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167

◎ 제5도 ≪제후소목오묘도궁도(諸侯昭穆五廟都宮圖)≫, 제6도 ≪시협지도(時祫之圖)≫, 제7도 ≪일실지도(一室之圖)≫/입학도설(入學圖說) ▣ 『입학도설(入學圖說)』 제 5, 6, 7도​○ 《보물 제1136-1호》『입학도설(入學圖說)』은권근(權近, 1352~1409)이 고려 공양왕 2년인 1390년에 전라도 익주(益州)에서 유배 생활을 할 때 지은 성리학 도해집이다. 중국 주돈이(周敦頤)의 『태극도설(太極圖說)』과 주희(朱熹)의 『대학장구(大學章句)』·『중용장구(中庸章句)』의 영향을 받아 완성하였으며, 1397년(태조 6)에 전집 단간본으로 처음 간행되었고 1425년(세종 7)에는 전집에 후집을 더하여 전·후집 합간본으로 다시 간행되었다.​ 【 원본 】○ 5. 제후소목오묘도궁도(諸侯昭穆五廟都宮圖)○ 6. 시협지도(時祫之圖)○ 7. 일실지도(一室之圖) 【원문】愚按 昭穆之說 朱子於或問 論之詳矣 學者猶不能察 故為此圗 以示大略 若夫廟皆南向 而主必東.. 2024. 6. 30.
◎ 제4도 중용수장분석지도(中庸首章分析之圖)/입학도설(入學圖說) ▣ 『입학도설(入學圖說)』 제4도​○ 《보물 제1136-1호》『입학도설(入學圖說)』은권근(權近, 1352~1409)이 고려 공양왕 2년인 1390년에 전라도 익주(益州)에서 유배 생활을 할 때 지은 성리학 도해집이다. 중국 주돈이(周敦頤)의 『태극도설(太極圖說)』과 주희(朱熹)의 『대학장구(大學章句)』·『중용장구(中庸章句)』의 영향을 받아 완성하였으며, 1397년(태조 6)에 전집 단간본으로 처음 간행되었고 1425년(세종 7)에는 전집에 후집을 더하여 전·후집 합간본으로 다시 간행되었다.​◎ 4. 중용수장분석지도(中庸首章分析之圖) ​【원문】愚按 中庸傳道之書 教者之事 而學在其中, 道本乎天而備於我之所受, 教修乎道而因其我之所有. 故章首 備擧命性道教 而歷言之 然後單提道字 以明道體無所不在 雖不睹不聞暫時之頃 幽隱.. 2024. 6. 29.
◎ 제3도 대학지장지도(大學指掌之圖)/입학도설(入學圖說) ▣ 『입학도설(入學圖說)』 제 3도​○ 《보물 제1136-1호》『입학도설(入學圖說)』은권근(權近, 1352~1409)이 고려 공양왕 2년인 1390년에 전라도 익주(益州)에서 유배 생활을 할 때 지은 성리학 도해집이다. 중국 주돈이(周敦頤)의 『태극도설(太極圖說)』과 주희(朱熹)의 『대학장구(大學章句)』·『중용장구(中庸章句)』의 영향을 받아 완성하였으며, 1397년(태조 6)에 전집 단간본으로 처음 간행되었고 1425년(세종 7)에는 전집에 후집을 더하여 전·후집 합간본으로 다시 간행되었다.​◎ 제3. 대학지장지도(大學指掌之圖) ​【원문】愚按 大學一書 綱領備而節目詳 文簡而易知 理切而易明 為學之序 用力之方 至為精密 在初學者 尤為當務之急 然初學之士 其於體用本末知行功效 多不能察 語之雖勤 識之不易 今為此圗 使之.. 2024. 6. 28.
◎ 제2도 천인심성분석지도(天人心性分析之圖)/입학도설(入學圖說) ▣ 『입학도설(入學圖說)』 제 2도​○ 《보물 제1136-1호》『입학도설(入學圖說)』은 권근(權近, 1352~1409)이 고려 공양왕 2년인 1390년 전라도 익주(益州)에서 유배 생활을 할 때 지은 성리학 도해집이다. 중국 주돈이(周敦頤)의 『태극도설(太極圖說)』과 주희(朱熹)의 『대학장구(大學章句)』·『중용장구(中庸章句)』의 영향을 받아 완성하였으며, 1397년(태조 6)에 전집 단간본으로 처음 간행되었고 1425년(세종 7)에는 전집에 후집을 더하여 전·후집 합간본으로 다시 간행되었다.​◎ 제2도. 천인심성분석지도(天人心性分析之圖)  2-1. 인(人) 圖 人者,仁也。仁則天地所以生物之理,而人得以生而爲心者也。故人爲萬物之靈,仁爲衆善之長,合而言之道也。聖人至誠,道與天同,君子能敬,以修其道,衆人以欲而迷,惟惡至從.. 2024. 6. 27.
