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역 주(注)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26. 대축괘(大畜卦)[卦象:산천대축]
☶ 艮上
☰ 乾下
건[天.하늘]이 아래에 있고, 간[山.산]이 위에 있다.
大畜,利貞。不家食,吉。利涉大川。 대축(大畜)은 곧아야 이롭고, 집안에서 먹지 않아야 길하며, 큰 내를 건너야 이롭다. |
[孔穎達 疏] 正義曰:謂之「大畜」者,乾健上進,艮止在上,止而畜之,能畜止剛健,故曰「大畜」。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대축(大畜)]”이라고 말한 것은, 건(乾)의 굳셈이 위로 나아가고 간(艮)의 그침이 위에 있어서 그쳐서 쌓이게 하여 강건함을 쌓아서 잘 그치게 하기 때문에 “크게 쌓인다[大畜]”라 말한 것이다. 《彖》云:「能止健,大正」也。是能止健,故為大畜也。小畜則巽在乾上,以其巽順,不能畜止乾之剛,故云小畜也。此則艮能止之,故為大畜也。 〈단전(彖傳)〉에 이르기를 “굳셈을 그치게 잘함은 크게 바르기 때문이다[能止健,大正]”라고 하였는데, 이는 굳셈을 그치게 잘하기 때문에 “크게 쌓임[大畜]”이 된 것이다. 소축(小畜)은 손(巽)이 건(乾)의 위에 있으니 그 손(巽)이 순(順)함으로써 건(乾)의 굳셈을 쌓아서 잘 그치게 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르기를 ‘적게 쌓임[小畜]’이라 하였으며, 이것은 간(艮)이 그것[乾]을 잘 그치게 하기 때문에 ‘대축(大畜)’이라 한 것이다. 「利貞」者,人能止健,非正不可,故「利貞」也。 “곧아야 이롭고[利貞]”라는 것은, 사람이 굳셈을 잘 그치게함은 바름이 아니면 불가하기 때문에 “곧아야 이롭고[利貞]”라고 했다. 「不家食吉」者,己有大畜之資,當須養順賢人,不使賢人在家自食,如此乃吉也。 “집안에서 먹지 않아야 길하며[不家食吉]”라는 것은, 자기에게 크게 쌓임의 물자가 있으면 마땅히 결국 현명한 사람을 따라서 길러주고 현명한 사람으로 하여금 집안에 있으면서 스스로 밥먹지 않아야 하며, 이와 같이 하여야 비로소 길함이다. 「利涉大川」者,豐則養賢,應於天道,不憂險難,故「利涉大川」。 “큰 내를 건너야 이롭다[利涉大川]”라는 것은, 풍부하면 현명함을 길러서 하늘의 도(道)에 응(應)하여 험난함을 근심하지 않기 때문에 “큰 내를 건너야 이롭다[利涉大川]”라고 하였다.」 |
[孔穎達 疏] 正義曰:謂之「大畜」者,乾健上進,艮止在上,止而畜之,能畜止剛健,故曰「大畜」。《彖》云:「能止健,大正」也。是能止健,故為大畜也。小畜則巽在乾上,以其巽順,不能畜止乾之剛,故云小畜也。此則艮能止之,故為大畜也。「利貞」者,人能止健,非正不可,故「利貞」也。「不家食吉」者,己有大畜之資,當須養順賢人,不使賢人在家自食,如此乃吉也。「利涉大川」者,豐則養賢,應於天道,不憂險難,故「利涉大川」。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대축(大畜)]”이라고 말한 것은, 건(乾)의 굳셈이 위로 나아가고 간(艮)의 그침이 위에 있어서 그쳐서 쌓이게 하여 강건함을 쌓아서 잘 그치게 하기 때문에 “크게 쌓인다[大畜]”라 말한 것이다.
〈단전(彖傳)〉에 이르기를 “굳셈을 그치게 잘함은 크게 바르기 때문이다[能止健,大正]”라고 하였는데, 이는 굳셈을 그치게 잘하기 때문에 “크게 쌓임[大畜]”이 된 것이다.
소축(小畜)은 손(巽)이 건(乾)의 위에 있으니 그 손(巽)이 순(順)함으로써 건(乾)의 굳셈을 쌓아서 잘 그치게 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르기를 ‘적게 쌓임[小畜]’이라 하였으며, 이것은 간(艮)이 그것[乾]을 잘 그치게 하기 때문에 ‘대축(大畜)’이라 한 것이다.
“곧아야 이롭고[利貞]”라는 것은, 사람이 굳셈을 잘 그치게함은 바름이 아니면 불가하기 때문에 “곧아야 이롭고[利貞]”라고 했다.
“집안에서 먹지 않아야 길하며[不家食吉]”라는 것은, 자기에게 크게 쌓임의 물자가 있으면 마땅히 결국 현명한 사람을 따라서 길러주고 현명한 사람으로 하여금 집안에 있으면서 스스로 밥먹지 않아야 하며, 이와 같이 하여야 비로소 길함이다.
