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역 주(注)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32. 항괘(恒卦)[卦象:뇌풍항]
☳ 震上
☴ 巽下
손(巽)[風.바람]이 아래에 있고, 진(震)[雷.우뢰]이 위에 있다.
恒,亨,无咎,利貞。 항(恒)은 형통하여 허물이 없지만 곧아야 이로우며, 【王弼 注】 恒而亨,以濟三事也。恒之為道,亨乃无咎也,恒通无咎,乃利正也。 【왕필 주】 오래하여서 형통하니 그로써 세 가지 일을 구제한다. 항(恒)의 도(道)가 됨은 형통하여 마침내 허물이 없고, 오래 통해야 허물이 없으며 마침내 바름이 이롭다. |
[孔穎達 疏]「恒亨」至「利貞」。 ○正義曰:恒,久也。恒久之道,所貴變通。必須變通隨時,方可長久。能久能通,乃「無咎」也。恒通無咎,然後利以行正,故曰「恒亨無咎利貞」也。 ○注「三事」。 ○正義曰:褚氏云:「三事,謂無咎、利貞、利有攸往。」莊氏云:「三事者,無咎一也,利二也,貞三也。」周氏云:「三事者,一亨也,二無咎也,三利貞也。」《注》不明數,故先儒各以意說。竊謂《注》云「恒而亨以濟三事」者,明用此恒亨,濟彼三事,無疑「亨」字在三事之外,而此《注》云「恒字為道,亨乃無咎。恒通無咎,乃利正也」。又注《彖》曰:「道得所久,則常通無咎而利正也」。此解皆以利正相將為一事,分以為二,恐非《注》旨。驗此《注》云「恒之為道,亨乃無咎」,此以「恒亨」濟「無咎」也。又云:「恒通無咎,乃利正也。」此以「恒亨」濟「利貞」也。下注「利有攸往」云:「各得所恒,修其常道,終則有始,往而無違,故'利有攸往'。」此以「恒亨」濟「利有攸往」也。觀文驗《注》,褚氏為長。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항형(恒亨)에서 이정(利貞)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항(恒, 항상 항)은 오래함이다. 항상 오래하는 도(道)는 변하여 통함을 귀하게 여기니, 반드시 결국 변함을 통하고 때를 따라야 바야흐로 오래 길게 할 수 있다. 오래 잘하고 통함을 잘하면 마침내 허물이 없음[無咎]이다. 항상 통하여 허물이 없은 연후에야 바름을 행함이 이롭기 때문에 “항(恒)은 형통하여 허물이 없지만 곧아야 이롭다[恒亨無咎利貞]”라고 한 것이다.」 ○ 【왕필 주(王弼 注)】의 “삼사(三事)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저씨[褚氏(褚仲都)]가 이르기를 “세 가지 일은, 무구(无咎)와 이정(利貞)과 이유유왕(利有攸往)을 말한다.”라고 하였고, 장씨(莊氏)는 이르기를 “세 가지 일은, 무구(无咎)가 첫 번째이고 이(利)가 두 번째이고 정(貞)이 세 번째이다.”라고 하였으며, 주씨[周氏(周宏正)]는 이르기를 “세 가지 일은, 첫 번째가 형(亨)이고 두 번째가 무구(无咎)이고 세 번째가 이정(利貞)이다.”라 하였는데, 《왕필 주[注]》에 밝게 셈하지 않았기 때문에 선유(先儒)들이 각각으로써 생각을 설명한 것이다. 내가 생각건대, 《왕필 주[注]》에 이르기를 “오래하여서 형통하니 그로써 세 가지 일을 구제한다[恒而亨以濟三事]”고 한 것은, 이 오래하여서 형통함을 사용하여 저 세 가지 일을 구제함을 밝혔으니, ‘형(亨)’자는 세 가지 일의 밖에 있음을 의심할 것이 없는데, 이 《왕필 주[注]》에 이르기를 “항(恒)의 도(道)가 됨은 형통하여 마침내 허물이 없고, 오래 통해야 허물이 없으며 마침내 바름이 이롭다[恒之為道,亨乃无咎也,恒通无咎,乃利正也]”라 하였다. 또 〈단전(彖傳)〉에 주(注)하여 말하기를 “도(道)가 오래 할 곳을 얻으면 항상 허물 없으면서 바름이 이로움에 통한다[道得所久,則常通無咎而利正也]”라고 하였으니, 이 해석은 모두 ‘이정(利正)’을 가지고 서로 장차 한 가지 일로 삼았으며, 나누어 두 가지 일로 삼은 것은 《주(注)》의 뜻이 아닐 듯하다. 징험(徵驗)해보면, 이 《주(注)》에 이르기를 “항(恒)의 도(道)가 됨은 형통하여야 비로소 허물이 없다[恒之為道,亨乃無咎]”라고 하였으니, 이는 항(恒)의 형통함을 가지고 “허물 없음[无咎]”을 구제한 것이다. 또 이르기를 “오래 통해야 허물이 없으며 마침내 바름이 이롭다[恒通無咎,乃利正也]”라고 하였는데, 이는 “오래 형통함[恒亨]”으로써 곧음의 이로움[利貞]을 구제함이다. 아래 《주(注)》 “펼침[攸(敒, 펼 신)]이 있는데 가야 이로움[利有攸往]‘’에 이르기를 “각각 오래할 곳을 얻어야 그 떳떳한 도(道)를 닦으며 마치면 시작이 있고 가면 어김이 없기 때문에 '펼침[攸(敒, 펼 신)]이 있는데 가야 이롭다[各得所恒,脩其常道,終則有始,往而无違,故利有攸往也]'라고 하였는데, 이는 ”오래 형통함[恒亨]“으로써 ”'펼침[攸(敒, 펼 신)]이 있는데 가야 이로움[利有攸往]을 구제한 것이다. 글을 보고 《주(注)》를 징험해보면 저씨(褚氏)가 가장 옳다.」 |
利有攸往。 펼침[攸(敒, 펼 신)]이 있는데 가야 이롭다. 【王弼 注】 各得所恒,脩其常道,終則有始,往而无違,故利有攸往也。 【왕필 주】 각각 오래할 곳을 얻어야 그 떳떳한 도(道)를 닦으며 마치면 시작이 있고 가면 어김이 없기 때문에 '펼침[攸(敒, 펼 신)]이 있는데 가야 이롭다.'라고 하였다. |
[孔穎達 疏]正義曰:得其常道,何往不利,故曰「利有攸往」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그 떳떳한 도(道)를 얻으면 어디로 간들 이롭지 않겠는가? 그러므로 말하기를 “펼침[攸(敒, 펼 신)]이 있는데 가야 이롭다[利有攸往]”라고 한 것이다.」 |
[孔穎達 疏] 「恒亨」至「利貞」。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항형(恒亨)에서 이정(利貞)까지.}
○正義曰:恒,久也。恒久之道,所貴變通。必須變通隨時,方可長久。能久能通,乃「無咎」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항(恒, 항상 항)은 오래함이다. 항상 오래하는 도(道)는 변하여 통함을 귀하게 여기니, 반드시 결국 변함을 통하고 때를 따라야 바야흐로 오래 길게 할 수 있다. 오래 잘하고 통함을 잘하면 마침내 허물이 없음[無咎]이다.
