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어(論語)』
卷 8
◎ 《태백(泰伯)》篇
◆ 8 - 2) 子曰: "恭而無禮則勞, 愼而無禮則葸, 勇而無禮則亂, 直而無禮則絞. 君子篤於親, 則民興於仁; 故舊不遺, 則民不偸."
(자왈: "공이무례즉로, 신이무례즉사, 용이무례즉란, 직이무례즉교. 군자독어친, 즉민흥어인; 고구불유, 즉민불투.")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공손(恭孫)하여도 예(禮)가 없으면 수고롭고 신중(愼重)하되 예가 없으면 두려우며, 용감(勇敢)한데 예가 없으면 어지럽히고 곧으면서 예가 없으면 목매이게 된다. 군자가 친척에 두터우면 백성들이 어짊에 흥기하고 옛 친구를 버리지 않으면 백성들이 야박(野薄)해지지 않는다.”
◎《논어집해(論語集解)》
【集解】 子曰:「恭而無禮則勞,慎而無禮則葸,(「葸,畏懼之貌,言慎而不以禮節之,則常畏懼。」 ◎何晏 注: “사(葸: 두려워할 사)”는 크게 두려워하는 모양인데, 신중(愼重)하되 예(禮)로써 절제(節制)하지 않으면 항상 크게 두려워한다는 말이다.)勇而無禮則亂,直而無禮則絞。(馬曰:「絞,絞刺也。」◎마융이 말하였다:“교(絞: 목맬 교)”는 목매어 찔러 죽이는 것이다.)君子篤於親則民興於仁,故舊不遺則民不偷。」(包曰:「興,起也。君能厚於親屬,不遺忘其故舊,行之美者,則民皆化之,起為仁厚之行,不偷薄。」 ◎포함이 말하였다:“흥(興: 일 흥)”은 일어남이다. 군주가 친속에게 두터이 잘 하고, 그의 옛 친구를 잊어 버리지 않으며 행실이 아름다운 자라면 백성들이 모두 교화되어 흥기하여 어짊이 두터운 행실을 실천하고 야박(野薄)해지지 않는다.)
◎《논어주소(論語註疏)》
○ 【註疏】 <경문(經文)의> “[자왈(子曰)]에서 [불투(不偸)]까지"
○正義曰:此章貴禮也。
○ 正義曰 : 이 장(章)은 예(禮)를 귀하게 여긴 것이다.
“子曰:恭而無禮則勞”者,勞謂困苦,言人為恭孫,而無禮以節之,則自困苦。
<경문(經文)에서>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공손(恭孫)하여도 예(禮)가 없으면 수고롭고[子曰 恭而無禮則勞]"라는 것은, 로(勞: 일할 로)는 고달프고 괴로움을 말하며, 사람이 공손(恭遜)하면서 예(禮)로써 절제(節制)함이 없으면 스스로 고달프고 괴롭다는 말이다.
“慎而無禮則葸”者,葸,畏懼之貌。言慎而不以禮節之,則常畏懼也。
<경문(經文)에서> "신중(愼重)하되 예가 없으면 두려우며[愼而無禮則葸]"라는 것은, 사(葸: 두려워할 사)는 두려워하는 모양이며, 신중(愼重)하되 예(禮)로써 절제(節制)하지 않으면 항상 크게 두려워한다는 말이다.
“勇而無禮則亂”者,亂謂逆惡。言人勇而不以禮節之,則為亂矣。
<경문(經文)에서> "용감(勇敢)한데 예가 없으면 어지럽히고[勇而無禮則亂]"라는 것은, 란(亂: 어지러울 란)은 거역(拒逆)과 흉악(凶惡)을 말하며, 사람이 용감하면서 예(禮)로써 절제(節制)하지 않으면 난리(亂離)를 일으킨다는 말이다.
“直而無禮則絞”者,正曲為直。絞謂絞刺也。言人而為直,不以禮節,則絞刺人之非也。
<경문(經文)에서> "곧으면서 예가 없으면 목매이게 된다[直而無禮則絞]"라는 것은, 굽은데(≒잘못)를 바로잡는 것이 직(直)이 되고, 교(絞: 목맬 교)는 목매어 찔러 죽이는 것이다. 사람이 곧게 하되 예(禮)로써 절제하지 않으면 남을 묶어 찌르듯이 비난을 한다는 말이다.
“君子篤於親則民興於仁,故舊不遺則民不偷”者,君子,人君也。篤,厚也。興,起也。偷,薄也。
<경문(經文)에서> "군자가 친척에 두터우면 백성들이 어짊에 흥기하고 옛 친구를 버리지 않으면 백성들이 야박(野薄)해지지 않는다[君子篤於親則民興於仁 故舊不遺則民不偸]"라는 것은, 군자(君子)는 군주된 사람이며, 독(篤: 도타울 독)은 두터움이고, 흥(興)은 일으킴이며, 투(偸: 훔칠 투)는 야박(野薄)한 것이다.
言君能厚於親屬,則民化之,起為仁行,相親友也。君不遺忘其故舊,故民德歸厚不偷薄也。
군주가 친속(親屬)을 두텁게 대우하면 백성이 감화되어 일어나서 어진 행실을 실천하고 서로 친하여 벗한다는 말이다. 군주가 옛 벗을 버리거나 잊지 않기 때문에 백성의 덕(德)이 두터운데로 돌아가 야박(野薄)하게 탐내지 않는다.
▣ 『論語』 원문
◎ 《泰伯》篇 8 - 2
◆ 子曰: "恭而無禮則勞, 愼而無禮則葸, 勇而無禮則亂, 直而無禮則絞. 君子篤於親, 則民興於仁; 故舊不遺, 則民不偸."
◎《논어집해(論語集解)》
子曰:「恭而無禮則勞,慎而無禮則葸,(「葸,畏懼之貌,言慎而不以禮節之,則常畏懼。」 )勇而無禮則亂,直而無禮則絞。(馬曰:「絞,絞刺也。」)君子篤於親則民興於仁,故舊不遺則民不偷。」(包曰:「興,起也。君能厚於親屬,不遺忘其故舊,行之美者,則民皆化之,起為仁厚之行,不偷薄。」 )
◎《논어주소(論語註疏)》
疏“ 子曰”至“不偷”。
○正義曰:此章貴禮也。
“子曰:恭而無禮則勞”者,勞謂困苦,言人為恭孫,而無禮以節之,則自困苦。
“慎而無禮則葸”者,葸,畏懼之貌。言慎而不以禮節之,則常畏懼也。
“勇而無禮則亂”者,亂謂逆惡。言人勇而不以禮節之,則為亂矣。
“直而無禮則絞”者,正曲為直。絞謂絞刺也。言人而為直,不以禮節,則絞刺人之非也。
“君子篤於親則民興於仁,故舊不遺則民不偷”者,君子,人君也。篤,厚也。興,起也。偷,薄也。
言君能厚於親屬,則民化之,起為仁行,相親友也。君不遺忘其故舊,故民德歸厚不偷薄也。

'◑논어주소(注疏)[刑昺] > 8.태백(泰伯)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논어주소(論語註疏)』 《태백(泰伯)》 卷 8 - 1 (1) | 2025.04.1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