“큰 내를 건너야 이롭다[利涉大川]”라는 것은, 풍부하면 현명함을 길러서 하늘의 도(道)에 응(應)하여 험난함을 근심하지 않기 때문에 “큰 내를 건너야 이롭다[利涉大川]”라고 하였다.」
《彖》曰:大畜,剛健篤實,輝光日新其德,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 "대축(大畜)은 강건하고 독실하여 그 덕(德)이 날로 새롭게 빛이 나며, 【王弼 注】 凡物既厭而退者弱也,既榮而隕者薄也。夫能輝光日新其德者,唯剛健篤實也。 【왕필 주】 모든 만물은 나아가 싫어하여서 물러나는 것은 약함이고, 이미 영화로워서 떨어지는 것은 엷음이다. 그것이 그 덕(德)이 날로 새롭게 잘 빛나는 것은 오직 강건함과 독실함이다. |
[孔穎達 疏] 正義曰:言「大畜剛健篤實」者,此釋大畜之義。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대축(大畜)은 강건하고 독실하여[大畜剛健篤實]”라고 말한 것은, 이는 크게 쌓임[大畜]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剛健」謂乾也。乾體剛性健,故言「剛健」也。「篤實」,謂艮也。艮體靜止,故稱「篤實」也。 ‘강건(剛健)’은 건(乾)을 말함이고, 건(乾)은 몸체[體]가 강하고 성질이 굳세기 때문에 ‘강건(剛健)’이라 말하였다. ‘독실(篤實)’은 간(艮)을 말하며, 간(艮)은 몸체[體]가 고요하여 그치기 때문에 ‘독실(篤實)’이라 칭하였다. 「輝光日新其德」者,以其剛健篤實之故,故能輝耀光榮,日日增新其德。 “그 덕(德)이 날로 새롭게 빛이 나며[輝光 日新其德]”라는 것은, 그로써 강건(剛健)하고 독실(篤實)함의 연고이며 그러므로 잘 밝게 빛나고 영광스러워서 날마다 그 덕(德)을 더하고 새롭게 하는 것이다. 若無剛健,則劣弱也,必既厭而退。若無篤實,則虛薄也,必既榮而隕,何能久有輝光,日新其德乎? 만약 강건함이 없으면 용렬하고 약하니 반드시 나아가 싫어하여서 물러나고, 만약 독실함이 없으면 허약하고 얇으니 반드시 이미 영화로워서 떨어지는데, 어찌 능히 오랫동안 빛나는 광채가 있으며 날로 그 덕(德)을 새롭게 할 수 있겠는가.」 ○注「凡物既厭」至「剛健篤實也」。 ○ 【왕필 주(王弼 注)】의 “범물기염(凡物旣厭)에서 강건독실야(剛健篤實也)까지” ○正義曰:「凡物既厭而退者,弱也」者,釋《經》「剛健」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모든 만물은 나아가 싫어하여서 물러나는 것은 약함이고[凡物旣厭而退者 弱也]”라는 것은, 경문(經文)의 ‘강건(剛健)’을 해석한 것이다. 若不剛健,則見厭被退。能剛健,則所為日進,不被厭退也。 만약 강건하지 못하면 싫어함을 보이고 물러남을 당하고, 능히 강건하면 하는 바가 날로 나아가서 싫어하여 물러남을 당하지 않는다. 「既榮而隕者薄也」者,釋《經》「篤實」也。凡物暫時榮華而即損落者,由體質虛薄也。若能篤厚充實,則恒保榮美,不有損落也。 “이미 영화로워서 떨어지는 것은 엷음이다[旣榮而隕者 薄也]”라는 것은, 경문(經文)의 ‘독실(篤實)’을 해석한 것이며, 모든 사물은 잠시 영화롭다가도 나아가 줄어서 떨어지는 것은 체질이 허약하고 엷은 연유이다. 만약 독실하여 두터움을 잘하고 충실하면 항상 영화와 아름다움을 보존하여 줄어서 떨어짐이 있지 않음이다.」 |
[孔穎達 疏] 正義曰:言「大畜剛健篤實」者,此釋大畜之義,「剛健」謂乾也。乾體剛性健,故言「剛健」也。「篤實」,謂艮也。艮體靜止,故稱「篤實」也。「輝光日新其德」者,以其剛健篤實之故,故能輝耀光榮,日日增新其德。若無剛健,則劣弱也,必既厭而退。若無篤實,則虛薄也,必既榮而隕,何能久有輝光,日新其德乎?
○注「凡物既厭」至「剛健篤實也」。
○正義曰:「凡物既厭而退者,弱也」者,釋《經》「剛健」也。若不剛健,則見厭被退。能剛健,則所為日進,不被厭退也。「既榮而隕者薄也」者,釋《經》「篤實」也。凡物暫時榮華而即損落者,由體質虛薄也。若能篤厚充實,則恒保榮美,不有損落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대축(大畜)은 강건하고 독실하여[大畜剛健篤實]”라고 말한 것은, 이는 크게 쌓임[大畜]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강건(剛健)’은 건(乾)을 말함이고, 건(乾)은 몸체[體]가 강하고 성질이 굳세기 때문에 ‘강건(剛健)’이라 말하였다.
‘독실(篤實)’은 간(艮)을 말하며, 간(艮)은 몸체[體]가 고요하여 그치기 때문에 ‘독실(篤實)’이라 칭하였다.
“그 덕(德)이 날로 새롭게 빛이 나며[輝光 日新其德]”라는 것은, 그로써 강건(剛健)하고 독실(篤實)함의 연고이며 그러므로 잘 밝게 빛나고 영광스러워서 날마다 그 덕(德)을 더하고 새롭게 하는 것이다.
만약 강건함이 없으면 용렬하고 약하니 반드시 나아가 싫어하여서 물러나고, 만약 독실함이 없으면 허약하고 얇으니 반드시 이미 영화로워서 떨어지는데, 어찌 능히 오랫동안 빛나는 광채가 있으며 날로 그 덕(德)을 새롭게 할 수 있겠는가.」
○ 【왕필 주(王弼 注)】의 “범물기염(凡物旣厭)에서 강건독실야(剛健篤實也)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모든 만물은 나아가 싫어하여서 물러나는 것은 약함이고[凡物旣厭而退者 弱也]”라는 것은, 경문(經文)의 ‘강건(剛健)’을 해석한 것이다.
만약 강건하지 못하면 싫어함을 보이고 물러남을 당하고, 능히 강건하면 하는 바가 날로 나아가서 싫어하여 물러남을 당하지 않는다.
