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왕필 주역주/관괘(觀卦)

○  왕필(王弼.226~249)

()나라 산음(山陰, 산동성) 사람이며 자는 보사(輔嗣)이다. 풍부한 재능을 타고나 유복한 환경에서 자랐기 때문에 일찍 학계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나 24살에 요절한 뛰어난 학자이다.

 

20. 관괘(觀卦)[卦象:풍지관]

 巽上

 坤下

[.]이 아래에 있고, [.바람]이 위에 있다.

 

觀 盥而不薦 有孚 顒若.

(), 손 씻고[降神祭]서 제수(祭需)를 올리지 않아도 믿음이 있어서 엄숙한 듯하다.

 

王弼 注 王道之可觀者莫盛乎宗廟宗廟之可觀者莫盛於盥也至薦簡略, 不足復觀故觀盥而不觀薦也

孔子曰:「禘自既灌而往者, 吾不欲觀之矣。」盡夫觀盛則下觀而化矣故觀至盥則有孚顒若也

왕필 주왕도(王道)의 볼 만한 것은 종묘 보다 성대함이 없고, 종묘(宗廟)의 볼 만한 것은 손 씻기[降神祭] 보다 성대함이 없다. 제수 올림에 이르면 간략하여 다시 보기에는 부족하기 때문에 손 씻기는 볼만 하지만 제수 올림은 볼만하지 않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 제사를 지내는데 이미 강신주(降神酒)를 붓고 부터 지나 간 것은, 내가 보기를 바라지 않는다."라고 하셨는데, 이미 그것의 보임이 성대했다면 아래에서 보고 교화된다. 그러므로 보는데 손씻기[降神祭]에 이르면 믿음이 있어 엄숙한 듯함이다.

 

大觀在上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 "큰 보임은 위에 있으니

王弼 注 下賤而上貴也

왕필 주 아래는 천하고 위쪽은 귀하다.

順而巽中正以觀天下觀盥而不薦有孚顒若下觀而化也觀天之神道而四時不忒聖人以神道設教而天下服矣

순하면서 공손하며 가운데[] 바름으로써 천하에 보여준다. 손씻기[降神祭]를 보았으면 음식을 올리지 않아도 믿음이 있어 엄숙한 듯하여 아래사람들이 보고 교화된다. 하늘의 펼치[]는 도()를 보고서 사시(四時)가 어긋나지 않으니, 성인(聖人)이 그로써 도()를 펼쳐 가르침을 베풀어서 천하가 복종한다.”

王弼 注 統說觀之為道不以刑制使物而以觀感化物者也神則无形者也不見天之使四時而四時不忒不見聖人使百姓而百姓自服也

왕필 주통합하여 설명하면, 보임이 도가 됨은 형벌을 지어서 사물을 부림이 아니며 보고 감동함으로써 사물이 교화되는 것이다. 펼침[]은 곧 모양이 없는 것이며, 하늘이 사시(四時)를 부림이 보이지 않는데도 사시가 어긋나지 않고, 성인(聖人)이 여러 성씨를 부림이 보이지 않는데도 여러 성씨가 스스로 복종한다.

 

風行地上先王以省方觀民設教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바람이 땅 위에 다님이 관()이며, 선왕(先王)이 그로써 사방을 살피고 백성을 보고서 가르침을 베푼다.“

  

 

初六童觀小人无咎君子吝

초육(初六)은 어린아이가 보는데, 소인(小人)은 허물이 없고 군자(君子)는 부끄럽다.

王弼 注 處於觀時而最遠朝美體於陰柔不能自進无所鑒見故曰童觀趣順而已无所能為小人之道也故曰小人无咎君子 處大觀之時而為童觀不亦鄙乎?

왕필 주()의 때에 처하면서 조정의 아름다움에서 가장 멀고, ()에 몸[]이 부드러워서 스스로 잘 나아가지 못하여 거울하여 볼 곳이 없기 때문에 어린아이의 봄[童觀]”이라 말했다. 순종을 뜻할 뿐이며 잘 하는 바가 없으니, 소인(小人)의 도()이다. 그러므로 소인은 허물이 없다[小人无咎]”라고 하였으며, 군자(君子)가 크게 보는[] 때에 처하여서 어린아이를 보려고[童觀] 한다면 또한 비루함이 아니겠는가?

初六 童觀小人道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초육(初六)의 어린아이의 봄은 소인(小人)의 도()이다.”

 

六二闚觀利女貞

육이(六二)는 훔쳐 봄이니, 여자가 곧아야 이롭다.

