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 주()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31. 함괘(咸卦)[卦象:택산함]

 兌上

 艮下

()[.]이 아래에 있고, ()[.]가 위에 있다.

 

亨利貞取女吉
()은 형통하니 곧아야 이롭고 여자를 취하면 길하다.
[孔穎達 疏]咸亨取女吉」。
正義曰先儒以之舊題分自此以上三十卦為上經》,已下三十四卦為下經》,《序卦至此又別起端首先儒皆以上經明天道,《下經明人事然韓康伯注序卦破此義云:「》,六畫成卦三才必備錯綜天人以效變化豈有天道人事偏於上下哉!」:《上經之內明飲食必有訟訟必有眾起是兼於人事不專天道既不專天道下經不專人事理則然矣但孔子序卦不以咸系離。《系辭二篇之策」,則是六十四卦舊分上下坤象天地恒明夫婦乾坤乃造化之本夫婦實人倫之原因而擬之何為不可天地各卦夫婦共卦者周氏云:「尊天地之道略於人事猶如三才天地為二人止為一也。」此必不然竊謂乾坤明天地初辟至屯乃剛柔始交故以純陽象天純陰象地則咸以明人事人物既生共相感應若二氣不交則不成於相感自然天地各一夫婦共卦此不言可悉豈宜妄為異端!「咸亨利貞取女吉,「感也此卦明人倫之始夫婦之義必須男女共相感應方成夫婦既相感應乃得亨通若以邪道相通則凶害斯及故利在貞正既感通以正即是婚媾之善故云咸亨利貞取女吉
공영달소(孔穎達 疏)】 ()의 {함형(咸亨)에서 취녀길(取女吉)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선유(先儒)가 주역(周易)의 옛 제목을 가지고이로부터 이상의 30괘를 상경(上經)’이라 하고 이하의 34괘를 하경(下經)’이라 하여 나누었는데서괘전(序卦傳)에도 여기에 이르러 또 별도로 서두를 일으켰다.
선유들은 모두 그로써 상경(上經)’은 하늘의 도()를 밝히고 하경(下經)’은 사람의 일을 밝혔는데그러나 한강백[韓康伯(韓伯)]은 서괘전(序卦傳)〉 ()에서 이 뜻을 깨뜨리고 이르기를 대저 주역(周易)은 여섯 번 그어서[六畫()가 이루어지니 세가지 재질[三才]을 반드시 구비하여 하늘과 사람을 어긋나게 모아서 그로써 변화를 본받았는데어찌 천도(天道)와 인사(人事)가 상경과 하경에 치우쳐 있겠는가.”라고 하였다.
살펴보건대, ‘상경(上經)’의 안에 음식은 반드시 송사[]가 있고 송사는 반드시 여럿이 일어남이 있다고 밝혔으니이는 사람의 일을 겸하고 오로지 하늘의 도()만은 아니다이미 오로지 천도(天道)만이 아니라면 하경(下經)’은 오로지 인사(人事)만 아니며 이치상 그러함이다.
다만 공자(孔子)의 서괘전(序卦傳)에 함괘(咸卦)를 리괘(離卦)에 연계시키지 않았고계사전(繫辭傳)에 이르기를 두 편()의 책수(策數)”라고 하였으니이는 곧 64괘를 예전에도 상경(上經)’과 하경(下經)’으로 나누어서 건괘와 곤괘로 하늘과 땅을 모습[]하고 함괘와 항괘로 부부(夫婦)를 밝힌 것이다.
건곤(乾坤)은 바로 창조하여 달라짐의 근본이고 부부(夫婦)는 실제로 인륜(人倫)의 근원이니말미암아서 비교(比較)한 것이 어찌 불가하겠는가하늘과 땅이 각각의 괘()이고 부부(夫婦)가 한 괘()인 것은주씨[周氏(周宏正)]가 이르기를 천지의 도()를 높여서 인사(人事)를 소략히 하였으니마치 세가지 재질에 하늘과 땅은 둘이 되고 사람은 다만 하나가 되는 것과 같다.”라고 하였는데이는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생각건대건괘와 곤괘는 하늘과 땅이 처음 개벽(開闢)함을 밝혔고 준괘(屯卦)에 이르러 비로소 굳셈과 부드러움이 사귀기 시작했다그러므로 순양(純陽)으로써 하늘을 모습[]하고 순음(純陰)은 땅을 모습[]하였으니즉 함괘(咸卦)로써 인사(人事)를 밝힌 것이다.
사람과 사물이 이미 생겨나면 서로 한가지로 감응하는데만약 두 기운[]이 사귀지 않으면 서로 감응함을 이루지 못해서 하늘과 땅이 스스로 그러하여 각각 하나이고 부부가 한 괘()이다이는 말하지 않아도 다 알 수 있는데어찌 마땅함을 망령되이 다른 단서로 삼겠는가.
()은 형통하니 곧아야 이롭고 여자를 취하면 길하다[咸 亨 利貞 取女吉]”라는 것의, ‘()’은 느낌이다이 괘()는 인륜의 시작과 부부의 뜻을 밝혔으며반드시 결국 남자와 여자가 한가지로 서로 느껴서 응해야 바야흐로 부부를 이루며이미 서로 느껴서 응했으니 비로소 형통하여 통함을 얻었다.
만약 간사한 도()로써 서로 통하면 흉한 해침이 이에 미치기 때문에 이로움이 곧고 바름에 있다이미 느기를 바름으로써 통하면 즉시 혼인을 화친함의 좋음이기 때문에 이르기를 ()은 형통하니 곧아야 이롭고 여자를 취하면 길함[咸 亨 利貞 取女吉]”이라 한 것이다.

 

[孔穎達 疏] 咸亨取女吉」。

공영달소(孔穎達 疏) () {함형(咸亨)에서 취녀길(取女吉)까지.}

正義曰先儒以之舊題分自此以上三十卦為上經》,已下三十四卦為下經》,《序卦至此又別起端首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선유(先儒) 주역(周易)의 옛 제목을 가지고, 이로부터 이상의 30괘를 상경(上經)’이라 하고 이하의 34괘를 하경(下經)’이라 하여 나누었는데, 서괘전(序卦傳)에도 여기에 이르러 또 별도로 서두를 일으켰다.

