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注)와 한강백(韓康伯)의 주(注)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23. 박괘(剝卦)[卦象:산지박]
☶ 艮上
☷ 坤下
곤[地.땅]이 아래에 있고, 간[山.산]이 위에 있다.
剝,不利有攸往。 박(剝;깍음)은, 가서 다스리[敒]더라도 이롭지 않다. |
[疏]正義曰:「剝」者,剝落也。今陰長變剛,剛陽剝落,故稱「剝」也。小人既長,故「不利有攸往」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박(剝)이라는 것은, 깎여서 떨어짐이다. 지금 음(陰)이 자라 굳셈을 변화시켜 굳센 양(陽)이 깎여서 떨어지기 때문에 ‘박(剝)’이라 칭하였다. 소인(小人)이 이미 자라나기 때문에 “가서 다스리[敒]더라도 이롭지 않음[不利有攸往]”이다.」 |
《彖》曰:剝,剝也,柔變剛也。不利有攸往,小人長也。順而止之,觀象也。君子尚消息盈虛,天行也。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 "박(剝)은 깍음이고, 부드러움이 굳셈을 변하게 함이다. 가서 다스리[敒]더라도 이롭지 않음은, 소인(小人)의 자라남이다. 순(順)한데도 그치게 함은 살펴보는 모습[象]이다. 군자가 사라지고 자라나며 차고 빔을 숭상함은 하늘의 행함이다." 【王弼 注】 坤順而艮止也,所以順而止之,不敢以剛止者,以觀其形象也。強亢激拂,觸忤以隕身,身既傾焉,功又不就,非君子之所尚也。 【왕필 주】 곤(坤)은 순함이고 간(艮)은 그침이며, 순함으로써 그치게 하는 바인데, 감히 굳셈으로서도 그치지 않는 것은 그로써 그 모양과 모습을 살펴봄이다. 강함은 높은데서 격심하게 떨치고, 거슬러 닿음으로써 자신을 떨어트리고 자신은 이미 그곳에 기울었는데 공(功)은 또 취하지 않으니 군자가 숭상하는 바가 아니다. |
[疏]「彖曰」至「天行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단왈(彖曰)에서 천행야(天行也)까지.} ○正義曰:「剝,剝也」者,釋剝卦名為「剝」,不知何以稱「剝」,故釋云「剝」者, 解「剝」之義,是陰長解剝於陽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박(剝)은 깍음이고[剝 剝也]”라는 것은, 박괘(剝卦)의 이름이 깍임[剝]이 됨을 해석함인데, 어찌 ‘박(剝)’이라고 칭했는지 알지 못하기 때문에 해석하여 이르기를 “박(剝)이라는 것은, 박(剝)의 뜻을 풀이함이며, 이는 음(陰)이 자라서 양(陽)을 깎음을 풀이함이다. 「柔變剛」者,釋所以此卦名剝之意也。 “부드러움이 굳셈을 변하게 함[柔變剛]”라는 것은, 이 괘(卦)가 ‘깍임[剝]’의 뜻을 이름한 까닭을 해석한 것이다. 「不利有攸往,小人道長」者,此釋「不利有攸往」之義。小人道長,世既闇亂,何由可進?往則遇災,故「不利有攸往」也。 “가서 다스리[敒]더라도 이롭지 않음은, 소인(小人)의 도(道)가 자람이다[不利有攸往 小人道長]”라는 것은, 이는 ‘가서 다스리[敒]더라도 이롭지 않음[不利有攸往]’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소인(小人)의 도(道)가 자라서 세상이 이미 어둡고 혼란한데 무억을 말미암아 나아갈 수 있겠는가? 가면 재앙을 만나기 때문에 ‘가서 다스리[敒]더라도 이롭지 않음[不利有攸往]’이다. 「順而止之觀象」者,明在剝之時,世既無道,君子行之,不敢顯其剛直,但以柔順止約其上,唯望君上形象,量其顏色而止也。 “순(順)한데도 그치게 함은 살펴보는 모습[象]이다[順而止之 觀象]”라는 것은, 밝음이 깍음[剝]의 때에 있어서 세상이 이미 도(道)가 없으니 군자(君子)가 행함에 감히 굳세고 곧음을 드러내지 못하고 다만 부드럽게 순응함으로써 그 위쪽에 묶이어 그침인데, 오직 군주가 위쪽 형상을 바라보고 그 얼굴빛을 헤아려서 그치는 것이다. 