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시경(詩經)

국풍(國風) 15 빈풍(豳風)

 

157. 파부(破斧, 부서진 도끼)

既破我斧又缺我斨

(기파아부 우결아장)

이미 내 도끼가 부서지고 또 사각도끼 망가졌지만

周公東征四國是皇

(주공동정 사국시황)

주공께서 동쪽 정벌하여 사방을 바로 구원하셨네

哀我人斯亦孔之將

(애아인사 역공지장)

우리 백성을 아끼시니 이 또한 크고 위대하시네

 

既破我斧又缺我錡

(기파아부 우결아기)

이미 내 도끼가 부서지고 또 내 끌이 망가졌지만

周公東征四國是吪

(주공동정 사국시와)

주공께서 동쪽 정벌하여 사방이 바로 교화되었네

哀我人斯亦孔之嘉

(애아인사 역공지가)

우리 백성을 아끼시니 이 또한 매우 훌륭하시네

 

既破我斧又缺我銶

(기파아부 우결아구)

이미 내 도끼가 부서지고 또 끌 자루 망가졌지만

周公東征四國是遒

(주공동정 사국시주)

주공께서 동쪽 정벌하니 사방이 바로 견고해졌네

哀我人斯亦孔之休

(애아인사 역공지휴)

우리 백성을 아끼시니 이 또한 매우 아름답구나

 

破斧三章章六句

 

 

모시(毛詩)

전한(前漢)의 모형(毛亨) ()에 주석을 하여서 모시(毛詩)라고 하며 시경(詩經)의 별칭이다.

毛詩 序】 《破斧》,美周公也周大夫以惡四國焉

모시 서 <파부(破斧)>는 주공을 찬미한 시()이다. ()나라 대부(大夫)들이 그로써 [유언비어를 퍼뜨린] 네 나라[()()()()]를 미워한 것이다.

 

 모시전(毛詩傳)

모시전(毛詩傳)은 모형(毛亨) ()에 전()을 붙여 모시고훈전(毛詩詁訓傳)을 지었다.

 

既破我斧又缺我斨

(기파아부 우결아장)

이미 내 도끼가 부서지고 또 사각도끼 망가졌지만

毛亨  隋銎曰斧斧斨民之用也禮義國家之用也

모형 전 도끼의 구멍이 타원형(楕圓形)을 부()라 말하는데, ()와 장()은 백성이 사용하고 예의(禮義)는 나라와 집안[國家]이 사용한다.

周公東征四國是皇

(주공동정 사국시황)

주공께서 동쪽 정벌하여 사방을 바로 구원하셨네

毛亨  四國奄也匡也

모형 전 네 나라는 ()()()()이다. (, 임금 황)은 바로잡음이다.

哀我人斯亦孔之將

(애아인사 역공지장)

우리 백성을 아끼시니 이 또한 크고 위대하시네

毛亨  大也

모형 전 (, 장수 장)은 큼이다.

 

既破我斧又缺我錡

(기파아부 우결아기)

이미 내 도끼가 부서지고 또 내 끌이 망가졌지만

毛亨  鑿屬曰錡

모형 전 구멍 뚫는데 속함을 끌[]이라 말한다.

周公東征四國是吪

(주공동정 사국시와)

주공께서 동쪽 정벌하여 사방이 바로 교화되었네

毛亨  化也

모형 전 (, 그릇될 와)는 달라짐이다.

哀我人斯亦孔之嘉

(애아인사 역공지가)

우리 백성을 아끼시니 이 또한 매우 훌륭하시네

 

既破我斧又缺我銶

(기파아부 우결아구)

이미 내 도끼가 부서지고 또 끌 자루 망가졌지만

毛亨  木屬曰銶

모형 전 [끌의] 나무에 속함을 구()라 말한다.

周公東征四國是遒

(주공동정 사국시주)

주공께서 동쪽 정벌하니 사방이 바로 견고해졌네

毛亨  固也

모형 전 (, 닥칠 주)는 견고(堅固)함이다.

哀我人斯亦孔之休

(애아인사 역공지휴)

우리 백성을 아끼시니 이 또한 매우 아름답구나

毛亨  美也

모형 전 (, 쉴 휴)는 아름다움이다.

 

 

 모시전(毛詩箋)

()나라 정현(鄭玄, 127~200)이 모형(毛亨) 모시전(毛詩傳)에 전()을 달아서 모시전(毛詩箋)을 지었다.

鄭玄 序 惡四國者惡其流言毀周公也

정현 서 네 나라[()()()()]를 미워한 것은, 그 유언비어가 주공(周公)을 헐뜯어서 미워한 것이다.