先儒皆以上經明天道,《下經明人事然韓康伯注序卦破此義云:「》,六畫成卦三才必備錯綜天人以效變化豈有天道人事偏於上下哉!」

선유들은 모두 그로써 상경(上經)’은 하늘의 도()를 밝히고 하경(下經)’은 사람의 일을 밝혔는데, 그러나 한강백[韓康伯(韓伯)] 서괘전(序卦傳) ()에서 이 뜻을 깨뜨리고 이르기를 대저 주역(周易)은 여섯 번 그어서[六畫] ()가 이루어지니 세가지 재질[三才]을 반드시 구비하여 하늘과 사람을 어긋나게 모아서 그로써 변화를 본받았는데, 어찌 천도(天道)와 인사(人事)가 상경과 하경에 치우쳐 있겠는가.”라고 하였다.

:《上經之內明飲食必有訟訟必有眾起是兼於人事不專天道既不專天道下經不專人事理則然矣

살펴보건대, ‘상경(上經)’의 안에 음식은 반드시 송사[]가 있고 송사는 반드시 여럿이 일어남이 있다고 밝혔으니, 이는 사람의 일을 겸하고 오로지 하늘의 도()만은 아니다. 이미 오로지 천도(天道)만이 아니라면 하경(下經)’은 오로지 인사(人事)만 아니며 이치상 그러함이다.

但孔子序卦不以咸系離。《系辭二篇之策」,則是六十四卦舊分上下坤象天地恒明夫婦

다만 공자(孔子) 서괘전(序卦傳)에 함괘(咸卦)를 리괘(離卦)에 연계시키지 않았고, 계사전(繫辭傳)에 이르기를 두 편()의 책수(策數)”라고 하였으니, 이는 곧 64괘를 예전에도 상경(上經)’ 하경(下經)’으로 나누어서 건괘와 곤괘로 하늘과 땅을 모습[]하고 함괘와 항괘로 부부(夫婦)를 밝힌 것이다.

乾坤乃造化之本夫婦實人倫之原因而擬之何為不可天地各卦夫婦共卦者周氏云:「尊天地之道略於人事猶如三才天地為二人止為一也。」此必不然

건곤(乾坤)은 바로 창조하여 달라짐의 근본이고 부부(夫婦)는 실제로 인륜(人倫)의 근원이니, 말미암아서 비교(比較)한 것이 어찌 불가하겠는가? 하늘과 땅이 각각의 괘()이고 부부(夫婦)가 한 괘()인 것은, 주씨[周氏(周宏正)]가 이르기를 천지의 도()를 높여서 인사(人事)를 소략히 하였으니, 마치 세가지 재질에 하늘과 땅은 둘이 되고 사람은 다만 하나가 되는 것과 같다.”라고 하였는데, 이는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竊謂乾坤明天地初辟至屯乃剛柔始交故以純陽象天純陰象地則咸以明人事

생각건대, 건괘와 곤괘는 하늘과 땅이 처음 개벽(開闢)함을 밝혔고 준괘(屯卦)에 이르러 비로소 굳셈과 부드러움이 사귀기 시작했다. 그러므로 순양(純陽)으로써 하늘을 모습[]하고 순음(純陰)은 땅을 모습[]하였으니, 즉 함괘(咸卦)로써 인사(人事)를 밝힌 것이다.

人物既生共相感應若二氣不交則不成於相感自然天地各一夫婦共卦此不言可悉豈宜妄為異端

사람과 사물이 이미 생겨나면 서로 한가지로 감응하는데, 만약 두 기운[]이 사귀지 않으면 서로 감응함을 이루지 못해서 하늘과 땅이 스스로 그러하여 각각 하나이고 부부가 한 괘()이다. 이는 말하지 않아도 다 알 수 있는데, 어찌 마땅함을 망령되이 다른 단서로 삼겠는가.

咸亨利貞取女吉,「感也此卦明人倫之始夫婦之義必須男女共相感應方成夫婦既相感應乃得亨通

()은 형통하니 곧아야 이롭고 여자를 취하면 길하다[咸 亨 利貞 取女吉]”라는 것의, ‘()’은 느낌이다. 이 괘()는 인륜의 시작과 부부의 뜻을 밝혔으며, 반드시 결국 남자와 여자가 한가지로 서로 느껴서 응해야 바야흐로 부부를 이루며, 이미 서로 느껴서 응했으니 비로소 형통하여 통함을 얻었다.

若以邪道相通則凶害斯及故利在貞正既感通以正即是婚媾之善故云咸亨利貞取女吉

만약 간사한 도()로써 서로 통하면 흉한 해침이 이에 미치기 때문에 이로움이 곧고 바름에 있다. 이미 느기를 바름으로써 통하면 즉시 혼인을 화친함의 좋음이기 때문에 이르기를 ()은 형통하니 곧아야 이롭고 여자를 취하면 길함[咸 亨 利貞 取女吉]”이라 한 것이다.

 

感也。 柔上而剛下二氣感應以相與,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 "()은 느낌이다위쪽은 부드럽고 아래는 굳세니두 기운이 감응하여 그로써 서로 함께하여,


王弼 注】 是以亨也
왕필 주】 이로써 형통함이다.
[孔穎達 疏]正義曰:「柔上而剛下二氣感應以相與此因上下二體咸亨之義也艮剛而兌柔若剛自在上柔自在下則不相交感無由得通今兌柔在上而艮剛在下是二氣感應以相授與所以為咸亨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위쪽은 부드럽고 아래는 굳세니두 기운이 감응하여 그로써 서로 함께하여[柔上而剛下 二氣感應 以相與]”라는 것은이는 상하의 두 몸[]을 말미암아서 ()의 형통함[咸亨]’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은 굳세고 태()는 부드러운데만약 굳셈이 위에서 부터 있고 부드러움이 아래로 부터 있으면 서로 사귀어 느끼지 못하여 통함을 얻을 수가 없다지금 태()의 부드러움이 위에 있고 간()의 굳셈이 아래에 있으니이는 두 기운이 느끼고 응()하여 서로 주고 받음으로써, “()의 형통함[咸亨]”이 되는 까닭이다.
止而說
그치면서 설득된다.