◎ 『논어주소(論語註疏)』 이인(里仁) 卷​ 4 - 3 ▣ 『논어주소(論語註疏)』 ​◎ 『논어(論語)』○ 이인(里仁) 卷​ 4 - 3​​4-3) 子曰: "惟仁者能好人, 能惡人."(자왈: "유인자능호인, 능오인.")​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오직 어진 자만이 사람을 좋아할 수 있고 사람을 미워할 수 있다.” ​ 《논어집해(論語集解)》『논어집해(論語集解)』는 중국 위(魏)나라의 정치가이자 사상가였던 하안(何晏, 193 ~ 249)이 당시까지 전해지던 공자(孔子, B.C.551~B.C.479)가 지은 『논어(論語)』에 대한 주석을 모아 편찬한 책이다. 『논어집해(論語集解)』에는 공안국(孔安國, BC156?~BC74), 정현(鄭玄, 127~200), 마융(馬融, 79~166), 왕숙(王肅, 195~256), 포함(包咸, BC6~65), 주생렬(周生烈, ?~220) 등.. 2024. 6. 26.
◎ 제1도 ≪천인심성합일지도(天人心性合一之圖)≫/입학도설(入學圖說) ▣ 『입학도설(入學圖說)』 제 1도​○ 《보물 제1136-1호》『입학도설(入學圖說)』은 권근(權近, 1352~1409)이 고려 공양왕 2년인 1390년 전라도 익주(益州)에서 유배 생활을 할 때 지은 성리학 도해집이다. 중국 주돈이(周敦頤)의 『태극도설(太極圖說)』과 주희(朱熹)의 『대학장구(大學章句)』·『중용장구(中庸章句)』의 영향을 받아 완성하였으며, 1397년(태조 6)에 전집 단간본으로 처음 간행되었고 1425년(세종 7)에는 전집에 후집을 더하여 전·후집 합간본으로 다시 간행되었다.​◎ 제1도 ≪천인심성합일지도(天人心性合一之圖)≫ ​【 원문 】朱子曰, 天以陰陽五行, 化生萬物, 氣以成形, 而理亦賦焉. 今本之作此圖. 右圖謹依周子太極圖, 及朱子中庸章句之說, 就人心性上, 以明理氣善惡之殊, 以示學者, 故.. 2024. 6. 25.
◎ 『논어주소(論語註疏)』 이인(里仁) 卷​ 4 - 2 ▣ 『논어주소(論語註疏)』 ​◎ 『논어(論語)』○ 이인(里仁) 卷​ 4 - 2​​4-2) 子曰: "不仁者不可以久處約, 不可以長處樂. 仁者安仁, 知者利仁."(자왈: "불인자불가이구처약, 불가이장처락. 인자안인, 지자리인.")​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어질지 않은 자는 검약(儉約)에 오래 처하지 못하고, 즐거움에 길게 처하지 못한다. 어진 자는 어짊에 편안하고, 지혜로운 자는 어짊을 이롭게 여긴다.”​ 《논어집해(論語集解)》『논어집해(論語集解)』는 중국 위(魏)나라의 정치가이자 사상가였던 하안(何晏, 193 ~ 249)이 당시까지 전해지던 공자(孔子, B.C.551~B.C.479)가 지은 『논어(論語)』에 대한 주석을 모아 편찬한 책이다. 『논어집해(論語集解)』에는 공안국(孔安國, BC156?~BC74), 정.. 2024. 6. 24.
◎ 『입학도설(入學圖說)』 서문(序文) ▣ 『입학도설(入學圖說)』 서문(序文) ○ 《보물 제1136-1호》『입학도설(入學圖說)』은 권근(權近, 1352~1409)이 고려 공양왕 2년인 1390년 전라도 익주(益州)에서 유배 생활을 할 때 지은 성리학 도해집이다. 중국 주돈이(周敦頤)의 『태극도설(太極圖說)』과 주희(朱熹)의 『대학장구(大學章句)』·『중용장구(中庸章句)』의 영향을 받아 완성하였으며, 1397년(태조 6)에 전집 단간본으로 처음 간행되었고 1425년(세종 7)에는 전집에 후집을 더하여 전·후집 합간본으로 다시 간행되었다.​◎ 입학도설 서(入學圖說 序)洪武庚午秋 謫在金馬郡, 有一二初學輩來讀庸學二書者, 語之諄復 尙不能通曉. 乃本周子之圖參章句之說 作圖以示又取先賢格言以釋其意 學者因有所問 又隨而答之 仍記其問答之言 以附其後 名之曰入學圖說. .. 2024. 6. 23.