“이미 영화로워서 떨어지는 것은 엷음이다[旣榮而隕者 薄也]”라는 것은, 경문(經文)의 ‘독실(篤實)’을 해석한 것이며, 모든 사물은 잠시 영화롭다가도 나아가 줄어서 떨어지는 것은 체질이 허약하고 엷은 연유이다. 만약 독실하여 두터움을 잘하고 충실하면 항상 영화와 아름다움을 보존하여 줄어서 떨어짐이 있지 않음이다.」
剛上而尚賢。 굳셈이 위[上九]인데도 현자(賢者)를 높이고, 【王弼 注】 謂上九也。處上而大通,剛來而不距,尚賢之謂也。 【왕필 주】 상구(上九)를 가리킴이다. 위에 처하면서 크게 통하고, 굳셈이 내려오는데 거부(拒否)하지 않으며 현자(賢者)를 숭상함을 말함이다. |
[孔穎達 疏] 「剛上而尚賢」。 ○正義曰:「剛上」謂上九也。乾剛向上,上九不距,是貴尚賢也。 ○注「謂上九」至「尚賢之謂也」。 ○正義曰:「謂上九也」者,言上九之德,見乾之上進而不距逆,是貴「尚賢」也。「處上而大通」者,釋上九「何天之衢亨」,是處上通也。既處於上,下應於天,有大通之德也。「剛來而不距」者,以有大通,既見乾來而不距逆,是「尚賢」之義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강상이상현(剛上而尙賢)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강상(剛上)’은 상구(上九)를 말한다. 건(乾)의 굳셈이 위로 향하는데 상구(上九)가 막지 않으니, 이는 현명함을 귀하게 숭상함이다.」 ○ 【왕필 주(王弼 注)】의 “위상구(謂上九)에서 상현지위야(尙賢之謂也)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상구(上九)를 가리킴이다[謂上九也]”라는 것은, 상구(上九)의 덕(德)이 건(乾)이 위로 나아감을 보고서 막거나 거스르지 않으니, 이는 “현명함을 숭상하여[尚賢]“ 귀하게 함이다. “위에 처하면서 크게 통하고[處上而大通]”라는 것은, 상구(上九)의 “어찌 하늘의 네거리가 형통하겠는가[何 天之衢亨]”를 해석한 것이며, 이는 위에 처하여 통함이다. 이미 위에 처하여 아래로 하늘에 응(應)함은 크게 통함의 덕(德)이 있는 것이다. “굳셈이 내려오는데 거부(拒否)하지 않으며[剛來而不距]”라는 것은, 크게 통함이 있음으로써 이미 건(乾)이 오는 것을 보고서도 막거나 거스르지 않으니, 이는 “현명함을 숭상함[尚賢]“의 뜻이다.」 |
能止健,大正也。 굳셈을 잘 그치게함은 크게 바름이다. 【王弼 注】 健莫過乾,而能止之,非夫大正,未之能也。 【왕필 주】 굳셈은 건(乾)보다 더함이 없는데도 잘 그치게 함은, 그것이 크게 바름이 아니면 잘하지 못함이다. |
[孔穎達 疏] 正義曰:釋「利貞」義。所以艮能止乾之健者,德能大正,故「能止健」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곧음이 이로움[利貞]’의 뜻을 해석하였으며, 간(艮)이 건(乾)의 굳센 것을 잘 저지하는 까닭이고 덕(德)이 크게 바르기 때문에 “굳셈을 잘 저지함[能止健]”이다.」 |
不家食吉,養賢也。利涉大川,應乎天也。 '집안에서 먹지 않아야 길함'은 현자(賢者)를 기름이고, '큰 내를 건너야 이로움'은 하늘에 응(應)함이다. 【王弼 注】 有大畜之實,以之養賢,令賢者不家食,乃吉也。尚賢制健,大正應天,不憂險難,故利涉大川也。 【왕필 주】 대축(大畜)은 채움이 있으니, 그로써 현자(賢者)를 기르고 현자(賢者)로 하여금 집안에서 밥먹지 않게 하니 이에 길하다. 현자(賢者)를 높이고 굳셈을 제어하여 크게 바르게 하늘에 응(應)하니, 험난함을 근심하지 않기 때문에 큰 내를 건너야 이롭다. |
[孔穎達 疏] 「不家食吉」至「應乎天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불가식길(不家食吉)에서 응호천야(應乎天也)까지.} ○正義曰:「不家食吉,養賢」者,釋「不家食吉」,所以不使賢者在家自食而獲吉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집안에서 먹지 않아야 길함은 현자(賢者)를 기름이고[不家食吉 養賢]”라는 것은, ‘집안에서 먹지 안아야 길함[不家食吉]’을 해석한 것이며, 현자(賢者)로 하여금 집안에 있으면서 스스로 먹지 않게 함이 길함을 얻음의 까닭이다. 以在上有「大畜」之實,養此賢人,故不使賢者在家自食也。 위에 있음으로써 대축(大畜)의 실제가 있어서 이 현인(賢人)을 기르기 때문에 현자(賢者)로 하여금 집안에 있으면서 스스로 밥을 먹지 않게 하는 것이다. 「利涉大川應乎天」者,以貴尚賢人,大正應天,可逾越險難,故「利涉大川」也。 “큰 내를 건너야 이로움은 하늘에 응(應)함이다[利涉大川 應乎天]”라는 것은, 그로써 현인을 귀하게 높이며 크게 바름으로 하늘에 응(應)하면 험난함을 넘어갈 수 있기 때문에 “큰 내를 건너야 이로움[利涉大川]”이다.」 ○注「有大畜之實」至「利涉大川也」。 ○ 【왕필 주(王弼 注)】의 “유대축지실(有大畜之實)에서 이섭대천야(利涉大川也)까지” ○正義曰:「尚賢制健」者,謂上九剛來不距,「尚賢」之謂也。