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주역(周易)/3.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 56. 려괘(旅卦)[卦象:화산려]/周易正義

by 석담 김한희 2022. 10. 28.
728x90

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 주()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56. 려괘(旅卦)[卦象:화산려]

 離上

 艮下

()[.]이 아래에 있고, ()[.]가 위에 있다.

 

小亨旅貞吉
()는 조금 형통하니나그네는 곧아야 길하다


王弼 注】 不足全夫貞吉之道唯足以為旅之貞吉故特重曰旅貞吉也
왕필 주】 그 곧음이 길함의 도()를 온전히 하기는 부족하고오직 나그네가 곧음을 실천함으로써 길함이 넉넉하기 때문에 특히 거듭 말하기를 "나그네는 곧아야 길하다."라고 했음이다.
 [孔穎達 疏]正義曰旅者客寄之名羈旅之稱失其本居而寄他方謂之為旅既為羈旅苟求僅存雖得自通非甚光大之為義小亨而巳故曰小亨」。羈旅而獲小亨是旅之正吉故曰貞吉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나그네[나그네 려]”라는 것은손님이 기숙함[客寄]의 이름이고말고삐 잡은 나그네[羈旅]를 칭함이며그 근본 거주지를 잃고서 다른 지방에 기숙함을 일컫기를 나그네[]’라 한다이미 말고삐 잡은 나그네[羈旅]가 되어 진실로 겨우 생존하기를 구하면 비록 스스로 통함을 얻더라도 매우 광대(光大)함은 아니기 때문에 나그네[]”의 뜻이 되어 조금 형통에 그치기 때문에 ()는 조금 형통하다[小亨]”라고 말한 것이다.
말고삐 잡은 나그네[羈旅]인데도 조금 형통함을 얻음은바로 나그네의 바름이 길하기 때문에 나그네는 곧아야 길하다[貞吉]”라고 말한 것이다.

 

小亨柔得中乎外而順乎剛止而麗乎明是以小亨旅貞吉也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 “나그네[]가 조금 형통함은부드러움이 밖에서 가운데[]를 얻어서 굳셈에 순종하고그쳐서 밝음에 붙는데이로써 조금 형통하니 나그네[]가 곧아야 길함이다.


王弼 注】 夫物失其主則散柔乘於剛則乖既乖且散物皆羈旅何由得小亨而貞吉乎夫陽為物長而陰皆順陽唯六五乘剛而復得中乎外以承於上陰各順陽不為乖逆止而麗明動不履妄雖不及剛得尊位恢弘大通是以小亨令附旅者不失其正得其所安也
왕필 주】 대저 사물은 그 주인을 잃으면 흩어지고부드러움이 굳셈을 올라타면 어그러지는데이미 어긋나고 또 흩어져 사물이 모두 객지의 나그네이니무엇을 말미암아 조금 형통하여서 곧아야 길함을 얻겠는가대저 양()은 사물의 우두머리가 되어서 음()이 모두 양()을 따른데오직 육5(六五)가 굳셈을 타고서 다시 밖에서 가운데[]를 얻어 그로써 윗쪽을 받든다()이 각각 양()을 따르고 어긋나고 거스르지 않으며그쳐서 밝음에 붙어 움직임이 망령됨을 행하지 않으니비록 굳셈이 높은 지위를 얻어 키우고 넓혀 크게 통함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이를 가지고 조금 형통하다나그네에게 붙은 자들로 하여금 그 바름을 잃지 않게 하니 그 편안한 바를 얻은 것이다.
[孔穎達 疏]「《貞吉也」。
正義曰:「小亨文也柔得中乎外而順乎剛止而麗乎明是以小亨」。「旅貞吉此就六五及二體釋旅得亨貞之義柔處於外弱而為客之象若所?不得其主得主而不能順從則乖逆而離散何由得自通而貞吉乎今柔雖處外而得中順陽則是得其所?而順從於主又止而麗明動不履妄故能於寄旅之時得通而正不失所安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의 {단왈(彖曰)에서 정길야(貞吉也)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나그네[]가 조금 형통함[旅 小亨]”라는 것은()의 글을 든 것이다.
부드러움이 밖에서 가운데[]를 얻고서 굳셈을 따르며 그치고서 밝음에 붙으니 이로써 조금 형통함[小亨]”이다.
나그네가 곧아야 길함이다[旅貞吉]”라는 것은이는 육5(六五)와 두 몸[(艮卦離卦)]를 가지고 나그네[]가 곧아야 형통함을 얻얻음의 뜻을 해석함인데부드러움이 밖에 처함은 약하여서 나그네가 된 모습[]이니의탁하는 바에 그 주인을 얻지 못함과 같으며 주인을 얻더라도 잘 순종하지 않으면 어긋나고 거슬러서 흩어져 떠나는데무엇을 말미암아 스스로 통하여서 곧아야 길함을 얻겠는가?
지금 부드러움이 비록 밖에 처했으나 가운데[]를 얻고 양()에게 순종하면 바로 그 의탁할 바를 얻어서 주인에게 순종하며또 그쳐서 밝음에 붙어 움직임이 망령됨을 행하지 않기 때문에 나그네[]가 기숙(寄宿)을 하는 때이니 통함을 얻어서 바루어 편안한 바를 잘 잃지 않는 것이다.
旅之時義大矣哉
나그네[]의 때와 뜻함이 크도다!


