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시경(詩經)/2.毛詩正義[공영달]

『시경(詩經)』170. 어리(魚麗, 물고기가 걸렸네)

by 석담 김한희 2022. 9. 4.
728x90

시경(詩經)

소아(小雅) 1 녹명지습(鹿鳴之什)

 

170. 어리(魚麗, 물고기가 걸렸네)

魚麗于罶鱨鯊

(어리우류 상사)

물고기가 통발에 걸렸는데 날치와 모래무지라네

君子有酒旨且多

(군자유주 지차다)

군자에게 술이 있어 맛있고도 풍성하구나

 

魚麗于罶魴鱧

(어리우류 방례)

물고기가 통발에 걸렸는데 방어와 가물치라네

君子有酒多且旨

(군자유주 다차지)

군자는 술이 있어서 풍성한데 맛도 있구나

 

魚麗于罶鰋鯉

(어리우류 언리)

물고기가 통발에 걸렸는데 메기와 잉어라네

君子有酒旨且有

(군자유주 지차유)

군자가 술이 있어서 맛있는데 또 차렸구나

 

物其多矣維其嘉矣

(물기다의 유기가의)

많은 음식들이 그 즐거움을 이어주네

 

物其旨矣維其偕矣

(물기지의 유기해의)

맛있는 음식들이 그 모두를 이어주네

 

物其有矣維其時矣

(물기유의 유기시의)

차려놓은 음식들이 때 맞게 이어주네

 

魚麗, 六章:三章,章四句三章,章二句

 

 

 

모시(毛詩)

전한(前漢)의 모형(毛亨) ()에 주석을 하여서 모시(毛詩)라고 하며 시경(詩經)의 별칭이다.

毛詩 序】 《魚麗》,美萬物盛多能備禮也武以天保以上治內,《採薇以下治外始於憂勤終於逸樂故美萬物盛多可以告於神明矣

모시 서 <어리(魚麗)>는 만물이 풍성하고 많아 예()를 잘 갖추었음을 찬미한 시()이다. 문왕과 무왕이 "천보(天保)" 이상을 가지고 안쪽[국내]을 다스리고 "채미(采薇)" 이하로 바깥[오랑캐]을 다스려 우려와 부지런함으로 시작하여 편안한 즐거움으로 마쳤기 때문에 만물이 성하고 많아서 신명에게 고할 수 있었음을 찬미한 것이다.

 

◎ 모시전(毛詩傳)

 

모시전(毛詩傳)은 모형(毛亨)이 ()에 전()을 붙여 모시고훈전(毛詩詁訓傳)을 지었다.

 

魚麗于罶鱨鯊

(어리우류 상사)

물고기가 통발에 걸렸는데 날치와 모래무지라네

毛亨  曆也曲梁也寡婦之筍也楊也鮀也太平而後微物眾多取之有時用之有道則物莫不多矣古者不風不暴不行火草木不折不操斧斤不入山林豺祭獸然後殺獺祭魚然後漁鷹隼擊然後罻羅設是以天子不合圍諸侯不掩群大夫不麛不卵士不隱塞庶人不數罟罟必四寸然後入澤梁故山不童澤不竭鳥獸魚鱉皆得其所然

모형 전 (, 나라 이름 리), 붙음이다. (, 통발 류)는 통발[魚梁]인데, 과부의 대나무 가마이다. (, 자가사리 상)은 날치[]이다(, 문절망둑 사)는 모래무지[]이다크게 평안한 이후에 미세한 사물의 무리가 많아지는데, 취하여서 때가 있게 하고 사용을 하여 도()가 있게 하면 사물이 많아지지 않음이 없다. 옛날에는 바람이 불지않고 [햇빛이] 사납지도 않아 불이 일어나지 않았는데, 풀과 나무를 꺽지 않고 도끼로 조절하지 않았으며 산의 수풀에 들어가지도 않았다. 승냥이는 짐승을 제사지낸 연후에 사냥하고 수달은 물고기를 제사지낸 연후에 물고기 잡으며 매와 송골매를 쳐낸 연후에 그물을 벌려 설치하는데, 이로써 천자는 에워싸지 않고 제후는 덮쳐서 잡지 않으며대부는 짐승새끼나 알을 취하지 않고 관리는 숨거나 수색하지 않으며 서인들은 촘촘한 그물을 치지 않는데, 그물은 반드시 4[]로 한 연후에 어량(魚梁)을 친 못에 들어간다. 그러므로 산은 [짐승이] 어리지 않고 못은 [물고기가] 다하지 않으니 새와 짐승 물고기와 자라가 모두 그렇게 한 바를 얻게 됨이다.