 

既破我斧又缺我斨

(기파아부 우결아장)

이미 내 도끼가 부서지고 또 사각도끼 망가졌지만

鄭玄  箋雲四國流言既破毀我周公又損傷我成王以此二者為大罪

정현 전 ()에 이르기를 네 나라의 유언비어가 이미 우리 주공(周公)을 헐뜯어 깨트리고 또 우리 성왕(成王)을 상하게 하여 줄여서 이 두 가지를 가지고 큰 죄를 삼았음이다.라고 하였다.

周公東征四國是皇

(주공동정 사국시황)

주공께서 동쪽 정벌하여 사방을 바로 구원하셨네

鄭玄  箋雲周公, 既反攝政東伐此四國誅其君罪正其民人而已

정현 전 ()에 이르기를 주공(周公)이 이미 섭정을 돌이켜 동쪽의 이 네 나라를 정벌하여 그 군주를 벌하여 죽이고 그 백성을 바로잡았을 뿐이다.라고 하였다.

哀我人斯亦孔之將

(애아인사 역공지장)

우리 백성을 아끼시니 이 또한 크고 위대하시네

鄭玄  箋雲此言周公之哀我民人其德亦甚大也

정현 전 ()에 이르기를 이는 주공(周公)이 우리 백성과 사람들을 아끼니 그 덕()이 또한 매우 크다는 말이다.라고 하였다.

 

既破我斧又缺我錡

(기파아부 우결아기)

이미 내 도끼가 부서지고 또 내 끌이 망가졌지만

巨宜反字或作」,音同鑿屬也。《韓詩:「木屬。」

정현 전  (, 가마솥 기), 거와 의의 반절음이며 글자가 혹 ()로 쓰였는데 음은 같으며 구멍 뚫는[]데 속한다。《한시(韓詩)에 이르기를 “[끌의] 자루[나무]에 속한다.”라고 했다.

周公東征四國是吪

(주공동정 사국시와)

주공께서 동쪽 정벌하여 사방이 바로 교화되었네

五戈反又作

정현 전 (, 그릇될 와)는 오와 과의 반절음이며 또 ()로 쓰였다.

哀我人斯亦孔之嘉

(애아인사 역공지가)

우리 백성을 아끼시니 이 또한 매우 훌륭하시네

鄭玄  箋雲:「善也。」

정현 전 ()에 이르기를 (, 아름다울 가)는 착함이다.라고 하였다.

 

既破我斧又缺我銶

(기파아부 우결아구)

이미 내 도끼가 부서지고 또 끌 자루 망가졌지만

銶音求徐又音虯,《韓詩:「鑿屬也。」一解雲:「今之獨頭斧。」

정현 전 ()의 음은 구()이고 서개(徐鍇)가 또 음이 규()라 했으며, 한시(韓詩)에 이르기를 끌에 속한다.”라고 했고 다른 풀이에 이르기를 지금의 한쪽날 도끼이다.”라고 했다.

 

周公東征四國是遒

(주공동정 사국시주)

주공께서 동쪽 정벌하니 사방이 바로 견고해졌네

鄭玄  箋雲斂也

정현 전 ()에 이르기를 (, 닥칠 주)는 모아짐이다.라고 하였다.

哀我人斯亦孔之休

(애아인사 역공지휴)

우리 백성을 아끼시니 이 또한 매우 아름답구나

虛虯反

정현 전 (, 쉴 휴)는 허와 규의 반절음이다

 

 

 

모시정의(毛詩正義)

()나라 모형(毛亨) 시경(詩經)에 전()을 짓고 정현(鄭玄)이 전()을 붙였으며 당()나라 공영달(孔穎達)이 소()를 지어 모시정의(毛詩正義)를 완성 하였다.

 

破斧》,美周公也周大夫以惡四國焉。(惡四國者惡其流言毀周公也烏路反注同。)

 

「《破斧三章章六句國焉」。○正義曰三章上二句惡四國下四句美周公序倒者經以由四國之惡而周公征之故先言四國之惡後言周公之德序以此詩之作主美周公故先言美周公也。○惡四周公」。○正義曰金縢》,流言者管叔及其群弟耳今並言惡四國流言毀周公者,《書傳:「武王殺紂繼公子祿父及管蔡流言奄君薄姑謂祿父曰:『武王已死成王幼周公見疑矣此百世之時也請舉事。』然後祿父及三監叛。」蔡流言奄即叛是同毀周公故並言之。《地理誌:「成王時薄姑氏與四國作亂。」則薄姑非奄君之名而雲奄君薄姑彼注雲:「玄疑薄姑齊地名非奄君名。」是鄭不從也