恒通無咎,然後利以行正,故曰「恒亨無咎利貞」也。
항상 통하여 허물이 없은 연후에야 바름을 행함이 이롭기 때문에 “항(恒)은 형통하여 허물이 없지만 곧아야 이롭다[恒亨無咎利貞]”라고 한 것이다.」
○注「三事」。
○ 【왕필 주(王弼 注)】의 “삼사(三事)까지”
○正義曰:褚氏云:「三事,謂無咎、利貞、利有攸往。」莊氏云:「三事者,無咎一也,利二也,貞三也。」周氏云:「三事者,一亨也,二無咎也,三利貞也。」《注》不明數,故先儒各以意說。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저씨[褚氏(褚仲都)]가 이르기를 “세 가지 일은, 무구(无咎)와 이정(利貞)과 이유유왕(利有攸往)을 말한다.”라고 하였고, 장씨(莊氏)는 이르기를 “세 가지 일은, 무구(无咎)가 첫 번째이고 이(利)가 두 번째이고 정(貞)이 세 번째이다.”라고 하였으며, 주씨[周氏(周宏正)]는 이르기를 “세 가지 일은, 첫 번째가 형(亨)이고 두 번째가 무구(无咎)이고 세 번째가 이정(利貞)이다.”라 하였는데, 《왕필 주[注]》에 밝게 셈하지 않았기 때문에 선유(先儒)들이 각각으로써 생각을 설명한 것이다.
竊謂《注》云「恒而亨以濟三事」者,明用此恒亨,濟彼三事,無疑「亨」字在三事之外,而此《注》云「恒字為道,亨乃無咎。恒通無咎,乃利正也」。
내가 생각건대, 《왕필 주[注]》에 이르기를 “오래하여서 형통하니 그로써 세 가지 일을 구제한다[恒而亨以濟三事]”고 한 것은, 이 오래하여서 형통함을 사용하여 저 세 가지 일을 구제함을 밝혔으니, ‘형(亨)’자는 세 가지 일의 밖에 있음을 의심할 것이 없는데, 이 《왕필 주[注]》에 이르기를 “항(恒)의 도(道)가 됨은 형통하여 마침내 허물이 없고, 오래 통해야 허물이 없으며 마침내 바름이 이롭다[恒之為道,亨乃无咎也,恒通无咎,乃利正也]”라 하였다.
又注《彖》曰:「道得所久,則常通無咎而利正也」。此解皆以利正相將為一事,分以為二,恐非《注》旨。
또 〈단전(彖傳)〉에 주(注)하여 말하기를 “도(道)가 오래 할 곳을 얻으면 항상 허물 없으면서 바름이 이로움에 통한다[道得所久,則常通無咎而利正也]”라고 하였으니, 이 해석은 모두 ‘이정(利正)’을 가지고 서로 장차 한 가지 일로 삼았으며, 나누어 두 가지 일로 삼은 것은 《주(注)》의 뜻이 아닐 듯하다.
驗此《注》云「恒之為道,亨乃無咎」,此以「恒亨」濟「無咎」也。
징험(徵驗)해보면, 이 《주(注)》에 이르기를 “항(恒)의 도(道)가 됨은 형통하여야 비로소 허물이 없다[恒之為道,亨乃無咎]”라고 하였으니, 이는 항(恒)의 형통함을 가지고 “허물 없음[无咎]”을 구제한 것이다.
又云:「恒通無咎,乃利正也。」此以「恒亨」濟「利貞」也。
또 이르기를 “오래 통해야 허물이 없으며 마침내 바름이 이롭다[恒通無咎,乃利正也]”라고 하였는데, 이는 “오래 형통함[恒亨]”으로써 곧음의 이로움[利貞]을 구제함이다.