「君子尚消息盈虛天行」者,解所以在剝之時,順而止之。觀其顏色形象者,須量時制變,隨物而動。 “군자가 사라지고 자라나며 차고 빔을 숭상함은 하늘의 행함이다[君子尙消息盈虛 天行]”라는 것은, 깍임[剝]의 때에 있어서 순응하면서 그치게 하는 까닭을 해석한 것이며, 그 안색과 형상을 관찰하는 것은 모름지기 때를 헤아려 변화를 만들어 사물에 따라서 움직이는 것이다. 君子通達物理,貴尚消息盈虛,道消之時,行消道也,道息之時,行息道也;在盈之時,行盈道也;在虛之時,行虛道也。 군자(君子)가 사물의 이치에 통달하여 사라지고 불어나며 가득하고 빔을 귀하게 숭상하며, 도(道)가 사라지는 때에는 사라지는 도(道)를 행하고 도(道)가 불어날 때에는 불어나는 도(道)를 행하며, 가득할 때에 있어서는 가득한 도(道)를 행하고 빌 때에 있어서는 빈 도(道)를 행하는 것이다. 若值消虛之時,存身避害,「危行言遜」也。若值盈息之時,極言正諫,建事立功也。 만약 사라지고 빌 때를 만나면 자신을 보존하고 해(害)를 피하여 위태함은 말을 공손하게 행하고, 만약 가득하고 불어날 때를 만나면 지극하게 말을 바르게 간(諫)해서 일을 세우고 공(功)을 세우는 것이다. 「天行」謂逐時消息盈虛,乃天道之所行也。 ‘하늘의 행함[天行]’은, 때에 따라 사라지고 불어나며 가득하고 비우게 함이 이에 하늘의 도(道)가 행하는 바임을 말한 것이다. 春夏始生之時,天氣盛大,秋冬嚴殺之時,天氣消滅,故云「天行」也。 봄과 여름이 시작하는 낳음의 때에는 하늘의 기운이 성대하고, 가을과 겨울의 엄정하게 죽일 때에는 하늘의 기운이 소멸되기 때문에 이르기를 “하늘의 행함이다[天行]”라고 한 것이다.」 ○注「坤順而艮止也」至「君子之所尚也」。 ○ 【왕필 주(王弼 注)】의 “곤순이간지야(坤順而艮止也)에서 군자지소상야(君子之所尙也)까지” ○正義曰:「非君子之所尚」者,不逐時消息盈虛,於無道之時,剛亢激拂,觸忤以隕身;身既傾隕,功又不就,「非君子之所尚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군자가 숭상하는 바가 아니다[非君子之所尙]”라는 것은, 때를 따라 사라지고 불어나며 가득하고 비게 하지 않고, 도(道)가 없음의 때에는 굳셈은 높은데서 격심하게 떨치고 거슬러 닿음으로써 자신을 떨어트리고 자신은 이미 떨어져 기울었는데 공(功)은 또 취하지 않으니 ‘군자가 숭상하는 바가 아님[非君子之所尙]’이라 했다.」 |
[疏]「彖曰」至「天行也」。
○正義曰:「剝,剝也」者,釋剝卦名為「剝」,不知何以稱「剝」,故釋云「剝」者解「剝」之義,是陰長解剝於陽也。「柔變剛」者,釋所以此卦名剝之意也。「不利有攸往,小人道長」者,此釋「不利有攸往」之義。小人道長,世既闇亂,何由可進?往則遇災,故「不利有攸往」也。「順而止之觀象」者,明在剝之時,世既無道,君子行之,不敢顯其剛直,但以柔順止約其上,唯望君上形象,量其顏色而止也。「君子尚消息盈虛天行」者,解所以在剝之時,順而止之。觀其顏色形象者,須量時制變,隨物而動。君子通達物理,貴尚消息盈虛,道消之時,行消道也,道息之時,行息道也;在盈之時,行盈道也;在虛之時,行虛道也。若值消虛之時,存身避害,「危行言遜」也。若值盈息之時,極言正諫,建事立功也。「天行」謂逐時消息盈虛,乃天道之所行也。春夏始生之時,天氣盛大,秋冬嚴殺之時,天氣消滅,故云「天行」也。
○注「坤順而艮止也」至「君子之所尚也」。
○正義曰:「非君子之所尚」者,不逐時消息盈虛,於無道之時,剛亢激拂,觸忤以隕身;身既傾隕,功又不就,「非君子之所尚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단왈(彖曰)에서 천행야(天行也)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박(剝)은 깍음이고[剝 剝也]”라는 것은, 박괘(剝卦)의 이름이 깍임[剝]이 됨을 해석함인데, 어찌 ‘박(剝)’이라고 칭했는지 알지 못하기 때문에 해석하여 이르기를 “박(剝)이라는 것은, 박(剝)의 뜻을 풀이함이며, 이는 음(陰)이 자라서 양(陽)을 깎음을 풀이함이다.