 

既破我斧又缺我斨隋銎曰斧斧斨民之用也禮義國家之用也箋雲四國流言既破毀我周公又損傷我成王以此二者為大罪。○七羊反,《說文:「方銎斧也。」徒禾反何湯果反孔形狹而長也曲容反。)

周公東征四國是皇四國奄也匡也箋雲周公既反攝政東伐此四國誅其君罪正其民人而已。)

 

哀我人斯亦孔之將大也箋雲此言周公之哀我民人其德亦甚大也。)

 

既破之將」。○毛以為斧斨者生民之所用以喻禮義者亦國家之所用有人既破我家之斧又缺我家之斨損其斧斨是廢其家用其人是為大罪以喻四國之君廢其禮義壞其國用其君是為大罪不得不誅故周公於是東征之周公所以東征者是止誅其四國之君正是四國之民主為四國之民被誘作亂周公不以為罪而正之此周公哀矜於我之民人其德亦甚大故美之。○鄭以為有人既破我之斧又缺我之斨此二者是為大罪以興四國流言既破毀我周公之道又損傷我成王此二者亦是為大罪故周公東征之餘同。○隋銎之用」。○正義曰如傳此言則以破缺斧斨喻四國破毀禮義故王肅雲:「今四國乃盡破其用。」故孫毓雲:「甘誓說言毀壞其三正耳。」然則經言我斧我斨乃是家之斧斨為他所破此四國自破禮義與他破斧斨不類而雲我者此禮義天子所製此四國破天子禮義故雲我孫毓雲:「王者立製其諸侯受製於天子故言我。」傳意或然也。○四國大罪」。○正義曰箋以此詩美周公惡四國則是惡毀周公耳不宜遠言其人破毀禮義故易傳以為破毀周公損傷成王孫毓雲:「周公不失其聖成王本為賢君四國叛逆安能破周公損成王乎?」斯不然矣當管蔡流言之後奄叛逆之初王與周公莫之相信於時周室迫近危亡其為毀損莫此之大何謂不能毀損若不能毀損自可不須征之誅此四國複何為也且詩人疾其惡心故言缺破豈待殺害王身然後為損傷也?○四國皇匡」。○正義曰:《書序: 「成王既黜殷命成王既伐淮夷遂踐奄。」皆東征時事故四國是管知不數淮夷者以淮夷是淮水之上東方之夷耳此言四國謂諸夏之國故知不數之也。《書序皆雲成王伐之此言周公東征者鄭以書序注凡此伐諸叛國皆周公謀之成王臨事乃往事畢則歸後至時複行然鄭意以為伐時成王在焉故稱成王鄭以為周公避居東都成王迎而反之攝政然後東征於時成王已信周公故可每事一往毛無避居之義則東征之時成王猶有疑心不親詣周公書序言成王者以周公攝政耳成王則為主君統臣功故言成王此則專美周公據論實事故言周公東征也。《釋言:「正也。」傳以皇為匡箋又轉為正。○周公而已」。○正義曰此四國之君書傳祿父管叔皆見殺蔡叔以車七乘徒七十人止言徒之多少不知放之何處。《書序:「成王既踐奄將遷其君於薄姑。」注雲:「踐讀曰翦滅也。」奄既滅矣其君佞人不可複故欲徙之於齊地使服於大國是奄君遷於齊也。《書傳:「遂踐奄踐之者籍之也籍之謂殺其身執其家瀦其宮。」如此則言奄君見殺與序不同。《書傳非也

 

既破我斧又缺我錡鑿屬曰錡。○巨宜反字或作」,音同鑿屬也。《韓詩:「木屬。」)

周公東征四國是吪化也。○五戈反又作」)

 

哀我人斯亦孔之嘉箋雲:「善也。」)

 

疏傳鑿屬曰錡」。○正義曰此與下傳雲木屬曰銶」,皆未見其文亦不審其狀也。○」。正義曰:《釋言

 

既破我斧又缺我銶木屬曰銶。○銶音求徐又音虯,《韓詩:「鑿屬也。」一解雲:「今之獨頭斧。」)

周公東征四國是遒固也箋雲斂也。○在羞反徐又在幽反。)

 

哀我人斯亦孔之休美也。○虛虯反。)

 

疏傳」。○正義曰遒訓為聚亦堅固之義故為固也言使四國之民心堅固也箋以為之不安故易之。《釋詁:「聚也。」彼遒作音義同是遒得為斂言四國之民於是斂聚不流散也

 

破斧三章章六句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