下注「利有攸往」云:「各得所恒,修其常道,終則有始,往而無違,故'利有攸往'。」此以「恒亨」濟「利有攸往」也。觀文驗《注》,褚氏為長。
아래 《주(注)》 “펼침[攸(敒, 펼 신)]이 있는데 가야 이로움[利有攸往]‘’에 이르기를 “각각 오래할 곳을 얻어야 그 떳떳한 도(道)를 닦으며 마치면 시작이 있고 가면 어김이 없기 때문에 '펼침[攸(敒, 펼 신)]이 있는데 가야 이롭다[各得所恒,脩其常道,終則有始,往而无違,故利有攸往也]'라고 하였는데, 이는 ”오래 형통함[恒亨]“으로써 ”'펼침[攸(敒, 펼 신)]이 있는데 가야 이로움[利有攸往]을 구제한 것이다. 글을 보고 《주(注)》를 징험해보면 저씨(褚氏)가 가장 옳다.」
《彖》曰:恒,久也。剛上而柔下,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 "항(恒)은 오래 함이다. 위쪽이 굳셈이고 아래는 부드러움이며, 【王弼 注】 剛尊柔卑,得其序也。 【왕필 주】 굳셈은 높고 부드러움은 낮으니 그 차례를 얻음이다. |
[孔穎達 疏]「《彖》曰」至「柔下」。 ○正義曰:「恒久也」者,釋訓卦名也。恒之為名,以長久為義。「剛上而柔下」者,既訓「恒」為久,因名此卦得其《恒》名,所以釋可久之意。此就二體以釋恒也。震剛而巽柔,震則剛尊在上,巽則柔卑在下,得其順序,所以為恒也。 ○注「剛尊柔卑得其序也」。 ○正義曰:咸明感應,故柔上而剛下,取二氣相交也。恒明長久,故剛上而柔下,取尊卑得序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단왈(彖曰)에서 유하(柔下柔下)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항(恒)은 오래 함이다[恒 久也]”라는 것은, 괘(卦)의 이름을 해석한 것이며, ‘항(恒)’이 이름을 함은 길고 오래함으로써 뜻으로 삼는다. “위쪽이 굳셈이고 아래는 부드러움이며[剛上而柔下]”라는 것은, 이미 ‘항(恒)’을 새겨[訓]서 오래함이라 하고, 이 괘(卦)의 이름을 말미암아 그 ‘항(恒)’이란 이름을 얻었으며, 오래할 수 있는 뜻으로 해석한 까닭이고, 이는 두 몸[體]을 취하여 그로써 ‘항(恒)’을 해석하였다. 진(震)은 굳셈이고 손(巽)은 부드러움이며, 진(震)은 곧 굳세고 높은 위에 있고 손(巽)은 즉 부드럽고 낮은 아래에 있으며 그 차례를 얻었음이, ‘항(恒)’으로 한 까닭이다.」 ○ 【왕필 주(王弼 注)】의 “강존유비득기서야(剛尊柔卑得其序也)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함(咸)괘는 느껴서 응함을 밝혔기 때문에 부드러움이 위에 있고 굳셈이 아래에 있으며, 두 기운이 서로 사귐을 취한 것이다. 항(恒)괘는 길게 오래함을 밝혔기 때문에 굳셈이 위에 있고 부드러움이 아래에 있으며, 높고 낮을 취하여 차례를 얻었다.」 |
[孔穎達 疏] 「《彖》曰」至「柔下」。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단왈(彖曰)에서 유하(柔下柔下)까지.}
○正義曰:「恒久也」者,釋訓卦名也。恒之為名,以長久為義。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항(恒)은 오래 함이다[恒 久也]”라는 것은, 괘(卦)의 이름을 해석한 것이며, ‘항(恒)’이 이름을 함은 길고 오래함으로써 뜻으로 삼는다.
「剛上而柔下」者,既訓「恒」為久,因名此卦得其《恒》名,所以釋可久之意。此就二體以釋恒也。
“위쪽이 굳셈이고 아래는 부드러움이며[剛上而柔下]”라는 것은, 이미 ‘항(恒)’을 새겨[訓]서 오래함이라 하고, 이 괘(卦)의 이름을 말미암아 그 ‘항(恒)’이란 이름을 얻었으며, 오래할 수 있는 뜻으로 해석한 까닭이고, 이는 두 몸[體]을 취하여 그로써 ‘항(恒)’을 해석하였다.
震剛而巽柔,震則剛尊在上,巽則柔卑在下,得其順序,所以為恒也。
진(震)은 굳셈이고 손(巽)은 부드러움이며, 진(震)은 곧 굳세고 높은 위에 있고 손(巽)은 즉 부드럽고 낮은 아래에 있으며 그 차례를 얻었음이, ‘항(恒)’으로 한 까닭이다.」
○注「剛尊柔卑得其序也」。
○ 【왕필 주(王弼 注)】의 “강존유비득기서야(剛尊柔卑得其序也)까지”
○正義曰:咸明感應,故柔上而剛下,取二氣相交也。恒明長久,故剛上而柔下,取尊卑得序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함(咸)괘는 느껴서 응함을 밝혔기 때문에 부드러움이 위에 있고 굳셈이 아래에 있으며, 두 기운이 서로 사귐을 취한 것이다. 항(恒)괘는 길게 오래함을 밝혔기 때문에 굳셈이 위에 있고 부드러움이 아래에 있으며, 높고 낮을 취하여 차례를 얻었다.」
雷風相與, 우레와 바람이 서로 함께하고, 【王弼 注】 長陽長陰,能相成也。 【왕필 주】 양(陽)이 자라고 음(陰)이 자라서 서로 잘 이룬다. |
[孔穎達 疏]「雷風相與」。 ○正義曰:此就二象釋恒也。雷之與風,陰陽交感,二氣相與,更互而相成,故得恒久也。 ○注「長陽長陰能相成也」。 ○正義曰:震為長男,故曰「長陽」。巽為長女,故曰「長陰」。《彖》曰:「雷風相與」,雷之與風,共相助成之義。故褚氏云「雷資風而益遠,風假雷而增威」是也。今言「長陽長陰,能相成」者,因震為長男,巽為長女,遂以「長陽長陰」而名之,作文之體也。又此卦明夫婦可久之道,故以二長相成,如雷風之義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뇌풍상여(雷風相與)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이는 두 모습[象]을 취하여서 항(恒)괘를 해석한 것이다. 우레가 바람과 더블어 음(陰)과 양(陽)이 서로 느껴서 두 기운이 서로 도와주고 번갈아서 서로 이루기 때문에 항상하고 오래함을 얻는 것이다.」 ○ 【왕필 주(王弼 注)】의 “장양장음능상성야(長陽長陰能相成也)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진(震)은 장남(長男)이 되기 때문에 ‘장양(長陽)’이라 말하였으며, 손(巽)은 장녀(長女)가 되기 때문에 ‘장음(長陰)’이라 말한 것이다. 〈단전(彖傳)〉에서 “우레와 바람이 서로 도와준다[雷風相與]”라고 말한 것은 우레가 바람과 더블어 서로 함께 도와서 이루을 뜻함이다. 그러므로 저씨(褚氏)가 이르기를 “우레는 바람을 바탕하여서 멀리감을 더하고, 바람은 우레를 빌려서 위엄을 더해진다.”라고 하였는데, 이것이다. 지금 “양(陽)이 자라고 음(陰)이 자라서 서로 잘 이룬다[長陽長陰,能相成]”라고 말한 것은, 진(震)은 장남(長男)이 되고 손(巽)은 장녀(長女)가 됨을 인하여 마침내 ‘양(陽)이 자라고 음(陰)이 자람[長陽長陰]을 가지고서 이름을 하여, 문장을 짓는 체제이다. 또 이 괘(卦)는 부부(夫婦)가 오래할 수 있는 도(道)를 밝혔기 때문에 두 자람으로써 서로 이루어줌이 우레와 바람의 뜻과 같은 것이다.」 |
[孔穎達 疏] 「雷風相與」。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뇌풍상여(雷風相與)까지.}
○正義曰:此就二象釋恒也。雷之與風,陰陽交感,二氣相與,更互而相成,故得恒久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이는 두 모습[象]을 취하여서 항(恒)괘를 해석한 것이다. 우레가 바람과 더블어 음(陰)과 양(陽)이 서로 느껴서 두 기운이 서로 도와주고 번갈아서 서로 이루기 때문에 항상하고 오래함을 얻는 것이다.」
○注「長陽長陰能相成也」。
○ 【왕필 주(王弼 注)】의 “장양장음능상성야(長陽長陰能相成也)까지”
○正義曰:震為長男,故曰「長陽」。巽為長女,故曰「長陰」。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진(震)은 장남(長男)이 되기 때문에 ‘장양(長陽)’이라 말하였으며, 손(巽)은 장녀(長女)가 되기 때문에 ‘장음(長陰)’이라 말한 것이다.