王弼 注】 故利貞也
왕필 주】 그러므로 곧아야 이로움이다.
[孔穎達 疏]正義曰此因二卦之義釋利貞艮止而兌說也能自靜止則不隨動欲以上行說則不為邪諂不失其正所以利貞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이는 두 괘()의 뜻을 말미암아 곧음이 이로움[利貞]”을 해석한 것이며()은 그치고 태()는 벗겨짐이다스스로 고요하고 잘 그치면 움직이려는 욕심을 따르지 않고그로써 위쪽의 행함을 벗어나면 간사하고 아첨함을 하지 않으며그 바름을 잃지 않음이 곧음이 이로움[利貞]’의 까닭이다.
男下女
남자가 여자에게 낮춘다.


王弼 注】 取女吉也
왕필 주】 여자를 취하면 길함이다.
[孔穎達 疏]正義曰此因二卦之象釋取女吉之義艮為少男而居於下兌為少女而處於上是男下於女也婚姻之義男先求女親迎之禮禦輪三周皆男先下於女然後女應於男所以取女得吉者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이는 두 괘()의 모습[]을 말미암아서 여자를 취함이 길함[取女吉]”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은 소남(少男)이 되면서 아래에 처하고 태()는 소녀(少女)가 되면서 위에 처하니이는 남자가 여자에게 낮추는 것이다혼인(婚姻)의 뜻은남자가 먼저 여자를 구하는 친영(親迎)의 예(), [수레를막고 바퀴를 세 번 도는데모두 남자가 먼저 여자에게 낮춘 연후에 여자가 남자에게 응()하며여자를 취함이 길함을 얻는 것의 까닭이다.
是以亨利貞取女吉也。 天地感而萬物化生
이로써 형통하니 곧아야 이롭고 여자를 취하면 길하다하늘과 땅이 느껴서 만물이 달라져 생겨나고,


王弼 注】 二氣相與乃化生也
왕필 주】 두 기운이 서로 더블어 마침내 달라져 생겨난다.
[孔穎達 疏]是以化生」。
正義曰:「是以亨利貞取女吉次第釋訖總舉辭以結之。「天地感而萬物化生以下廣明感之義也天地二氣若不感應相與則萬物無由得應化而生
공영달소(孔穎達 疏)】 ()의 {시이(是以)에서 화생(化生)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이로써 형통하니 곧아야 이롭고 여자를 취하면 길하다[是以亨 利貞 取女吉]”라는 것은차례 대로 해석을 마치고점사[]의 말[卦辭]을 모두 들어 그로써 마친 것이다. “하늘과 땅이 느껴서 만물이 달라져 생겨나고[天地感而萬物化生]”라는 것은이하는 느낌의 뜻을 넓게 밝힌 것이며하늘과 땅 두 기운이 만약 감응하여 서로 주지 않으면 만물이 응()함을 말미암아 달라져서 생길 수 없음이다.
聖人感人心而天下和平觀其所感而天地萬物之情可見矣
성인(聖人)이 사람의 마음을 감동시켜서 천하가 고르게 어울리니그 느끼는 바를 보면 천지 만물의 실정을 볼 수 있다."


王弼 注】 天地萬物之情見於所感也凡感之為道不能感非類者也故引取女以明同類之義也同類而不相感應以其各亢所處也故女雖應男之物必下之而後取女乃吉也
왕필 주】 천지 만물의 실정은 느끼는 곳에서 보는데대체로 느낌이 도가 됨을 무리가 아닌 것은 잘 감동시키지 못한다그러므로 여자를 취함을 인용하여 같은 부류의 뜻을 밝힌 것이다같은 부류이면서 서로 느껴서 응()하지 않음은 그로써 각각 처한 바를 높이기 때문이다그러므로 여자가 비록 남자에 응()하는 사람[사물]이지만 반드시 아래로 낮춘 뒤에 여자를 취해야 비로소 길()함이다.
[孔穎達 疏]聖人可見矣」。
正義曰:「聖人感人心而天下和平聖人設教感動人心使變惡從善然後天下和平。「觀其所感而天地萬物之情可見矣結歎咸道之廣大則包天地小則該萬物感物而動謂之情也天地萬物皆以氣類共相感應觀其所感而天地萬物之情可見矣」。
공영달소(孔穎達 疏)】 ()의 {성인(聖人]에서 가견의(可見矣)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성인(聖人)이 사람의 마음을 감동시켜서 천하가 고르게 어울리니[聖人感人心而天下和平]”라는 것은성인(聖人)이 가르침을 베풀어 사람의 마음을 감동시키고 악()함이 변하여 선()함을 따르도록 하며그러한 뒤에 천하가 화평(和平)한 것이다. “그 느끼는 바를 보면 천지 만물의 실정을 볼 수 있다[觀其所感 而天地萬物之情可見矣]”라는 것은()괘의 도()가 넓고 크면 천지를 포괄하고 작으면 만물에 다함을 감탄하여 맺음이다사람[사물]이 느껴서 움직임을 일컬어서 ()’이라 한다천지의 만물이 모두 기운으로써 부류가 서로 느껴서 응()하기 때문에 그 느끼는 바를 보면 천지 만물의 실정을 볼 수 있다[觀其所感 而天地萬物之情可見矣]’라고 한 것이다.

 

山上有澤君子以虛受人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산 위에 못이 있음이 함()괘이니군자가 그로써 비우고[낮춤남을 받아 들임이다.”


