아서 육지를 따라 가는데
公歸不復、於女信宿。
(공귀불복 어녀신숙)
그분 다시 돌아오지 못해서 너에게 잠시 묶으셨네
是以有袞衣兮、
(시이유곤의혜)
이 때문에 곤룡포 입고 계시는데
無以我公歸兮、
(무이아공귀혜)
우리 그분 돌아가지 않게 하여서
無使我心悲兮。
(무사아심비혜)
우리 마음이 슬프지 않게 하리라
《九罭》四章,一章四句,三章章三句。
《모시(毛詩)》
전한(前漢)의 모형(毛亨)이 『시(詩)』에 주석을 하여서 모시(毛詩)라고 하며 시경(詩經)의 별칭이다.
【毛詩 序】 《九罭》,美周公也。周大夫刺朝廷之不知也。
【모시 서】 <구역(九罭)>은 주공(周公)을 찬미한 시(詩)이다. 주(周)나라 대부들이 조정의 [성덕(聖德)을] 알지 못함을 풍자한 것이다.
◎ 모시전(毛詩傳)
『모시전(毛詩傳)』은 모형(毛亨)이 『시(詩)』에 전(傳)을 붙여 『모시고훈전(毛詩詁訓傳)』을 지었다.
九罭之魚、鱒魴。
(구역지어 준방)
아홉 코 그물에 걸린 물고기는 송어와 방어인데
【毛亨 傳】 興也。九罭緵罟,小魚之網也。鱒魴,大魚也。
【모형 전】 일으킴[興]이다. 아홉 코 그물[구역(九罭)]은, 날실이 여든 올의 그물이며 작은 물고기 잡는 그물이다. 송어[준(鱒, 송어 준)]와 방어[방(魴, 방어 방)]는 큰 물고기이다.
我覯之子、袞衣繡裳。
(아구지자 곤의수상)
우리 님 만나보니 용무늬 수놓은 의상을 입으셨네
【毛亨 傳】 所以見周公也,袞衣卷龍也。
【모형 전】 그로써 주공(周公)을 만나본 바로는, 곤룡포[袞]를 입었는데 용(龍)을 수놓았음이다.
鴻飛遵渚、
(홍비준저)
기러기는 날아서 물가를 따라 가는데
【毛亨 傳】 鴻不宜循渚也。
【모형 전】 기러기[鴻]는 마땅히 물가를 돌아가지 않는다.
公歸無所、於女信處。
(공귀무소 어여신처)
그분 돌아갈 곳 없으랴 너에게 잠시 머무셨다네
【毛亨 傳】 周公未得禮也。再宿曰信。
【모형 전】 주공(周公)이 아직 예(禮)를 얻지 못했다. 이틀을 묵음을 신(信)이라 말한다.
鴻飛遵陸、
(홍비준육)
기러기는 날아서 육지를 따라 가는데
【毛亨 傳】 陸非鴻所宜止。
【모형 전】 육지[陸]는 기러기가 마땅히 그치는 곳이 아니다.
公歸不復、於女信宿。
(공귀불복 어녀신숙)
그분 다시 돌아오지 못하니 너에게 잠시 묶으셨네
【毛亨 傳】 宿猶處也。
【모형 전】 숙(宿, 잘 숙)은 처소와 같음이다.
是以有袞衣兮、
(시이유곤의혜)
이 때문에 곤룡포 입고 계시는데
無以我公歸兮、
(무이아공귀혜)
우리 그분 돌아가지 않게 하여서
【毛亨 傳】 無與公歸之道也。
【모형 전】 공(公)께서 돌아가시는 길[道]을 주지 마시라.
無使我心悲兮。
(무사아심비혜)
우리 마음이 슬프지 않게 하리라
◎ 모시전(毛詩箋)
한(漢)나라 정현(鄭玄, 127~200)이 모형(毛亨)의 『모시전(毛詩傳)』에 전(箋)을 달아서 『모시전(毛詩箋)』을 지었다.
九罭之魚、鱒魴。
(구역지어 준방)
아홉 코 그물에 걸린 물고기는 송어와 방어인데
【鄭玄 箋】 箋雲:設九罭之罟,乃後得鱒魴之魚,言取物各有器也。興者,喻玉欲迎周公之來,當有其禮。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아홉 코의 그물을 설치하고 비로소 뒤에 송어와 방어 물고기를 얻었음은, 사물이 각각 취하는 그릇이 있음을 말함이다. 일으킨[興] 것은, 주공(周公)께서 오시는데 맞이하고자 함이 마땅히 그 예(禮)가 있음을 옥을 비유하였다.”라고 하였다.