《彖》曰:「雷風相與」,雷之與風,共相助成之義。故褚氏云「雷資風而益遠,風假雷而增威」是也。
〈단전(彖傳)〉에서 “우레와 바람이 서로 도와준다[雷風相與]”라고 말한 것은 우레가 바람과 더블어 서로 함께 도와서 이루을 뜻함이다. 그러므로 저씨(褚氏)가 이르기를 “우레는 바람을 바탕하여서 멀리감을 더하고, 바람은 우레를 빌려서 위엄을 더해진다.”라고 하였는데, 이것이다.
今言「長陽長陰,能相成」者,因震為長男,巽為長女,遂以「長陽長陰」而名之,作文之體也。
지금 “양(陽)이 자라고 음(陰)이 자라서 서로 잘 이룬다[長陽長陰,能相成]”라고 말한 것은, 진(震)은 장남(長男)이 되고 손(巽)은 장녀(長女)가 됨을 인하여 마침내 ‘양(陽)이 자라고 음(陰)이 자람[長陽長陰]을 가지고서 이름을 하여, 문장을 짓는 체제이다.
又此卦明夫婦可久之道,故以二長相成,如雷風之義也。
또 이 괘(卦)는 부부(夫婦)가 오래할 수 있는 도(道)를 밝혔기 때문에 두 자람으로써 서로 이루어줌이 우레와 바람의 뜻과 같은 것이다.」
巽而動, 공손하면서 움직이며, 【王弼 注】 動无違也。 【왕필 주】 움직임은 어김이 없다. |
[孔穎達 疏]正義曰:此就二卦之義,因釋恒名。震動而巽順,無有違逆,所以可恒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이는 두 괘(卦)의 뜻을 취하고 인하여서 항(恒)괘의 이름을 해석한 것이다. 진(震)은 움직임이지만 손(巽)이 순(順)하여 어기고 거스름이 없으니, 항상할 수 있음의 까닭이다.」 |
剛柔皆應, 굳셈과 부드러움이 모두 응(應)함이 【王弼 注】 不孤媲也。 【왕필 주】 짝을 외롭게 하지 않음이다. |
[孔穎達 疏]「剛柔皆應」。 ○正義曰:此就六爻釋《恒》。此卦六爻剛柔皆相應和,無孤媲者,故可長久也。 ○注「不孤媲也」。 ○正義曰:媲,配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강유계응(剛柔皆應)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이는 여섯 효(爻)를 취하여 항(恒)괘를 해석한 것이다. 이 괘(卦)는 여섯 효(爻)의 굳셈과 부드러움이 모두 서로 응(應)하고 화합하여 짝을 외롭게 한 것이 없기 때문에 길게 오래할 수 있는 것이다.」 ○ 【왕필 주(王弼 注)】의 “불고비야(不孤媲也)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비(媲, 결혼할 비)’는 짝이다.」 |
恒。 항상함이다. 【王弼 注】 皆可久之道。 【왕필 주】 모두 오래할 수 있는 도(道)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曆就四義釋恒名訖,故更舉卦名以結之也。明上四事「皆可久之道」,故名此卦為「恒」。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차례로 네 가지 뜻을 취하여 항(恒)괘의 이름에 이르름을 해석하였기 때문에 다시 괘(卦)의 이름을 들어 그로써 맺음을 하였다. 위의 네 가지 일이 “모두 오래할 수 있는 도(道)[皆可久之道]이기 때문에 이 괘(卦)의 이름을 ‘항(恒)’이라 하였음을 밝힌 것이다.」 |
恒,亨,无咎,利貞,久於其道也。 항(恒)은 형통하여 허물이 없지만 곧아야 이로움은, 그 도(道)에 오래함이고, 【王弼 注】 道得所久,則常通无咎而利正也。 【왕필 주】 도(道)가 오래 할 곳을 얻으면 항상 허물 없으면서 바름이 이로움에 통한다. |
[孔穎達 疏]正義曰:此就名釋卦之德,言所以得「亨無咎利貞」者,更無別義,正以得其恒久之道,故言「久於其道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이는 이름을 취하여 괘(卦)의 덕(德)을 해석하였으며, “항(恒)은 형통하여 허물이 없지만 곧아야 이로움[亨無咎利貞]”을 얻는 것은, 다시 별다른 뜻은 없고 바름으로써 그 항상하고 오래하는 도(道)를 얻음의 까닭을 말하였기 때문에 “그 도(道)에 오래한다[久於其道也]”라고 말한 것이다.」 |
天地之道,恒久而不已也。 하늘과 땅의 도(道)는, 항상 오래하면서 그치지 않는다. 【王弼 注】 得其所久,故不已也。 【왕필 주】 그 오래 할 곳을 얻기 때문에 그치지 않는다. |
[孔穎達 疏]正義曰:將釋「利有攸往」,先舉天地以為證喻,言天地得其恒久之道,故久而不己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장차 “펼침[攸(敒, 펼 신)]이 있는데 가야 이로움[利有攸往]”을 해석하면서 먼저 하늘과 땅을 들어 그로써 증거와 비유로 삼았으니, 천지가 항상하고 오래하는 도(道)를 얻었기 때문에 오래하면서 그치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 |
利有攸往,終則有始也。 ‘펼침[攸(敒, 펼 신)]이 있는데 가야 이로움’은 마치면 시작이 있음이다. 【王弼 注】 得其常道,故終則復始,往无窮極。 【왕필 주】 그 떳떳한 도(道)를 얻었기 때문에 마치면 다시 시작하여 가더라도 끝을 다함이 없다. |
[孔穎達 疏]正義曰:舉《經》以結成也。人用恒久之道,會於變通,故終則復始,往無窮極,同於天地之不已,所以為利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경문(經文)을 들어 그로써 맺음을 이루었다. 사람이 항상하고 오래하는 도(道)를 써서 변하여 통함에 모이기 때문에 마치면 다시 시작해서 가는 데에 지극함을 다함이 없어서 천지(天地)가 그치지 않음과 같으니, 이로움이 되는 까닭이다.」 |
日月得天而能久照,四時變化而能久成,聖人久於其道而天下化成。 해와 달이 하늘을 얻어서 오래 잘 비추고, 사시(四時)가 달라져 변하여서 오래도록 잘 이루며, 성인이 그 도(道)를 오래하여서 천하가 달라지고 이루어진다. 【王弼 注】 言各得其所恒,故皆能長久。 【왕필 주】 각각 그 항상할 바를 얻기 때문에 모두 길게 오래 잘함을 말한다. |
