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왕필 주역주

 왕필(王弼.226~249)

()나라 산음(山陰, 산동성) 사람이며 자는 보사(輔嗣)이다. 풍부한 재능을 타고나 유복한 환경에서 자랐기 때문에 일찍 학계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나 24살에 요절한 뛰어난 학자이다.

 

46. 승괘(升卦)[卦象:지풍승]

 坤上

 巽下

()[.바람]이 아래에 있고, ()[.]이 위에 있다.

 

元亨用見大人勿恤

()은 크게 형통하고 대인을 만나 등용되니 근심하지 말라,

王弼 注 巽順可以升陽爻不當尊位无嚴剛之正則未免於憂, 故用見大人乃勿恤也

왕필 주겸손하게 따르니 올라갈 수 있는데, 양효가 높은 지위를 담당하지 못하고 엄하고 굳센 바름이 없다면 근심을 면하지 못하기 때문에 대인을 만나 등용되니 이에 근심하지 말라고 함이다.

南征 吉

남쪽으로 가면 길하다.

王弼 注 以柔之南則麗乎大明也

왕필 주그로써 부드러움이 남쪽으로 가면 큰 밝음에 붙음이다.

 

柔以時升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 "부드러움으로써 때맞게 올라가서,

王弼 注 柔以其時乃得升也

왕필 주부드러움으로써 그 때맞으니 바로소 올라감을 얻음이다.

巽而順剛中而應是以大亨

공손하면서 따르고 굳센 가운데 이면서 응()하니, 이로써 크게 형통함이다.

王弼 注 純柔則不能自升剛亢則物不從既以時升又巽而順剛中而應以此而升故得大亨

왕필 주순수하게 부드러우면 스스로 잘 오르지 못하고 굳세고 높으면 남[사물]이 따르지 않는다. 이미 그로써 때맞게 오르고 또 공손하면서 따르며 굳센 가운데 이면서 응()하니, 이렇게 하여서 오르기 때문에 크게 형통함을 얻는다.

用見大人勿恤有慶也南征吉志行也

대인을 만나 등용되니 근심하지 말라함은, 경사가 있음이다. 남쪽으로 가면 길함은, 뜻이 행해짐이다.

王弼 注 巽順以升至于大明志行之謂也

왕필 주겸손하게 따름으로써 올라가니 크게 밝음에 이르고 뜻이 행하여 짐을 말함이다.

 

地中生木君子, 以順德積, 小以高大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땅 가운데[]에 나무가 자람이 승()괘이며, 군자가 그로써 순한 덕()을 쌓으니 작음을 가지고 높고 크게 함이다."

  

 

初六允升大吉

초육(初六)은 올라감이 마땅하니 크게 길하다.

王弼 注 當也巽卦三爻皆升者也雖无其應處升之初與九二九三合志俱升當升之時升必大得是以大吉也

왕필 주()은 마땅함이다. ()괘의 세 효()가 모두 올라가는 자이다. 비록 그 응()이 없고 올라감의 처음에 처하며 구이(九二)와 구삼(九三)효가 뜻을 합하여 함께 올라간다. 올라가는 때가 마땅하고 올라가면 반드시 크게 얻으며 이로써 크게 길함이다.

允升大吉上合志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올라감이 마땅하니 크게 길함은, 위에 뜻을 합하기 때문이다."

 

九二乃利用禴无咎

구이(九二)는 믿고서 이에 약()제사를 지내야 이롭고 허물이 없다.

王弼 注 與五為應往必見任體夫剛德進不求寵閑邪存誠志在大業故乃利用納約于神明矣

왕필 주5(六五)와 응()을 하여 가면 반드시 신임을 받는다. 굳센 덕()을 몸[]하여 나아가 총애를 구하지 않고 간사함을 막아 성실함을 보존하며 뜻이 대업(大業)에 있기 때문에 비로소 신명(神明)에게 간략한 제사를 지냄이 이로움이다.

九二之孚有喜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2(九二)가 믿고 감은, 기쁨이 있음이다."

 

九三升虛邑

구삼(九三)은 빈 고을에 올라간다.

王弼 注 履得其位以陽升陰以斯而舉莫之違距故若升虛邑也

왕필 주그 지위를 얻어 자리하고 양()으로써 음()에 올라가며 이렇게 하여서 거동(擧動)하면 어기고 막는 이가 없기 때문에 빈 고을에 올라가는 것과 같음이다.

升虛邑无所疑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빈 고을에 올라감은, 의심할 바가 없음이다."

王弼 注 往必得也

왕필 주 가면 반드시 얻는다.

 

六四王用亨于岐山无咎

육사(六四)는 왕이 기산(岐山)에서 형통함을 써야 길하고 허물이 없다

王弼 注 處升之際下升而進可納而不可距也距下之進攘來自專則殃咎至焉若能不距而納順物之情以通庶志則得吉而无咎矣岐山之會順事之情无不納也

왕필 주올라가는 즈음에 처하고 아래가 올라가면서 나아가니 받아들일 수 있지만 막으면 안 된다. 아래가 나아감을 막고 오는 자를 스스로 오로지 물리친다면 재앙과 허물이 그곳에 이르른다. 만약 잘 막지 않으면서 들이고 남[사물]의 정()을 순종하며 그로써 여러 뜻에 통하면 길함을 얻어서 허물이 없게 된다. 기산(岐山)의 모임은 일의 실정에 순종하여 받아들이지 않음이 없는 것이다.

譯註 1: 詩經綿[237]古公亶父來朝走馬率西水滸至于岐下

        시경[237]고공단보께서 일찍이 말을 달려 서쪽 칠수 가를 따라 기산(岐山) 아래에 이르셨네.

            ※기산(岐山) : 고공단보가 살고 있는 땅에 융적(戎狄)이 쳐들어와 땅과 백성을 요구하였는데 고공단보는 백성들이 군주를 따르는 것은 자신들을 이롭게 하려 함인데백성이 나에게 속하든 융적(戎狄)에 속하든 상관이 없는데백성을 죽여가면서 군주를 하지는 않겠소라고 하며 땅을 버리고 옮겨가서 다시 정착을 한 곳이 기산(岐山아래이다

王用亨于岐山順事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왕이 기산에서 형통함을 씀은, 일을 순리로 함이다."

 

六五貞吉升階

육오(六五)는 곧아야 길하고, 계단[阼階]을 올라간다.

王弼 注 升得尊位體柔而應納而不距任而不專故得貞吉升階而尊也

왕필 주 높은 지위를 얻어 올라가고 몸[]이 부드러우면서 응()하니 받아들이고서 막지 않으며 맏기는데도 전횡(專橫)하지 않기 때문에 곧아야 길함을 얻고 계단[阼階]을 올라가서 높아진다.

貞吉升階大得志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곧아야 길하고, 동쪽계단[阼階]을 올라감은, 크게 뜻을 얻음이다.”

  

上六冥升利于不息之貞

상육(上六)은 올라가 어두우니, 쉬지 않고 곧아야 이롭다.

 王弼 注 處升之極進而不息者也進而不息故雖冥猶升也故施於不息之正則可用於為物之主則喪矣終於不息消之道也

왕필 주올라감의 꼭대기에 처하고 나아가서 쉬지 않는 자이며, 나아가서 쉬지 않기 때문에 비록 어둡지만 오히려 올라감이다. 그러므로 쉬지 않음의 바름을 베풀면 할 수 있지만 남[사물]의 주인 됨을 하면 잃고, 쉬지 않음을 끝내면 소멸(消滅)하는 도()이다.

冥升, 在上消不富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올라가 어두움은, 위에 있으니 사라져 부유하지 못함이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