“부드러움이 굳셈을 변하게 함[柔變剛]”라는 것은, 이 괘(卦)가 ‘깍임[剝]’의 뜻을 이름한 까닭을 해석한 것이다.
“가서 다스리[敒]더라도 이롭지 않음은, 소인(小人)의 도(道)가 자람이다[不利有攸往 小人道長]”라는 것은, 이는 ‘가서 다스리[敒]더라도 이롭지 않음[不利有攸往]’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소인(小人)의 도(道)가 자라서 세상이 이미 어둡고 혼란한데 무억을 말미암아 나아갈 수 있겠는가? 가면 재앙을 만나기 때문에 ‘가서 다스리[敒]더라도 이롭지 않음[不利有攸往]’이다.
“순(順)한데도 그치게 함은 살펴보는 모습[象]이다[順而止之 觀象]”라는 것은, 밝음이 깍음[剝]의 때에 있어서 세상이 이미 도(道)가 없으니 군자(君子)가 행함에 감히 굳세고 곧음을 드러내지 못하고 다만 부드럽게 순응함으로써 그 위쪽에 묶이어 그침인데, 오직 군주가 위쪽 형상을 바라보고 그 얼굴빛을 헤아려서 그치는 것이다.
“군자가 사라지고 자라나며 차고 빔을 숭상함은 하늘의 행함이다[君子尙消息盈虛 天行]”라는 것은, 깍임[剝]의 때에 있어서 순응하면서 그치게 하는 까닭을 해석한 것이며, 그 안색과 형상을 관찰하는 것은 모름지기 때를 헤아려 변화를 만들어 사물에 따라서 움직이는 것이다.
군자(君子)가 사물의 이치에 통달하여 사라지고 불어나며 가득하고 빔을 귀하게 숭상하며, 도(道)가 사라지는 때에는 사라지는 도(道)를 행하고 도(道)가 불어날 때에는 불어나는 도(道)를 행하며, 가득할 때에 있어서는 가득한 도(道)를 행하고 빌 때에 있어서는 빈 도(道)를 행하는 것이다.
만약 사라지고 빌 때를 만나면 자신을 보존하고 해(害)를 피하여 위태함은 말을 공손하게 행하고, 만약 가득하고 불어날 때를 만나면 지극하게 말을 바르게 간(諫)해서 일을 세우고 공(功)을 세우는 것이다.
‘하늘의 행함[天行]’은, 때에 따라 사라지고 불어나며 가득하고 비우게 함이 이에 하늘의 도(道)가 행하는 바임을 말한 것이다.
봄과 여름이 시작하는 낳음의 때에는 하늘의 기운이 성대하고, 가을과 겨울의 엄정하게 죽일 때에는 하늘의 기운이 소멸되기 때문에 이르기를 “하늘의 행함이다[天行]”라고 한 것이다.」
○ 【왕필 주(王弼 注)】의 “곤순이간지야(坤順而艮止也)에서 군자지소상야(君子之所尙也)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군자가 숭상하는 바가 아니다[非君子之所尙]”라는 것은, 때를 따라 사라지고 불어나며 가득하고 비게 하지 않고, 도(道)가 없음의 때에는 굳셈은 높은데서 격심하게 떨치고 거슬러 닿음으로써 자신을 떨어트리고 자신은 이미 떨어져 기울었는데 공(功)은 또 취하지 않으니 ‘군자가 숭상하는 바가 아님[非君子之所尙]’이라 했다.」
《象》曰:山附於地,剝,上以厚下安宅。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산이 땅에 붙음이 박(剝)이고, 위에서 아래를 두텁게 함으로써 집이 편안하다." 【王弼 注】 厚下者,牀不見剝也。安宅者,物不失處也。厚下安宅,治剝之道也。 【왕필 주】 아래가 두텁다[厚下]는 것은, 평상이 깍임을 보이지 않음이다. 집이 편안함[安宅]이라는 것은, 사물이 처한데를 잃지 않음이고 아래가 두터우면 집이 편안함은 깍음의 도(道)를 다스림이다. |
[疏]正義曰:「山附於地剝」者,山本高峻,今附於地,即是剝落之象,故云「山附於地剝」也。「上以厚下安宅」者,剝之為義,從下而起,故在上之人,當須豐厚於下,安物之居,以防於剝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산이 땅에 붙음이 박(剝)이고[山附於地 剝]”라는 것은, 산은 본래 높고 가파른데 이제 땅에 붙어 있으니, 곧 바로 깍이어 떨어지는 모습[象]이기 때문에 이르기를 ‘산이 땅에 붙음이 박(剝)이다[山附於地 剝]’라고 한 것이다. “위에서 아래를 두텁게 함으로써 집이 편안하다[上以厚下安宅]”라는 것은, 깍임[剝]의 뜻이 되어 아래를 따라서 일어나기 때문에 위에 있는 사람은 마땅히 결국은 아래를 두텁게 하여 사물의 거처를 편안히 해서 그로써 깎임을 방비하는 것이다.」 |