艮能畜剛,「制健」之謂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현자(賢者)를 높이고 굳셈을 제어하여[尙賢制健]”라는 것은, 상구(上九)가 굳셈이 와도 막지 않음은 현자를 높임을 말함이고, 간(艮)이 굳셈을 잘 쌓음은 “굳셈을 제어함[制健]”을 말한 것이다. 故上《經》云:「剛上而尚賢」。王《注》云:「謂上九也。」又云:「能止健,大正也。」 그러므로 위의 경문(經文)에 이르기를 “굳셈이 위에 있으면서 현명함을 높인다[剛上而尚賢]”라고 하였는데, 왕보사[王輔嗣(王弼)]의 주(注)에 이르기를 “상구(上九)를 말한다[謂上九也]”라고 하였고, 또 이르기를 “굳셈을 잘 저지함은 크게 바르기 때문이다[能止健,大正也]”라고 하였다. 王《注》云:「健莫過乾,而能止之,非夫大正,未之能也。」則是全論艮體。明知「尚賢」,謂上九也。「制健」謂艮體也。 왕보사(王輔嗣)의 주(注)에 이르기를 “굳셈은 건(乾)보다 더한 것이 없는데 그것을 잘 저지하니 그가 크게 바름이 아니면 잘하지 못하다.”라고 하였으니, 즉 이는 간(艮)의 몸[體]을 온전히 논한 것이다. ‘현자를 높임[尚賢]’은 상구(上九)를 말함이고, ‘굳셈을 제어함[制健]’은 간(艮)의 몸[體]을 말함임을 분명히 알 수 있다. 「大正應天」者,謂艮也。故前文云:「能止健,大正也。」止健是艮也,「應天」者,上體之艮,應下體之乾,故稱「應天」也。 “크게 바르게 하늘에 응(應)하니[大正應天]”라는 것은, 간(艮)을 말한 것이다. 그러므로 앞글에 이르기를 “굳셈을 잘 저지함은 크게 바르기 때문이다[能止健,大正也]”라고 하였으며, 굳셈을 저지함은 바로 간(艮)이고, ‘하늘에 응함[應天]’은 상체(上體)의 간(艮)이 하체(下體)의 건(乾)에 응(應)하므로 “하늘에 응한다[應天]”라고 말한 것이다. 此取上卦、下卦而相應,非謂一陰一陽而相應也。 이는 상괘(上卦)가 하괘(下卦)를 취하면서 서로 응(應)함이며, 한 음(陰)과 한 양(陽)이 서로 응함을 말한 것이 아니다.」 |
[孔穎達 疏] 「不家食吉」至「應乎天也」。
○正義曰:「不家食吉,養賢」者,釋「不家食吉」,所以不使賢者在家自食而獲吉也。以在上有「大畜」之實,養此賢人,故不使賢者在家自食也。「利涉大川應乎天」者,以貴尚賢人,大正應天,可逾越險難,故「利涉大川」也。
○注「有大畜之實」至「利涉大川也」。
○正義曰:「尚賢制健」者,謂上九剛來不距,「尚賢」之謂也。艮能畜剛,「制健」之謂也。故上《經》云:「剛上而尚賢」。王《注》云:「謂上九也。」又云:「能止健,大正也。」王《注》云:「健莫過乾,而能止之,非夫大正,未之能也。」則是全論艮體。「明知尚賢」,謂上九也。「制健」謂艮體也。「大正應天」者,謂艮也。故前文云:「能止健,大正也。」止健是艮也,應天者,上體之艮,應下體之乾,故稱「應天」也。此取上卦、下卦而相應,非謂一陰一陽而相應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불가식길(不家食吉)에서 응호천야(應乎天也)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집안에서 먹지 않아야 길함은 현자(賢者)를 기름이고[不家食吉 養賢]”라는 것은, ‘집안에서 먹지 안아야 길함[不家食吉]’을 해석한 것이며, 현자(賢者)로 하여금 집안에 있으면서 스스로 먹지 않게 함이 길함을 얻음의 까닭이다.
위에 있음으로써 대축(大畜)의 실제가 있어서 이 현인(賢人)을 기르기 때문에 현자(賢者)로 하여금 집안에 있으면서 스스로 밥을 먹지 않게 하는 것이다.
“큰 내를 건너야 이로움은 하늘에 응(應)함이다[利涉大川 應乎天]”라는 것은, 그로써 현인을 귀하게 높이며 크게 바름으로 하늘에 응(應)하면 험난함을 넘어갈 수 있기 때문에 “큰 내를 건너야 이로움[利涉大川]”이다.」
○ 【왕필 주(王弼 注)】의 “유대축지실(有大畜之實)에서 이섭대천야(利涉大川也)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현자(賢者)를 높이고 굳셈을 제어하여[尙賢制健]”라는 것은, 상구(上九)가 굳셈이 와도 막지 않음은 현자를 높임을 말함이고, 간(艮)이 굳셈을 잘 쌓음은 “굳셈을 제어함[制健]”을 말한 것이다.
그러므로 위의 경문(經文)에 이르기를 “굳셈이 위에 있으면서 현명함을 높인다[剛上而尚賢]”라고 하였는데, 왕보사[王輔嗣(王弼)]의 주(注)에 이르기를 “상구(上九)를 말한다[謂上九也]”라고 하였고, 또 이르기를 “굳셈을 잘 저지함은 크게 바르기 때문이다[能止健,大正也]”라고 하였다.
왕보사(王輔嗣)의 주(注)에 이르기를 “굳셈은 건(乾)보다 더한 것이 없는데 그것을 잘 저지하니 그가 크게 바름이 아니면 잘하지 못하다.”라고 하였으니, 즉 이는 간(艮)의 몸[體]을 온전히 논한 것이다. ‘현자를 높임[尚賢]’은 상구(上九)를 말함이고, ‘굳셈을 제어함[制健]’은 간(艮)의 몸[體]을 말함임을 분명히 알 수 있다.
“크게 바르게 하늘에 응(應)하니[大正應天]”라는 것은, 간(艮)을 말한 것이다. 그러므로 앞글에 이르기를 “굳셈을 잘 저지함은 크게 바르기 때문이다[能止健,大正也]”라고 하였으며, 굳셈을 저지함은 바로 간(艮)이고, ‘하늘에 응함[應天]’은 상체(上體)의 간(艮)이 하체(下體)의 건(乾)에 응(應)하므로 “하늘에 응한다[應天]”라고 말한 것이다.