我覯之子、袞衣繡裳。
(아구지자 곤의수상)
우리 님 만나보니 용무늬 수놓은 의상을 입으셨네
【鄭玄 箋】 箋雲:王迎周公,當以上公之服往見之。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왕께서 주공(周公)을 맞이함은, 마땅히 상공(上公) 이상의 직책(職責)으로 와서 만나보아야 함이다.”라고 하였다.
鴻飛遵渚、
(홍비준저)
기러기는 날아서 물가를 따라 가는데
【鄭玄 箋】 箋雲:鴻,大鳥也,不宜與鳧之屬飛而循渚,以喻周公今與凡人處東都之邑,失其所也。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홍(鴻, 기러기 홍)은 큰 새인데, 오리의 부류와 더블어 날아감은 마땅하지 않아서 물가를 돌아가니, 그로써 주공(周公)이 지금 보통 사람들과 더블어 동쪽 도읍에 처하여 그 처소를 잃었음을 비유하였음이다.”라고 하였다.
公歸無所、於女信處。
(공귀무소 어여신처)
그분 돌아갈 곳 없으랴 너에게 잠시 머무셨다네
【鄭玄 箋】 箋雲:信,誠也。時東都之人慾周公留不去,故曉之雲:公西歸而無所居,則可就女誠處是東都也。今公當歸複其位,不得留也。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신(信, 믿을 신)은, 진실함이다. 동쪽 도읍 시절의 사람들이 주공(周公)께서 떠나지 않고 머물기를 바라기 때문에 깨우쳐 주며 말하기를 ”공(公)께서 서쪽으로 돌아가 머무를 곳이 없으면 이 동쪽 도읍에서 나에게 잠시 처했다가 나아갈 수 있습니다.”고 하였다. 지금 공(公)께서 마땅히 그 지위에 다시 돌아가시니 머무르지 못함이다.”라고 하였다.
鴻飛遵陸、
(홍비준육)
기러기는 날아서 육지를 따라 가는데
公歸不復、於女信宿。
(공귀불복 어녀신숙)
그분 다시 돌아오지 못하니 너에게 잠시 묶으셨네
是以有袞衣兮、
(시이유곤의혜)
이 때문에 곤룡포 입고 계시는데
【鄭玄 箋】 箋雲:是,是東都也。東都之人慾周公留之為君,故雲「是以有兗衣」。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시(是, 이 시)는 이 동쪽 도읍이다. 동쪽 도읍의 사람들이 주공(周公)께서 군주가 되어 머물기를 바라기 때문에 이르기를 ”이 때문에 곤룡포를 입고 계시다.“고 하였다.”라고 하였다.
無以我公歸兮、
(무이아공귀혜)
우리 그분 돌아가지 않게 하여서
【鄭玄 箋】 謂成王所齎來兗衣,原其封周公於此。以兗衣命留之,無以公西歸。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성왕(成王)께서 가지고 오신 바의 곤룡포를 말하며, 근본은 주공(周公)을 이 자리에 봉하려 함이다. 곤룡포를 가지고 명하여 머무르게 하니 공(公)이 그로써 서쪽으로 돌아가지 못함이다.”라고 하였다.
無使我心悲兮。
(무사아심비혜)
우리 마음이 슬프지 않게 하리라
【鄭玄 箋】 箋雲:周公西歸,而東都之人心悲,恩德之愛至深也。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주공(周公)이 서쪽으로 돌아가면 동쪽 도읍의 사람들 마음이 슬프며 은덕을 아낌이 지극히 심함이다.”라고 하였다.
《모시정의(毛詩正義)》
한(漢)나라 모형(毛亨)이 『시경(詩經)』에 전(傳)을 짓고 정현(鄭玄)이 전(箋)을 붙였으며 당(唐)나라 공영달(孔穎達)이 소(疏)를 지어 모시정의(毛詩正義)를 완성 하였다.
