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역 주(注)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35. 진괘(晉卦)[卦象:화지진]
☲ 離上
☷ 坤下
곤(坤)[地.땅]이 아래에 있고, 리(離)[火.불]가 위에 있다.
晉,康侯. 用錫馬蕃庶,晝日三接。 진(晉)은 강후(康侯)가 많은 말[馬]을 하사 받고, 하루에 세 차례 접견한다. |
[孔穎達 疏]正義曰:「晉」者,卦名也。「晉」之為義,進長之名。此卦明臣之昇進,故謂之「晉」。「康」者,美之名也。「侯」謂昇進之臣也。臣既柔進,天子美之,賜以車馬,蕃多而眾庶,故曰「康侯用錫馬蕃庶」也。「晝日三接」者,言非惟蒙賜蕃多,又被親寵頻數,一晝之間,三度接見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진(晉)”이라는 것은, 괘(卦)의 명칭이며, ‘진(晉)’의 뜻이 됨은 나아가 자람의 이름이다. 이 괘(卦)는 신하의 나아가 오름[昇進]에 밝기 때문에 말하기를 ‘나아감[晉]’이라 하였다. “강(康)”이라는 것은, 찬미를 함의 명칭이다. “후(侯)“는 승진(昇進)을 하는 신하를 말하며, 신하가 이미 부드럽게 나아감에 천자(天子)가 아름답게 여기고 수레와 말을 하사함이 번성하여 많으면서 무리가 여럿이기 때문에 “강후(康侯)가 많은 말을 하사 받고[康侯用錫馬蕃庶]”라고 말을 하였다. “하루에 세 차례 접견한다[晝日三接]”라는 것은, 오직 하사가 많을 뿐만 아니고, 또 친애와 총애를 입음이 여러 번이어서 하루 사이에 세 차례 접견함을 말한 것이다.」 |
《彖》曰:晉,進也。明出地上,順而麗乎大明,柔進而上行。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 "진(晉)은 나아감이다. 밝음이 땅 위로 나와서, 순하면서 크게 밝음에 붙따르고, 부드럽게 나아가서 위로 올라가니, 【王弼 注】 凡言上行者,所之在貴也。 【왕필 주】 무릇 위로 행하는 것을 말함은 가는 바가 귀함에 있다. |
[孔穎達 疏]「《彖》曰晉進也」至「進而上行」。 ○正義曰:「晉,進也」者,以今釋古,古之「晉」字,即以進長為義,恐後世不曉,故以「進」釋之。「明出地上」者,此就二體釋得「晉」名。離上坤下,故言「明出地上」。明既出地,漸就進長,所以為「晉」。「順而麗乎大明柔進而上行」者,此就二體之義及六五之爻,釋「康侯用錫馬」巳下也。「坤」,順也;「離」,麗也。又為明坤能順從而麗著於大明,六五以柔而進,上行貴位,順而著明臣之美道也。「柔進而上行」,君上所與也,故得厚賜而被親寵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단왈진진야(彖曰晉進也)에서 진이상행(進而上行)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진(晉)은 나아감이다[晉 進也]”라는 것은, 지금으로써 옛글을 해석함이며, 옛날의 진(晉)자는 바로 나아가 자라남으로써 뜻을 삼았는데, 후세에 깨닫지 못할까 염려하였기 때문에 ‘진(進)’으로써 해석을 한 것이다. “밝음이 땅 위로 나와서[明出地上]”라는 것은, 이는 두 몸체[體]를 취하여 진(晉)괘의 이름을 얻음을 해석함이며, 리(離)가 위에 있고 곤(坤)이 아래에 있기 때문에 “밝음이 땅 위로 나와서[明出地上]”라고 말한 것이다. 밝음이 이미 땅에서 나와 점점 나아가 자라남을 취함이, “진(晉)”괘가 된 까닭이다. “순하면서 크게 밝음에 붙따르고, 부드럽게 나아가서 위로 올라가니[順而麗乎大明 柔進而上行]”라는 것은, 이는 두 몸체[體]의 뜻과 육5(六五)의 효(爻)를 취하여 “강후(康侯)가 말을 하사 받음[康侯用錫馬]”의 이하를 해석한 것이다. “곤(坤)”은 순함이고, “리(離)”는 나란히 감이며, 또 곤(坤)이 순종(順從)을 잘하여서 큰 밝음에 나란히 가 붙어 밝게 되고, 육5(六五)가 부드러움으로써 나아가 귀한 자리에 올라 가는데, 순하면서 밝음에 붙음은 신하의 아름다운 도(道)이다. “부드럽게 나아가서 위로 올라감[柔進而上行]은, 군주가 위에 더부는 바이기 때문에 후한 하사를 받고서 친애와 총애를 받는 것이다.」 |
是以康侯用錫馬蕃庶,晝日三接也。 이로써 강후(康侯)가 많은 말[馬]을 하사 받고, 하루에 세 차례 접견한다. 【王弼 注】 康,美之名也。順以著明,臣之道也。柔進而上行,物所與也,故得錫馬而蕃庶。以訟受服,則終朝三褫;柔進受寵,則一晝三接也。 【왕필 주】 강(康)은 찬미함의 이름이다. 순함으로써 밝음이 드러남이 신하의 도리이다. 부드러움이 나아가서 위로 행함은 사물이 그러한 바이다, 그러므로 하사하는 말[馬]을 많이 얻음이다. 그로써 송(訟)괘에 관복을 받으면 아침을 마치는 사이에 세 번 벗고, 부드러움으로써 나아가 총애를 받으면 하루 낮에 세 번 접견한다. |
[孔穎達 疏]「是以康侯」至「三接也」。 ○正義曰:釋訖舉《經》以結君寵之意也。 ○注「康美之名也」至「一晝三接也」。 ○正義曰:舉此對釋者,蓋訟言終朝,晉言一晝,俱不盡一日,明黜陟之速,所以示懲勸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시이강후(是以康侯)에서 삼접야(三接也)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해석이 끝내고, 경문(經文)을 들어 그로써 군주의 은총을 받음의 뜻을 맺은 것이다.」 ○ 【왕필 주(王弼 注)】의 “강미지명야(康美之名也]에서 일주삼접야(一晝三接也)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이를 상대로 들어 해석한 것은, 대개 송(訟)괘에서는 하루아침을 마침을 말하였고 진(晉)괘에서는 하루 낮을 말하였으며, 모두 하루를 다하지 않았는데, 내치고 올려줌[黜陟]을 신속히 함을 밝힘이며, 이는 징계(懲戒)하고 권장(勸奬)함을 보인 까닭이다.」 |
[孔穎達 疏]「《彖》曰晉進也」至「進而上行」。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단왈진진야(彖曰晉進也)에서 진이상행(進而上行)까지.}
○正義曰:「晉,進也」者,以今釋古,古之「晉」字,即以進長為義,恐後世不曉,故以「進」釋之。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진(晉)은 나아감이다[晉 進也]”라는 것은, 지금으로써 옛글을 해석함이며, 옛날의 진(晉)자는 바로 나아가 자라남으로써 뜻을 삼았는데, 후세에 깨닫지 못할까 염려하였기 때문에 ‘진(進)’으로써 해석을 한 것이다.