王弼 注】 以虛受人物乃感應
왕필 주】 비움으로써 남을 받아들임은사람[사물]이 이에 느껴서 응()한다.
[孔穎達 疏]「《虛受人」。
正義曰:「山上有澤」,澤性下流能潤於下山體上承能受其潤以山感澤所以為」。「君子以虛受人君子法此咸卦下山上澤故能空虛其懷不自有實受納於物無所棄遺以此感人莫不皆應
공영달소(孔穎達 疏)】 ()의 {상왈(象曰]에서 허수인[虛受人)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산 위에 못이 있음이 함()괘이니[山上有澤 咸]”라는 것은[]의 성질은 아래로 흘러서 아래를 윤택하게 잘하고산의 몸[]은 위를 받들어서 그 적셔줌을 잘 받으며그로써 산이 못[]에게 느낌은 함()괘가 된 까닭이다. “군자가 그로써 비우고[낮춤남을 받아 들임이다[君子以虛受人]”라는 것은군자가 이 함괘(咸卦)의 아래가 산이고 위가 못인 것을 본받기 때문에 그 품은 마음을 텅 비게 잘하여 스스로 채움이 있지 않고 남[사물]을 받아들여서 버리고 남기는 바가 없으며이로써 사람을 감동시키면 모두 응()하지 않음이 없다.

 

初六咸其拇
초육(初六)은 그 엄지발가락에서 느낀다.


王弼 注】 處咸之初為感之始所感在末故有志而已如其本實未至傷靜
왕필 주】 ()의 처음에 처하고 느낌의 시작이 되어서 느끼는 바가 [몸체]끝에 있기 때문에 뜻이 있을 뿐이다만약 그 근본이 충실하면 고요함을 상하게 함에 이르지는 않는다.
[孔穎達 疏]初六咸其拇」。
正義曰:「咸其拇拇是足大指也體之最末初應在四俱處卦始為感淺末取譬一身在於足指而已故曰咸其拇
處咸傷靜」。
正義曰六二道轉進所感在腓腓體動躁則成往而行今初六所感淺末則譬如拇指指雖小動未移其足以喻人心初感始有其志志雖小動未甚躁求凡吉凶悔吝生乎動者也以其本實未傷於靜故無吉凶悔吝之辭
공영달소(孔穎達 疏)】 ()의 {초육함기무(初六咸其拇)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그 엄지발가락에서 느낀다[咸其拇]”라는 것은, ‘(엄지손가락 무)’는 바로 발의 큰 발가락이니신체의 가장 끝이다초육(初六)의 응()이 구4(九四)에 있는데 모두 괘()의 시작에 처하여 감동을 함이 얕고 낮으니한 몸에 비유를 취하면 발가락에 있을 뿐이기 때문에 그 엄지발가락에서 느낀다[咸其拇]”라고 말한 것이다.
○ 【왕필 주(王弼 注)의 처함(處咸)에서 상정(傷靜)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2(六二)는 함()괘의 도()가 굴러서 나아가 느끼는 바가 장딴지에 있으니장딴지의 몸체[]가 조급하게 움직이면 감[]을 이루어서 행한다.
지금 초육(初六)은 느끼는 바가 얕고 낮으니즉 비유하면 엄지발가락과 같아서 발가락이 비록 조금 움직이지만 그 발에 옮기지는 못하며그로써 사람 마음이 처음 느끼고 비로소 그 뜻이 있음을 비유하였다뜻이 비록 조금 움직이지만 심히 조급하여 구하지는 못함이다.
무릇 길함[]과 흉함[], 후회()와 부끄러움()은 움직임에서 생겨나는데그로써 그 근본이 충실하여 아직 고요함을 상하게 하지는 못하기 때문에 길흉회린()의 말[占辭]이 없는 것이다. 
咸其拇志在外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그 발가락에서 느낌은뜻이 밖에 있음이다."


王弼 注】 四屬外卦**或作四屬外也」。
왕필 주】 사지(四肢)의 바같 괘()이다.
[孔穎達 疏]正義曰:「志在外外謂四也與四相應所感在外處於感初有志而已故云志在外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뜻이 밖에 있음이다[志在外]”라는 것은, ‘()’는 구4(九四)를 말하며4(九四)와 서로 응()하여 느끼는 바가 밖에 있으니느끼는 처음에 처하여 뜻이 있을 뿐이다그러므로 이르기를 뜻이 밖에 있다[志在外也]”라고 한 것이다.

 

[孔穎達 疏] 初六咸其拇」。

공영달소(孔穎達 疏) () {초육함기무(初六咸其拇)까지.}

正義曰:「咸其拇拇是足大指也體之最末初應在四俱處卦始為感淺末取譬一身在於足指而已故曰咸其拇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그 엄지발가락에서 느낀다[咸其拇]”라는 것은, ‘(, 엄지손가락 무)’는 바로 발의 큰 발가락이니, 신체의 가장 끝이다. 초육(初六)의 응()이 구4(九四)에 있는데 모두 괘()의 시작에 처하여 감동을 함이 얕고 낮으니, 한 몸에 비유를 취하면 발가락에 있을 뿐이기 때문에 그 엄지발가락에서 느낀다[咸其拇]”라고 말한 것이다.

處咸傷靜」。

○ 【왕필 주(王弼 注) 처함(處咸)에서 상정(傷靜)까지

正義曰六二道轉進所感在腓腓體動躁則成往而行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2(六二)는 함()괘의 도()가 굴러서 나아가 느끼는 바가 장딴지에 있으니, 장딴지의 몸체[]가 조급하게 움직이면 감[]을 이루어서 행한다.

今初六所感淺末則譬如拇指指雖小動未移其足以喻人心初感始有其志志雖小動未甚躁求

지금 초육(初六)은 느끼는 바가 얕고 낮으니, 즉 비유하면 엄지발가락과 같아서 발가락이 비록 조금 움직이지만 그 발에 옮기지는 못하며, 그로써 사람 마음이 처음 느끼고 비로소 그 뜻이 있음을 비유하였다. 뜻이 비록 조금 움직이지만 심히 조급하여 구하지는 못함이다.