《九罭》,美周公也。周大夫刺朝廷之不知也。(○罭,本亦作「罭」,於逼反。)
疏「《九罭》四章,首章四句,下三章,章三句」至「不知」。○正義曰:作《九罭》詩者,美周公也。周大夫以刺朝廷之不知也。此序與《伐柯》盡同,則毛亦以為刺成王也。周公既攝政而東征,至三年,罪人盡得。但成王惑於流言,不悅周公所為。周公且止東方,以待成王之召。成王未悟,不欲迎之,故周大夫作此詩以刺王。經四章,皆言周公不宜在東,是刺王之事。鄭以為,周公避居東都三年,成王既得雷雨大風之變,欲迎周公,而朝廷群臣猶有惑於管、蔡之言,不知周公之誌者。及啟金縢之書,成王親迎,周公反而居攝,周大夫乃作此詩美周公,追刺往前朝廷群臣之不知也。此詩當作在歸攝政之後。首章言周公不宜居東,王當以袞衣禮迎之。所陳是未迎時事也。二章、三章陳往迎周公之時,告曉東人之辭。卒章陳東都之人慾留周公,是公反後之事。既反之後,朝廷無容不知。序雲美周公者,則四章皆是也。其言刺朝廷之不知者,唯首章耳。
九罭之魚鱒魴。(興也。九罭緵罟,小魚之網也。鱒魴,大魚也。箋雲:設九罭之罟,乃後得鱒魴之魚,言取物各有器也。興者,喻玉欲迎周公之來,當有其禮。○鱒,才損反,沈又音撰。魴音房。緵,子弄反,又子公反,字又作「緫」。罟音古。今江南呼緵罟為百囊網也。)
我覯之子,袞衣繡裳。(所以見周公也,袞衣卷龍也。箋雲:王迎周公,當以上公之服往見之。○袞,古本反,六冕之第二者也。畫為九章,天子畫升龍於衣上,公但畫降龍。字或作「卷」,音同。卷,卷冕反。)
疏「九罭」至「繡裳」。○毛以為,九罭之中,魚乃是鱒也、魴也。鱒、魴是大魚,處九罭之小網,非其宜,以興周公是聖人,處東方之小邑,亦非其宜,王何以不早迎之乎?我成王若見是子周公,當以袞衣繡裳往見之。刺王不知,欲使王重禮見之。鄭以為,設九罭之網,得鱒、魴之魚,言取物各有其器,以喻用尊重之大禮,迎周公之大人,是擬人各有其倫。尊重之禮,正謂上公之服。王若見是子周公,當以袞衣繡裳往迎之。○傳「九罭」至「大魚」。○正義曰:《釋器》雲: 「緵罟謂之九罭。九罭,魚網也。」孫炎曰:「九罭,謂魚之所入有九囊也。」郭樸曰:「緵,今之百囊網也。」《釋魚》有「鮅」、「鱒」。樊光引此詩。郭樸曰:「鱒似鯇子赤眼者。江東人呼魴魚為鯿。」陸機《疏》雲:「鱒似鯇而鱗細於鯇,赤眼。」然則百囊之網非小網,而言得小魚之罟者,以其緵促網目能得小魚,不謂網身小也。驗今鱒、魴非是大魚,言大魚者,以其雖非九罭密網,此魚亦將不漏,故言大耳,非大於餘魚也。傳以為,大者,欲取大小為喻。王肅雲:「以興下土小國,不宜久留聖人。」傳意或然。○箋「設九」至「其禮」。○正義曰:箋解網之與魚大小,不異於傳,但不取大小為喻耳。以下句「袞衣繡裳」是禮之上服,知此句當喻以禮往迎,故易傳以取物各有其器,喻迎周公當有禮。○傳「所以」至「卷龍」。○正義曰:傳解詩言「袞衣繡裳」者,是所以見公之服也。畫龍於衣謂之袞,故雲袞衣卷龍。
鴻飛遵渚,(鴻不宜循渚也。箋雲:鴻,大鳥也,不宜與鳧之屬飛而循渚,以喻周公今與凡人處東都之邑,失其所也。○鳧音符。,烏兮反,又作「翳」。)
公歸無所,於女信處。(周公未得禮也。再宿曰信。箋雲:信,誠也。時東都之人慾周公留不去,故曉之雲:公西歸而無所居,則可就女誠處是東都也。今公當歸複其位,不得留也。)
