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시경(詩經)/2.毛詩正義[공영달]

『시경(詩經)』158. 벌가(伐柯, 도끼자루 베려면)

by 석담 김한희 2022. 8. 20.
728x90

시경(詩經)

국풍(國風) 15 빈풍(豳風)

 

158. 벌가(伐柯, 도끼자루 베려면)

伐柯如何匪斧不克

(벌가여하 비부불극)

도끼자루는 어떻게 베나 도끼 아니면 베지 못한다네

取妻如何匪媒不得

(취처여하 비매불득)

아내는 어떻게 맞나 중매가 아니면 얻지를 못한다네

 

伐柯伐柯其則不遠

(벌가벌가 기칙불원)

도끼자루는 어떻게 베나 그 본보기가 멀지를 않다네

我覯之子籩豆有踐

(아구지자 변두유천)

내가 님을 만나려면 예물을 차려서 실천해야 한다네

 

伐柯二章章四句

 

 

모시(毛詩)

전한(前漢)의 모형(毛亨) ()에 주석을 하여서 모시(毛詩)라고 하며 시경(詩經)의 별칭이다.

毛詩 序】 《伐柯》,美周公也周大夫刺朝廷之不知也

모시 서 <벌가(伐柯)>는 주공(周公)을 찬미한 시()이다. ()나라 대부들이 조정의 [성덕(聖德)] 알지 못함을 풍자한 것이다.

 

 모시전(毛詩傳)

모시전(毛詩傳)은 모형(毛亨) ()에 전()을 붙여 모시고훈전(毛詩詁訓傳)을 지었다.

 

伐柯如何匪斧不克

(벌가여하 비부불극)

도끼자루는 어떻게 베나 도끼 아니면 베지 못한다네

毛亨  斧柄也禮義者亦治國之柄

모형 전 (, 가지 가), 도끼 자루이다. 예의(禮義), 또한 나라를 다스리는 자루이다.

取妻如何匪媒不得

(취처여하 비매불득)

아내는 어떻게 맞나 중매가 아니면 얻지를 못한다네

毛亨  所以用禮也治國不能用禮則不安

모형 전 (, 중매 매), 예의(禮義)를 사용하는 까닭이다. 나라를 다스림이 예의(禮義)를 잘 사용하지 않으면 편안하지 못함이다.

 

伐柯伐柯其則不遠

(벌가벌가 기칙불원)

도끼자루는 어떻게 베나 그 본보기가 멀지를 않다네

毛亨  以其所願乎上交乎下以其所願乎下事乎上不遠求也

모형 전 그로써 그 윗 사람이 아래 사귀기를 원하는 바이고 그로써 그 아랫 사람이 위를 섬기기 원하는 바이니 멀리서 구하지 않음이다.

我覯之子籩豆有踐

(아구지자 변두유천)

내가 님을 만나려면 예물을 차려서 실천해야 한다네

毛亨  行列貌

모형 전 (, 밟을 천), 줄지어 행하는 모양이다.

 

 

 모시전(毛詩箋)

()나라 정현(鄭玄, 127~200)이 모형(毛亨) 모시전(毛詩傳)에 전()을 달아서 모시전(毛詩箋)을 지었다.

鄭玄 序 惡四國者惡其流言毀周公也

정현 서 네 나라[()()()()]를 미워한 것은, 그 유언비어가 주공(周公)을 헐뜯어서 미워한 것이다.

 

伐柯如何匪斧不克

(벌가여하 비부불극)

도끼자루는 어떻게 베나 도끼 아니면 베지 못한다네

鄭玄  箋雲能也伐柯之道唯斧乃能之此以類求其類也以喻成王欲迎周公當使賢者先往

정현 전 ()에 이르기를 (, 이길 극)은 잘함이다. 도끼자루를 베는 도(), 오직 도끼가 이에 그것을 잘함이다. 이것은 부류를 가지고 그 부류를 구함이며, 그로써 성왕(成王)이 주공(周公)을 맞이하고자 하면 마땅히 현명한 자를 시켜서 먼저 가야 함을 비유함이다.라고 하였다.

取妻如何匪媒不得

(취처여하 비매불득)

아내는 어떻게 맞나 중매가 아니면 얻지를 못한다네

鄭玄  箋雲媒者能通二姓之言定人室家之道以喻王欲迎周公當先使曉王與周公之意者又先往

정현 전 ()에 이르기를 (, 중매 매)라는 것은, 두 성()의 말을 잘 통하여 집 사람을 정하는 집안의 도()이다. 그로써 왕()이 주공(周公)을 맞이하고자 하면, 마땅히 먼저 왕()과 주공(周公)의 뜻을 깨닳은 자를 시켜고 또 먼저 가야함을 비유함이다.라고 하였다.