初六,剝牀以足,蔑貞凶。 초육(初六)은 평상[牀]을 깍아 그로써 다리를 하니, 곧음을 깍음[滅]이니 흉하다. 【王弼 注】 牀者,人之所以安也。剝牀以足,猶云削牀之足也。蔑,猶削也。剝牀之足,滅下之道也。下道始滅,剛隕柔長,則正削而凶來也。 【왕필 주】 상(牀)이란 것은, 사람의 편안한 곳이다. 평상[牀]을 깍아 그로써 다리를 함은, 평상의 다리를 깍음을 일컬음과 같다. 멸[蔑업신여길 멸]은 깍음과 같다. 평상의 다리를 깍음은 아래의 도를 없앰이다. 아래의 도가 없어지기 시작함은 굳셈이 기울고 부드러움이 자라면 바름이 깍이면서 흉함이 오는 것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剝床以足」者,床者人之所以安處也。在剝之初,剝道從下而起,剝床之足,言床足已「剝」也。下道始滅也。「蔑貞凶」者,蔑,削也。貞,正也。下道既蔑,則以侵削其貞正,所以「凶」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평상[牀]을 깍아 그로써 다리를 하니[剝牀以足]”라는 것은, ‘상(牀, 평상 상)’이라는 것은 사람이 편안히 처하는 까닭이다. 박(剝)의 처음에 있어서 깍임[剝]의 도(道)가 아래로부터 일어나 평상의 발을 깎음은, 평상의 발이 이미 깎여서 아래의 도(道)가 없어지기 시작함을 말한 것이다. “곧음을 깍음[滅]이니 흉하다[蔑貞 凶]”라는 것은, ‘멸(蔑, 업신여길 멸)’은 깎임이며, ‘정(貞, 곧을 정)’은 바름이다. 아래의 도(道)가 이미 깎이면 그 곧음과 바름이 조금씩 깍임으로써 “흉(凶)”한 까닭이다.」 |
《象》曰:剝牀以足,以滅下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평상[牀]을 깍아 그로써 다리를 함은, 그로서 아래를 멸(滅)함이다." [孔穎達 疏]正義曰:釋「剝床以足」之義。床在人下,足又在床下。今剝床之足,是盡滅於下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평상[牀]을 깍아 그로써 다리를 함[剝床以足]’의 뜻을 해석하였다. 평상은 사람의 아래에 있고 발은 또 상의 아래에 있는데 이제 평상의 발을 깎으니, 이는 아래를 모두 멸하는 것이다.」 |
六二,剝牀以辨,蔑貞凶 육이(六二)는 평상[牀]을 깍아 그로써 받침[辨]를 하니, 곧음을 깍아 흉하다. 【王弼 注】 蔑,猶甚極之辭也。辨者,足之上也。剝道浸長,故剝其辨也。稍近於牀,轉欲滅物之所處,長柔而削正,以斯為德,物所棄也。 【왕필 주】 멸[蔑, 업신여길 멸]은, 지극히 심함의 말과 같다. 변(辨)이라는 것은 발의 위쪽이다. 깍아내는 도(道)가 점점 자라기 때문에 그 받침[辨]을 깍는다. 점점 평상에 가까워지니 굴러서 사물이 처한 곳을 멸하고자 하는데 부드러움이 자라면서 바름이 깍이고 이를 가지고 덕(德)을 삼으면 사물을 버리는 바이다. |
[疏]「六二」至「蔑貞凶」。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육이(六二)에서 멸정흉(蔑貞凶)까지.} ○正義曰:「剝床以辨」者,辨,謂床身之下,無足之上,足與床身分辨之處也。今剝落侵上,乃至於「辨」,是漸近人身,故云「剝床以辨」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평상[牀]을 깍아 그로써 받침[辨]를 하니[剝牀以辨]”라는 것은, ‘변(辨, 분변할 변’은 평상[牀] 몸통의 아래와 평상[牀] 발의 위를 말하며, 발과 평상[牀]의 몸이 나뉘고 분변되는 곳이다. 지금 위를 침범해서 깍이어 떨어져 이에 받침[辨]에 이르니, 이는 점점 사람의 몸에 가까웠기 때문에 이르기를 “평상[牀]을 깍아 그로써 받침[辨]를 한다[剝牀以辨]”라고 한 것이다. 「蔑貞凶」者,蔑,削也。