君子有酒旨且多

(군자유주 지차다)

군자에게 술이 있어 맛있고도 풍성하구나

 

魚麗于罶魴鱧

(어리우류 방례)

물고기가 통발에 걸렸는데 방어와 가물치라네

毛亨  鮦也

모형 전 (, 가물치 례), 가물치[(, 가물치 동)]이다.

君子有酒多且旨

(군자유주 다차지)

군자는 술이 있어서 풍성한데 맛도 있구나

 

魚麗于罶鰋鯉

(어리우류 언리)

물고기가 통발에 걸렸는데 메기와 잉어라네

毛亨  鯰也

모형 전 (, 메기 언), 메기[(, 메기 염)]이다.

君子有酒旨且有

(군자유주 지차유)

군자가 술이 있어서 맛있는데 또 차렸구나

 

物其多矣維其嘉矣

(물기다의 유기가의)

많은 음식들이 그 즐거움을 이어주네

 

物其旨矣維其偕矣

(물기지의 유기해의)

맛있는 음식들이 그 모두를 이어주네

 

物其有矣維其時矣

(물기유의 유기시의)

차려놓은 음식들이 때 맞게 이어주네

 

 

 모시전(毛詩箋)

()나라 정현(鄭玄, 127~200)이 모형(毛亨) 모시전(毛詩傳)에 전()을 달아서 모시전(毛詩箋)을 지었다.

鄭玄 序 謂諸夏也謂夷狄也告於神明者於祭祀而歌之

정현 서 []은 여러 화하(華夏) 왕조를 말하고, []은 동이(東夷)와 북적(北狄)을 말한다. 신명(神明)에 고유한다는 것은, 제사를 지내면서 노래를 부르는 것이다.

 

魚麗于罶鱨鯊

(어리우류 상사)

물고기가 통발에 걸렸는데 날치와 모래무지라네

罶音柳鱨音常。《草木疏:「今江東呼黃鱨魚尾微黃大者長尺七八寸許。」鯊音沙亦作」,今吹沙小魚也體圓而有黑點文

音義 (, 통발 류)의 음은 류()이다. (, 자가사리 상)의 음은 상()이고, 초목소(草木疏)에 이르기를 "지금 강동에서 황색 날치[黃鱨]라고 부르는데, 물고기 꼬리가 미세한 황색이고 큰 것은 길이가 한자 칠.팔촌 가량 이다."라고 했다. (, 문절망둑 사)의 음은 사()이고, 또 사()라고 쓰며 모래를 불어 내는 작은 물고기이고 몸체가 둥글면서 검은 점의 무늬가 있다.

君子有酒旨且多

(군자유주 지차다)

군자에게 술이 있어 맛있고도 풍성하구나

鄭玄  箋雲酒美而此魚又多也

정현 전 ()에 이르기를 술을 찬미하면서 이 물고기 또한 많다라고 함이다.라고 하였다.

 

魚麗于罶魴鱧

(어리우류 방례)

물고기가 통발에 걸렸는데 방어와 가물치라네

君子有酒多且旨

(군자유주 다차지)

군자는 술이 있어서 풍성한데 맛도 있구나

鄭玄  箋雲酒多而此魚又美也

정현 전 ()에 이르기를 술이 많으면서 이 물고기 또한 아름답다.라고 하였다.