王弼 注 處在於內寡所鑒見體於柔弱從順而已猶有應焉不為全蒙所見者狹故曰闚觀居內得位柔順寡見故曰利女貞婦人之道也處大觀之時居中得位不能大觀廣鑒闚觀而已誠可醜也

왕필 주처하기를 안[內卦]에 있어서 살펴 보는 바가 적고 몸이 부드럽고 약함에 순하게 따를 뿐이다. 오직 그곳에는 응()이 있어서 온전히 어리석게 되지는 않으니 보는 바가 협소하기 때문에 "훔쳐 봄[闚觀]"이라 말하였다. [內卦]에 거주하며 지위를 얻어서 유순하여 조금 보기 때문에 말하기를 여자가 곧아야 이롭다.”라고 하였으니, 부인의 도()이다. 크게 봄[]의 때에 처하여 가운데[]에 거주하고 지위를 얻었으나 크게 보고 널리 잘 살피지 못하고 엿볼 뿐이니, 진실로 추할 수 있다.

闚觀女貞亦可醜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엿보는 여자의 곧음이 또한 추 할 수 있다."

 

六三觀我生進退

육삼(六三)은 나의 삶을 보고서 나아가고 물러난다.

王弼 注 居下體之極處二卦之際近不比尊遠不童觀觀風者也居此時也可以觀我生進退也

왕필 주[육삼(六三)] 아래 몸[]의 꼭대기에 거주하고 두 괘(二卦; )의 사이에 처하며 가까이 높은데[ ]에 붙지 않고 멀리 어린아이를 보지 않으며 바람[;  ]을 봄[]이다. 거주하는 이 때는 나의 삶을 봄으로서 나아가고 물러남으로 할 수 있다.

觀我生進退未失道也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나의 삶을 보고서 나아가고 물러남은, 아직 도()를 잃지 않았음이다.”

王弼 注 處進退之時以觀進退之幾未失道也

왕필 주나아가고 물러나는 때에 처하고 그로써 나아가고 물러남의 기미를 보는데, 아직 도()를 잃지 않았다.

 

六四觀國之光利用賓于王

육사(六四)는 나라의 빛남을 봄이니, 왕에게 손님이 되어야 이롭다.

王弼 注 居觀之時最近至尊觀國之光者也居近得位明習國儀者也故曰利用賓于王也

왕필 주보는[] 때에 거주하고 지극히 높은데[六五]에 가장 가까우니, 나라의 빛남을 보는 자이다. 지위를 얻어 가까이 거주하여 나라의 거동을 밝게 익힌 자이다, 그러므로 왕에게 손님이 됨이 이롭다.”라고 말하였다.

觀國之光尚賓也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나라의 빛남을 봄은, 손님을 숭상함이다."

 

九五觀我生君子无咎

구오(九五)는 나의 삶을 돌아 봐야 군자의 허물이 없다

王弼 注 居於尊位為觀之主宣弘大化光於四表觀之極者也上之化下猶風之靡草故觀民之俗以察己道百姓有罪在余一人君子風著己乃无咎上為化主將欲自觀乃觀民也

왕필 주높은 지위에 거주하고 관()의 주체이 되어 넓리 베풀고 교화를 크게 하여 세상[四表]에 빛남이 마땅하며 봄[]의 꼭대기가 된 자이다. 위쪽이 아래를 교화함은 바람이 풀을 쓰러뜨림과 같기 때문에 백성의 풍속을 보고 그로써 자기의 도()를 살핀다. 여러 성씨가 죄가 있음은 나 한사람에 있음이니, 군자(君子)의 풍속이 드러나면 자기가 바로 허물이 없다. 위쪽은 교화의 주체가 되니, 장차 자신을 보고자 하면 이에 백성을 보아야 한다.

觀我生觀民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나의 삶을 봄은, 백성을 살펴봄이다.“

 

上九觀其生君子无咎

상구(上九)는 그[백성] 삶을 돌아 봐야 군자(君子)가 허물이 없다

王弼 注 觀我生自觀其道者也觀其生為民所觀者也不在於位最處上極高尚其志為天下所觀者也處天下所觀之地可不慎乎故君子德見乃得无咎猶動出也

왕필 주나의 삶을 봄은 스스로 그 도()를 보는 것이며, 그 삶을 봄은 백성이 보는 바가 된 자이다. 지위에 있지 않으면서 가장 위쪽 꼭대기에 처하며 그 뜻함은 오히려 높으니 천하가 보는 바가 된 자이다. 천하를 보는 바의 지위[]에 처하였으니 삼가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군자가 덕()을 보이면 이에 허물 없음을 얻는다. ()은 움직여 나감과 같다.

觀其生志未平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그 삶을 봄은, 뜻이 화평하지 못함이다.”

王弼 注 特處異地為眾所觀不為平易和光流通志未平也

왕필 주】 특히 다른 자리[]에 처하여 무리가 보는 바가 되어서 화평하게 바뀌려고 하지 않으니, 빛이 어울려 통하여 흐르지만 뜻이 화평하지 못한 것이다.

 

 ()대야 관, ()천거할 천, ()엄숙할 옹, ()같을 약 順也, ()엿볼 규,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