[孔穎達 疏]「日月得天而能久照」至「天下化成」。 ○正義曰:「日月得天而能久照」者,以下廣明恒義。上言天地之道,恒久而不巳也,故日月得天,所以亦能久照。「四時變化而能久成」者,四時更代,寒暑相變,所以能久主成萬物。「聖人久於其道而天下化成」者,聖人應變隨時,得其長久之道,所以能「光宅天下」,使萬物從化而成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해와 달이 하늘을 얻어서 오래 잘 비추고[日月得天而能久照]”라는 것은, 이하는 항(恒)괘의 뜻을 넓혀 밝혔다. 위에서는 하늘과 땅의 도(道)가 항상하고 오래하면서 그치지 않음을 말하였다, 그러므로 해와 달이 하늘을 얻으니, 또한 오래 잘 비추는 까닭이다. “사시(四時)가 달라져 변하여서 오래도록 잘 이루며[四時變化而能久成]”라는 것은, 사시(四時)가 대를 고쳐서 추위와 더위가 서로 변하니, 오랫동안 주체적으로 만물을 잘 이루는 까닭이다. “성인이 그 도(道)를 오래하여서 천하가 달라지고 이루어진다[聖人久於其道而天下化成]”라는 것은, 성인(聖人)이 변함에 응(應)하기를 때에 따라서 길고 오래하는 도(道)를 얻으니, 빛[德]이 천하에 잘 충만하여 만물로 하여금 따라 달라지거 이루어지게 하는 까닭이다.」 |
觀其所恒而天地萬物之情可見矣! 그 항상할 바를 보면 천지와 만물의 실정을 볼 수가 있다." 【王弼 注】 天地萬物之情,見於所恒也。 【왕필 주】 천지와 만물의 실정은 항상하는 바에 보인다. |
[孔穎達 疏]正義曰:總結恒義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항(恒)의 뜻을 총괄하여 맺은 것이다.」 |
《象》曰:雷風,恒,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우레와 바람이 항(恒)이니, 【王弼 注】 長陽長陰,合而相與,可久之道也。 【왕필 주】 양(陽)이 자라고 음(陰)이 자라며, 합하여서 서로 더블어 도(道)를 오래 할 수 있다. |
[孔穎達 疏]正義曰:雷風相與為「恒」,巳如彖釋。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우레[雷]와 바람[風]이 서로 더블어 ‘항(恒)’이 됨은, 이미 〈단전(彖傳)〉의 해석과 같다.」 |
君子以立不易方。 군자가 그로써 서고 방소(方所)를 바꾸지 않는다." 【王弼 注】 得其所久,故不易也。 【왕필 주】 그 오래할 바를 얻었기 때문에 바꾸지 않는다. |
[孔穎達 疏]正義曰:君子立身得其恒久之道,故不改易其方。方猶道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군자(君子)가 자신을 세워서 그 항상하고 오래함의 도(道)를 얻었기 때문에 그 방도를 고치거나 바꾸지 않는 것이다. 방(方, 모 방)은 방도(方道)와 같다.」 |
初六,浚恒,貞凶,无攸利。 초육(初六)은 항상 깊게하여 곧으면 흉하고, 펼침[攸(敒, 펼 신)]에 이로움이 없다. 【王弼 注】 處恒之初,最處卦底,始求深者也。求深窮底,令物无餘縕,漸以至此,物猶不堪,而況始求深者乎?以此為恒,凶正害德,无施而利也。 【왕필 주】 항(恒)괘의 처음에 처하고 괘(卦)의 가장 밑에 처하며 구하기를 깊게 시작하는 자이다. 구하기를 깊게 하여 바닥에 다하여 사물로 하여금 남은 쌓임이 없게 하여 점점 여기에 이름으로써 사물이 오히려 감당하지 못하는데, 하물며 구하기를 깊게 시작하는 자는 어떠하겠는가? 이것으로써 항상함으로 삼으면 바름을 흉하게 하고 덕(德)을 해치니, 베푸는데도 이로움이 없다. |
[孔穎達 疏] 「初六,浚恒,貞凶。無攸利」。 ○正義曰:浚,深也。最處卦底,故曰「深」也。深恒者,以深為恒是也。施之於仁義,即不厭深,施之於正,即求物之情過深,是凶正害德,無施而利,故曰「浚恒貞凶,無攸利」也。 ○注「此恒之初」至「害德無施而利也」。 ○正義曰:處卦之初,故言始也。最在於下,故言深也。所以致凶,謂在於始而求深者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초육준항정흉무유리(初六浚恒貞凶无攸利)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준(浚, 깊게 할 준)은 깊음이다. 괘(卦)의 가장 낮은데에 처했기 때문에 ‘준(深)’이라 말하였으며, ‘항상 깊게함[深恒]’이라는 것은, 깊음으로써 항상함을 삼음이 이것이다. 인의(仁義)에 베풀어주면 곧 깊음을 싫어하지 않지만, 바름을 베풀어 주면 바로 사물(남)을 구함의 정(情)이 지나치게 깊으며, 이는 바름을 흉하게 하고 덕(德)을 해쳐서 베푸는데도 이로움이 없기 때문에 “항상 깊게하여 곧으면 흉하고, 펼침[攸(敒, 펼 신)]에 이로움이 없다[浚恒貞凶,無攸利]”라고 말한 것이다.」 ○ 【왕필 주(王弼 注)】의 “비항지초(此恒之初)에서 해덕무시이리야(害德无施而利也)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괘(卦)의 처음에 처하였기 때문에 ‘시(始)’라고 말하였으며, 가장 아래에 있기 때문에 ‘준(深)’이라 말한 것이다. 이 때문에 흉함을 이루며, 시작에 있으면서 구하기를 깊게 하는 것을 말함이다.」 |
《象》曰:浚恆之凶,始求深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깊게 항상함의 흉함은, 구함을 깊게 시작함이다.” |
[孔穎達 疏] 「初六,浚恒,貞凶。無攸利」。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초육준항정흉무유리(初六浚恒貞凶无攸利)까지.}
○正義曰:浚,深也。最處卦底,故曰「深」也。深恒者,以深為恒是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준(浚, 깊게 할 준)은 깊음이다. 괘(卦)의 가장 낮은데에 처했기 때문에 ‘준(深)’이라 말하였으며, ‘항상 깊게함[深恒]’이라는 것은, 깊음으로써 항상함을 삼음이 이것이다.