「明出地上」者,此就二體釋得「晉」名。離上坤下,故言「明出地上」。明既出地,漸就進長,所以為「晉」。
“밝음이 땅 위로 나와서[明出地上]”라는 것은, 이는 두 몸체[體]를 취하여 진(晉)괘의 이름을 얻음을 해석함이며, 리(離)가 위에 있고 곤(坤)이 아래에 있기 때문에 “밝음이 땅 위로 나와서[明出地上]”라고 말한 것이다. 밝음이 이미 땅에서 나와 점점 나아가 자라남을 취함이, “진(晉)”괘가 된 까닭이다.
「順而麗乎大明柔進而上行」者,此就二體之義及六五之爻,釋「康侯用錫馬」巳下也。
“순하면서 크게 밝음에 붙따르고, 부드럽게 나아가서 위로 올라가니[順而麗乎大明 柔進而上行]”라는 것은, 이는 두 몸체[體]의 뜻과 육5(六五)의 효(爻)를 취하여 “강후(康侯)가 말을 하사 받음[康侯用錫馬]”의 이하를 해석한 것이다.
「坤」,順也;「離」,麗也。又為明坤能順從而麗著於大明,六五以柔而進,上行貴位,順而著明臣之美道也。
“곤(坤)”은 순함이고, “리(離)”는 나란히 감이며, 또 곤(坤)이 순종(順從)을 잘하여서 큰 밝음에 나란히 가 붙어 밝게 되고, 육5(六五)가 부드러움으로써 나아가 귀한 자리에 올라 가는데, 순하면서 밝음에 붙음은 신하의 아름다운 도(道)이다.
「柔進而上行」,君上所與也,故得厚賜而被親寵也。
“부드럽게 나아가서 위로 올라감[柔進而上行]은, 군주가 위에 더부는 바이기 때문에 후한 하사를 받고서 친애와 총애를 받는 것이다.」
《象》曰:明出地上,晉,君子以自昭明德。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밝음이 땅 위로 나옴이 진(晉)괘이니, 군자가 그로써 스스로 밝은 덕(德)을 밝힌다." 【王弼 注】 以順著明,自顯之道。 【왕필 주】 순함으로써 밝음이 드러남은 스스로 나타나는 도(道)이다. |
[孔穎達 疏]「《象》曰」至「以昭明德」。 ○正義曰:「自昭明德」者,昭亦明也,謂自顯明其德也。周氏等為「照」以為自照己身。《老子》曰:「自知者明。」用明以自照為明德。案:王《注》此云:「以順著明自顯之道。」又此卦與明夷正反。《明夷·象》云:「君子以蒞眾用晦而明。」王注彼云:「蒞眾顯明,蔽偽百姓。」「藏明於內,乃得明也。」准此二注,明王之《注》意以此為自顯明德。昭字宜為昭,之遙反。周氏等為照,之召反,非《注》旨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상왈(象曰)에서 이자소명덕(以自昭明德)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스스로 밝은 덕(德)을 밝힌다[自昭明德]”라는 것은, ‘소(昭, 밝을 소)’ 또한 밝음이며, 스스로 그 덕(德)을 드러내어 밝힘을 말한다. 주씨[周氏(周宏正)] 등은 “조(照, 비칠 조)”라 하여, 스스로 자기 자신을 비춤으로 여겼다. 노자(老子)가 ‘스스로 아는 자는 밝다.’고 말하였는데, 밝음을 사용하여 스스로 비춤으로써 덕(德)이 밝아지게 된다.”라고 말하였다. 살펴보건대, 왕보사[王輔嗣(王弼)]가 이것을 주(注)하면서 이르기를 “순함이 밝음에 붙음으로써 스스로를 드러냄의 도(道)이다[以順著明自顯之道]”라고 하였고, 또 이 괘(卦)는 명이(明夷)괘와 바로 반대이다. 명이(明夷)괘의 〈상전(象傳)〉에 이르기를 “군자가 그로써 무리에 임하여서 어둠을 사용하여서 밝힌다.”고 하였는데, 왕보사(王輔嗣)가 거기에 주(注)하여 이르기를 “무리에 임하여서 밝음을 드러냄은 백성을 가리고 속이는 것이니, 밝음을 안에 감추어야 비로소 밝음을 얻는다.”라고 하였다. 이 두 곳의 주(注)를 준(準)하면 왕(王)씨가 주(注)를 한 뜻은 이를 가지고 스스로 밝은 덕[明德]을 드러냄을 밝힌 것이다. ‘소(昭, 밝을 소)’자는 마땅히 ‘소(昭)’가 되어 지(之)와 요(遙)의 반절음이며, 주씨(周氏) 등이 지(之)와 소(召)의 반절음인 ‘조(照, 비칠 조)’라고 하였는데, 주(注)의 취지가 아니다.」 |
[孔穎達 疏]「《象》曰」至「以昭明德」。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상왈(象曰)에서 이자소명덕(以自昭明德)까지.}
○正義曰:「自昭明德」者,昭亦明也,謂自顯明其德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스스로 밝은 덕(德)을 밝힌다[自昭明德]”라는 것은, ‘소(昭, 밝을 소)’ 또한 밝음이며, 스스로 그 덕(德)을 드러내어 밝힘을 말한다.