 

伐柯伐柯其則不遠

(벌가벌가 기칙불원)

도끼자루는 어떻게 베나 그 본보기가 멀지를 않다네

鄭玄  箋雲法也伐柯者必用柯其大小長短近取法於柯所謂不遠求也王欲迎周公, 使還其道亦不遠人心足以知之

정현 전 ()에 이르기를 (, 법칙 칙)은 법이다. 도끼 자루를 벤다는 것은, 반드시 도끼를 사용하여 그 크고 작으며 길고 짧음을 도끼에서 법을 취함이 가까우니 일러주기를 멀리서 구하지 말라 함이다. ()이 주공(周公)을 맞이하고자 하면, 돌아오게 하는 그 도() 또한 멀지 않으며 사람의 마음이 넉넉하게 그로써 그것을 앎이다.라고 하였다.

我覯之子籩豆有踐

(아구지자 변두유천)

내가 님을 만나려면 예물을 차려서 실천해야 한다네

鄭玄  箋雲見也之子是子也斥周公也王欲迎周公當以饗燕之饌行至則歡樂以說之

정현 전 ()에 이르기를 (, 만날 구)는 만남이다. 지자(之子)는 이 사람인데, 내쫓긴 주공(周公)이다. ()이 주공(周公)을 맞이하고자 하면, 마땅히 잔치의 음식을 대접하여 행함으로써 [주공(周公)] 이르면 음악으로 즐겁게 하여 그로써 설득을 해야 함이다.라고 하였다.

 

 

모시정의(毛詩正義)

()나라 모형(毛亨) 시경(詩經)에 전()을 짓고 정현(鄭玄)이 전()을 붙였으며 당()나라 공영달(孔穎達)이 소()를 지어 모시정의(毛詩正義)를 완성 하였다.

 

伐柯》,美周公也周大夫刺朝廷之不知也。(成王既得雷雨大風之變欲迎周公而朝廷群臣猶惑於管蔡之言不知周公之聖德疑於王迎之禮是以刺之古何反直遙反注及下篇同。)

 

「《伐柯二章章四句不知」。○正義曰伐柯詩者美周公也毛以為周公攝政東征四國既定仍在東土已作鴟鴞之後未得雷風之前群臣皆知周公有成就周道之誌而成王猶未知之故周大夫作詩美周公以刺朝廷之不知即經二章皆刺成王不知周公之辭鄭以為周公避居東都三年之秋得雷風之後啟金縢之前王意稍悟欲迎周公而朝廷大夫猶有不知周公之誌故周大夫作此詩以美周公刺彼朝廷大夫之不知也經二章皆言王當以禮迎周公刺彼群臣不知之也。○成王刺之」。○正義曰箋知此篇之作在得雷風之後者若在雷風之前則王亦未悟若有所刺當刺於王何以獨刺朝廷若啟金縢之後則群臣盡悟無所可刺故知是既得雷雨大風之變欲迎周公而朝廷猶有疑誌所以刺之也。《論語其在朝廷」,《祭義 孝悌達於朝廷」,皆斥君朝謂之朝廷則知此言朝廷亦是成王之朝所刺必有其人故知刺朝廷群臣之中有不知周公之聖者也毛氏雖不注序鴟鴞之傳必無避居之事周公初即攝政群臣無有不知必不得同鄭刺群臣也群臣皆信周公唯有成王疑耳。《狼跋序:「近則王不知。」此刺朝廷不知當亦刺成王不知王肅雲:「朝廷斥成王。」孫毓雲:「疑周公者成王也明周公者群臣也。」《:「史與百執事對曰:『公命我勿敢言。』」二公下至百執事皆明周公如此複誰刺乎且夫朝廷人君所專未有稱群臣為朝廷者漢魏稱人主或雲國家或言朝廷古今同也曷以不言刺成王刺成王當在》,此詩主美周公故在豳風》,是以略言刺朝廷傳意或然雖刺成王與箋意異其所刺者亦在作鴟鴞之後得雷風之前何則鴟鴞之時周公親自喻王王猶不悟大夫故應刺之若得雷風之後王意已漸開悟大夫不當刺王明所刺亦在雷風之前王肅以為既作東山》,又追作此詩以刺王不知毛意然否

 

伐柯如何匪斧不克斧柄也禮義者亦治國之柄箋雲能也伐柯之道唯斧乃能之此以類求其類也以喻成王欲迎周公當使賢者先往。○彼病反。)

 

取妻如何匪媒不得所以用禮也治國不能用禮則不安箋雲媒者能通二姓之言定人室家之道以喻王欲迎周公當先使曉王與周公之意者又先往。○七喻反本亦作」。)

 