凡吉凶悔吝生乎動者也以其本實未傷於靜故無吉凶悔吝之辭

무릇 길함[]과 흉함[], 후회()와 부끄러움()은 움직임에서 생겨나는데, 그로써 그 근본이 충실하여 아직 고요함을 상하게 하지는 못하기 때문에 길흉회린()의 말[占辭]이 없는 것이다.

 

六二咸其腓居吉
육이(六二)는 그 장딴지에서 느끼면 흉하니머물러[]야 길하다


王弼 注】 咸道轉進離拇升腓腓體動躁者也感物以躁凶之道也由躁故凶居則吉矣處不乘剛故可以居而獲吉
왕필 주】 느낌[]의 도()가 굴러서 나아가 발가락을 떠나서 장딴지에 오르니몸의 장딴지를 조급하게 움직이는 자이며사람[사물]이 조급함으로써 느낌이 흉함의 도이다조급함을 말미암은 연고가 흉하니 머물러[]야 길하다처하기를 굳셈에 타지 않았기 때문에 그침[]으로써 길함을 얻을 수 있다.
[孔穎達 疏]六二居吉」。
正義曰足之腓腸也六二應在九五咸道轉進離拇升腓腓體動躁躁以相感凶之道也由躁故凶靜居則吉故曰咸其腓凶居吉」。以不乘剛故可以居而獲吉
腓體動躁」。
正義曰王廙云動於腓腸斯則行矣故言腓體動躁
공영달소(孔穎達 疏)】 ()의 {육이(六二)에서 거길(居吉)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장딴지 비)’는 발의 장딴지[腓腸]이다2(六二)는 응()이 구5(九五)에 있으니()의 도()가 굴러서 나아가 발가락을 떠나 장딴지로 올라오니장딴지의 몸[]이 조급하게 움직이는데조급함으로써 서로 느낌은 흉한 도()이다.
조급함을 말미암은 연고(緣故)가 흉하고조용히 거주하면 길하기 때문에 그 장딴지에서 느끼면 흉하니머물러[]야 길하다[咸其腓凶居吉]”라고 말한 것이다그로써 굳셈을 타지 않았기 때문에 그침[]으로써 길함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 【왕필 주(王弼 注)의 비체동조(腓體動躁)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왕이(王廙, 271~322: 동진의 화가)가 이르기를 장딴지에서 움직이면 이는 곧 가는 것이다그러므로 몸의 장딴지를 조급하게 움직인다[腓體動躁]’라고 말한 것이다.”
雖凶居吉順不害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비록 흉하더라도 그쳐[]야 길함은순리를 따르니 해롭지 않음이다."


王弼 注】 陰而為居順之道也不躁而居順不害也
왕필 주】 ()이면서 머물러[]야 됨은 순응함의 도()이다조급하지 않으면서 그침[]은 순응해야 해롭지 않음이다.
[孔穎達 疏正義曰:「與奪之辭若既凶矣何由得居而獲吉良由陰性本靜今能不躁而居順其本性則不有災害免凶而獲吉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비록 수)”라는 것은주는 것과 빼앗는 것의 말이다만약 이미 흉한데어떻게 그침[]을 말미암으면 길함을 얻겠는가잠시(暫時()의 성질을 말미암아 본래 고요[]함이다지금 조급하지 않고서 잘 머물러 그 본성을 순응 하면 해치는 재앙이 있지 않으며흉함을 면하면서 길함을 얻는다.

 

[孔穎達 疏] 六二居吉」。

공영달소(孔穎達 疏) () {육이(六二)에서 거길(居吉)까지.}

正義曰足之腓腸也六二應在九五咸道轉進離拇升腓腓體動躁躁以相感凶之道也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 장딴지 비)’는 발의 장딴지[腓腸]이다. 2(六二)는 응()이 구5(九五)에 있으니, ()의 도()가 굴러서 나아가 발가락을 떠나 장딴지로 올라오니, 장딴지의 몸[]이 조급하게 움직이는데, 조급함으로써 서로 느낌은 흉한 도()이다.

由躁故凶靜居則吉故曰咸其腓凶居吉」。以不乘剛故可以居而獲吉

조급함을 말미암은 연고(緣故)가 흉하고, 조용히 거주하면 길하기 때문에 그 장딴지에서 느끼면 흉하니, 머물러[]야 길하다[咸其腓凶居吉]”라고 말한 것이다. 그로써 굳셈을 타지 않았기 때문에 그침[]으로써 길함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腓體動躁」。

○ 【왕필 주(王弼 注) 비체동조(腓體動躁)까지

正義曰王廙云動於腓腸斯則行矣故言腓體動躁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왕이(王廙, 271~322: 동진의 화가)가 이르기를 장딴지에서 움직이면 이는 곧 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몸의 장딴지를 조급하게 움직인다[腓體動躁]’라고 말한 것이다.”

 

九三咸其股執其隨 往 吝
구삼(九三)은 그 넓적다리에서 느끼는데그를 따라서 잡고 가면 부끄럽다.