施之於仁義,即不厭深,施之於正,即求物之情過深,是凶正害德,無施而利,故曰「浚恒貞凶,無攸利」也。
인의(仁義)에 베풀어주면 곧 깊음을 싫어하지 않지만, 바름을 베풀어 주면 바로 사물(남)을 구함의 정(情)이 지나치게 깊으며, 이는 바름을 흉하게 하고 덕(德)을 해쳐서 베푸는데도 이로움이 없기 때문에 “항상 깊게하여 곧으면 흉하고, 펼침[攸(敒, 펼 신)]에 이로움이 없다[浚恒貞凶,無攸利]”라고 말한 것이다.」
○注「此恒之初」至「害德無施而利也」。
○ 【왕필 주(王弼 注)】의 “비항지초(此恒之初)에서 해덕무시이리야(害德无施而利也)까지”
○正義曰:處卦之初,故言始也。最在於下,故言深也。所以致凶,謂在於始而求深者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괘(卦)의 처음에 처하였기 때문에 ‘시(始)’라고 말하였으며, 가장 아래에 있기 때문에 ‘준(深)’이라 말한 것이다. 이 때문에 흉함을 이루며, 시작에 있으면서 구하기를 깊게 하는 것을 말함이다.」
九二,悔亡。 구이(九二)는 후회가 없어진다. 【王弼 注】 雖失其位,恒位於中,可以消悔也。 【왕필 주】 비록 그 지위를 잃어도 항상 가운데에 자리하니 후회를 사라지게 할 수 있다. |
[孔穎達 疏]正義曰:失位故稱「悔」,居中故「悔亡」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지위를 잃었기 때문에 “후회[悔]”를 칭하였고, 가운데[中]에 거주하기 때문에 “후회가 없어짐[悔亡]”이다.」 |
《象》曰:九二悔亡,能久中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구이(九二)가 후회가 없어짐은, 가운데에 오래 잘함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能久中」者,處恒故能久,位在於中,所以消侮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가운데에 오래 잘함[能久中]”라는 것은, 항(恒)괘에 처했기 때문에 오래 잘하며, 지위가 가운데[中]에 있으니 후회가 사라지 까닭이다.」 |
九三,不恒其德,或承之羞,貞吝。 구삼(九三)은 그 덕(德)을 항상하지 않으면 혹 부끄러움을 이어 가며, 곧으면 부끄럽다. 【王弼 注】 處三陽之中,居下體之上,處上體之下。上不全尊,下不全卑,中不在體,體在乎恒,而分无所定,无恒者也。德行无恒,自相違錯,不可致詰,故或承之羞也。施德於斯,物莫之納,鄙賤甚矣,故曰貞吝也。 【왕필 주】 세 양(陽)의 가운데 처하고 하체(下體)의 위에 거주하며 상체(上體)의 아래에 처한다. 위쪽에 온전히 높지 않고 아래로 온전히 낮지 않으며 가운데 몸체에 있지 않고 몸체가 항상함에 있으면서, 분수가 정해진 곳이 없으니, 항상함이 없는 자이다. 덕(德)을 항상 행함이 없으면 스스로 서로 어기고 어긋나서 꾸짖을 수가 없기 때문에 혹 부끄러움에 오른다. 여기에 (德)을 베풀면 사람[사물]이 받아들임이 없어서 비천(鄙賤)함이 심하다, 그러므로 "곧으면 부끄럽다."라고 말했다. |
[孔穎達 疏]「九三,不恒其德,或承之羞,貞吝」。 ○正義曰:「不恒其德,或承之羞,貞吝」者,九三居下體之上,處上體之下,雖處三陽之中,又在不中之位,上不全尊,下不全卑,執心不定,德行無恒,故曰「不恒其德」。德既無恒,自相違錯,則為羞辱承之,所羞非一,故曰「或承之羞」也。處久如斯,正之所賤,故曰「貞吝」也。 ○注「處三陽之中」至「故曰貞吝也」。 ○正義曰:雖在三陽之中,非一體之中也。「不可致詰」者,詰,問也。違錯處多,不足問其事理,所以明其羞辱之深,如《論語》云「於予與何誅」。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구삼 불항기덕 혹승지수 정인(九三 不恒其德 或承之羞 貞吝)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그 덕(德)을 항상하지 않으면 혹 부끄러움을 이어 가며, 곧으면 부끄럽다[不恒其德 或承之羞 貞吝]”라는 것은, 구3(九三)이 하체(下體)의 위에 거주하고 상체(上體)의 아래에 처하며 비록 세 양(陽)의 가운데에 처하고 또 가운데[中]가 아닌 지위에 있지만, 위로는 완전히 높지 않고 아래로는 완전히 낮지 않아 마음을 잡고서 정하지 못해서 덕(德)을 행함이 항상함이 없기 때문에 “그 덕(德)을 항상하지 않으면[不恒其德]”라고 말한 것이다. 덕(德)이 이미 항상함이 없어서 스스로 서로 어기고 어긋나면 부끄럽고 욕됨에 올라가게 되며, 부끄러운 바가 한 가지가 아니기 때문에 “혹 부끄러움을 이어 간다[或承之羞]”라고 말한 것이다. 이와 같이 오랫동안 처하면 바름이 천해지는 바이기 때문에 “곧으면 부끄럽다[貞吝]”라고 말한 것이다.」 ○ 【왕필 주(王弼 注)】의 “처삼양지중(處三陽之中]에서 고왈정인야[故曰貞吝也)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비록 세 양(陽)의 가운데[中]에 있으나 한 몸체[體]의 가운데[中]는 아니다. “꾸짖을 수가 없다[不可致詰]”라는 것은, ‘힐(詰, 꾸짖을 힐)’은 물음이다. 어긋나게 둔 곳이 많아서 그 일의 이치를 묻지를 못함은, 그 부끄럽고 욕됨이 깊음을 밝힌 까닭이며, ≪논어(論語)≫에 이르기를 “여[宰予]에게 무엇을 꾸짖겠는가[於予與何誅]”라고 한 것과 같다.」 |