王弼 注】 旅者大散物皆失其所居之時也咸失其居物願所附豈非知者有為之時
왕필 주】 나그네[]라는 자는 크게 흩어져서사람[사물]들이 모두 그 거주하는 바의 때를 잃는다모두 그 거주를 잃으니 사람[사물]들이 붙을 곳을 원하지만 어찌 지혜로운 자는 일함의 때가 있지 않겠는가?
[孔穎達 疏]正義曰此歎美寄旅之時物皆失其所居若能與物為附使旅者獲安非小才可濟惟大智能然故曰旅之時義大矣哉」。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이는 나그네[]로 기숙(寄宿)할 때에는 사람[사물]들이 모두 그 거주할 곳을 잃는데만약 남[사물]에게 더블어 잘 붙어서 나그네들로 하여금 편안함을 얻게 한다면 작은 재주가 구제할 수 있음이 아니며 오직 큰 지혜만이 그러함을 잘함을 탄미(歎美)했기 때문에 나그네[]의 때와 뜻이 크도다[旅之時義大矣哉]”라고 말한 것이다.

[孔穎達 疏] 「《貞吉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 {단왈(彖曰)에서 정길야(貞吉也)까지.}

正義曰:「小亨文也柔得中乎外而順乎剛止而麗乎明是以小亨」。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나그네[]가 조금 형통함[旅 小亨]”라는 것은, ()의 글을 든 것이다.

부드러움이 밖에서 가운데[]를 얻고서 굳셈을 따르며 그치고서 밝음에 붙으니 이로써 조금 형통함[小亨]”이다.

旅貞吉此就六五及二體釋旅得亨貞之義柔處於外弱而為客之象若所?不得其主得主而不能順從則乖逆而離散何由得自通而貞吉乎

나그네가 곧아야 길함이다[旅貞吉]”라는 것은, 이는 육5(六五)와 두 몸[(艮卦離卦)]를 가지고 나그네[]가 곧아야 형통함을 얻얻음의 뜻을 해석함인데, 부드러움이 밖에 처함은 약하여서 나그네가 된 모습[]이니, 의탁하는 바에 그 주인을 얻지 못함과 같으며 주인을 얻더라도 잘 순종하지 않으면 어긋나고 거슬러서 흩어져 떠나는데, 무엇을 말미암아 스스로 통하여서 곧아야 길함을 얻겠는가?