이는 상괘(上卦)가 하괘(下卦)를 취하면서 서로 응(應)함이며, 한 음(陰)과 한 양(陽)이 서로 응함을 말한 것이 아니다.」
《象》曰:天在山中,大畜,君子以多識前言往行,以畜其德。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하늘이 산 가운데에 있음이 대축(大畜)인데, 군자가 그로써 예전의 말과 지나간 행함을 많이 알며 그로써 그 덕(德)을 쌓는다.“ 【王弼 注】 物之可畜於懷,令德不散盡於此也。 【왕필 주】 사물을 품어 쌓을 수 있으니 덕(德)으로 하여금 흩어지지 않도록 여기에서 다하였다. |
[孔穎達 疏] 「《象》曰」至「以畜其德」。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상왈(象曰)에서 이축기덕(以畜其德)까지.} ○正義曰:「天在山中」者,欲取德積於身中,故云「天在山中」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하늘이 산 가운데에 있음[天在山中]”라는 것은, 덕(德)이 몸 가운데에 쌓임을 취하고자 하였기 때문에 이르기를 “하늘이 산 가운데에 있다[天在山中]”라고 한 것이다. 「君子以多識前言,往行以畜其德」者,君子則此「大畜」,物既「大畜」,德亦「大畜」,故多記識前代之言,往賢之行,使多聞多見,以畜積己德,故云「以畜其德」也。 “군자가 그로써 예전의 말과 지나간 행함을 많이 알며 그로써 그 덕(德)을 쌓는다[君子以多識前言往行 以畜其德]”라는 것은, 군자(君子)는 이 “크게 쌓임[大畜]”이며, 사물이 이미 크게 쌓이면 덕(德)이 또한 크게 쌓이기 때문에 앞 세대의 말씀과 지나간 선현(先賢)의 행실을 많이 기억하여 많이 듣고 많이 보게 하여서 그로써 자기의 덕(德)을 축적하기 때문에 이르기를 “그로써 그 덕(德)을 쌓는다[以畜其德]”라고 하였다.」 ○注「物之可畜」至「盡於此也」。 ○ 【왕필 주(王弼 注)】의 “물지가축(物之可畜)에서 진어차야(盡於此也)까지” ○正義曰:「物之可畜於懷」,令其道德不有棄散者,唯貯藏「前言往行」於懷,可以令德不散也。唯此而已,故云「盡於此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사물을 품어 쌓을 수 있음[物之可畜於懷]은, 그 도(道)와 덕(德)으로 하여금 버려지고 흩어짐이 있지 않게 하는 것이며, 오직 전대(前代)의 말씀과 지나간 행실을 가슴속에 저장하여 덕(德)으로 하여금 흩어지지 않음으로서 할 수 있으며, 오직 이것뿐이기 때문에 이르기를 “여기에서 다한다[盡於此也]”라고 한 것이다.」 |
[孔穎達 疏] 「《象》曰」至「以畜其德」。
○正義曰:「天在山中」者,欲取德積於身中,故云「天在山中」也。「君子以多識前言,往行以畜其德」者,君子則此「大畜」,物既「大畜」,德亦「大畜」,故多記識前代之言,往賢之行,使多聞多見,以畜積己德,故云「以畜其德」也。
○注「物之可畜」至「盡於此也」。
○正義曰:物之可畜於懷,令其道德不有棄散者,唯貯藏「前言往行」於懷,可以令德不散也。唯此而已,故云「盡於此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상왈(象曰)에서 이축기덕(以畜其德)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하늘이 산 가운데에 있음[天在山中]”라는 것은, 덕(德)이 몸 가운데에 쌓임을 취하고자 하였기 때문에 이르기를 “하늘이 산 가운데에 있다[天在山中]”라고 한 것이다.
“군자가 그로써 예전의 말과 지나간 행함을 많이 알며 그로써 그 덕(德)을 쌓는다[君子以多識前言往行 以畜其德]”라는 것은, 군자(君子)는 이 “크게 쌓임[大畜]”이며, 사물이 이미 크게 쌓이면 덕(德)이 또한 크게 쌓이기 때문에 앞 세대의 말씀과 지나간 선현(先賢)의 행실을 많이 기억하여 많이 듣고 많이 보게 하여서 그로써 자기의 덕(德)을 축적하기 때문에 이르기를 “그로써 그 덕(德)을 쌓는다[以畜其德]”라고 하였다.」
○ 【왕필 주(王弼 注)】의 “물지가축(物之可畜)에서 진어차야(盡於此也)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사물을 품어 쌓을 수 있음[物之可畜於懷]은, 그 도(道)와 덕(德)으로 하여금 버려지고 흩어짐이 있지 않게 하는 것이며, 오직 전대(前代)의 말씀과 지나간 행실을 가슴속에 저장하여 덕(德)으로 하여금 흩어지지 않음으로서 할 수 있으며, 오직 이것뿐이기 때문에 이르기를 “여기에서 다한다[盡於此也]”라고 한 것이다.」
初九,有厲,利已。 초구(初九)는 위태로움이 있으니, 그만 두면 이롭다. 【王弼 注】 四乃畜己,未可犯也。故進則有厲,已則利也。 【왕필 주】 육4(六四)는 이에 자기를 쌓아서, 아직 범 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나아가면 위태로움이 있으며 그만두면 이롭다. |
[孔穎達 疏] 正義曰:初九雖有應於四,四乃抑畜於己。己今若往,則有危厲。唯利休巳,不須前進,則不犯禍凶也。故《象》云:「不犯災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초구(初九)가 비록 육4(六四)에 응(應)하지만 육4(六四)는 도리어 자기를 쌓아서 억제하니, 자기가 지금 만약 가면 위태로움이 있다. 오직 그만두는 것이 이로우니, 모름지기 앞으로 나아가지 않아야 재앙과 흉함을 범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전(象傳)〉에 이르기를 “재앙을 범하지 않는다[不犯災也]”라고 한 것이다.」 |
《象》曰:有厲利已,不犯災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위태로움이 있으니 그만 둠이 이로움은, 재앙을 범하지 않음이다.” 【王弼 注】 處健之始,未果其健者,故能利已。 【왕필 주】 굳셈의 시작에 처하니 그 굳센 것이 과감(果敢)하지 않기 때문에 능히 그만둠이 이롭다. |