《象》曰:不恒其德,无所容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그 덕(德)을 항상하지 않음은, 용납받을 곳이 없음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無所容」者,謂不恒之人,所往之處,皆不納之,故「無所容」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용납받을 곳이 없다[无所容]”라는 것은, 항상하지 않는 사람을 말하며, 가서 처하는 곳마다 모두 받아주지 않기 때문에 ‘용납받을 곳이 없음[无所容]’이다.」 |
[孔穎達 疏] 「九三,不恒其德,或承之羞,貞吝」。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구삼 불항기덕 혹승지수 정인(九三 不恒其德 或承之羞 貞吝)까지.}
○正義曰:「不恒其德,或承之羞,貞吝」者,九三居下體之上,處上體之下,雖處三陽之中,又在不中之位,上不全尊,下不全卑,執心不定,德行無恒,故曰「不恒其德」。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그 덕(德)을 항상하지 않으면 혹 부끄러움을 이어 가며, 곧으면 부끄럽다[不恒其德 或承之羞 貞吝]”라는 것은, 구3(九三)이 하체(下體)의 위에 거주하고 상체(上體)의 아래에 처하며 비록 세 양(陽)의 가운데에 처하고 또 가운데[中]가 아닌 지위에 있지만,
위로는 완전히 높지 않고 아래로는 완전히 낮지 않아 마음을 잡고서 정하지 못해서 덕(德)을 행함이 항상함이 없기 때문에 “그 덕(德)을 항상하지 않으면[不恒其德]”라고 말한 것이다.
德既無恒,自相違錯,則為羞辱承之,所羞非一,故曰「或承之羞」也。處久如斯,正之所賤,故曰「貞吝」也。
덕(德)이 이미 항상함이 없어서 스스로 서로 어기고 어긋나면 부끄럽고 욕됨에 올라가게 되며, 부끄러운 바가 한 가지가 아니기 때문에 “혹 부끄러움을 이어 간다[或承之羞]”라고 말한 것이다. 이와 같이 오랫동안 처하면 바름이 천해지는 바이기 때문에 “곧으면 부끄럽다[貞吝]”라고 말한 것이다.」
○注「處三陽之中」至「故曰貞吝也」。
○ 【왕필 주(王弼 注)】의 “처삼양지중(處三陽之中]에서 고왈정인야[故曰貞吝也)까지”
○正義曰:雖在三陽之中,非一體之中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비록 세 양(陽)의 가운데[中]에 있으나 한 몸체[體]의 가운데[中]는 아니다.
「不可致詰」者,詰,問也。違錯處多,不足問其事理,所以明其羞辱之深,如《論語》云「於予與何誅」。
“꾸짖을 수가 없다[不可致詰]”라는 것은, ‘힐(詰, 꾸짖을 힐)’은 물음이다. 어긋나게 둔 곳이 많아서 그 일의 이치를 묻지를 못함은, 그 부끄럽고 욕됨이 깊음을 밝힌 까닭이며, ≪논어(論語)≫에 이르기를 “여[宰予]에게 무엇을 꾸짖겠는가[於予與何誅]”라고 한 것과 같다.」
九四,田无禽。 구사(九四)는 사냥하는데 짐승이 없다. 【王弼 注】 恒於非位,雖勞无獲也。 【왕필 주】 지위가 아닌데에 오래하니 비록 수고하더라도 얻음이 없다. |
[孔穎達 疏]正義曰:田者,田獵也,以譬有事也。「無禽」者,田獵不獲,以喻有事無功也。「恒於非位」,故勞而無功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전(田)“이라는 것은, 사냥터에서 사냥함[田獵]이며, 그로써 일이 있음을 비유하였다. “짐승이 없다[无禽]”라는 것은, 사냥을 하여서 잡지 못한 것이니, 그로써 일이 있으나 공(功)이 없음을 비유한 것이다. “지위가 아닌데에 오래함[恒於非位]이기 때문에 수고로워도 공(功)이 없는 것이다.」 |
《象》曰:久非其位,安得禽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그 지위가 아닌 데에 오래하니, 어찌 짐승을 잡겠는가?" |
[孔穎達 疏]正義曰:有恆而失位,是「久非其位」。田獵而無所獲,是「安得禽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항상함이 있는데도 지위를 잃었음은 바로 “그 지위가 아닌 데에 오래하였음[久非其位]이며, 사냥을 하였는데도 얻은 바가 없음은 바로 ‘어찌 짐승을 잡겠는가?[安得禽也]’이다.」 |
六五,恒其德貞,婦人吉,夫子凶。 육오(六五)는 그 덕(德)을 항상 곧게하여 부인은 길하지만 남자[夫子]는 흉하다. 【王弼 注】 居得尊位,為恒之主,不能制義,而係應在二,用心專貞,從唱而已。婦人之吉,夫子之凶也。 【왕필 주】 높은 지위를 얻어 거주하고 항(恒)의 주체가 되었으나 옳음[義]을 잘 제어하지 못하면서 구2(九二)에 있는 응(應)에 묶여 마음을 오로지 곧게만 사용하며 [구2(九二)의] 선창을 따를뿐이니 부인은 길하고 남자[夫子]는 흉하다. |