今柔雖處外而得中順陽則是得其所?而順從於主又止而麗明動不履妄故能於寄旅之時得通而正不失所安也

지금 부드러움이 비록 밖에 처했으나 가운데[]를 얻고 양()에게 순종하면 바로 그 의탁할 바를 얻어서 주인에게 순종하며, 또 그쳐서 밝음에 붙어 움직임이 망령됨을 행하지 않기 때문에 나그네[]가 기숙(寄宿)을 하는 때이니 통함을 얻어서 바루어 편안한 바를 잘 잃지 않는 것이다.

山上有火君子以明慎用刑而不留獄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산 위에 불이 있음이 려()괘인데군자가 그로써 밝고 신중하게 형벌을 사용하면서 옥사(獄事)를 지체하지 않는다.”


王弼 注】 止以明之刑戮詳也
왕필 주】 그치고 밝게 함으로써 형벌과 죽임을 자세히 함이다.
[孔穎達 疏]正義曰火在山上逐草而行勢不久留故為旅象又上下二體艮止離明故君子象此以靜止明察審慎用刑而不稽留獄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불이 산 위에 있으니 풀을 따라서 [타들어가서 형세가 오래 머물지 못하기 때문에 나그네의 모습[]이 된 것이다.
또 상하(上下)의 두 몸[]이 간()은 그침이고 리()는 밝음이기 때문에 군자(君子)가 이것을 모습[]하고 고요히 그치고 밝게 살핌으로써 신중히 살피고 형벌을 사용하여서 옥사와 송사[獄訟]를 머무르게[稽留]하지 않는 것이다.

 

初六旅瑣瑣斯其所取災
초육(初六)은 나그네가 자잘하여 천()하니이는 그 재앙을 취하는 바이다.


王弼 注】 最處下極寄旅不得所安而為斯賤之役所取致災志窮且困
왕필 주】 가장 아래 끝에 처하고 나그네가 의지하는 데 편안한 곳을 얻지 못하여서 이 천한 노역을 하니취하는 바가 재앙을 불러서 뜻이 궁하고 또 곤함이다.
[孔穎達 疏]正義曰:「旅瑣瑣斯其所取災瑣瑣者細小卑賤之貌也初六當旅之時最處下極是寄旅不得所安而為斯卑賤之役然則為斯卑賤勞役由其處於窮下故致此災故曰旅瑣瑣斯其所取災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나그네가 자잘하여 천()하니이는 그 재앙을 취하는 바이다[旅瑣瑣斯 其所取災]”라는 것의, ‘쇄쇄(瑣瑣자질구레할 쇄)’함은잘고 적으며 낮고 천한 모양이다초육(初六)이 나그네의 때를 당하여 가장 아래의 끝에 처하였으니이는 나그네가 의지함이 편안한 곳을 얻지 못하여서 이러한 낮고 천한 노역(勞役)을 하는 것이다그렇다면 이러한 낮고 천한 勞役을 함은 그 맨 아래에 처하였음을 말미암기 때문에 이 재앙을 부른 것이다그러므로 나그네가 자잘하여 천()하니이는 그 재앙을 취하는 바이다[旅瑣瑣斯 其所取災]”라고 말한 것이다.
旅瑣瑣志窮災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나그네가 자잘하여 천()함은뜻이 궁한 재앙이다.”
[孔穎達 疏]正義曰:「志窮災」,志意窮困自取此災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뜻이 궁한 재앙이다[志窮災]”라고 함은뜻하는 마음이 곤궁하여 스스로 이 재앙을 취한 것이다.

 

六二旅即次懷其資得童僕貞
육이(六二)는 나그네[]가 다음 머물 곳에 가는데 그 노자(路資)를 품고 어린 종[童僕]의 곧음을 얻었다.