周氏等為「照」以為自照己身。《老子》曰:「自知者明。」用明以自照為明德。
주씨[周氏(周宏正)] 등은 “조(照, 비칠 조)”라 하여, 스스로 자기 자신을 비춤으로 여겼다. 노자(老子)가 ‘스스로 아는 자는 밝다.’고 말하였는데, 밝음을 사용하여 스스로 비춤으로써 덕(德)이 밝아지게 된다.”라고 말하였다.
案:王《注》此云:「以順著明自顯之道。」又此卦與明夷正反。
살펴보건대, 왕보사[王輔嗣(王弼)]가 이것을 주(注)하면서 이르기를 “순함이 밝음에 붙음으로써 스스로를 드러냄의 도(道)이다[以順著明自顯之道]”라고 하였고, 또 이 괘(卦)는 명이(明夷)괘와 바로 반대이다.
《明夷·象》云:「君子以蒞眾用晦而明。」王注彼云:「蒞眾顯明,蔽偽百姓。」「藏明於內,乃得明也。」
명이(明夷)괘의 〈상전(象傳)〉에 이르기를 “군자가 그로써 무리에 임하여서 어둠을 사용하여서 밝힌다.”고 하였는데,
왕보사(王輔嗣)가 거기에 주(注)하여 이르기를 “무리에 임하여서 밝음을 드러냄은 백성을 가리고 속이는 것이니, 밝음을 안에 감추어야 비로소 밝음을 얻는다.”라고 하였다.
准此二注,明王之《注》意以此為自顯明德。
이 두 곳의 주(注)를 준(準)하면 왕(王)씨가 주(注)를 한 뜻은 이를 가지고 스스로 밝은 덕[明德]을 드러냄을 밝힌 것이다.
昭字宜為昭,之遙反。周氏等為照,之召反,非《注》旨也。
‘소(昭, 밝을 소)’자는 마땅히 ‘소(昭)’가 되어 지(之)와 요(遙)의 반절음이며, 주씨(周氏) 등이 지(之)와 소(召)의 반절음인 ‘조(照, 비칠 조)’라고 하였는데, 주(注)의 취지가 아니다.」
初六,晉如摧如,貞吉,罔孚,裕,无咎。 초육(初六)은 나아감이 꺽이는 듯 함과 같으니 곧아야 길하고, 믿음이 없더라도 여유로워야 허물이 없다. 【王弼 注】 處順之初,應明其始,明順之德,於斯將隆。進明退順,不失其正,故曰晉如摧如貞吉也。處卦之始,功業未著,物未之信,故曰罔孚。方踐卦始,未至履位,以此為足,自喪其長者也。故必裕之,然後无咎。 【왕필 주】 순함의 처음에 처하고 그 시작을 밝음에 응(應)하며 순함의 덕(德)이 밝으니 여기에서 장차 높아진다. 밝음에 나아가고 순함에 물러나면 그 바름을 잃지 않기 때문에 "나아가는 듯 꺽이는 듯하니 곧아야 길하다."라고 말했다. 괘(卦)의 시작에 처하고 공로의 업이 아직 드러나지 않아서 남[사물]이 아직 믿지 않기 때문에 "믿음이 없다."라고 말했다. 바야흐로 괘(卦)의 시작을 밟고 지위를 이행함에 이르지 못하는데, 이것을 가지고 만족하게 여기면 스스로 그 자라남을 상실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반드시 넉넉하게 하고서 그러한 뒤에야 허물이 없음이다. |
[孔穎達 疏]「初六晉如摧如」至「無咎」。 ○正義曰:「晉如摧如貞吉」者,何氏云:「摧,退也。裕,寬也。如,辭也。」初六處順之初,「應明之始,明順之德,於斯將隆」,進則之明,退則居順,進之與退,不失其正,故曰「晉如摧如貞吉」也。「罔孚」者,處卦之始,功業未著,未為人所信服,故曰「罔孚」。「裕無咎」者,裕,寬也。「方踐卦始,未至履位」,不可自以為足也,若以此為足,是「自喪其長」也。故必宜寬裕其德,使功業弘廣,然後「無咎」,故曰「裕無咎」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초육진여최여(初六晉如摧如)에서 무구(无咎)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나아감이 꺽이는 듯 함과 같으니 곧아야 길하고[晉如摧如 貞吉]”라는 것은, 하씨[何氏(何妥)]가 이르기를 “최(摧,꺾을 최)는 물러감이고, 유(裕, 넉넉할 유)는 넉넉함이며, 여(如)는 어조사이다.”라고 하였다. 초육(初六)이 순함의 처음에 처하고 그 시작을 밝음에 응(應)하며 순함의 덕(德)이 밝으니 여기에서 장차 높아지니, 나아가면 밝음에 가고 물러나면 순함에 거주하여, 나아고 물러남에 그 바름을 잃지 않기 때문에 “나아감이 꺽이는 듯 함과 같으니 곧아야 길하다[晉如摧如 貞吉]”라고 말한 것이다. “믿음이 없더라도[罔孚]”라는 것은, 괘(卦)의 시작에 처하여 공업(功業)이 아직 드러나지 않아서 남들이 믿고 복종을 하는 바가 아니기 때문에 “믿음이 없다[罔孚]”라고 말한 것이다. “여유로워야 허물이 없다[裕 无咎]”라는 것은, ‘유(裕, 넉넉할 유)’는 넉넉함이며, 바야흐로 괘(卦)의 시작을 밟고 지위를 이행함에 이르지 못하는데 스스로 만족하게 여겨서는 안 되며, 만약 이것을 가지고 만족을 하면 바로 “스스로 그 자라남을 상실함[自喪其長]”이다. 그러므로 반드시 그 덕(德)을 마땅히 너그럽고 넉넉하게 하여 공업(功業)을 크고 넓어지게 한 뒤에야 “허물이 없음[無咎]”이기 때문에 “넉넉하게 하면 허물이 없다[裕無咎]”라고 말한 것이다.」 |
《象》曰:晉如摧如,獨行正也。裕无咎,未受命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나아가고 꺽이는 듯함은, 홀로 바름을 행함이다. 여유로워야 허물이 없음은, 아직 명(命)을 받지 않았음이다.” 【王弼 注】 未得履位,未受命也。 【왕필 주】 아직 지위에 밟지 못하여 아직 명(命)을 받지 못했음이다. |