◎ 『논어주소(論語註疏)』 이인(里仁) 卷​ 4 - 1 ▣ 『논어주소(論語註疏)』 ​◎ 『논어(論語)』○ 이인(里仁) 卷​ 4 - 1​​4-1) 子曰: "里仁爲美. 擇不處仁, 焉得知?"(자왈: "리인위미. 택불처인, 언득지?")​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마을이 어질어야 아름답게 되는데, 어질지 않은 곳을 택한다면 어찌 지혜를 얻겠는가?”​ 《논어집해(論語集解)》『논어집해(論語集解)』는 중국 위(魏)나라의 정치가이자 사상가였던 하안(何晏, 193 ~ 249)이 당시까지 전해지던 공자(孔子, B.C.551~B.C.479)가 지은 『논어(論語)』에 대한 주석을 모아 편찬한 책이다. 『논어집해(論語集解)』에는 공안국(孔安國, BC156?~BC74), 정현(鄭玄, 127~200), 마융(馬融, 79~166), 왕숙(王肅, 195~256), 포함(包咸, BC6~65), .. 2024. 6. 22.
◎ 『입학도설(入學圖說)』 서문(序文) ▣ 『입학도설(入學圖說)』 서문(序文) ○ 《보물 제1136-1호》『입학도설(入學圖說)』은 권근(權近, 1352~1409)이 고려 공양왕 2년인 1390년 전라도 익주(益州)에서 유배 생활을 할 때 지은 성리학 도해집이다. 중국 주돈이(周敦頤)의 『태극도설(太極圖說)』과 주희(朱熹)의 『대학장구(大學章句)』·『중용장구(中庸章句)』의 영향을 받아 완성하였으며, 1397년(태조 6)에 전집 단간본으로 처음 간행되었고 1425년(세종 7)에는 전집에 후집을 더하여 전·후집 합간본으로 다시 간행되었다. ​◎ 입학도설 서(入學圖說 序)洪武庚午秋 謫在金馬郡, 有一二初學輩來讀庸學二書者, 語之諄復 尙不能通曉. 乃本周子之圖參章句之說 作圖以示又取先賢格言以釋其意 學者因有所問 又隨而答之 仍記其問答之言 以附其後 名之曰入學圖說... 2024. 6. 21.
◎ 『논어주소(論語註疏)』 팔일(八佾) 卷​ 3 - 26 ▣ 『논어주소(論語註疏)』​◎ 『논어(論語)』○ 팔일(八佾) 卷​ 3 - 26​3-26) 子曰:「居上不寬,為禮不敬,臨喪不哀,吾何以觀之哉 ?」(자왈: "거상불관, 위례불경, 임상불애, 오하이관지재?")​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윗자리에 있으면서 너그럽지 않고, 예를 행하는데 공경하지 않으며, 상사를 맞아서 슬퍼하지 않는다면, 내가 무엇으로써 그를 관찰하겠는가?”​ 《논어집해(論語集解)》『논어집해(論語集解)』는 중국 위(魏)나라의 정치가이자 사상가였던 하안(何晏, 193 ~ 249)이 당시까지 전해지던 공자(孔子, B.C.551~B.C.479)가 지은 『논어(論語)』에 대한 주석을 모아 편찬한 책이다. 『논어집해(論語集解)』에는 공안국(孔安國, BC156?~BC74), 정현(鄭玄, 127~200), 마융(馬融.. 2024. 6. 20.
◎ 제10. 숙흥야매잠도(夙興夜寐箴圖)/성학십도(聖學十圖) ▣ 제10. 숙흥야매잠도(夙興夜寐箴圖)≪숙흥야매잠도(夙興夜寐箴圖)≫는퇴계 이황(李滉)이 1568년(선조 1)에 왕(王:宣祖)에게 올린 상소문 ≪진성학십도차병도(進聖學十圖箚幷圖)≫의 열 번째 그림인데, ≪숙흥야매잠도(夙興夜寐箴圖)≫는 중국 남송 때 학자 남당(南塘) 진백(陳伯)이 스스로를 경계하기 위하여 지은 숙흥야매잠을 퇴계가 도표로 그린 것이다. 숙흥야매는 『시경』에 나오는 말이며 ‘일찍 일어나고 늦게 잠을 자는’ 부지런히 일한다는 뜻이다. ‘경(敬)’을 도(道)의 중심에 놓고 새벽부터 밤까지 모든 순간마다 경(敬)을 놓지 말 것을 말하고 있다.퇴계는 이 숙흥야매잠을 분석하고 도표로 그려서, ‘성학십도’의 마지막으로 삼았으며 숙오(夙寤), 신흥(晨興), 독서(讀書), 응사(應事), 일건(日乾), 석척(.. 2024. 6.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