王弼 注】 次者可以安行旅之地也來也得位居中體柔奉上以此寄旅必獲次舍懷來資貨得童僕之所正也旅不可以處盛故其美盡於童僕之正也過斯以往則見害矣童僕之正義足而已
왕필 주】 (버금 차)라는 것은나그네가 편안하게 갈 수 있는 땅이다(품을 회)는 옴이다지위를 얻어 가운데[]에 거주하고 몸은 부드러운데 위쪽을 받들며 이로써 나그네에 부쳐지니 반드시 다음 집을 얻고오는 재물(財物쓸데를 품으니 어린 종[童僕]의 바른 바를 얻는다나그네는 성{}함에 처하면 안 되기 때문에 그 종복(童僕)의 바름을 다함을 찬미하고 이 잘못으로써 가면 해로움을 당한다종복(童僕)의 바름은 의리가 넉넉할 뿐이다.
[孔穎達 疏]正義曰:「旅即次懷其資得童僕貞得位居中體柔承上以此而為寄旅必為主君所安旅得次舍懷來資貨又得童僕之正不同初六賤役故曰旅即次懷其資得童僕貞」。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나그네가 다음 머물 곳에 가는데 그 노자(路資)를 품고 어린 종[童僕]의 곧음을 얻었다[旅卽次 懷其資 得童僕貞]”라는 것은지위를 얻고 가운데[]에 거주하며 몸[]이 부드러워서 윗쪽을 받드니이렇게 하여서 나그네로 부쳐지게 되었으니 반드시 주군(主君)이 편안한 곳이 되어서 나그네가 다음 머물 집을 얻고 오는 재화 쓸데를 품으며 또 동복(童僕)의 바름을 얻어서 초육(初六)의 천하게 노역함과는 같지 않기 때문에 나그네가 다음 머물 곳에 가는데 그 노자(路資)를 품고 어린 종[童僕]의 곧음을 얻었다[旅卽次 懷其資 得童僕貞]”라고 말한 것이다.
得童僕貞終无尤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동복(童僕)의 곧음을 얻음은끝내 허물이 없음이다."
[孔穎達 疏]正義曰:「終無尤旅不可以處盛盛則為物所害今惟正於童僕則終保無咎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끝내 허물이 없음[終无尤]”라는 것은나그네는 성()함에 처해서는 안 되며()하면 남[사물]이 해치는 바를 당하지만지금 오직 동복(童僕)에 바르면끝내 허물이 없음을 보존하는 것이다.

 

九三旅焚其次喪其童僕貞
구삼(九三)은 나그네가 그 숙소를 불태우고 어린 종[童僕]이 곧음을 잃어서 위태롭다


王弼 注】 居下體之上與二相得以寄旅之身而為施下之道與萌侵權主之所疑也故次焚僕喪而身危也
왕필 주】 아래 몸[下體]의 위에 거주하고 육2(六二)와 더블어 서로 얻는다나그네에 부쳐진 몸으로써 아래에 베풀어 지는 도()를 실천하지만 서민[]들과 더블어 권한을 침범하니 주인의 의심을 받는다그러므로 다음 숙소가 불타고 종복을 잃으면서 자신이 위태로움이다.
[孔穎達 疏]九三旅焚其次貞厲」。
正義曰:「旅焚其次喪其童僕貞九三居下體之上下據於二上無其應與二相得是欲自尊而惠施於下也以羈旅之身而為惠下之道是與萌侵權為主君之所疑也為君主所疑則被黜而見害故焚其次舍喪其童僕之正而身危也
與萌所疑也」。
正義曰:「與萌侵權言與得政事之萌漸侵奪主君之權勢若齊之田氏故為主所疑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의 {구삼여분기차(九三旅焚其次)에서 정려(貞厲)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구삼(九三)은 나그네가 그 숙소를 불태우고 어린 종[童僕]이 곧음을 잃어서 위태롭다[旅焚其次 喪其童僕貞 厲]”라는 것은3(九三)이 하체(下體)의 위에 거주하고 아래로 육2(六二)를 근거(根據)하며 위에 그 응()이 없지만 육2(六二)와 [뜻을서로 얻었으니이는 자신을 높여서 아래에 은혜를 베풀고자 하는 것이다.
그로써 나그네의 몸에 부쳐져서 아래에 은혜로움의 도()를 실천하니이는 서민[]들과 더블어 권한을 침범하니 주군(主君)의 의심을 받는 바가 되는 것이다.
군주가 주인을 의심하는 바가 되면 쫓겨나고 해로움을 당하기 때문에 그 다음 머물데를 불태우고 그 동복(童僕)의 바름을 잃어서 자신이 위태로운 것이다.
○ 【왕필 주(王弼 注)의 여맹(與萌)에서 소의야(所疑也)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서민[]들과 더블어 권한을 침범하니[與萌侵權]”라는 것은정사(政事)의 서민[]들을 더블어 얻어서 주군(主君)의 권세를 침탈하니 제()나라의 전씨(田氏)와 같기 때문에 군주가 의심을 하는 바가 됨을 말한 것이다.
旅焚其次亦以傷矣以旅與下其義喪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나그네가 그 다음 숙소를 불태웠음은또한 그로써 상()함이며나그네가 아래와 함께 함으로써 그 옳음을 잃음이다.”
[孔穎達 疏]正義曰:「亦以傷矣言失其所安亦可悲傷也。「其義喪言以旅與下理是喪亡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또한 그로써 상()함이며[亦以傷矣]”라는 것은편안한 바를 잃으면 또한 상함을 슬퍼할 수 있음을 말한 것이다.
그 옳음을 잃음이다[其義喪]”라는 것은나그네로써 아래에 더불면 의리가 바로 잃고 없어짐을 말한 것이다.