 

魚麗于罶鰋鯉

(어리우류 언리)

물고기가 통발에 걸렸는데 메기와 잉어라네

 鰋音偃郭雲:「今偃額白魚。」

音義 (, 메기 언)의 음은 언()이며, ()씨가 이르기를 "지금의 메기인데, 이마[]가 흰 물고기이다."라고 했다.

 

君子有酒旨且有

(군자유주 지차유)

군자가 술이 있어서 맛있는데 또 차렸구나

鄭玄  箋雲酒美而此魚又有

정현 전 ()에 이르기를 술을 찬미하면서 이 물고기 또한 있다라고 함이다.라고 하였다.

 

物其多矣維其嘉矣

(물기다의 유기가의)

많은 음식들이 그 즐거움을 이어주네

鄭玄  箋雲魚既多又善

정현 전 ()에 이르기를 물고기가 이미 많고 또 좋기도 함이다.라고 하였다.

 

物其旨矣維其偕矣

(물기지의 유기해의)

맛있는 음식들이 그 모두를 이어주네

鄭玄  箋雲魚既美又齊等

정현 전 ()에 이르기를 물고기가 이미 아름다운데 또한 [모두가] 동등(同等)하다.라고 하였다.

 

物其有矣維其時矣

(물기유의 유기시의)

차려놓은 음식들이 때 맞게 이어주네

鄭玄  箋雲魚既有又得其時

정현 전 ()에 이르기를 물고기가 이미 있는데 또 때맞음을 얻었다.라고 하였다.

 

 

모시정의(毛詩正義)

 ()나라 毛亨傳 鄭玄箋, ()나라 孔穎達疏.

()나라 모형(毛亨) 시경(詩經)에 전()을 짓고 정현(鄭玄)이 전()을 붙였으며 당()나라 공영달(孔穎達)이 소()를 지어 모시정의(毛詩正義)를 완성 하였다.

 

魚麗》,美萬物盛多能備禮也武以天保以上治內,《採薇以下治外始於憂勤終於逸樂故美萬物盛多可以告於神明矣。(謂諸夏也謂夷狄也告於神明者於祭祀而歌之力馳反下同時掌反逸本或作」。樂音洛戶雅反。)

 

「《魚麗六章上三章章四句下三章章二句神明矣」。○正義曰魚麗詩者美當時萬物盛多能備禮也謂武王之時天下萬物草木盛多鳥獸五穀魚鱉皆得所盛大而眾多故能備禮也禮以財為用須則有之是能備禮也又說所以得萬物盛多者文王武王以天保以上六篇燕樂之事以治內之諸夏採薇以下三篇征伐之事治外之夷狄文王以此九篇治其內外是始於憂勤也今武王承於文王治平之後內外無事是終於逸樂由其逸樂萬物滋生故此篇承上九篇美萬物盛多可以告於神明也武並有者以此篇武王詩之始而武王因文王之業欲見文治內外而憂勤武承其後而逸樂由是萬物盛多能備禮也。「可以告於神明」,極美之言可致頌之意於經無所當也。○內謂歌之」。○正義曰採薇等三篇征伐是治夷狄故雲內謂諸夏外謂夷狄」。僖二十五年左傳:「德以柔中國刑以威四夷。」詩亦見此法也言於祭祀歌之者言時已太平可以作頌頌者告神明之歌雲可以告其成功之狀陳於祭祀之事歌作其詩以告神明也時雖太平猶非政洽頌聲未興未可以告神明但美而欲許之故雲可以」。

 