削除中正之道,故「凶」也。初六「蔑貞」,但小削而已,六二「蔑貞」,是削之甚極,故更云「蔑貞凶」也。 “곧음을 깍아 흉하다[蔑貞 凶]”라는 것은, ‘멸[蔑, 업신여길 멸]’은 깎임이며, 가운데[中] 바름의 도(道)를 깎고 제거하기 때문에 흉(凶)한 것이다. 초육(初六)의 “곧음을 깍음[蔑貞]”은 다만 조금 깎였을 뿐이고, 육2(六二)의 “곧음을 깍음[蔑貞]”은 깎임이 지극히 심하기 때문에 다시 이르기를 “곧음을 깍아 흉하다[蔑貞 凶]”라고 한 것이다. 長此陰柔,削其正道,以此為德,則物之所棄。故《象》云「未有與」也。言無人與助之也。 이 음(陰)의 부드러움이 자라서 그 바른 도(道)를 깎으니 이를 가지고 덕(德)을 삼으면 사물[사람]이 버리는 바이다. 그러므로 〈상전(象傳)〉에 이르기를 “함께하는 이가 있지 않다[未有與]”라고 하였으며, 함께 도와주는 사람이 없음을 말한 것이다.」 ○注「蔑猶甚極」至「物所棄也」。 ○ 【왕필 주(王弼 注)】의 “멸유심극(蔑猶甚極)에서 물소기야(物所棄也)까지” ○正義曰:「蔑猶甚極之辭」者,初既稱「蔑」,二又稱「蔑」,「蔑」上復「蔑」,此為蔑甚極,故云「蔑猶甚極之辭」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멸(蔑)은, 지극히 심함의 말과 같다[蔑猶甚極之辭]”라는 것은, 초육(初六)에 이미 멸(蔑)이라고 칭하였는데, 육2(六二)에 또 멸(蔑)이라고 칭했으니, 멸(蔑) 위에 멸(蔑)을 다시 하여 이는 깍임[蔑]이 지극히 심하게 되었기 때문에 이르기를 “멸(蔑)은, 지극히 심함의 말과 같다[蔑猶甚極之辭]”라고 한 것이다. 「蔑」謂微蔑,物之見削,則微蔑也,故以「蔑」為「削」。 깍임[蔑]은 깍이어 작아짐을 말하며, 사물이 깎임을 당하면 깍이어 작아진다. 그러므로 멸(蔑)을 가지고 깍음[削]이 되었다. 「稍近於床轉欲蔑物之處」者,物之所處謂床也。今剝道既至於辨,在床體下畔之間,是將欲滅床,故云「轉欲滅物之所處」也。 “점점 평상에 가까워지니 굴러서 사물이 처한 곳을 멸하고자 하는데[稍近於床轉欲蔑物之處]”라는 것은, 사물의 처하는 곳은 평상[牀]을 말한다. 지금 깍임[剝]의 도(道)가 이미 받침[辨]에 이르러서 평상[牀]의 몸체 아래 경계[밭두둑]의 사이에 있으니, 이는 장차 평상[牀]을 멸하고자 하기 때문에 이르기를 “굴러서 사물이 처한 곳을 멸하고자 한다[轉欲滅物之所處]”라고 한 것이다.」 |
《象》曰:剝牀以辨,未有與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평상[牀]을 깍아 그로써 받침[辨]를 함은, 아직 함께 함이 없음이다.” |
[疏]「六二」至「蔑貞凶」。
○正義曰:「剝床以辨」者,辨,謂床身之下,無足之上,足與床身分辨之處也。今剝落侵上,乃至於「辨」,是漸近人身,故云「剝床以辨」也。「蔑貞凶」者,蔑,削也。削除中正之道,故「凶」也。初六「蔑貞」,但小削而已,六二「蔑貞」,是削之甚極,故更云「蔑貞凶」也。長此陰柔,削其正道,以此為德,則物之所棄。故《象》云「未有與」也。言無人與助之也。
○注「蔑猶甚極」至「物所棄也」。
○正義曰:「蔑猶甚極之辭」者,初既稱「蔑」,二又稱「蔑」,「蔑」上復「蔑」,此為蔑甚極,故云「蔑猶甚極之辭」也。「蔑」謂微蔑,物之見削,則微蔑也,故以「蔑」為「削」。「稍近於床轉欲蔑物之處」者,物之所處謂床也。今剝道既至於辨,在床體下畔之間,是將欲滅床,故云「轉欲滅物之所處」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육이(六二)에서 멸정흉(蔑貞凶)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평상[牀]을 깍아 그로써 받침[辨]를 하니[剝牀以辨]”라는 것은, ‘변(辨, 분변할 변’은 평상[牀] 몸통의 아래와 평상[牀] 발의 위를 말하며, 발과 평상[牀]의 몸이 나뉘고 분변되는 곳이다. 지금 위를 침범해서 깍이어 떨어져 이에 받침[辨]에 이르니, 이는 점점 사람의 몸에 가까웠기 때문에 이르기를 “평상[牀]을 깍아 그로써 받침[辨]를 한다[剝牀以辨]”라고 한 것이다.