[孔穎達 疏] 九三旅焚其次貞厲」。

공영달소(孔穎達 疏) () {구삼여분기차(九三旅焚其次)에서 정려(貞厲)까지.}

正義曰:「旅焚其次喪其童僕貞九三居下體之上下據於二上無其應與二相得是欲自尊而惠施於下也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구삼(九三)은 나그네가 그 숙소를 불태우고 어린 종[童僕]이 곧음을 잃어서 위태롭다[旅焚其次 喪其童僕貞 厲]”라는 것은, 3(九三)이 하체(下體)의 위에 거주하고 아래로 육2(六二)를 근거(根據)하며 위에 그 응()이 없지만 육2(六二) [뜻을] 서로 얻었으니, 이는 자신을 높여서 아래에 은혜를 베풀고자 하는 것이다.

以羈旅之身而為惠下之道是與萌侵權為主君之所疑也

그로써 나그네의 몸에 부쳐져서 아래에 은혜로움의 도()를 실천하니, 이는 서민[]들과 더블어 권한을 침범하니 주군(主君)의 의심을 받는 바가 되는 것이다.

為君主所疑則被黜而見害故焚其次舍喪其童僕之正而身危也

군주가 주인을 의심하는 바가 되면 쫓겨나고 해로움을 당하기 때문에 그 다음 머물데를 불태우고 그 동복(童僕)의 바름을 잃어서 자신이 위태로운 것이다.

與萌所疑也」。

○ 【왕필 주(王弼 注) 여맹(與萌)에서 소의야(所疑也)까지

正義曰:「與萌侵權言與得政事之萌漸侵奪主君之權勢若齊之田氏故為主所疑也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서민[]들과 더블어 권한을 침범하니[與萌侵權]”라는 것은, 정사(政事)의 서민[]들을 더블어 얻어서 주군(主君)의 권세를 침탈하니 제()나라의 전씨(田氏)와 같기 때문에 군주가 의심을 하는 바가 됨을 말한 것이다.

九四旅于處得其資斧我心不快
구사(九四)는 처함에서 나그네가 그 도끼 쓸데를 얻었으니 내 마음이 유쾌하지 않다.