九二,輿說輹。 구이(九二)는 수레 바퀴통이 벗겨졌다. 【王弼 注】 五處畜盛,未可犯也,遇斯而進,故輿說輹也。居得其中,能以其中,不為馮河,死而无悔,遇難能止,故无尤也。 【왕필 주】 육5(六五)가 쌓음이 성함에 처하여 범 할 수는 없고, 이[盛]를 만났는데도 나아가기 때문에 수레의 바퀴통이 벗겨짐이다. 그[艮]의 가운데를 얻어 거주하고 그 가운데로서 잘하며 맨몸으로 황하를 건너는데 죽어도 후회 없음을 하지 않고 어려움을 만나면 잘 그치기 때문에 허물이 없다. |
[孔穎達 疏] 正義曰:九二雖與六五相應,「五處畜盛,未可犯也」。若遇斯而進,則輿說其輹,車破敗也。以其居中,能遇難而止,則無尤過,故《象》云「中無尤」也。以其居中,能自止息,故「無尤」也。此「輿說輹」,亦假像以明人事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구2(九二)가 비록 육5(六五)와 서로 응(應)하지만 육5(六五)가 쌓음이 성함에 처하여 범할 수가 없다. 만약 이를 만나는데도 나아가면 수레의 바퀴통이 벗겨져 수레가 부서지고 패한다. 그로써 가운데[中]에 거주하고 어려움을 잘 만나면서 그치면 오히려 허물이 없기 때문에 〈상전(象傳)〉에 이르기를 “가운데[中]이니 허물이 없다[中無尤]”라고 하였다. 그로써 가운데[中]에 거주하고 스스로 잘 막고 쉬기 때문에 “허물이 없음[無尤]”이다. 이 수레 바퀴통이 벗겨졌다[輿說輹]라는 것은 또한 모습[象]을 빌려서 사람의 일을 밝힌 것이다.」 |
《象》曰:輿說輹,中无尤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수레의 바퀴통이 벗겨지지만, 가운데[中]라서 허물이 없다." |
九三,良馬逐,利艱貞。日閑輿衛,利有攸往。 구삼(九三)은 좋은 말로 쫓아가는데 어려워도 곧아야 이로우며, 날마다 막고 수레를 호위(護衛)하더라도 가서 다스림이 이롭다. 【王弼 注】 凡物極則反,故畜極則通。初二之進,值於畜盛,故不可以升。至於九三,升于上九,而上九處天衢之亨,塗徑大通,進无違距,可以馳騁,故曰良馬逐也。履當其位,進得其時,在乎通路*,不憂險厄,故利艱貞也。閑,閡也。衛,護也。進得其時,雖涉艱難而无患也,輿雖遇閑而故衛也。與上合志,故利有攸往也。*或作「之乎通路」。 【왕필 주】 모든 사물이 지극하면 돌아오기 때문에 쌓임이 지극하면 통한다. 초구(初九)와 구2(九二)의 나아감은 쌓임이 성함에 놓이기 때문에 올라갈 수가 없다. 구3(九三)에 이르러 상구(上九)로 올라가는데 상구(上九)가 하늘 네거리[天衢]의 형통함에 처하여 길이 지름길로 크게 통해서 나아감에 어기거나 막음이 없어서 달려갈 수가 있기 때문에 '좋은 말로 쫓아간다.'라고 말하였다. 그 지위에 마땅한 데를 밟고서 그 때를 얻어 나아가고 길에 통함이 있으며 험한 횡액을 우려하지 않기 때문에 어려워도 곧아야 이로움이다. 한(閑)은 문을 잠금이고, 위(護)는 호위함이다. 그 때를 얻어 나아가면 비록 매우 어렵게 건너더라도 근심은 없고, 수레가 비록 막힘을 만나더라도 호위하는 연고이다. 위쪽에 더블어 뜻이 부합하기 때문에 가서 다스림이 이롭다. |
[孔穎達 疏] 正義曰:「九三良馬逐」者,「初二之進,值於畜盛」,不可以升。「至於九三,升於上九,而上九處天衢之亨,途徑大通,進無違距」,故九三可以良馬馳逐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구삼(九三)은 좋은 말로 쫓아가는데[九三良馬逐]”라는 것은, 초구(初九)와 구2(九二)의 나아감은 쌓임이 성함에 놓이니 올라갈 수가 없다. 구3(九三)에 이르러 상구(上九)로 올라가는데 상구(上九)가 하늘 네거리[天衢]의 형통함에 처하여 길이 지름길로 크게 통해서 나아감에 어기거나 막음이 없기 때문에 구3(九三)이 좋은 말로 쫓아갈 수가 있는 것이다. 「利艱貞」者,「履當其位,進得其時,在乎通路,不憂險厄」,故宜利艱難而貞正也。若不值此時,雖平易守正而尚不可,況艱難而欲行正乎? “어려워도 곧아야 이로우며[利艱貞]”라는 것은, 그 지위에 마땅한 데를 밟고서 그 때를 얻어 나아가고 길에 통함이 있으며 험한 횡액을 우려하지 않기 때문에 마땅히 어렵고 곤란해도 곧고 바름이 이롭다. 만약 이 때에 두어지지 못하면 비록 평이하게 바름을 지키더라도 오히려 불가한데, 하물며 어렵고 곤란한데도 바름을 행하려고 하겠는가? 「日閑輿衛」者,進得其時,涉難無患,雖日有人欲閑閡車輿,乃是防衛見護也,故云「日閑輿衛」也。 “날마다 막고 수레를 호위(護衛)하더라도[曰閑輿衛]”라는 것은, 그 때를 얻어 나아감이 어렵게 건너고 근심이 없지만 비록 날마다 수레의 문을 잠그고 수레를 막으려 하는 사람이 있더라도 마침내 이를 막고 호위하여 보호해주기 때문에 이르기를 “날마다 막고 수레를 호위(護衛)하더라도[曰閑輿衛]”라고 한 것이다. 「利有攸往」者,與上合志,利有所往,故《象》曰「上合志」也。 “가서 다스림이 이롭다[利有攸往]”라는 것은, 상구(上九)와 뜻이 부합하니 가는 바를 둠이 이롭기 때문에 〈상전(象傳)〉에 “위쪽[上九]에 뜻이 부합함이다[上合志]”라고 말한 것이다.」 |
《象》曰:利有攸往,上合志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가서 다스림이 이로움은, 위쪽[上九]에 뜻이 부합함이다." |
[孔穎達 疏] 正義曰:「九三良馬逐」者,「初二之進,值於畜盛」,不可以升。「至於九三,升於上九,而上九處天衢之亨,途徑大通,進無違距」,故九三可以良馬馳逐也。「利艱貞」者,「履當其位,進得其時,在乎通路,不憂險厄」,故宜利艱難而貞正也。若不值此時,雖平易守正而尚不可,況艱難而欲行正乎?「日閑輿衛」者,進得其時,涉難無患,雖曰有人欲閑閡車輿,乃是防衛見護也,故云「日閑輿衛」也。「利有攸往」者,與上合志,利有所往,故《象》曰「上合志」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구삼(九三)은 좋은 말로 쫓아가는데[九三良馬逐]”라는 것은, 초구(初九)와 구2(九二)의 나아감은 쌓임이 성함에 놓이니 올라갈 수가 없다. 구3(九三)에 이르러 상구(上九)로 올라가는데 상구(上九)가 하늘 네거리[天衢]의 형통함에 처하여 길이 지름길로 크게 통해서 나아감에 어기거나 막음이 없기 때문에 구3(九三)이 좋은 말로 쫓아갈 수가 있는 것이다.