伐柯不得」。○毛以為柯者為家之器用禮者治國之所用言欲伐柯以為家用當如何乎非斧則不能以興欲取禮以治國者當如之何乎非周公則不能言斧能伐柯得柯以為家用喻周公能行禮得禮以治國能執治國之禮者唯周公耳又言取妻如之何非媒則不得以興治國如之何非禮則不安以媒氏能用禮故使媒則得妻以喻周公能用禮故任周公則國治刺王不知周公而不任之也。○鄭以為伐柯之道非斧則不能唯斧乃能之言以類求其類喻王欲迎周公非賢不可往當使賢者先往亦以類求其類取妻如之何非媒不得以媒能通二姓之言定人室家之道故使媒則得之以喻王欲迎周公當使曉王與周公之意者先往以其能通二人之意故宜先使之言王當迎周公以刺朝廷之不知也。○柯斧之柄」。○正義曰:《考工記·車人:「柯長三尺博三寸厚一寸有半五分其長以其一為之首。」注雲:「首六寸謂關頭斧也柯其柄也。」是斧柄大小之度斧喻周公柄喻禮義斧能伐得柯喻周公能得禮柯所以供家用猶禮可以供國用故雲禮義者治國之柄是以柯喻禮則知斧喻周公雖以斧喻周公斧不能自伐得柯必人執之是人與斧共喻周公也人執斧能伐柯既伐得柯人又執柯以營家用喻周公能得禮既能得禮周公又能執禮以治國以此美周公也王肅雲能執治國家之斧柄其唯周公乎是喻周公能執禮也。○克能先往」。○正義曰:「」,《釋言箋以下雲我覯之子」,謂得見周公則二章皆勸迎周公之事故易傳言以類求其類喻使賢者先往也。○媒所不安」。○正義曰傳以下文籩豆有踐」,籩豆禮器則此亦禮事故傳以上經與此皆喻禮也正以媒為興者媒所以用禮喻周公能用禮取妻不以媒則不能得妻喻治國不用禮則不能安國言周公能用禮以安而王不知故刺之。○媒者先往」。○正義曰箋以媒者通傳二姓之言勸迎周公而以媒為喻故易傳言當使曉王與周公之意者先往孫毓雲周公之思歸患成王之未悟耳王出郊而天雨反風禾則盡起精誠感天而況於人乎何須賢者之先往也周公至聖見能未形非如讎敵尚相阻疑何須用人重相曉喻乎鄭為此說者以為此詩之作在雷風之後王實未迎周公致使朝臣尚惑假言迎意刺彼未知言王以周公之聖欲其速反尚使賢者先行令人傳通其意說周公宜還見疑者可刺耳非謂周公有疑須相曉喻也

 

伐柯伐柯其則不遠以其所願乎上交乎下以其所願乎下事乎上不遠求也箋雲法也伐柯者必用柯其大小長短近取法於柯所謂不遠求也王欲迎周公使還其道亦不遠人心足以知之。)

 

我覯之子籩豆有踐行列貌箋雲見也之子是子也斥周公也王欲迎周公當以饗燕之饌行至則歡樂以說之。○古豆反賤淺反戶郎反士戀反樂音洛說音悅。)

 

伐柯有踐」。○毛以為伐柯之法其則不遠喻治國之法其道亦不遠何者執柯以伐柯比而視之舊柯短則如其短舊柯長則如其長其法不在遠也以喻交接之法願於上交於下願於下事於上其道亦不遠也言有禮君子恕以治國近取諸己不須遠求能如是者唯周公耳我若得見是子周公觀其以禮治國則籩豆禮器有踐然行列而次序矣禮事弘多不可遍舉言其籩豆有列見禮法大行也。○鄭以為伐柯伐柯者其法則不遠舊柯足以法之以喻王欲迎周公使還其道亦不遠人心足以知之言眾人之心皆知公須還也我王欲見是子周公當以饗燕之饌籩豆有踐然行列以待之言王宜厚待周公刺彼不知者也。○以其遠求」。○正義曰此伐柯之不遠求還近取法於柯以喻交人之道不遠求還近取法於己故解不遠求之義以其所願於上接已則以所願之事交於在已下者以其所願於下之事已則以所願之事事於己之上者此皆近取諸己所謂不遠求詩意言此者以有禮君子能以身恕物言周公能為此也王肅雲:「言有禮君子恕施而行所以治人則不遠。」○伐柯知之」。○正義曰箋以為勸迎周公之辭故易傳言不遠者人心足以知之」。《中庸引此二句乃雲:「執柯以伐柯睨而視之猶以為遠。」詩言其則不遠」,彼言猶以為遠以作者言其不遠明有嫌遠之意故言猶以為遠。○ 行列貌」。○正義曰以籩豆之器必行列陳之故以踐為行列貌毛以為此詩刺王不知周公皆不言王迎之事必不得如鄭以籩豆之饌迎周公也上句說恕以行禮則此當為任用有禮之人則得禮事陳設籩豆是行禮之器言籩豆有踐謂見其行禮也故王肅雲:「我所見之子能以禮治國行列之貌籩豆行禮之物也。」傳意或然。○覯見說之」。○正義曰:「」,《釋詁飲食之事聖人以之為禮今勸迎周公而言陳列籩豆是令王以此籩豆與周公饗燕

 

伐柯二章章四句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