王弼 注】 斧所以斫除荊棘以安其舍者也雖處上體之下不先於物然而不得其位不獲平坦之地客于所處不得其次而得其資斧之地故其心不快也
왕필 주】 도끼[]는 가시나무를 베어 없애니 그로써 그 집을 편안하게 하는 것이다비록 윗 몸[上體]의 아래에 처하지만 남[사물]에 앞서지 않는데 그러한데도 그 지위를 얻지 못하고 평탄한 땅을 얻지 못하며 처하는 바가 나그네이니 그 다음 숙소를 얻지 못하면서 도끼 쓸데를 얻었기 때문에 그 마음이 불쾌함이다.
[孔穎達 疏]正義曰:「旅於處得其資斧我心不快九四處上體之下不同九三之自尊然不得其位猶寄旅之人求其次舍不獲平坦之所而得用斧之地言用斧除荊棘然後乃處故曰旅於處得其資斧求安處而得資斧之地所以其心不快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처함에서 나그네가 그 도끼 쓸데를 얻었으니 내 마음이 유쾌하지 않다[旅于處 得其資斧 我心不快]”라는 것은4(九四)가 상체(上體)의 아래에 처하고 구3(九三)의 스스로 높임과는 같지 않으며그러나 그 지위를 얻지 못하고오히려 나그네에 부쳐져 있는 사람이 그 다음 집을 구하는데 평탄한 곳을 얻지 못하고서 도끼를 사용할 땅을 얻은 것이다.
도끼를 사용하여 가시나무를 제거한 연후에 비로소 거처함을 말하였기 때문에 처함에서 나그네가 그 도끼 쓸데를 얻었다[旅于處 得其資斧]”라고 말한 것이다편안하게 처할데를 구하였는데 도끼 사용할 땅을 얻었으니그 마음이 불쾌한 까닭이다.
旅于處未得位也得其資斧心未快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나그네가 처함에는아직 지위를 얻지 못함이며그 도끼를 쓸데를 얻음은 마음이 상쾌하지 않음이다.”

 

六五射雉一矢亡終以譽命
육오(六五)는 꿩을 하나의 화살로 쏘았는데 없어졌으니끝내 그로써 명()이 명예롭다.


王弼 注】 射雉以一矢而復亡之明雖有雉終不可得矣寄旅而進雖處于文明之中居于貴位此位終不可有也以其能知禍福之萌不安其處以乘其下而上承於上故終以譽而見命也
왕필 주】 꿩을 하나의 화살로써 쏘고서 다시 없어졌는데비록 꿩이 있음을 밝혔지만 끝내 얻을 수는 없음이다나그내가 의지하면서 나아가니 비록 문명의 가운데에 처하고 귀한 지위에 거주하지만 이 지위가 끝내 있을 수는 없음이다그로써 화()와 복()이 돋아남을 잘 알고 그 처함을 편안히 함으로써 그 아래를 올라타지 않으면서 위에서 위쪽을 받들기 때문에 끈내 명예로움으로써 명()을 받는다.
[孔穎達 疏]六五射雉以譽命」。
正義曰:「射雉一矢亡終以譽命羈旅不可以處盛位六五以羈旅之身進居貴位其位終不可保譬之射雉惟有一矢射之而復亡失其矢其雉終不可得故曰射雉一矢亡然處文明之內能照禍福之幾不乘下以侵權而承上以自保故得終以美譽而見爵命故曰終以譽命
공영달소(孔穎達 疏)】 ()의 {육오사치(六五射雉)에서 이예명(以譽命)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꿩을 하나의 화살로 쏘았는데 없어졌으니끝내 그로써 명()이 명예롭다[射雉一矢 亡 終以譽命]”라는 것은객지(客地)의 나그네가 성()한 지위에 처해서는 안 되는데5(六五)가 객지(客地나그네의 몸으로써 나아가 귀한 지위에 거주하니 그 지위를 끝내 보전할 수가 없으니꿩을 쏘아 잡음에 비유하면 오직 화살 하나가 있는데 화살을 쏘아서 다시 그 화살을 잃어 없어졌으니 그 꿩을 끝내 잡지 못하기 때문에 꿩을 하나의 화살로 쏘았는데 없어졌다[射雉一矢亡]”라고 말한 것이다.
그러나 문체가 밝은 안에 처하여 화(()의 기미를 잘 비추어서 아랫쪽을 타고 그로써 권세를 침해하지 않으면서 윗쪽을 받들고 그로써 스스로를 보전하기 때문에 끝내 아름다운 명예로써 작명(爵命)을 받기 때문에 끝내 그로써 명()이 명예롭다[終以譽命]”라고 말한 것이다.
終以譽命上逮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끝내 그로써 명()이 명예로움은위쪽을 잡았음이다.”
[孔穎達 疏]正義曰:「上逮及也以能承及於上故得終以譽命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위쪽을 잡았음이다[上逮]”라는 것의, ‘(잡을 체)’는 미침이며잘 받듦으로써 윗쪽에 미치기 때문에 끝내 그로써 명()이 명예로움[終以譽命]을 얻는 것이다.