“어려워도 곧아야 이로우며[利艱貞]”라는 것은, 그 지위에 마땅한 데를 밟고서 그 때를 얻어 나아가고 길에 통함이 있으며 험한 횡액을 우려하지 않기 때문에 마땅히 어렵고 곤란해도 곧고 바름이 이롭다. 만약 이 때에 두어지지 못하면 비록 평이하게 바름을 지키더라도 오히려 불가한데, 하물며 어렵고 곤란한데도 바름을 행하려고 하겠는가?
“날마다 막고 수레를 호위(護衛)하더라도[曰閑輿衛]”라는 것은, 그 때를 얻어 나아감이 어렵게 건너고 근심이 없지만 비록 날마다 수레의 문을 잠그고 수레를 막으려 하는 사람이 있더라도 마침내 이를 막고 호위하여 보호해주기 때문에 이르기를 “날마다 막고 수레를 호위(護衛)하더라도[曰閑輿衛]”라고 한 것이다.
“가서 다스림이 이롭다[利有攸往]”라는 것은, 상구(上九)와 뜻이 부합하니 가는 바를 둠이 이롭기 때문에 〈상전(象傳)〉에 “위쪽[上九]에 뜻이 부합함이다[上合志]”라고 말한 것이다.」
六四,童牛之牿,元吉。 육사(六四)는 어린 소의 뿔에 나무를 덧대니, 크게 길하다. 【王弼 注】 處艮之始,履得其位,能止健初。距不以角,柔以止剛,剛不敢犯,抑銳之始。以息強爭,豈唯獨利,乃將有喜也。 【왕필 주】 간(艮)의 시작에 처하고 그 지위를 얻어 밟고서 굳센 초효를 잘 저지(沮止)한다. 뿔로서 막지 않고 부드러움[六四]으로써 굳셈[初九]을 저지하니 굳셈이 감히 범하지 못하며 날카로운 시작을 억누른다. 쉼으로써 강함과 다투는데 어찌 오직 홀로 이롭겠으며 이에 장차 기쁨이 있다. |
[孔穎達 疏] 正義曰:「童牛之牿」者,處艮之始,履得其位,能抑止剛健之初。距此初九,不須用角,故用童牛牿止其初也。「元吉」者,柔以止剛,剛不敢犯,以息彊爭,所以大吉而有喜也,故《象》云「元吉,有喜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어린 소의 뿔에 나무를 덧대니[童牛之牿]”라는 것은, 간(艮)의 시작에 그 지위를 얻어 밟고서 강건함의 처음을 잘 억눌러 막았다. 이 초구(初九)를 막아야 모름지기 뿔을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어린 소의 뿔에 나무를 덧댐을 사용하여 그 초구(初九)를 저지함이다. “크게 길하다[元吉]”라는 것은, 부드러움으로써 굳셈을 저지하는데도 굳셈이 감히 범하지 못하고 그로써 휴식과 굳셈을 다툼이, 크게 길하면서 기쁨이 있는 까닭이다. 그러므로 〈상전(象傳)〉에 이르기를 “크게 길함은, 기쁨이 있음이다[元吉,有喜也]”라고 한 것이다.」 |
《象》曰:六四元吉,有喜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육사(六四)의 크게 길함은, 기쁨이 있음이다.” |
六五,豶豕之牙,吉。 육오(六五)는 돼지의 어금니를 제거하였으니, 길하다. 【王弼 注】 豕牙橫猾,剛暴難制之物,謂二也。五處得尊位,為畜之主。二剛而進,能豶其牙,柔能制健,禁暴抑盛,豈唯能固其位,乃將有慶也。 【왕필 주】 돼지의 어금니는 멋대로[橫] 어지럽고 굳세고 사나워서 제어하기 어려운 물건이며 구2(九二)를 가리킨다. 육5(六五)가 높은 지위를 얻어서 처하고 축(畜)의 주체가 되었다. 구2(九二)가 강하게 나오는데 그 어금니를 잘 제거하여 부드러운데도 굳셈을 잘 제재해서 난폭함을 금하고 성함을 억제하니, 어찌 오직 그 지위만 굳게 잘하겠으며, 마침내 장차 경사가 있을 것이다. |
[孔穎達 疏] 「《象》曰」至「豶豕之牙吉」。 ○正義曰:「豶豕之牙」者,豕牙謂九二也。二既剛陽,似豕牙之橫猾。九二欲進,此六五處得尊位,能豶損其牙,故云「豶豕之牙」。柔能制剛,禁暴抑盛,所以「吉」也。非唯獨吉,乃終久有慶。故《象》云「六五之吉,有慶也」。 ○注「豕牙橫猾」至「將有慶」。 ○正義曰:「能豶其牙」者,觀注意則豶是禁制損去之名。褚氏云:「豶除也。除其牙也」。然豶之為除,《爾雅》無訓。案《爾雅》云:「墳,大防。」則墳是隄防之義。此「豶其牙」,謂防止其牙。古字假借,雖豕傍土邊之異,其義亦通。「豶其牙」,謂止其牙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상왈(象曰)에서 분시지아길(豶豕之牙吉)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돼지의 어금니를 제거하였으니[豶豕之牙]”라는 것은, 돼지의 어금니[豕牙]는 구2(九二)를 말하며, 구2(九二)가 이미 굳센 양(陽)이어서 돼지의 어금니가 멋대로 어지럽힘을 닮았음이다. 구2(九二)가 나아가려고 하는데 이 육5(六五)가 높은 지위를 얻어 처하고 잘 어지럽히는 그 어금니를 덜어내기 때문에 이르기를 “돼지의 어금니를 제거하였다[豶豕之牙]라고 한 것이다. 부드러움이 굳셈을 잘 제재하여 사나움을 금하고 성함을 억제하니, 길함(吉)의 까닭이다. 오직 혼자만 길함이 아니고 이에 끝까지 오래 경사가 있다. 그러므로 〈상전(象傳)〉에 이르기를 “육5(六五)의 길함은 경사가 있다[六五之吉,有慶也]”라고 한 것이다.」 ○ 【왕필 주(王弼 注)】의 “시아횡활(豕牙橫猾)에서 장유경(將有慶)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그 어금니를 잘 제거하여[能豶其牙]”라는 것은, 주(注)의 뜻을 살펴보면 ‘분(豶, 불깐 돼지 분)’은 바로 금하여 억제하고 덜어 제거함의 이름이다. 저씨[褚氏(褚仲都)]가 이르기를 “분(豶)은 제거함이며, 그 어금니를 제거함이다.”라고 하였다. 그러나 분(豶)이 제거함의 뜻이 됨은 ≪이아(爾雅)≫에 새김[訓]이 없다. 살펴보건대, ≪이아(爾雅)≫에 이르기를 “분(墳, 무덤 분)은 큰 제방이다.”라고 하였으니, 분(墳)은 바로 제방의 뜻인데, 여기의 ‘분기아(豶其牙)’는 그 어금니를 막아 저지함을 말함이다. 옛 글자를 가차(假借)하였으며, 비록 시(豕)의 방(傍)과 토(土)의 변(邊)이 다르지만 그 뜻이 또한 통하고, ‘분기아(豶其牙)’는 그 어금니를 저지함을 말함이다.」 |
《象》曰:六五之吉,有慶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육5(六五)의 길함은, 경사가 있음이다." |
[孔穎達 疏] 「《象》曰」至「豶豕之牙吉」。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상왈(象曰)에서 분시지아길(豶豕之牙吉)까지.}
○正義曰:「豶豕之牙」者,豕牙謂九二也。二既剛陽,似豕牙之橫猾。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돼지의 어금니를 제거하였으니[豶豕之牙]”라는 것은, 돼지의 어금니[豕牙]는 구2(九二)를 말하며, 구2(九二)가 이미 굳센 양(陽)이어서 돼지의 어금니가 멋대로 어지럽힘을 닮았음이다.