[孔穎達 疏]「《象》曰「至」未受命也」。 ○正義曰:「獨行正」者,獨猶專也,言進與退,專行其正也。「裕無咎未受命也」者,進之初,未得履位,未受錫命,故宜寬裕進德,乃得「無咎」。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상왈(象曰)에서 미수명야(未受命也)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홀로 바름을 행함이다[獨行正]”라는 것의, ‘독(獨)’은 오로지와 같으며, 나아가고 물러남에 오로지 그 바름을 행함을 말한 것이다. “여유로워야 허물이 없음은, 아직 명(命)을 받지 않았음이다[裕无咎 未受命也]”라는 것은, 나아감의 처음이니 아직 지위를 밟지 못해서 하사하는 명(命)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마땅히 나아가는 덕(德)을 너그럽고 부드럽게 해야 비로소 “허물 없음[無咎]”을 얻는다.」 |
[孔穎達 疏] 「初六晉如摧如」至「無咎」。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초육진여최여(初六晉如摧如)에서 무구(无咎)까지.}
○正義曰:「晉如摧如貞吉」者,何氏云:「摧,退也。裕,寬也。如,辭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나아감이 꺽이는 듯 함과 같으니 곧아야 길하고[晉如摧如 貞吉]”라는 것은, 하씨[何氏(何妥)]가 이르기를 “최(摧,꺾을 최)는 물러감이고, 유(裕, 넉넉할 유)는 넉넉함이며, 여(如)는 어조사이다.”라고 하였다.
初六,處順之初,應明之始,明順之德,於斯將隆,進則之明,退則居順,進之與退,不失其正,故曰「晉如摧如貞吉」也。
초육(初六)이 순함의 처음에 처하고 그 시작을 밝음에 응(應)하며 순함의 덕(德)이 밝으니 여기에서 장차 높아지니, 나아가면 밝음에 가고 물러나면 순함에 거주하여, 나아고 물러남에 그 바름을 잃지 않기 때문에 “나아감이 꺽이는 듯 함과 같으니 곧아야 길하다[晉如摧如 貞吉]”라고 말한 것이다.
「罔孚」者,處卦之始,功業未著,未為人所信服,故曰「罔孚」。
“믿음이 없더라도[罔孚]”라는 것은, 괘(卦)의 시작에 처하여 공업(功業)이 아직 드러나지 않아서 남들이 믿고 복종을 하는 바가 아니기 때문에 “믿음이 없다[罔孚]”라고 말한 것이다.
「裕無咎」者,裕,寬也。「方踐卦始,未至履位」,不可自以為足也,若以此為足,是「自喪其長」也。
“여유로워야 허물이 없다[裕 无咎]”라는 것은, ‘유(裕, 넉넉할 유)’는 넉넉함이며, 바야흐로 괘(卦)의 시작을 밟고 지위를 이행함에 이르지 못하는데 스스로 만족하게 여겨서는 안 되며, 만약 이것을 가지고 만족을 하면 바로 “스스로 그 자라남을 상실함[自喪其長]”이다.
故必宜寬裕其德,使功業弘廣,然後「無咎」,故曰「裕無咎」也。
그러므로 반드시 그 덕(德)을 마땅히 너그럽고 넉넉하게 하여 공업(功業)을 크고 넓어지게 한 뒤에야 “허물이 없음[無咎]”이기 때문에 “넉넉하게 하면 허물이 없다[裕無咎]”라고 말한 것이다.」
六二,晉如愁如,貞吉。受茲介福,于其王母。 육이(六二)는 나아감이 근심함과 같으니 곧아야 길하고, 이 큰 복을 왕모(王母)에게서 받는다. 【王弼 注】 進而无應,其德不昭,故曰晉如愁如。居中得位,履順而正,不以无應而回其志,處晦能致其誠者也。脩德以斯,聞乎幽昧,得正之吉也,故曰貞吉。母者,處內而成德者也。鳴鶴在陰則其子和之,立誠於闇,闇亦應之,故其初愁如。履貞不回,則乃受茲大福于其王母也。 【왕필 주】 나아가면서 응(應)이 없고 그 덕(德)이 밝지 않기 때문에 "나아감이 근심함과 같다.”라고 말한 것이다. 가운데 거주하고 지위를 얻어 순함을 이행하면서 바르니 응(應)이 없음으로서도 그 뜻을 돌리지 않으며 어둠에 처함에도 그 성실함을 잘 이루는 자이다. 덕(德)을 이렇게 닦으면 그윽하고 어두움에서도 들려지니, 바름의 길함을 얻는다. 그러므로 “곧아야 길하다.”라고 말했다. ‘모(母)’라는 것은, 안에 처하면서 덕(德)을 이루는 자이다. 학(鶴)이 어두움[음지]에 있으면서 울어도 그 새끼가 화답하는데, 어두움에서 성실함을 세우면 어둠이 또한 응(應)을 하기 때문에 그 처음은 근심하는 듯 하지는데, 곧음을 이행함을 돌리지 않으면 마침내 이 큰 복(福)을 그 왕모(王母)에게서 받는다. |
[孔穎達 疏]「六二晉如愁如」至「于其王母」。 ○正義曰:「晉如愁如」者,六二進而無應於上,其德不見昭明,故曰「進如愁如」,憂其不昭也。「貞吉」者,然履順居於中正,不以無應而不脩其德,正而獲吉,故曰「貞吉」也。「受茲介福于其王母」者,介者,大也。母者,處內而成德者也。初雖「愁如」,但守正不改,終能受此大福於其所脩,故曰「受茲介福於其王母」。 ○注「進而無應」至「于其王母也」。 ○正義曰:「鳴鶴在陰則其子和之」者,此王用《中孚》九二爻辭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육이진여수여(六二晉如愁如)에서 우기왕모(于其王母)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나아감이 근심함과 같다[晉如愁如]”라는 것은, 육2(六二)가 나아가면서 위에 응(應)이 없으니 그 덕(德)이 밝음이 빛남을 보지 못하기 때문에 “나아감이 근심함과 같다[晉如愁如]”라고 말하였으며, 그 밝지 못함을 근심하는 것이다. “곧아야 길하고[貞吉]”라는 것은, 그러나 순함을 이행하고 가운데 바름에 거주하여, 응(應)이 없음으로 해서 그 덕(德)을 닦지 않지는 않으며 바로잡아서 길함을 얻기 때문에 “곧아야 길하다[貞吉]”라고 말한 것이다. “이 큰 복을 왕모(王母)에게서 받는다[受玆介福于其王母]”라는 것의, ‘개(介, 낄 개)’라는 것은, 큼이고, ‘모(母)’라는 것은, 안에 처하여서 덕(德)을 이룬 자이다. 