[孔穎達 疏]正義曰:「恒其德貞」者,六五系應在二,不能傍及他人,是恒常貞一其德,故曰「恒其德貞」也。「婦人吉」者,用心專貞,從唱而巳,是婦人之吉也。「夫子凶」者,夫子須制斷事宜,不可專貞從唱,故曰「夫子凶」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그 덕(德)을 항상 곧게함[恒其德 貞]”라는 것은, 육5(六五)의 구2(九二)에 있는 응(應)에 묶여서 옆의 다른 사람에게 잘 미치지 못하니, 이는 항상 그 덕(德)을 한가지로 늘 곧게하기 때문에 “그 덕(德)을 항상 곧게함[恒其德 貞]”라고 말한 것이다. “부인은 길하지만[婦人吉]”라는 것은, 마음을 오로지 곧게사용하여 선창(先唱)을 따를 뿐이며, 이는 부인(婦人)의 길함이다. “남자[夫子]는 흉하다[夫子凶]”라는 것은, 남자[夫子]는 모름지기 일의 마땅함을 제어하고 끊어서 오로지 곧게만 하는 선창(先唱)을 따라서는 안 되기 때문에 “남자[夫子]는 흉하다[夫子凶]”라고 말한 것이다.」 |
《象》曰:婦人貞吉,從一而終也。夫子制義,從婦凶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곧음에 부인이 길함은 하나만 따르면서 마침이다. 남자[夫子]는 옳음에 맞아야[제어]하는데 부인을 붙좇으니 흉함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從一而終」者,謂用心貞一,從其貞一而自終也。「從婦凶」者,五與二相應,五居尊位,在《震》為夫,二處下體,在《巽》為婦。五系於二,故曰「從婦凶」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하나만 따르면서 마침이다[從一而終]”라는 것은, 마음을 곧게 하나로만 사용하여 그 곧음 하나로만 따르면서 스스로 마치는 것이다. “부인을 붙좇으니 흉함이다[從婦凶]”라는 것은, 육5(六五)와 구2(九二)가 서로 응(應)하는데, 육5(六五)가 높은 지위에 거주하고 진(震)에 있어서 남편이 되며, 구2(九二)는 하체(下體)에 처하고 손(巽)에 있어서 부인이 된다. 육5(六五)가 구2(九二)에 매어 있기 때문에 “부인을 붙좇으니 흉함이다[從婦凶]”라고 말한 것이다.」 |
[孔穎達 疏] 正義曰:「恒其德貞」者,六五系應在二,不能傍及他人,是恒常貞一其德,故曰「恒其德貞」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그 덕(德)을 항상 곧게함[恒其德 貞]”라는 것은, 육5(六五)의 구2(九二)에 있는 응(應)에 묶여서 옆의 다른 사람에게 잘 미치지 못하니, 이는 항상 그 덕(德)을 한가지로 늘 곧게하기 때문에 “그 덕(德)을 항상 곧게함[恒其德 貞]”라고 말한 것이다.
「婦人吉」者,用心專貞,從唱而巳,是婦人之吉也。
“부인은 길하지만[婦人吉]”라는 것은, 마음을 오로지 곧게사용하여 선창(先唱)을 따를 뿐이며, 이는 부인(婦人)의 길함이다.
「夫子凶」者,夫子須制斷事宜,不可專貞從唱,故曰「夫子凶」也。
“남자[夫子]는 흉하다[夫子凶]”라는 것은, 남자[夫子]는 모름지기 일의 마땅함을 제어하고 끊어서 오로지 곧게만 하는 선창(先唱)을 따라서는 안 되기 때문에 “남자[夫子]는 흉하다[夫子凶]”라고 말한 것이다.」
上六,振恒凶。 상육(上六)은 떨침을 오래하니, 흉하다. 【王弼 注】 夫靜為躁君,安為動主。故安者上之所處也,靜者可久之道也。處卦之上,居動之極,以此為恒,无施而得也。 【왕필 주】 그가 고요한데 군주가 조급하게 하면 어찌 주체를 움직이게 되겠는가? 그러므로 어찌[安]라는 것은, 위쪽에 처하는 바이고, 고요함[靜]이라는 것은, 오래 할 수 있는 도(道)이다. 괘의 윗쪽에 처하고 움직임의 꼭대기에 거주하며 이를 가지고 항상함을 삼으니 베푸는데도 얻음이 없는 것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振恒凶」者,振,動也。凡處於上者,當守靜以制動。今上六居恒之上,處動之極,以振為恒,所以「凶」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떨침을 오래하여 흉함[振恒凶]라는 것은, ‘진(振, 떨칠 진)’은 진동함이다. 무릇 위에 처한 자는 마땅히 고요함을 지킴으로써 움직임을 제재하여야 하는데, 지금 상육(上六)이 항(恒)괘의 위에 거주하며 움직임의 꼭대기에 처하여 진동함으로써 항상함을 삼으니, ”흉(凶)함“의 까닭이다.」 |
《象》曰:振恒在上,大无功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떨침을 오래하며 상(上)효에 있으니, 큰 공(功)이 없다.” |
[孔穎達 疏]正義曰:「大無功」者,居上而以振動為恒,無施而得,故曰「大無功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큰 공(功)이 없다[大无功]”라는 것은, 위에 거주하면서 진동함으로써 항상함을 삼으면 베푸는데도 얻음이 없기 때문에 “큰 공(功)이 없다[大无功]”라고 말한 것이다.」 |
'◑주역정의(周易正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 35. 진괘(晉卦)[卦象:화지진]/周易正義 (1) | 2022.09.30 |
---|---|
주역 33. 둔괘(遯卦)[卦象:천산둔]/周易正義 (1) | 2022.09.28 |
주역 31. 함괘(咸卦)[卦象:택산함]/周易正義 (1) | 2022.09.25 |
주역 30. 리괘(離卦)[卦象:중화리]/周易正義 (1) | 2022.09.24 |
주역 29. 감괘(坎卦)[卦象:중수감]/周易正義 (1) | 2022.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