九二欲進,此六五處得尊位,能豶損其牙,故云「豶豕之牙」。
구2(九二)가 나아가려고 하는데 이 육5(六五)가 높은 지위를 얻어 처하고 잘 어지럽히는 그 어금니를 덜어내기 때문에 이르기를 “돼지의 어금니를 제거하였다[豶豕之牙]라고 한 것이다.
柔能制剛,禁暴抑盛,所以「吉」也。非唯獨吉,乃終久有慶。故《象》云「六五之吉,有慶也」。
부드러움이 굳셈을 잘 제재하여 사나움을 금하고 성함을 억제하니, 길함(吉)의 까닭이다. 오직 혼자만 길함이 아니고 이에 끝까지 오래 경사가 있다. 그러므로 〈상전(象傳)〉에 이르기를 “육5(六五)의 길함은 경사가 있다[六五之吉,有慶也]”라고 한 것이다.」
○注「豕牙橫猾」至「將有慶」。
○ 【왕필 주(王弼 注)】의 “시아횡활(豕牙橫猾)에서 장유경(將有慶)까지”
○正義曰:「能豶其牙」者,觀注意則豶是禁制損去之名。褚氏云:「豶除也。除其牙也」。然豶之為除,《爾雅》無訓。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그 어금니를 잘 제거하여[能豶其牙]”라는 것은, 주(注)의 뜻을 살펴보면 ‘분(豶, 불깐 돼지 분)’은 바로 금하여 억제하고 덜어 제거함의 이름이다. 저씨[褚氏(褚仲都)]가 이르기를 “분(豶)은 제거함이며, 그 어금니를 제거함이다.”라고 하였다. 그러나 분(豶)이 제거함의 뜻이 됨은 ≪이아(爾雅)≫에 새김[訓]이 없다.
案《爾雅》云:「墳,大防。」則墳是隄防之義。此「豶其牙」,謂防止其牙。
살펴보건대, ≪이아(爾雅)≫에 이르기를 “분(墳, 무덤 분)은 큰 제방이다.”라고 하였으니, 분(墳)은 바로 제방의 뜻인데, 여기의 ‘분기아(豶其牙)’는 그 어금니를 막아 저지함을 말함이다.
古字假借,雖豕傍土邊之異,其義亦通。「豶其牙」,謂止其牙也。
옛 글자를 가차(假借)하였으며, 비록 시(豕)의 방(傍)과 토(土)의 변(邊)이 다르지만 그 뜻이 또한 통하고, ‘분기아(豶其牙)’는 그 어금니를 저지함을 말함이다.」
上九,何天之衢,亨。 상구(上九)는 어쩌겠는가, 하늘의 길거리가 형통하다. 【王弼 注】 處畜之極,畜極則通,大畜以至於大亨之時。何,辭也。猶云何畜,乃天之衢亨也。 【왕필 주】 쌓음의 꼭대기에 처하고 쌓음이 지극하면 통하며 크게 쌓음으로서 크게 통하는 때에 이르렀다. 하(何)는 어조사이고, '어찌 쌓겠는가'라는 말과 같으며, 이에 하늘의 길거리가 형통한 것이다. |
[孔穎達 疏] 正義曰:「何天之衢亨」者,何謂語辭,猶云「何畜」也。處畜極之時,更何所畜?乃天之衢亨,無所不通也。故《象》云:「何天之衢,道大行也」。何氏云:「天衢既通,道乃大亨。」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어쩌겠는가, 하늘의 길거리가 형통하다[何 天之衢亨]”라는 것은, ‘하(何)’는 어조사를 말하고, “어찌 쌓[저지하]겠는가[何畜]”라고 말함과 같다. 쌓임이 지극한 때에 처하였는데 다시 어떻게 쌓[저지하]겠는가? 이에 하늘의 길거리가 형통하고, 통하지 않는 바가 없다. 그러므로 〈상전(象傳)〉에 이르기를 “어쩌겠는가, 하늘의 길거리는 도(道)가 크게 행해진다[何天之衢,道大行也]’라고 하였는데, 하씨[何氏(何妥)]가 이르기를 “하늘의 길거리가 이미 통하여 도(道)가 이에 크게 형통하다[天衢既通,道乃大亨]”라고 하였다.」 |
《象》曰:何天之衢,道大行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어쩌겠는가, 하늘의 길거리는 도(道)가 크게 행해짐이다." |
'◑주역정의(周易正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 28. 대과괘(大過卦)[卦象:택풍대과]/周易正義 (1) | 2022.09.22 |
---|---|
주역 27. 이괘(頤卦)[卦象:산뢰이]/周易正義 (1) | 2022.09.21 |
주역 25. 무망괘(无妄卦)[卦象:천뢰무망]/周易正義 (1) | 2022.09.19 |
주역 24. 복괘(復卦)[卦象:지뢰복]/周易正義 (0) | 2022.09.17 |
주역 23. 박괘(剝卦)[卦象:산지박]/周易正義 (1) | 2022.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