처음은 비록 근심하지만, 다만 바름을 지키고 고치지 않으면 끝내 이 큰 복을 그 닦은 바에 잘 받기 때문에 “이 큰 복을 왕모에게서 받는다[受玆介福于其王母]”라고 말한 것이다.」 ○ 【왕필 주(王弼 注)】의 “진이무응(進而无應)에서 우기왕모야(于其王母也)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학(鶴)이 어두움[음지]에 있으면서 울어도 그 새끼가 화답한다[鳴鶴在陰 則其子和之]”라는 것은, 이는 왕보사(王輔嗣)가 중부(中孚)괘 구2(九二)의 효사(爻辭)를 사용한 것이다.」 |
《象》曰:受茲介福,以中正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이 큰 복(福)을 받음은, 가운데로서 바름이다." |
[孔穎達 疏] 「六二晉如愁如」至「于其王母」。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육이진여수여(六二晉如愁如)에서 우기왕모(于其王母)까지.}
○正義曰:「晉如愁如」者,六二進而無應於上,其德不見昭明,故曰「進如愁如」,憂其不昭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나아감이 근심함과 같다[晉如愁如]”라는 것은, 육2(六二)가 나아가면서 위에 응(應)이 없으니 그 덕(德)이 밝음이 빛남을 보지 못하기 때문에 “나아감이 근심함과 같다[晉如愁如]”라고 말하였으며, 그 밝지 못함을 근심하는 것이다.
「貞吉」者,然履順居於中正,不以無應而不脩其德,正而獲吉,故曰「貞吉」也。
“곧아야 길하고[貞吉]”라는 것은, 그러나 순함을 이행하고 가운데 바름에 거주하여, 응(應)이 없음으로 해서 그 덕(德)을 닦지 않지는 않으며 바로잡아서 길함을 얻기 때문에 “곧아야 길하다[貞吉]”라고 말한 것이다.
「受茲介福于其王母」者,介者,大也。母者,處內而成德者也。初雖「愁如」,但守正不改,終能受此大福於其所脩,故曰「受茲介福於其王母」。
“이 큰 복을 왕모(王母)에게서 받는다[受玆介福于其王母]”라는 것의, ‘개(介, 낄 개)’라는 것은, 큼이고, ‘모(母)’라는 것은, 안에 처하여서 덕(德)을 이룬 자이다. 처음은 비록 근심하지만, 다만 바름을 지키고 고치지 않으면 끝내 이 큰 복을 그 닦은 바에 잘 받기 때문에 “이 큰 복을 왕모에게서 받는다[受玆介福于其王母]”라고 말한 것이다.」
○ 【왕필 주(王弼 注)】의 “진이무응(進而无應)에서 우기왕모야(于其王母也)까지”
○正義曰:「鳴鶴在陰則其子和之」者,此王用《中孚》九二爻辭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학(鶴)이 어두움[음지]에 있으면서 울어도 그 새끼가 화답한다[鳴鶴在陰 則其子和之]”라는 것은, 이는 왕보사(王輔嗣)가 중부(中孚)괘 구2(九二)의 효사(爻辭)를 사용한 것이다.」
六三,眾允,悔亡。 육삼(六三)은 여럿이 믿어주니, 후회가 없다. 【王弼 注】 處非其位,悔也。志在上行,與眾同信,順而麗明,故得悔亡也。 【왕필 주】 그 지위가 아닌데 처하여 후회하지만, 뜻이 위로 행함에 있고 여럿이 믿음을 함께하며 순종하면서 밝음을 붙좇기 때문에 후회가 없어짐을 얻는다. |
[孔穎達 疏]正義曰:六三, 處非其位,有悔也。志在上行,與眾同信,順而麗明,故得其悔亡。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육3(六三)은, 그 지위가 아닌데 처하여 후회를 하지만, 뜻이 위로 행함에 있고 여럿이 믿음을 함께하며 순종하면서 밝음을 붙좇기 때문에 후회가 없어짐을 얻는다. |
《象》曰:眾允之,志上行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여럿이 믿어주는 것은, 뜻이 위로 가는 것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居晉之時,眾皆欲進,巳應於上,志在上行,故能與眾同信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나아감[晉]의 때에 거주하여 무리가 모두 나아가고자 하는데, 자기가 상구(上九)에 응(應)하여 뜻이 위로 나아감에 있기 때문에 여럿이 더블어 함께 잘 믿는 것이다.」 |
九四,晉如鼫鼠,貞厲。 구사(九四)는 나아감이 돌쥐[鼫鼠]와 같으니, 곧으면 위태롭다. 【王弼 注】 履非其位,上承於五,下據三陰。履非其位,又負且乘,无業可安,志无所據,以斯為進,正之危也。進如鼫鼠,无所守也。 【왕필 주】 그 지위가 아닌데 밟고서 위쪽의 육5(六五)를 받들고 아래로 세 음(陰)에 근거한다. 그 지위가 아닌데를 밟고서 또 짊어지고 또 오르니 사업이 편안 할 수 없고 뜻은 근거할 곳이 없으며 이렇게 함으로써 나아가게 되면 바르게 함이 위태롭다. 나아감이 돌쥐와 같음은 지키는 곳이 없음이다. |