[孔穎達 疏] 六五射雉以譽命」。

공영달소(孔穎達 疏) () {육오사치(六五射雉)에서 이예명(以譽命)까지.}

正義曰:「射雉一矢亡終以譽命羈旅不可以處盛位六五以羈旅之身進居貴位其位終不可保譬之射雉惟有一矢射之而復亡失其矢其雉終不可得故曰射雉一矢亡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꿩을 하나의 화살로 쏘았는데 없어졌으니, 끝내 그로써 명()이 명예롭다[射雉一矢 亡 終以譽命]”라는 것은, 객지(客地)의 나그네가 성()한 지위에 처해서는 안 되는데, 5(六五)가 객지(客地) 나그네의 몸으로써 나아가 귀한 지위에 거주하니 그 지위를 끝내 보전할 수가 없으니, 꿩을 쏘아 잡음에 비유하면 오직 화살 하나가 있는데 화살을 쏘아서 다시 그 화살을 잃어 없어졌으니 그 꿩을 끝내 잡지 못하기 때문에 꿩을 하나의 화살로 쏘았는데 없어졌다[射雉一矢亡]”라고 말한 것이다.

然處文明之內能照禍福之幾不乘下以侵權而承上以自保故得終以美譽而見爵命故曰終以譽命

그러나 문체가 밝은 안에 처하여 화() ()의 기미를 잘 비추어서 아랫쪽을 타고 그로써 권세를 침해하지 않으면서 윗쪽을 받들고 그로써 스스로를 보전하기 때문에 끝내 아름다운 명예로써 작명(爵命)을 받기 때문에 끝내 그로써 명()이 명예롭다[終以譽命]”라고 말한 것이다.  

上九鳥梵其巢旅人先笑後號咷喪牛于易
상구(上九)는 새가 둥지를 불태우니여행하는 사람들이 먼저는 웃다가 뒤에는 울부짖는다소를 바뀌는데서 잃으니흉하다.