王弼 注】 股之為物隨足者也進不能制動退不能靜處所感在股志在隨人者也志在隨人所執亦以賤矣用斯以往吝其宜也
왕필 주】 넓적다리가 사물이 됨은 발을 따르는 것이다나아감은 움직임의 제어를 잘하지 못하고 물러남은 고요함에 처하기를 잘하지 못하며 느끼는 곳이 넓적다리에 있으면 뜻이 남을 따름에 있는 자이다뜻이 남을 따름에 있으니 잡은 곳이 그로써 천함이다이를 사용하여 그로써 가면 부끄러움이 마땅하다.
[孔穎達 疏]正義曰:「咸其股 執其隨 往吝,九三處二之上,轉高至股股之爲體,動靜隨足,進不能制足之動,退不能靜守其處股是可動之物,足動則隨,不能自處,常執其隨足之志,故云咸其股,執其隨」。施之於人,自无操持,志在隨人,所執卑下,以斯而往,鄙吝之道,故言往吝」。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그 넓적다리에서 느끼는데그를 따라서 잡고 가면 부끄럽다[咸其股 執其隨 往吝]”라는 것은3(九三)이 육2(六二)의 위에 처하여 높이 굴러가서 넓적다리에 이르렀다넓적다리의 몸[]이 됨은움직임[]과 고요함[]이 발을 따르므로 나아감에 발의 움직임을 잘 제재하지 못하고물러남에 그 처한데 고요함을 잘 지키지 못한다넓적다리는 바로 움직일 수 있는 물건이고 발이 움직이면 따라 움직이며 스스로 잘 처하지 못하여 항상 그 발을 따르려는 마음을 가지기 때문에 이르기를 그 넓적다리에서 느끼는데그를 따라서 잡는다[咸其股執其隨]”라고 한 것이다.
사람에게 시행을 하면 스스로 잡아 가짐이 없어서 뜻이 남을 따름에 있고 잡는 바가 아래에 낮으니이를 가지고서 가면 비루하고 부끄러움의 도()이기 때문에 가면 부끄럽다[往吝]”라고 말한 것이다.
咸其股亦不處也志在隨人所執下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그 넓적다리에서 느낌은 또한 [거기에처함이 아니다뜻이 남을 따르는 데에 있으니 지키는 바가 낮다.”
[孔穎達 疏]正義曰:「咸其股亦不處也非但進不能制動退亦不能靜處也。「所執下志在隨人」,是其志意所執下賤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그 넓적다리에서 느낌은 또한 처함이 아니다[咸其股 亦不處也]”라는 것은비단 나아가서 움직임을 잘 제재하지 못하고물러나서도 또한 고요함에 잘 처하지 못하는 것이다.
지키는 바가 낮다[所執下]”라는 것은, ‘뜻이 남을 따르는 데에 있으니[志在隨人], 이는 그 뜻하는 마음이 잡은 바가 낮아 천함이다.

 

九四貞吉悔亡憧憧往來朋從爾思
구사(九四)는 곧아야 길하고 후회가 없어지며매우 자주 가고 오면 벗이 너의 생각을 따른다.


王弼 注】 處上卦之初應下卦之始居體之中在股之上二體始相交感以通其志心神始感者也凡物始感而不以之於正則至於害故必貞然後乃吉吉然後乃得亡其悔也始在於感未盡感極不能至於无思以得其黨故有憧憧往來然後朋從其思也
왕필 주】 상괘(上卦)의 처음에 처하고 하괘(下卦)의 시작에 응()하며 몸의 가운데 거주하니 넓적다리의 위에 있음이다두 몸이 서로 사귀어 느끼기 시작하여그 뜻이 통함으로써 마음을 펼쳐 느끼기 시작하는 것이다모든 사물은 느끼기 시작하면서 바름으로써 하지 않으면 곧 해로움에 이르기 때문에 반드시 곧은 연후에 비로소 길하고 길 한 연후에 마침내 그 후회가 없어진다느낌을 시작함에 있지만 아직 느낌을 끝까지 다하지 않았으며 생각이 없음으로써 그 무리를 얻음에는 잘 이르지 못했기 때문에 자주 가고 온 연후에 벗이 그 생각을 따름이 있다.
[孔穎達 疏]正義曰:「貞吉悔亡九四居上卦之初應下卦之始居體之中在股之上二體始相交感以通其志心神始感者也凡物始感而不以之於正」,則害之將及矣。「故必貞然後乃吉吉然後乃得亡其悔也」。故曰貞吉悔亡。「憧憧往來朋從爾思,「始在於感未盡感極」,惟欲思運動以求相應未能忘懷息照任夫自然故有憧憧往來」,然後朋從爾之所思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곧아야 길하고 후회가 없어지며[貞吉 悔亡]”라는 것은4(九四)가 상괘(上卦)의 처음에 하괘(下卦)의 시작에 응()하며 몸의 가운데 거주하니 넓적다리의 위에 있으면서 두 몸이 서로 사귀어 느끼기 시작하여그 뜻이 통함으로써 마음을 펼쳐 느끼기 시작하는 것이다모든 사물은 느끼기 시작하면서 바름으로써 하지 않음[上卦之初應下卦之始居體之中在股之上二體始相交感以通其志心神始感者也凡物始感而不以之於正]에 거주하면 해침이 장차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반드시 곧은 연후에 비로소 길하고 길 한 연후에 마침내 그 후회가 없어진다故必貞然後乃吉吉然後乃得亡其悔也]라고 했기 때문에 곧아야 길하고 후회가 없어진다[貞吉悔亡]”라고 말한 것이다.
매우 자주 가고 오면 벗이 너의 생각을 따른다[憧憧往來 朋從爾思]”라는 것은, ‘느낌을 시작함에 있지만 아직 느낌을 끝까지 다하지 않았음[始在於感未盡感極]이며오직 움직여 옴겨감으로써 서로 응()을 구하려고 생각을 하지만 잊고 품으며 그치고 비춤을 잘하지 못하여 그것을 스스로 그러하도록 맡기기 때문에 매우 자주 가고 옴[憧憧往來]이 있은 연후에 벗이 너의 생각하는 바를 따르는 것이다.
貞吉悔亡未感害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곧아야 길하고 후회가 없어짐은아직 해로움을 느끼지 않았음이다."


王弼 注】 未感於害故可正之得悔亡也
왕필 주】 아직 해로움을 느끼지 않았기 때문에 바로잡아 갈 수 있으니 후회가 없어짐을 얻는다.
[孔穎達 疏]正義曰:「未感害心神始感未至於害故不可不正正而故得悔亡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아직 해로움을 느끼지 않았음이다[未感害]”라는 것은마음과 정신이 느끼기 시작했지만 아직 해로움에 이르지 않았기 때문에 바로잡지 않을 수가 없으니바로잡았기 때문에 후회가 없어짐[悔亡]을 없었다.
憧憧往來未光大也
자주 자주 가고 옴은아직 빛이 크지 못함이다.
[孔穎達 疏]正義曰:「未光大非感之極不能無思無欲故未光大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아직 빛이 크지 못함이다[未光大]”라는 것은느낌이 지극함이 아니어서 생각함이 없음과 하고자 함이 없음을 잘하지 못하기 때문에 아직 빛이 크지는 못함이다.