疏「鴻飛」至「信處」。○毛以鴻者大鳥,飛而循渚,非其宜,以喻周公聖人,久留東方,亦非其宜,王何以不迎之乎?又告東方之人雲:我周公未得王迎之禮,歸則無其住所,故於汝東方信宿而處耳,終不久留於此。告東方之人,雲公不久留,刺王不早迎。○鄭以為,鴻者大鳥,不宜與鳧之屬飛而循渚,以喻周公聖人,不宜與凡人之輩共處東都。及成王既悟,親迎周公,而東都之人慾周公即留於此,故曉之曰:公西歸若無所居,則可於汝之所誠處耳。今公歸則複位,汝不得留之。美周公所在見愛,知東人願留之。○傳「鴻不宜循渚」。○正義曰:言不宜循渚者,喻周公不宜處東。毛無避居之義,則是東征四國之後,留住於東方,不知其住所也。王肅雲:「以其周公大聖,有定命之功,不宜久處下土,而不見禮迎。」箋為喻亦同,但以為辟居處東,故雲與凡人耳。○傳「周公」至「曰信」。○正義曰:言周公未得王迎之禮也。「再宿曰信」,莊三年《左傳》文。公未有所歸之時,故於汝信處,處汝下國。周公居東曆年,而曰信者,言聖人不宜失其所也。再宿於外,猶以為久,故以近辭言之也。○箋「信誠」至「得留」。○正義曰:《釋詁》雲:「誠,信也。」是信得為誠也。以卒章言無以公西歸,是東人留之辭,故知此是告曉之辭。既以告曉東人,公既西歸,不得遙信,故易傳以信為誠。言公西歸而無所居,則誠處是東都也。此章已陳告曉東人之辭,卒章始陳東人留公之辭。此詩美周公,不宜處東。既言不宜處東,因論告曉東人之事。既言告曉東人,須見東人之意,故卒章乃陳東人之辭。
鴻飛遵陸,(陸非鴻所宜止。)
公歸不複,於女信宿!(宿猶處也。)
疏「公歸不複」。○正義曰:箋以為避居則不複,當謂不得複位。毛以此章東征,則周公攝位久矣,不得以不複位為言也。當訓複為反。王肅雲:「未得所以反之道。」傳意或然。
是以有兗衣兮,無以我公歸兮,(無與公歸之道也。箋雲:是,是東都也。東都之人慾周公留之為君,故雲「是以有兗衣」。謂成王所齎來兗衣,原其封周公於此。以兗衣命留之,無以公西歸。)
無使我心悲兮!(箋雲:周公西歸,而東都之人心悲,恩德之愛至深也。)
疏「是以」至「心悲兮」。○毛以為,首章言王見周公,當以兗衣見之。此章言王有兗衣,而不迎周公,故大夫刺之。言王是以有此兗衣兮,但無以我公歸之道兮。王意不悟,故雲無以歸道。又言王當早迎周公,無使我群臣念周公而心悲兮。○鄭以為,此是東都之人慾留周公之辭,言王是以有此兗衣兮,王令齎來,原即封周公於此,無以我公西歸兮。若以公歸,我則思之,王無使我思公而心悲兮。○傳「無與公歸之道」。○正義曰:周公在東,必待王迎乃歸。成王未肯迎之,故無與我公歸之道,謂成王不與歸也。○箋「是東」至「西歸」。○正義曰:箋以為,王欲迎周公,而群臣或有不知周公之誌者,故刺之。雖臣不知,而王必迎公,不得言無與公歸之道,故易傳,以為東都之人慾留周公之辭。首章雲迎周公當以上公之服往見之,於時成王實以上公服往,故東都之人即原以此衣封周公也。○箋「周公」至「至深」。○正義曰:東都之人言已將悲,故知是心悲念公也。傳以為刺王不知,則心悲謂群臣悲,故王肅雲:「公久不歸,則我心悲,是大夫作者言已悲也。」此經直言「心悲」,本或「心」下有「西」,衍字,與《東山》相涉而誤耳。定本無「西」字。
《九罭》四章,一章四句,三章章三句。
'◑毛詩正義[공영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경(詩經)』161. 녹명(鹿鳴, 사슴 울음소리) (0) | 2022.08.23 |
---|---|
『시경(詩經)』160. 낭발(狼跋, 이리가 밟는데) (0) | 2022.08.22 |
『시경(詩經)』158. 벌가(伐柯, 도끼자루 베려면) (0) | 2022.08.20 |
『시경(詩經)』157. 파부(破斧, 부서진 도끼) (0) | 2022.08.19 |
『시경(詩經)』156. 동산(東山, 동산) (0) | 2022.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