[孔穎達 疏]「九四晉如鼫鼠,貞厲」。 ○正義曰:「晉如鼫鼠」者,鼫鼠有五能而不成伎之蟲也。九四履非其位,上承於五,下據三陰,上不許其承,下不許其據,以斯為進,無業可安,無據可守,事同鼫鼠,無所成功也。以斯為進,正之危也,故曰「晉如鼫鼠,貞厲」也。 ○注「履非其位」至「無所守也」。 ○正義曰:「晉如鼫鼠無所守也」者,蔡邕《勸學篇》云:「鼫鼠五能不成一伎術。」《注》曰:「能飛不能過屋,能綠不能窮木,能游不能度穀,能穴不能掩身,能走不能先人。」《本草經》云:「螻蛄一名鼫鼠」,謂此也。鄭引《詩》云:「碩鼠碩鼠,無食我黍。」謂大鼠也。陸機以為「雀鼠」。案:王以為「無所守」,蓋五伎者當之。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구사진여석서정려(九四晉如鼫鼠貞厲)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나아감이 돌쥐와 같으니[晉如鼫鼠]”라는 것은, ‘석서(鼫鼠)’는 다섯 가지 잘함이 있으나 재능(才能)을 이루지 못한 벌레(동물)이다. 구4(九四)가 그 지위가 아님을 밟고 위로 육5(六五)를 받들며 아래로 세 음(陰)에 근거하고 있으니, 위에서는 그 받듦을 허락하지 않고 아래에서는 그 근거함을 허락하지 않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나아가려고 하니 편안 할 수 있는 업(業)이 없고 지킬 만한 근거가 없으며, 일이 돌쥐[鼫鼠]와 같아 공(功)을 이루는 바가 없다. 이렇게 함으로써 나아가게 되면 바름이 위태롭다. 그러므로 “나아감이 돌쥐[鼫鼠]와 같으니, 곧으면 위태롭다[晉如鼫鼠,貞厲]”라고 한 것이다.」 ○ 【왕필 주(王弼 注)】의 “리비기위(履非其位)에서 무소수야(无所守也)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나아감이 돌쥐와 같음은 지키는 곳이 없음이다[晉如鼫鼠 无所守也]”라는 것은, 채옹(蔡邕)의 〈권학편(勸學篇)〉에 이르기를 “돌쥐[鼫鼠]는 다섯 가지를 잘하는데 한 가지 기술도 이루지는 못한다.”라고 하였는데, 주(注)에 “잘 날지만 지붕을 잘 넘지 못하고, 푸른데는 잘하지만 나무 끝까지 올라가지 못하며, 헤엄을 잘 치지만 곡식을 잘 헤아리지 못하고, 구멍을 잘 파지만 자신을 잘 숨기지 못하며, 도망을 잘 가지만 사람보다 앞서지는 못한다.”라고 말을 하였다. ≪본초경(本草經)≫에 이르기를 “땅강아지[누고(螻蛄)]는 하나의 석서(鼫鼠)의 이름이다.”라고 했는데, 이것을 말함이다.”라고 하였다. 정현(鄭玄)은 ≪시경(詩經)≫에 이르기를 “큰 쥐[碩鼠]야 큰 쥐야, 내 기장을 먹지 마라.”라고 한 것을 인용하여 큰 쥐[大鼠]라고 말하였고, 육기(陸機)는 “작서(雀鼠)”라고 여겼다. 살펴보건대 왕보사(王輔嗣)는 “지키는 바가 없다[無所守]”라고 여겼으니, 대체로 다섯 가지 기예를 가진 것[쥐]이 합당하다.」 |
《象》曰:鼫鼠貞厲,位不當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돌쥐가 곧으면 위태로움은, 자리가 마땅하지 않음이다." |
[孔穎達 疏] 「九四晉如鼫鼠,貞厲」。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구사진여석서정려(九四晉如鼫鼠貞厲)까지.}
○正義曰:「晉如鼫鼠」者,鼫鼠有五能而不成伎之蟲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나아감이 돌쥐와 같으니[晉如鼫鼠]”라는 것은, ‘석서(鼫鼠)’는 다섯 가지 잘함이 있으나 재능(才能)을 이루지 못한 벌레(동물)이다.
九四履非其位,上承於五,下據三陰,上不許其承,下不許其據,以斯為進,無業可安,無據可守,事同鼫鼠,無所成功也。
구4(九四)가 그 지위가 아님을 밟고 위로 육5(六五)를 받들며 아래로 세 음(陰)에 근거하고 있으니, 위에서는 그 받듦을 허락하지 않고 아래에서는 그 근거함을 허락하지 않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나아가려고 하니 편안 할 수 있는 업(業)이 없고 지킬 만한 근거가 없으며, 일이 돌쥐[鼫鼠]와 같아 공(功)을 이루는 바가 없다.
以斯為進,正之危也,故曰「晉如鼫鼠,貞厲」也。
이렇게 함으로써 나아가게 되면 바름이 위태롭다. 그러므로 “나아감이 돌쥐[鼫鼠]와 같으니, 곧으면 위태롭다[晉如鼫鼠,貞厲]”라고 한 것이다.」
○注「履非其位」至「無所守也」。
○ 【왕필 주(王弼 注)】의 “리비기위(履非其位)에서 무소수야(无所守也)까지”
○正義曰:「晉如鼫鼠無所守也」者,蔡邕《勸學篇》云:「鼫鼠五能不成一伎術。」《注》曰:「能飛不能過屋,能綠不能窮木,能游不能度穀,能穴不能掩身,能走不能先人。」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나아감이 돌쥐와 같음은 지키는 곳이 없음이다[晉如鼫鼠 无所守也]”라는 것은, 채옹(蔡邕)의 〈권학편(勸學篇)〉에 이르기를 “돌쥐[鼫鼠]는 다섯 가지를 잘하는데 한 가지 기술도 이루지는 못한다.”라고 하였는데, 주(注)에 “잘 날지만 지붕을 잘 넘지 못하고, 푸른데는 잘하지만 나무 끝까지 올라가지 못하며, 헤엄을 잘 치지만 곡식을 잘 헤아리지 못하고, 구멍을 잘 파지만 자신을 잘 숨기지 못하며, 도망을 잘 가지만 사람보다 앞서지는 못한다.”라고 말을 하였다.