 

[孔穎達 疏] 正義曰:「貞吉悔亡九四居上卦之初應下卦之始居體之中在股之上二體始相交感以通其志心神始感者也凡物始感而不以之於正」,則害之將及矣。「故必貞然後乃吉吉然後乃得亡其悔也」。故曰貞吉悔亡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곧아야 길하고 후회가 없어지며[貞吉 悔亡]”라는 것은, 4(九四) 상괘(上卦)의 처음에 하괘(下卦)의 시작에 응()하며 몸의 가운데 거주하니 넓적다리의 위에 있으면서 두 몸이 서로 사귀어 느끼기 시작하여, 그 뜻이 통함으로써 마음을 펼쳐 느끼기 시작하는 것이다. 모든 사물은 느끼기 시작하면서 바름으로써 하지 않음[上卦之初應下卦之始居體之中在股之上二體始相交感以通其志心神始感者也凡物始感而不以之於正]에 거주하면 해침이 장차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반드시 곧은 연후에 비로소 길하고 길 한 연후에 마침내 그 후회가 없어진다故必貞然後乃吉吉然後乃得亡其悔也]라고 했기 때문에 곧아야 길하고 후회가 없어진다[貞吉悔亡]”라고 말한 것이다.

憧憧往來朋從爾思,「始在於感未盡感極」,惟欲思運動以求相應未能忘懷息照任夫自然故有憧憧往來」,然後朋從爾之所思也

매우 자주 가고 오면 벗이 너의 생각을 따른다[憧憧往來 朋從爾思]”라는 것은, ‘느낌을 시작함에 있지만 아직 느낌을 끝까지 다하지 않았음[始在於感未盡感極]이며, 오직 움직여 옴겨감으로써 서로 응()을 구하려고 생각을 하지만 잊고 품으며 그치고 비춤을 잘하지 못하여 그것을 스스로 그러하도록 맡기기 때문에 매우 자주 가고 옴[憧憧往來]이 있은 연후에 벗이 너의 생각하는 바를 따르는 것이다.

 

九五咸其脢无悔
구오(九五)는 그 등살에서 느끼니후회가 없다.


王弼 注】 脢者心之上口之下進不能大感退亦不為无志其志淺末故无悔而已
왕필 주】 등살[(등심 매)]이라는 것은심장의 위이고 입의 아래이다나아감은 크게 잘 느끼지 못하고 물러남은 또한 뜻을 없이 하지는 못하며 그 뜻의 끝이 얕기 때문에 후회가 없어질 뿐이다.
[孔穎達 疏]九五無悔」。
正義曰:「咸其脢無悔,「者心之上口之下也四已居體之中為心神所感五進在於四上故所感在脢脢已過心進不能大感」,由在心上,「退亦不能無志」,志在淺末無悔而已故曰:「咸其脢無悔
脢者心之上口之下」。
正義曰:「脢者心之上口之下子夏易傳:「在脊曰脢。」馬融云:「背也。」鄭玄云:「脊肉也」。王肅云:「脢在背而夾脊。」《說文:「背肉也。」雖諸說不同大體皆在心上輔嗣以四為心神上為輔頰五在上四之間故直云心之上口之下明其淺於心神厚於言語
공영달소(孔穎達 疏)】 ()의 {구오(九五)에서 무구(无悔)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그 등살에서 느끼니후회가 없다[咸其脢 无悔]”라는 것은, ‘(등심 매)’는 심장의 위이고 입의 아랫니다.
4(九四)가 이미 몸체[]의 가운데에 거주하여 마음과 정신이 느끼는 바가 되었고 구5(九五)가 나아가서 구4(九四)의 위에 있기 때문에 느끼는 곳이 등에 있으며등은 이미 심장을 지났기 때문에 나아감은 크게 잘 느끼지 못함[進不能大感]”이고심장의 위를 말미암아 있어서 물러남은 또한 뜻을 없이 하지는 못함[退亦不能無志]”이며뜻이 얕고 낮음에 있기 때문에 후회가 없을 뿐이다[無悔而已]. 그러므로 그 등살에서 느끼니후회가 없다[咸其脢 无悔]”라고 말한 것이다.
○ 【왕필 주(王弼 注)의 매자심지상구지하(脢者心之上口之下)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등살[(등심 매)]이라는 것은심장의 위이고 입의 아래이다[脢者 心之上 口之下]”라는 것은자하역전(子夏易傳)에 등마루[]에 있음것을 ()’라고 말한다.”라고 말하였다.
마융(馬融)이 이르기를 ()는 등이다.”라고 하였고정현(鄭玄)이 이르기를 ()는 등의 살이다.”라고 하였으며왕숙(王肅)이 이르기를 ()는 등에서 등마루를 끼고 있다.”라고 하였고설문해자(說文解字)에 이르기를 ()는 등의 살이다.”라고 하였다비록 여러 설명이 같지 않으나 대체로는 모두 심장의 위에 있는 것이다.
왕보사[王輔嗣(王弼)]는 구4(九四)로써 마음과 정신을 삼고 상육(上六)은 빰이 도움이 되며5(九五)는 상육(上六)과 구4(九四)의 사이에 있기 때문에 곧바로 이르기를 심장의 위이고 입의 아랫니다[心之上口之下]”라고 한 것이다그 마음과 정신보다는 얕고말을 논함[言語]보다는 후함을 밝힌 것이다.
咸其脢志末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등살에서 느낌은뜻이 낮음이다.”
[孔穎達 疏]正義曰:「志末也末猶淺也感以心為深過心則謂之淺末矣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뜻이 낮다[志末也]”라는 것은, ‘()’은 얕음과 같으며느낌은 마음으로써 깊게 되고마음을 지나치면 일컫기를 얕고 낮음이라 함이다.