“곧음을 깍아 흉하다[蔑貞 凶]”라는 것은, ‘멸[蔑, 업신여길 멸]’은 깎임이며, 가운데[中] 바름의 도(道)를 깎고 제거하기 때문에 흉(凶)한 것이다. 초육(初六)의 “곧음을 깍음[蔑貞]”은 다만 조금 깎였을 뿐이고, 육2(六二)의 “곧음을 깍음[蔑貞]”은 깎임이 지극히 심하기 때문에 다시 이르기를 “곧음을 깍아 흉하다[蔑貞 凶]”라고 한 것이다.
이 음(陰)의 부드러움이 자라서 그 바른 도(道)를 깎으니 이를 가지고 덕(德)을 삼으면 사물[사람]이 버리는 바이다. 그러므로 〈상전(象傳)〉에 이르기를 “함께하는 이가 있지 않다[未有與]”라고 하였으며, 함께 도와주는 사람이 없음을 말한 것이다.」
○ 【왕필 주(王弼 注)】의 “멸유심극(蔑猶甚極)에서 물소기야(物所棄也)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멸(蔑)은, 지극히 심함의 말과 같다[蔑猶甚極之辭]”라는 것은, 초육(初六)에 이미 멸(蔑)이라고 칭하였는데, 육2(六二)에 또 멸(蔑)이라고 칭했으니, 멸(蔑) 위에 멸(蔑)을 다시 하여 이는 깍임[蔑]이 지극히 심하게 되었기 때문에 이르기를 “멸(蔑)은, 지극히 심함의 말과 같다[蔑猶甚極之辭]”라고 한 것이다.
깍임[蔑]은 깍이어 작아짐을 말하며, 사물이 깎임을 당하면 깍이어 작아진다. 그러므로 멸(蔑)을 가지고 깍음[削]이 되었다.
“점점 평상에 가까워지니 굴러서 사물이 처한 곳을 멸하고자 하는데[稍近於床轉欲蔑物之處]”라는 것은, 사물의 처하는 곳은 평상[牀]을 말한다. 지금 깍임[剝]의 도(道)가 이미 받침[辨]에 이르러서 평상[牀]의 몸체 아래 경계[밭두둑]의 사이에 있으니, 이는 장차 평상[牀]을 멸하고자 하기 때문에 이르기를 “굴러서 사물이 처한 곳을 멸하고자 한다[轉欲滅物之所處]”라고 한 것이다.」
六三,剝之,无咎。 육삼(六三)은 깎여 나가지만 허물은 없다. 【王弼 注】 與上為應,群陰剝陽,我獨協焉,雖處於剝,可以无咎。 【왕필 주】 상구(上九)와 더블어 응(應)이 되어 음(陰)의 무리가 양(陽)을 깍으며 나 홀로 그곳에 협력하니 비록 깍임[剝]에 처하였으나 허물이 없을 수 있다. |
[疏]正義曰:六三與上九為應,雖在剝陽之時,獨能與陽相應,雖失位處剝而「無咎」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육3(六三)과 상구(上九)가 응(應)이 되어서 비록 양(陽)을 깎는 때에 있으나 홀로 양(陽)과 더불어 서로 응(應)하므로, 비록 지위를 잃고 깍임[剝]에 처하였으나 “허물이 없음[無咎]”이다.」 |
《象》曰:剝之无咎,失上下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깎여 나가지만 허물이 없음은, 위와 아래를 잃음이다." 【王弼 注】 三上下各有二陰,而三獨應於陽,則失上下也。 【왕필 주】 육3(六三)의 위와 아래에 각각 두 음(陰)이 있는데, 육3(六三)이 홀로 양(陽)에 응하니 곧 위와 아래를 잃음이다. |
[疏]正義曰:釋所以無咎之義。上下群陰皆悉剝陽也,己獨能違失上下之情而往應之,所以「無咎」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허물이 없는 뜻의 까닭을 해석하였다. 위와 아래의 여러 음(陰)이 모두 다 양(陽)을 깎는데 자기[六三]만 홀로 위와 아래의 정(情)을 잃고 잘 어기면서 가서 응(應)을 하니, “허물이 없음[無咎]”의 까닭이다.」 |
六四,剝牀以膚,凶。 육사(六四)는 평상[牀]을 깎아 그로써 피부를 하니, 흉하다. 【王弼 注】 初、二剝牀,民所以安,未剝其身也。至四,剝道浸長,牀既剝盡,以及人身,小人遂盛,物將失身,豈唯削正?靡所不凶。 【왕필 주】 초육(初六)과 육2(六二)가 평상[牀]을 깎는데도, 백성이 편안한 까닭은 아직 그 자신이 깎이지 않았음이다. 육4(六四)에 이르러 깎아내는 도(道)가 점점 자라나면 평상이 이미 깎임을 다하여 그로써 사람의 몸에 미치며, 소인(小人)이 드디어 성대하여 사물이 장차 자신을 잃는데, 어찌 오직 바름만을 깎겠는가? 흉하지 않은 바가 없다. |