《本草經》云:「螻蛄一名鼫鼠」,謂此也。
≪본초경(本草經)≫에 이르기를 “땅강아지[누고(螻蛄)]는 하나의 석서(鼫鼠)의 이름이다.”라고 했는데, 이것을 말함이다.”라고 하였다.
鄭引《詩》云:「碩鼠碩鼠,無食我黍。」謂大鼠也。陸機以為「雀鼠」。
정현(鄭玄)은 ≪시경(詩經)≫에 이르기를 “큰 쥐[碩鼠]야 큰 쥐야, 내 기장을 먹지 마라.”라고 한 것을 인용하여 큰 쥐[大鼠]라고 말하였고, 육기(陸機)는 “작서(雀鼠)”라고 여겼다.
案:王以為「無所守」,蓋五伎者當之。
살펴보건대 왕보사(王輔嗣)는 “지키는 바가 없다[無所守]”라고 여겼으니, 대체로 다섯 가지 기예를 가진 것[쥐]이 합당하다.」
六五,悔亡,失得勿恤。往吉,无不利。 육오(六五)는 후회가 없어지니, 잃고 얻음을 근심하지 말고, 가면 길하며 이롭지 않음이 없다. 【王弼 注】 柔得尊位,陰為明主,能不用察,不代下任也。故雖不當位,能消其悔。失得勿恤,各有其司,術斯以往,无不利也。 【왕필 주】 부드러움이 높은 지위를 얻고 음(陰)이 밝음의 주체가 되어 잘 살펴서 쓰지 않으면 아래가 대신 임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비록 자리가 마땅하지 않아도 그 후회를 잘 소멸시킨다. 잃고 얻음을 근심하지 말라함은, 각각 그 맡음이 있으니 이러한 술수(術數)로 가면 이롭지 않음이 없다. |
[孔穎達 疏]「《象》曰鼫鼠」至「無不利」。 ○正義曰:「悔亡失得勿恤往吉無不利」者,居不當位,悔也。「柔得尊位,陰為明主」,能不自用其明,以事委任於下,故得「悔亡」。既以事任下,委物責成,失之與得,不須憂恤,故曰「失得勿恤」也。能用此道,所往皆吉而無不利,故曰「往吉無不利」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상왈석서(象曰鼫鼠)에서 무불리(无不利)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후회가 없어지니, 잃고 얻음을 근심하지 말고, 가면 길하며 이롭지 않음이 없다[悔亡 失得勿恤 往 吉 无不利]”라는 것은, 거주함이 지위가 마땅하지 않음은 후회함이다. “부드러움이 높은 자리를 얻고 음(陰)이 밝음의 주체가 됨[柔得尊位,陰為明主]”은, 스스로 그 밝음을 잘 쓰지 않고 그로써 일을 아래에 위임하기 때문에 “후회가 없음[悔亡]”을 얻는 것이다. 이미 그로써 일을 아랫사람에게 맡기고 남[사물]에게 위임하여 이룸을 책임 지우면 잃는 것과 얻음을 결국 근심하여 불쌍하지 않기 때문에 “잃음과 얻음을 근심하지 말라[失得勿恤]”라고 말한 것이다. 이러한 도(道)를 잘 사용하면 가는 곳이 모두 길하여서 이롭지 않음이 없기 때문에 “가면 길하여 이롭지 않음이 없다[往吉無不利]”라고 말한 것이다.」 |
《象》曰:失得勿恤,往有慶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잃고 얻음을 근심하지 말라함은, 가면 경사가 있음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有慶」者,委任得人,非惟自得無憂,亦將人所慶說,故曰「有慶」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경사가 있음[有慶]”라는 것은, 위임(委任)을 하여 사람을 얻으면 오직 자신의 근심이 없음을 얻을 뿐만 아니고, 또한 장차 남들이 경사를 말하하는 바이기 때문에 “경사가 있다[有慶]”라고 말한 것이다.」 |
[孔穎達 疏] 「《象》曰鼫鼠」至「無不利」。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상왈석서(象曰鼫鼠)에서 무불리(无不利)까지.}
○正義曰:「悔亡失得勿恤往吉無不利」者,居不當位,悔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후회가 없어지니, 잃고 얻음을 근심하지 말고, 가면 길하며 이롭지 않음이 없다[悔亡 失得勿恤 往 吉 无不利]”라는 것은, 거주함이 지위가 마땅하지 않음은 후회함이다.
「柔得尊位,陰為明主」,能不自用其明,以事委任於下,故得「悔亡」。
“부드러움이 높은 자리를 얻고 음(陰)이 밝음의 주체가 됨[柔得尊位,陰為明主]”은, 스스로 그 밝음을 잘 쓰지 않고 그로써 일을 아래에 위임하기 때문에 “후회가 없음[悔亡]”을 얻는 것이다.
既以事任下,委物責成,失之與得,不須憂恤,故曰「失得勿恤」也。
이미 그로써 일을 아랫사람에게 맡기고 남[사물]에게 위임하여 이룸을 책임 지우면 잃는 것과 얻음을 결국 근심하여 불쌍하지 않기 때문에 “잃음과 얻음을 근심하지 말라[失得勿恤]”라고 말한 것이다.