魚麗於罶鱨鯊曆也曲梁也寡婦之筍也楊也鮀也太平而後微物眾多取之有時用之有道則物莫不多矣古者不風不暴不行火草木不折不操斧斤不入山林豺祭獸然後殺獺祭魚然後漁鷹隼擊然後罻羅設是以天子不合圍諸侯不掩群大夫不麛不卵士不隱塞庶人不數罟罟必四寸然後入澤梁故山不童澤不竭鳥獸魚鱉皆得其所然。○罶音柳鱨音常。《草木疏:「今江東呼黃鱨魚尾微黃大者長尺七八寸許。」鯊音沙亦作」,今吹沙小魚也體圓而有黑點文舍人雲:「石鮀也。」待何反大平音泰蒲卜反不操草刀反一本作不折不芟」,定本」。仕皆反敕鎋反又佗末反漁音魚一本作」,取魚也罻音畏亡兮反本或作」,魯短反隱如字本又作」,亦如字蘇代反又新勒反七欲反又所角反陳氏雲:「細也。」罟音古。)

 

君子有酒旨且多箋雲酒美而此魚又多也。○「有酒旨絕句。「且多」,此二字為句後章放此異此讀則非。)

 

魚麗且多」。○正義曰言武王之時萬物殷盛時捕魚者施笱於水中則魚麗曆於罶者是鱨鯊之大魚非直有此大魚又君子有酒矣其魚酒如何酒既旨美且魚複眾多魚酒多矣如是是萬物盛多能備禮也。○罶曲所然」。○正義曰:《釋訓:「凡曲者為罶。」曲梁 。《釋器:「嫠婦之笱謂之罶。」是寡婦之笱也。《釋訓注郭璞引詩傳:「曲梁也凡以薄取魚者名為罶也。」《釋器注孫炎曰:「曲梁其功易故謂之寡婦之笱。」然則曲簿也以簿為魚笱其功易故號之寡婦笱耳非寡婦所作也楊者魚有二名,《釋魚無文陸機:「一名黃頰魚是也似燕頭魚身形厚而長大頰骨正黃魚之大而有力解飛者徐州人謂之楊黃頰通語也。」「」,《釋魚郭璞曰:「今吹沙也。」陸機:「魚狹而小常張口吹沙故曰吹沙。」此寡婦笱而得鱨鯊之大魚是眾多也魚所以眾多傳因推而廣之雲:「大平而後微物眾多。」見此詩舉魚多明此義也微物尚眾多況其著者微物所以眾多由取之以時用之有道不妄夭殺使得生養則物莫不多矣古者不風不暴不行火言風暴然後行火也風暴者謂氣寒其風疾其風疾即北風謂之涼風。《北風箋雲:「寒涼之風病害萬物。」是也北風冬風之總名自十月始則暴風謂十月也王製:「昆蟲未蟄不以火田。」《羅氏:「蠟則作羅襦。」鄭雲:「謂建亥之月今俗放火張羅其遣教。」是十月也草木不折不芟斤斧不入山林言草木折芟斤斧乃入山林也草木折芟謂寒霜之勁暴風又甚草木枝折葉隕謂之折芟。《月令》「季秋草木黃落」,則十月風暴當折芟矣言芟者蓋葉落而盡似芟之定本」。又雲斧斤入山林」,誤也然則十月而斤斧入山林。《月令》「季秋伐薪為炭 炭以時用所伐者少耳故未芟折可伐之也豺祭獸然後殺者言豺殺獸聚而祭其先然後可田獵取獸也。《月令》「季秋豺祭獸而戮禽」。雖九月始十月猶祭也夏小正十月豺祭獸」,《援神契獸蟄伏豺食禽」,皆據十月是以羅氏注雲:「建亥之月豺既祭獸可施羅網圍取禽獸。」是也獺祭魚然後漁亦謂獺聚其魚以祭先然後可捕魚耳。《援神契獸蟄伏獺祭魚」,亦十月也。《王製獺祭魚然後虞人入澤梁」,與此一也。《月令》「孟春獺祭魚」,則獺亦有二時祭魚此類上文為孟冬矣鷹隼擊然後罻羅設鷹及隼行威擊殺眾鳥然後設羅以田也夏小正》:「五月鳩化為鷹。」《月令》:「季夏鷹乃學習孟秋鷹乃祭鳥。」則一鷹也仲春化為鳩其變從五月始至八月當全為鷹與仲春相對司裘:「仲秋王乃行羽物。」注雲:「此羽物小鳥鶉雀之屬鷹所擊者仲秋鳩化為鷹順其始殺而大班賜羽物。」《王製亦雲:「鳩化為鷹而罻羅設。」故據此似八月也但鳩化為鷹得在八月言罻羅設則非八月之事鄭雲順其始殺」,則鷹八月始擊十月乃甚又文與隼連共豺獺相對為十月事也言罻羅設者,《說文捕鳥網」,則是羅之別名蓋其細密者也自此以上是取之以時也既言取之以時又說取之節度天子不合圍言天子雖田獵不得圍之使匝恐盡物也。《大司馬:「仲春遂圍禁。」則四時皆圍但不匝耳諸侯言不掩群大夫言不麛不卵各舉其力之所能以禁之耳其實通皆不得魯語 獸長麛夭鳥翼殼卵」,《王製直言不麛不卵不殺胎不夭夭示人禁取麛卵」,是尊卑皆禁也但急於春夏緩於秋冬差可為恐盡物以長養之故也若時有所須如春薦韭卵秋膳犢麛之屬得取而用正不得故田獵以取之曲禮國君春田不圍澤大夫不掩群士不麛不卵」,與此異者此自天子而下彼自諸侯而下各為等級所以不同亦推此知各禁其所能耳國君直言春田不圍澤不言夏者以夏長養之時彌不得從可知也雖秋冬得圍之自然不得匝也士不隱塞者為梁止可為防於兩邊不得當中皆隱塞亦為盡物也庶人不總罟謂罟目不得總之使小言使小魚不得過也。《集注》「 」,爾雅定本作」,義俱通也罟目必四寸然後始得入澤梁耳由其如此故山不童澤不竭童者若童子未冠者也山無草木若童子未冠然草木之屬不妄斬伐則山不童也萑蒲之類取之以道則澤不竭也如是則鳥獸魚鱉各得其所然也是微物眾多然者語助此皆似有成文但典籍散亡不知其出耳。○酒美又多」。○正義曰且多」,文承有酒之下則似酒多也而以為魚多者以此篇下三章還覆上三章也首章言旨且多」,四章雲物其多矣」,二章雲多且旨」,五章雲物其旨矣」,三章言旨且有」,卒章雲物其有矣」,下章皆疊上章句末之字謂之為物若酒則人之所為非自然之物以此知且多」、「且旨」、「且有」,皆是魚也