[疏]正義曰:四道浸長,剝床已盡,乃至人之膚體,物皆失身,所以凶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육4(六四)는 도(道)가 점점 자라 평상[牀] 깎기를 이미 다해서 이에 사람의 피부와 몸체에 이르러 사물이 모두 몸을 잃었으니, 흉함의 까닭이다.」 |
《象》曰:剝牀以膚,切近災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평상[牀]을 깎아 그로써 피부를 함은, 재앙에 매우 가까움이다." [疏]正義曰:「切近災」者,其災已至,故云「切近災」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재앙에 매우 가까움[切近災]”라는 것은, 재앙이 이미 이르렀기 때문에 이르기를 “재앙에 매우 가까움[切近災]”라고 한 것이다.」 |
六五,貫魚,以宮人寵,无不利。 육오(六五)는 물고기를 꿰어 그로써 궁인을 총애하니 이롭지 않음이 없다. 【王弼 注】 處剝之時,居得尊位,為剝之主者也。剝之為害,小人得寵,以消君子者也。若能施寵小人,於宮人而已,不害於正,則所寵雖眾,終无尤也。貫魚,謂此眾陰也。駢頭相次,似貫魚也。 【왕필 주】 깍음[剝]의 때에 처하고 높은 지위를 얻어 거주하니 깍음의 주체가 된 자이다. 깍음[剝]이 해로움이 되어 소인(小人)이 총애를 얻으니 그로써 군자(君子)를 사라지게 하는 것인데, 만약 소인(小人)에게 은총을 잘 베풀고 궁인(宮人)에게 그치며 바름을 해치지 않으면, 총애하는 바가 비록 여럿이지만 끝내 허물이 없는 것이다. ‘물고기를 뀀[貫魚]’은, 이 여러 음(陰)을 말함이며, 머리를 나란히 하여 서로 차례함이 물고기를 꿴 것과 닮았다. |
[孔穎達 疏]正義曰:「貫魚以宮人寵」者,處得尊位,「為剝之主」,剝之為害,小人得寵以消君子。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물고기를 꿰어 그로써 궁인을 총애하니[貫魚以宮人寵]”라는 것은, 높은 지위를 얻어서 처하고 깍음[剝]의 주체가 되었으니, 깍음이 해로움이 되어 소인(小人)이 총애를 얻으니 그로써 군자(君子)를 사라지게 한다. 「貫魚」者,謂眾陰也。駢頭相次,似若貫穿之魚。 ‘물고기를 꿰어[貫魚]’라는 것은, 여러 음(陰)을 말하고, 머리를 나란히 하여 서로 차례함이 물고기를 꿴 것과 닮았음이다. 此六五若能處待眾陰,但以宮人之寵相似。 이 육5(六五)가 만약 여러 음(陰)을 잘 대처하면 다만 궁인(宮人)을 총애함이 서로 닮았음이다. 宮人被寵,不害正事,則終無尤過,無所不利,故云「無不利」。故《象》云「終無尤也」。 궁인(宮人)들이 총애를 입더라도 바른 일을 해치지 않으면 끝내 우려하는 허물이 없어서 이롭지 않은 바가 없기 때문에 이르기를 “이롭지 않음이 없다[無不利]”라고 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전(象傳)〉에 이르기를 “끝내 허물이 없다[終無尤也]”라고 한 것이다.」 |
《象》曰:以宮人寵,終无尤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그로써 궁인을 총애 함은, 마침은 허물이 없음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貫魚以宮人寵」者,處得尊位,「為剝之主」,剝之為害,小人得寵以消君子。「貫魚」者,謂眾陰也。駢頭相次,似若貫穿之魚。此六五若能處待眾陰,但以宮人之寵相似。宮人被寵,不害正事,則終無尤過,無所不利,故云「無不利」。故《象》云「終無尤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물고기를 꿰어 그로써 궁인을 총애하니[貫魚以宮人寵]”라는 것은, 높은 지위를 얻어서 처하고 깍음[剝]의 주체가 되었으니, 깍음이 해로움이 되어 소인(小人)이 총애를 얻으니 그로써 군자(君子)를 사라지게 한다.