能用此道,所往皆吉而無不利,故曰「往吉無不利」也。
이러한 도(道)를 잘 사용하면 가는 곳이 모두 길하여서 이롭지 않음이 없기 때문에 “가면 길하여 이롭지 않음이 없다[往吉無不利]”라고 말한 것이다.」
上九,晉其角,維用伐邑。厲吉无咎,貞吝。 상구(上九)는 그 뿔이 나아감이니, 오직 고을을 정벌함에만 사용한다. 위태롭지만 길하고 허물이 없으며, 곧으면 부끄럽다. 【王弼 注】 處進之極,過明之中,明將夷焉。已在乎角,而猶進之,非亢如何?失夫道化无為之事,必須攻伐然後服邑。危乃得吉,吉乃无咎,用斯為正,亦以賤矣。 【왕필 주】 나아감의 꼭대기에 처하고 밝음의 가운데를 지나치니 밝음이 장차 이곳에서 소멸한다. 자기가 뿔에 있으면서 오히려 나아가려 하니 높음이 아니면 무었인가? 그 도(道)가 함이 없음의 일에 달라짐을 잃으니 반드시 모름지기 공격하여 벌한 연후에야 고을이 복종한다. 위태함은 이에 길함을 얻고 길함은 이에 허물이 없으며 이것을 사용하여 바르게 되니 또한 그로써 천함이다. |
[孔穎達 疏]「上九,晉其角」至「貞吝」。 ○正義曰:「晉其角」者,西南隅也。上九處晉之極,過明之中,其猶日過於中,巳在於角而猶進之,故曰「進其角」也。「維用伐邑」者,在角猶進,過亢不巳,不能端拱無為,使物自服,必須攻伐其邑,然後服之,故云「維用伐邑」也。「厲吉無咎貞吝」者,兵者兇器,伐而服之,是危乃得吉,吉乃無咎,故曰「厲吉無咎」。以此為正,亦以賤矣,故曰「貞吝」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상구진기각(上九晉其角)에서 정인(貞吝)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그 뿔이 나아감이니[晉其角]”라는 것은, 서남(西南)쪽 모퉁이이다. 상구(上九)가 진(晉)의 꼭대기에 처하고 밝음의 가운데[中]을 지나서 오히려 해가 중천을 지나갔으니, 이미 뿔에 있이면서 오히려 나아가기 때문에 “그 뿔이 나아간다[晉其角]”라고 말한 것이다. “오직 고을을 정벌함에만 사용한다[維用伐邑]”라는 것은, 뿔에 있으면서 오히려 나아가 지나치게 높은데도 그치지 않으니, 단정히 공수(拱手)를 함이 없고 남[사물]들로 하여금 스스로 복종을 잘하지 않으니, 반드시 결국 그 고을을 공격하여 정벌한 연후에야 복종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르기를 “오직 고을을 정벌함에만 사용한다[維用伐邑]”라고 한 것이다. “위태롭지만 길하고 허물이 없으며, 곧으면 부끄럽다[厲吉 无咎 貞吝]”라는 것은, 병기[兵]라는 것은 흉한 기물이니, 정벌하여서 복종을 시킴은 바로 위태로워야 비로소 길함을 얻고, 길해야 마침내 허물이 없기 때문에 “위태롭지만 길하고 허물이 없다[厲吉無咎]”라고 말한 것이다. 이것을 가지고 바름으로 삼으면 또한 그로써 천해 진다, 그러므로 “곧으면 인색하다[貞吝]”라고 말한 것이다.」 |
《象》曰:維用伐邑,道未光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오직 고을을 정벌함에만 사용함은, 도(道)가 아직 빛나지는 않았음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道未光也」者,用伐乃服,雖得之,其道未光大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도(道)가 아직 빛나지는 않았음이다[道未光也]”라는 것은, 정벌을 사용하여 비로소 복종하니, 비록 얻더라도 그 도(道)가 크게 빛나지는 않음이다.」 |
[孔穎達 疏] 「上九,晉其角」至「貞吝」。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상구진기각(上九晉其角)에서 정인(貞吝)까지.}
○正義曰:「晉其角」者,西南隅也。上九處晉之極,過明之中,其猶日過於中,巳在於角而猶進之,故曰「進其角」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그 뿔이 나아감이니[晉其角]”라는 것은, 서남(西南)쪽 모퉁이이다. 상구(上九)가 진(晉)의 꼭대기에 처하고 밝음의 가운데[中]을 지나서 오히려 해가 중천을 지나갔으니, 이미 뿔에 있이면서 오히려 나아가기 때문에 “그 뿔이 나아간다[晉其角]”라고 말한 것이다.
「維用伐邑」者,在角猶進,過亢不巳,不能端拱無為,使物自服,必須攻伐其邑,然後服之,故云「維用伐邑」也。
“오직 고을을 정벌함에만 사용한다[維用伐邑]”라는 것은, 뿔에 있으면서 오히려 나아가 지나치게 높은데도 그치지 않으니, 단정히 공수(拱手)를 함이 없고 남[사물]들로 하여금 스스로 복종을 잘하지 않으니, 반드시 결국 그 고을을 공격하여 정벌한 연후에야 복종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르기를 “오직 고을을 정벌함에만 사용한다[維用伐邑]”라고 한 것이다.
「厲吉無咎貞吝」者,兵者兇器,伐而服之,是危乃得吉,吉乃無咎,故曰「厲吉無咎」。
“위태롭지만 길하고 허물이 없으며, 곧으면 부끄럽다[厲吉 无咎 貞吝]”라는 것은, 병기[兵]라는 것은 흉한 기물이니, 정벌하여서 복종을 시킴은 바로 위태로워야 비로소 길함을 얻고, 길해야 마침내 허물이 없기 때문에 “위태롭지만 길하고 허물이 없다[厲吉無咎]”라고 말한 것이다.
以此為正,亦以賤矣,故曰「貞吝」也。
이것을 가지고 바름으로 삼으면 또한 그로써 천해 진다, 그러므로 “곧으면 인색하다[貞吝]”라고 말한 것이다.」
'◑주역정의(周易正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 37. 가인괘(家人卦)[卦象:풍화가인]/周易正義 (1) | 2022.10.02 |
---|---|
주역 36. 명이괘(明夷卦)[卦象:지화명이]/周易正義 (0) | 2022.10.01 |
주역 33. 둔괘(遯卦)[卦象:천산둔]/周易正義 (1) | 2022.09.28 |
주역 32. 항괘(恒卦)[卦象:뇌풍항]/周易正義 (1) | 2022.09.26 |
주역 31. 함괘(咸卦)[卦象:택산함]/周易正義 (1) | 2022.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