王弼 注】 居高危而以為宅巢之謂也客旅得上位故先笑也以旅而處于上極眾之所嫉也以不親之身而當嫉害之地必凶之道也故曰後號咷牛者稼穡之資以旅處上眾所同嫉故喪牛于易不在於難物莫之與危而不扶喪牛于易終莫之聞莫之聞則傷之者至矣
왕필 주】 높고 위태함에 거주하면서 그로써 집을 삼으니 둥지라고 말함이다손님과 나그네가 상구(上九)의 자리를 얻었기 때문에 먼저 웃었음이다그로써 나그네이면서 위쪽 꼭대기에 처하니 무리가 미워하는 바이며그로써 친하지 않은 몸이어서 마땅히 미워하는 해로움의 땅이니 반드시 흉함의 도()이다그러므로 "뒤에는 울부짓는다."라고 말했다[]라는 것은곡식을 심고 거두는 자본(資本)이다나그네로써 상구(上九)에 처하여 무리가 함께 미워하는 바이기 때문에 바뀌는데에서 소를 잃는다어려움에 있지 않는데도 남[사물]이 더부는 이가 없어서 위태로운데도 붙들어주지 않고 소를 바뀌는데에서 잃는데도 끝내 알려주는 이가 없으며알려주는 이가 없으면 다치도록하는 자가 이르는 것이다.
[孔穎達 疏]正義曰:「鳥焚其巢旅人先笑後號咷喪牛于易最居於上如鳥之巢以旅處上必見傾奪如鳥巢之被焚故曰鳥焚其巢客得上位所以先笑」。凶害必至後號咷」。無所同嫉喪其稼穡之資理在不難故曰喪牛于易」。物莫之與則傷之者至矣故曰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새가 둥지를 불태우니여행하는 사람들이 먼저는 웃다가 뒤에는 울부짖는다소를 바뀌는데서 잃으니흉하다[鳥焚其巢 旅人 先笑後號咷 喪牛于易 凶]”라는 것은가장 위에 거주하여 새의 둥지와 같으니나그네로써 위에 처하면 반드시 기울고 빼앗김을 당하여 새 둥지가 불탐을 당함과 같기 때문에 새가 둥지를 불태웠다[鳥焚其巢]”라고 말한 것이다.
나그네가 높은 지위를 얻으니 먼저는 웃는[先笑]” 까닭이며흉한 해로움이 반드시 이르기 때문에 뒤에는 울부짖는[後號咷]” 것이다.
함께 미워하는 바는 없지만 그 곡식을 심고 거두는 자본[]을 잃었으니 이치가 어렵지 않음에 있기 때문에 소를 바뀌는데에서 잃는다[喪牛于易]”라고 말한 것이다남들[사물]이 더부는 이가 없으면 상하게 하는 자가 이른다그러므로 흉하다[]”라고 말한 것이다.
以旅在上其義焚也喪牛于易終莫之聞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나그네로써 위에 있음은 그 옳음이 불탐이다바뀌는데에서 소를 잃음은 알려주는 이가 없는 것이다.”
[孔穎達 疏]正義曰:「終莫之聞也眾所同疾危而不扶至於喪牛于易終無以一言告之使聞而悟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알려주는 이가 없다[終莫之聞也]”라는 것은여럿이 함께 미워하여 위태로운 바인데도 붙들어주지 아니하여 소를 바뀌는데에서 잃음에 이르렀으나끝내 한마디 말로써 알려주어서 듣도록 하여서 깨닫게 하는 이가 없는 것이다.

[孔穎達 疏] 正義曰:「鳥焚其巢旅人先笑後號咷喪牛于易最居於上如鳥之巢以旅處上必見傾奪如鳥巢之被焚故曰鳥焚其巢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새가 둥지를 불태우니, 여행하는 사람들이 먼저는 웃다가 뒤에는 울부짖는다. 소를 바뀌는데서 잃으니, 흉하다[鳥焚其巢 旅人 先笑後號咷 喪牛于易 凶]”라는 것은, 가장 위에 거주하여 새의 둥지와 같으니, 나그네로써 위에 처하면 반드시 기울고 빼앗김을 당하여 새 둥지가 불탐을 당함과 같기 때문에 새가 둥지를 불태웠다[鳥焚其巢]”라고 말한 것이다.

客得上位所以先笑」。凶害必至後號咷」。

나그네가 높은 지위를 얻으니 먼저는 웃는[先笑]” 까닭이며, 흉한 해로움이 반드시 이르기 때문에 뒤에는 울부짖는[後號咷]” 것이다.

無所同嫉喪其稼穡之資理在不難故曰喪牛于易」。物莫之與則傷之者至矣故曰

함께 미워하는 바는 없지만 그 곡식을 심고 거두는 자본[]을 잃었으니 이치가 어렵지 않음에 있기 때문에 소를 바뀌는데에서 잃는다[喪牛于易]”라고 말한 것이다. 남들[사물]이 더부는 이가 없으면 상하게 하는 자가 이른다. 그러므로 흉하다[]”라고 말한 것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