‘물고기를 꿰어[貫魚]’라는 것은, 여러 음(陰)을 말하고, 머리를 나란히 하여 서로 차례함이 물고기를 꿴 것과 닮았음이다.
이 육5(六五)가 만약 여러 음(陰)을 잘 대처하면 다만 궁인(宮人)을 총애함이 서로 닮았음이다.
궁인(宮人)들이 총애를 입더라도 바른 일을 해치지 않으면 끝내 우려하는 허물이 없어서 이롭지 않은 바가 없기 때문에 이르기를 “이롭지 않음이 없다[無不利]”라고 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전(象傳)〉에 이르기를 “끝내 허물이 없다[終無尤也]”라고 한 것이다.」
上九,碩果不食。君子得輿,小人剝廬。 상구(上九)는 큰 과일은 먹지 않으니, 군자(君子)는 수레를 얻고 소인(小人)은 집이 깍인다. 【王弼 注】 處卦之終,獨全不落,故果至于碩而不見食也。君子居之,則為民覆蔭;小人用之,則剝下所庇也。 【왕필 주】 괘(卦)의 마침에 처하고 홀로 온전히 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과일이 큼에 이르렀는데도 먹힘을 당하지 않았다. 군자(君子)가 거주를 하면 백성을 덮어 주는 그늘이 되고, 소인(小人)이 사용을 하면 아래 덮어진 곳을 깍는다. |
[孔穎達 疏]正義曰:「碩果不食」者,處卦之終,獨得完全,不被剝落,猶如碩大之果,不為人食也。「君子得輿」者,若君子而居此位,能覆蔭於下,使得全安,是君子居之,則得車輿也。若小人居之,下無庇蔭,在下之人,被剝徹廬舍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큰 과일은 먹지 않으니[碩果不食]”라는 것은, 괘(卦)의 끝에 처하여 홀로 완전함을 얻어서 깍이어 떨어짐을 당하지 않았으니, 마치 큰 과일은 사람에게 먹히게 되지 않음과 같은 것이다. “군자(君子)는 수레를 얻고[君子得輿]”라는 것은, 만약 군자(君子)가 이 지위에 거주하면 아래를 그늘로 잘 덮어서 온전하게 편안함을 얻게 하는데, 이는 군자(君子)가 거주를 하면 수레를 얻는 것이다. 만약 소인(小人)이 거주를 하면 아래에 그늘을 덮음이 없어서 아래에 있는 사람들이 오두막 집을 깍이어 철거당하는 것이다.」 |
《象》曰:君子得輿,民所載也。小人剝廬,終不可用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군자가 수레를 얻음은, 백성을 실어주는 바이다. 소인이 집을 깍음은, 마침이 쓸 수 없게 된다.” [孔穎達 疏]正義曰:‘君子得輿 民所載’者, 釋得輿之義, 若君子居處此位, 養育其民, 民所仰載也. ‘小人剝廬 終不可用’者, 言小人處此位爲君, 剝徹民之廬舍, 此小人終不可用爲君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군자가 수레를 얻음은, 백성을 실어주는 바이다[君子得輿 民所載]”라는 것은, ‘수레를 얻음[得輿]’의 뜻을 해석함이며, 만약 군자가 이 지위에 거처하여 그 백성을 길러주면 백성들이 우러러 싣는 바이다. “소인이 집을 깍음은, 마침이 쓸 수 없게 된다[小人剝廬 終不可用]”라는 것은, 소인(小人)이 이 지위에 처하여 군주가 되면 백성들의 오두막 집을 깍아서 철거하니, 이 소인은 끝내 군주로 삼아 등용해서는 안 됨을 말한 것이다.」 |
'◑주역정의(周易正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 25. 무망괘(无妄卦)[卦象:천뢰무망]/周易正義 (1) | 2022.09.19 |
---|---|
주역 24. 복괘(復卦)[卦象:지뢰복]/周易正義 (0) | 2022.09.17 |
주역 22. 비괘(賁卦)[卦象:산화비]/周易正義 (1) | 2022.09.15 |
주역 21. 서합괘(噬嗑卦)[卦象:화뢰서합]/周易正義 (1) | 2022.09.14 |
주역 20. 관괘(觀卦)[卦象:풍지관]/周易正義 (1) | 2022.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