 

魚麗於罶魴鱧鮦也。○鱧音禮直塚反。)

君子有酒多且旨箋雲酒多而此魚又美也。)

 

疏傳」。○正義曰:《釋魚:「。」舍人曰:「鱧名鯇。」郭璞曰:「『』,遍檢諸本或作』,或作』。若作鮦似與郭璞正同若作鯇又與舍人不異或有本作。」定本鱣鮦」,鮦與重音同

 

魚麗於罶鰋鯉鯰也。○鰋音偃郭雲:「今偃額白魚。」乃兼反江東呼鯰為鮧鮧音啼又在私反毛及前儒皆以鯰釋鰋鱧為鯇鱣為鯉唯郭注爾雅是六魚之名今目驗毛解與世不協或恐古今名異逐世移耳。)

 

君子有酒旨且有箋雲酒美而此魚又有。)

 

疏傳」。○正義曰:《釋魚有鰋郭璞曰:「今鰋額白魚也別名鯷。」孫炎以為鰋鯰一魚鯇一魚郭璞以為鰋鮦四者各為一魚傳文質略未知從誰

 

物其多矣維其嘉矣箋雲魚既多又善。)

物其旨矣維其偕矣箋雲魚既美又齊等。)

物其有矣維其時矣箋雲魚既有又得其時。)

 

魚麗六章三章章四句三章章二句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