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도덕경(道德經)/3.도덕경 하상공 주

◎ 도덕경(道德經) 79장/河上公 注

by 석담 김한희 2023. 8. 24.
728x90

도덕경 하상공(河上公) 注

◎ 도덕경(道德經) 79장

和大怨,必有餘怨;

安可以為善?

是以聖人執左契,而不責於人。

有德司契,無德司徹。

天道無親,常與善人。

큰 원한에 어울리면 반드시 원한이 남아 있는데,

어떻게 착함을 할 수 있겠는가?

이로써 성인은 왼쪽 부절을 잡고서도 남에게 재촉하지 않는다.

덕이 있으면 좌계를 맏고 덕이 없으면 받는 일을 맡는다.

하늘의 도는 친함이 없어서 언제나 착한 사람과 함께 한다.

【石潭 案】 : 계약서[契]를 나무에 쓰고 반쪽으로 잘라서 채권자가 좌계(左契)를 가지고 채무자는 우계(右契)를 가지고 채무자에게 지불을 요구함이다. 성인과 덕이 있는 사람은 좌계(左契)를 가지더라도 채무자에게 지불을 재촉하지 않으며 남에게 주기만 하는데, 덕이 없는 사람은 세금을 받 듯이 남에게 받기만 함이다.

​​

◎ 도덕경 79장/하상공(河上公) 注

ㅡ 하상공(河上公, ?~?)

전한 문제(文帝, BC202~BC157)때 사람인데 생졸(生卒)과 성명(姓名)을 알 수 없어서, “황하 물가에 사는 사람”에 존칭인 공(公)을 붙여서 하상공(河上公)이라 불렀다고 한다.

제79장 임계(任契) : 부절(符節)에 맡김

和大怨,

<큰 원한에 어울리면 >

【河上公 注】 殺人者死,傷人者刑,以相和報。

【하상공 주】 사람을 죽인 자는 죽이고, 사람을 상한 자는 형을 벌하며 그로써 서로 어울리어 보복한다.

必有餘怨,

<반드시 원한이 남아 있는데, >

【河上公 注】 任刑者失人情,必有餘怨及於良人也。

【하상공 주】 형벌에 임하는 자는 사람의 칠정을 잃으며, 반드시 원한이 남아 있어서 선량한 사람에 미친다.

安可以為善?

<어떻게 착함을 할 수 있겠는가?>

【河上公 注】 言一人吁嗟則失天心,安可以和怨為善?

【하상공 주】 한 사람이라도 크게 탄식하면 천심을 잃는데, 어떻게 원한에 어울리어 착하게 됨으로 할 수 있겠는가?라고 말함이다.

是以聖人執左契,

<이로써 성인은 왼쪽 부절(符節)을 잡고서도, >

【河上公 注】 古者聖人執左契,合符信也。無文書法律,刻契合符以為信也。

【하상공 주】 옛날에 성인이 왼쪽 부신(符信)을 잡고서 믿음의 증표(證票)를 합함이다. 문서와 법률이 없어서 계약(契約)을 세겨서 부절(符節)을 합하여서 믿게 됨이다.

而不責於人。

<남에게 [약속을] 재촉하지 않는다.>

【河上公 注】 但刻契為信,不責人以他事也。

【하상공 주】 단지 계약(契約)을 세겨서 믿게하고 남에게 재촉하지 않음으로써 상대를 섬김이다.

有德司契,

<덕이 있으면 좌계[符節]를 맏고, >

【河上公 注】 有德之君,司察契信而已。

【하상공 주】 덕이 있는 임금은, 계약(契約)을 살피도록 맡겨서 믿을 뿐이다.

無德司徹。

<덕이 없으면 받는 일[右契]을 맡는다.>

【河上公 注】 無德之君,背其契信,司人所失。

【하상공 주】 덕이 없는 임금은, 그 계약(契約)의 믿음을 등져서 맡은 사람을 잃는 바이다.

天道無親,常與善人

<하늘의 도는 친함이 없어서, 언제나 착한 사람과 함께 한다.>

【河上公 注】 天道無有親疏,唯與善人,則與司契者也。

【하상공 주】 하늘의 도는 친하고 소원함이 없으며 오히려 착한 사람과 함께하면 계약(契約)을 맡은 자도 함께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