 

[孔穎達 疏] 九五無悔」。

공영달소(孔穎達 疏) () {구오(九五)에서 무구(无悔)까지.}

正義曰:「咸其脢無悔,「者心之上口之下也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그 등살에서 느끼니, 후회가 없다[咸其脢 无悔]”라는 것은, ‘(, 등심 매)’는 심장의 위이고 입의 아랫니다.

四已居體之中為心神所感五進在於四上故所感在脢脢已過心進不能大感」,由在心上,「退亦不能無志」,志在淺末無悔而已」。故曰:「咸其脢無悔

4(九四)가 이미 몸체[]의 가운데에 거주하여 마음과 정신이 느끼는 바가 되었고 구5(九五)가 나아가서 구4(九四)의 위에 있기 때문에 느끼는 곳이 등에 있으며, 등은 이미 심장을 지났기 때문에 나아감은 크게 잘 느끼지 못함[進不能大感]”이고, 심장의 위를 말미암아 있어서 물러남은 또한 뜻을 없이 하지는 못함[退亦不能無志]”이며, 뜻이 얕고 낮음에 있기 때문에 후회가 없을 뿐이다[無悔而已]. 그러므로 그 등살에서 느끼니, 후회가 없다[咸其脢 无悔]”라고 말한 것이다.

脢者心之上口之下」。

○ 【왕필 주(王弼 注) 매자심지상구지하(脢者心之上口之下)까지

正義曰:「脢者心之上口之下子夏易傳:「在脊曰脢。」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등살[(, 등심 매)]이라는 것은, 심장의 위이고 입의 아래이다[脢者 心之上 口之下]”라는 것은, 자하역전(子夏易傳) 등마루[]에 있음것을 ()’라고 말한다.”라고 말하였다.

馬融云:「背也。」鄭玄云:「脊肉也」。王肅云:「脢在背而夾脊。」《說文:「背肉也。」雖諸說不同大體皆在心上

마융(馬融)이 이르기를 ()는 등이다.”라고 하였고, 정현(鄭玄)이 이르기를 ()는 등의 살이다.”라고 하였으며, 왕숙(王肅)이 이르기를 ()는 등에서 등마루를 끼고 있다.”라고 하였고, 설문해자(說文解字)에 이르기를 ()는 등의 살이다.”라고 하였다. 비록 여러 설명이 같지 않으나 대체로는 모두 심장의 위에 있는 것이다.

輔嗣以四為心神上為輔頰五在上四之間故直云心之上口之下明其淺於心神厚於言語

왕보사[王輔嗣(王弼)]는 구4(九四)로써 마음과 정신을 삼고 상육(上六)은 광대뼈와 빰이 되며, 5(九五)는 상육(上六)과 구4(九四)의 사이에 있기 때문에 곧바로 이르기를 심장의 위이고 입의 아랫니다[心之上口之下]”라고 한 것이다. 그 마음과 정신보다는 얕고, 말을 논함[言語]보다는 후함을 밝힌 것이다.

 

上六咸其輔頰舌
상육(上六)은 그 광대뼈와 뺨과 혀가 느낀다.


王弼 注】 咸道轉末故在口舌言語而已
왕필 주】 느낌의 도가 굴러간 끝이기 때문에 입과 혀의 말을 논함[구설(口舌)]에 있을 뿐이다.
[孔穎達 疏]正義曰:「咸其輔頰舌馬融云:「上頷也。」「言語之具咸道轉末在於口舌言語而已故云咸其輔頰舌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그 광대뼈와 뺨과 혀가 느낀다[咸其輔頰舌]”라는 것은마융(馬融)이 이르기를 (도울 보)는 위의 턱이다.”라 하였으니, “광대뼈와 뺨과 혀[]”라는 것은말을 논함[言語]의 도구이다()괘의 도()가 굴러 끝에서 입과 혀[口舌]와 말을 논함[言語]에 있을 뿐이기 때문에 이르기를 그 광대뼈와 뺨과 혀가 느낀다[咸其輔頰舌]”라고 한 것이다.
咸其輔頰舌滕口說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뺨과 혀가 도와서 느낌은입이 말을 보냄이다."


王弼 注】 輔頰舌者所以為語之具也咸其輔頰舌則滕口說也憧憧往來猶未光大況在滕口薄可知也
왕필 주】 뺨과 혀가 도운다는 것은말을 해 나가는 도구인 까닭이다뺨과 혀가 도와서 느낌은 곧 입이 설명하여 말을 내보냄이다자주 가고 옴은오히려 빛이 크지 않은데하물며 입이 말을 내보내고 있으니 엷음을 알 수 있음이다.
[孔穎達 疏]正義曰:「滕口說也舊說字作」,徒登反競與也所競者口無復心實故云滕口說鄭玄又作」。送也。《道極薄徒送口舌言語相感而已不復有志於其閒義得兩通未知誰同其旨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입이 말을 보냄이다[滕口說也]”라는 것은옛 설[舊說]에 글자를 (물 솟을 등)’으로 썼는데, ‘()’은 주와 등의 반절음이니, ‘()’은 함께 다툼이다다투는 것은 입이고 다시는 마음에 실재가 없기 때문에 이르기를 입이 말을 보냄이다[滕口說也]”고 한 것이다정현(鄭玄)은 또 ()’으로 썼으니, ‘()’은 보냄이다()괘의 도()가 지극히 박()하여 입과 혀[口舌]가 말을 논함[言語]을 무리로 보내어 서로 느낄 뿐이며다시는 그 사이에 뜻이 있지는 않다왕보사[王輔嗣(王弼)]의 주()에는 뜻이 두 가지 통하니어느 것이 그 본뜻에 같은지는 알지 못하겠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