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경(詩經)』
≪국풍(國風) 제4 용풍(鄘風≫
◎ 52. 상서(相鼠, 쥐를 보아라)
相鼠有皮 人而無儀
(상서유피 인이무의)
쥐를 봐도 가죽이 있는데 사람이면서 법도가 없다네
人而無儀 不死何爲
(인이무의 불사하위)
사람이면서 법도가 없으면 죽지 않고 무엇을 하는가
相鼠有齒 人而無止
(상서유치 인이무지)
쥐를 봐도 이빨이 있는데 사람이면서 그침이 없다네
人而無止 不死何俟
(인이무지 불사하사)
사람이면서 그침이 없다면 죽지 않고 어찌 기다리나
相鼠有體 人而無禮
(상서유체 인이무례)
쥐를 봐도 몸체가 있는데 사람이면서 예의가 없다네
人而無禮 胡不遄死
(인이무례 호불천사)
사람이면서 예의가 없다면 어찌 빨리 죽지 않겠는가
《相鼠》三章,章四句。
◎ 모시전(毛詩傳)
『모시전(毛詩傳)』은 한(漢)나라 모형(毛亨, ?~?)이 『시』에 전(傳)을 붙여 『모시고훈전(毛詩詁訓傳)』을 지었는데, 정현(鄭玄)이 전(箋)을 달고 공영달(孔穎達)이 소(疏)를 지어서 전해 오는 오늘날의 『시경』이다.
【毛詩序】 相鼠, 刺無禮也. 衛文公, 能正其羣臣, 而刺在位承先君之化, 無禮儀也.
【모시 서】 <상서(相鼠)>는 무례함을 풍자한 시(詩)이다. 위(衛)나라 문공(文公)이 여러 신하를 잘 바로잡으면서 선군(先君)의 교화를 받들어서 [군주의] 자리에 있는데 예절의 거동이 없음을 풍자하였다.
相鼠有皮,人而無儀
<쥐를 봐도 가죽이 있는데 사람이면서 법도가 없다네>
【毛亨 傳】 相,視也。無禮儀者,雖居尊位,猶為闇昧之行。)
【모형 전】 상(相)은 엿봄이다. 예절의 거동이 없다는 것은, 비록 높은 자리에 살면서 오히려 몹시 어두운 행동을 함이다.
人而無儀,不死何為
<사람이면서 법도가 없으면 죽지 않고 무엇을 하는가>
相鼠有齒,人而無止
<쥐를 봐도 이빨이 있는데 사람이면서 그침이 없다네>
【毛亨 傳】 止,所止息也。
【모형 전】 지(止)는 호흡(呼吸)함을 그치는 바이다.
人而無止,不死何俟
<사람이면서 그침이 없다면 죽지 않고 어찌 기다리나>
【毛亨 傳】 俟,待也。
【모형 전】 사(俟, 기다릴 사)는 기다림이다.
相鼠有體,人而無禮
<쥐를 봐도 몸체가 있는데 사람이면서 예의가 없다네>
【毛亨 傳】 體,支體也。
【모형 전】 체(體)는 몸을 지탱(支撐)함이다.
人而無禮,胡不遄死
<사람이면서 예의가 없다면 어찌 빨리 죽지 않겠는가>
【毛亨 傳】 遄,速也。)
【모형 전】 천(遄, 빠를 천)은 빠름이다.
《相鼠》三章,章四句。
'▣ 시경(詩經) > ◑毛詩傳 305篇[모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시경 51. 체동(蝃蝀, 무지개)/毛詩傳 (0) | 2025.04.15 |
---|---|
◎ 시경 50. 정지방중(定之方中, 정별이 정남쪽)/毛詩傳 (0) | 2025.04.13 |
◎ 시경 49. 순지분분(鶉之奔奔,메추리가 쌍쌍)/毛詩傳 (0) | 2025.04.11 |
◎시경 48. 상중(桑中, 뽕나무 밭에서)/毛詩傳 (0) | 2025.04.09 |
◎ 시경 47. 군자해로(君子偕老, 님과의 해로)/毛詩傳 (0)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