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경(詩經)』
≪소아(小雅) 제1 녹명지습(鹿鳴之什)≫
165. 벌목(伐木, 나무를 벤다)
伐木丁丁,鳥鳴嚶嚶。
(벌목정정 조명앵앵)
나무를 쩡쩡 베어내니 새들이 앵앵하고 울다가
出自幽谷,遷于喬木。
(출자유곡 천우교목)
깊은 골짜기에서 날아와 높은 나무로 옮겨가네
嚶其鳴矣,求其友聲。
(앵기명의 구기우성)
앵앵하고 우는 그 울음은 벗을 찾는 소리라네
相彼鳥矣,猶求友聲。
(상피조의 유구우성)
서로 우는 저 새들은 친구를 찾는 소리인데
矧伊人矣,不求友生。
(신이인의 불구우생)
하물며 저 사람들은 친한 친구를 찾지 않네
神之聽之,終和且平。
(신지청지 종화차평)
신중하고 경청하면 종내 화락하고 평안리라
伐木許許,釃酒有藇。
(벌목호호 시주유서)
영차 영차 나무를 베는데 전국 술은 익어 있고
既有肥羜,以速諸父。
(기유비저 이속제부)
이미 살찐 양이 있어서 친척 어르신들 청했는데
寧適不來?微我弗顧。
(녕적불래 미아불고)
어쩐일로 못 오셨지만 나를 싫어함이 아니라네
於粲洒埽,陳饋八簋。
(어찬쇄소 진궤팔궤)
아, 깨끗이 쓸고닦아 여러 그릇 음식 차려놓고
既有肥牡,以速諸舅。
(기유비모 이속제구)
이미 살찐 숫짐승 있어서 어르신들을 청했는데
寧適不來?微我有咎。
(녕적불래 미아유구)
어찌하여 못 오셨지만 나를 허물함은 아니라네
伐木于阪,釃酒有衍,
(벌목우판 시주유연)
산비탈에 나무를 베는데 전국 술 넉넉히 있고
籩豆有踐,兄弟無遠。
(변두유천 형제무원)
가지런히 음식 차려놓고 형제가 가까이 있네
民之失德,乾餱以愆。
(민지실덕 건후이건)
백성의 덕을 잃음은 소흘한 음식 탓이구나
有酒湑我,無酒酤我。
(유주서아 무주고아)
술 있으면 걸러오고 술 없으면 사서 오네
坎坎鼓我,蹲蹲舞我。
(감감고아 준준무아)
둥둥 북을 치며 덩실 덩실 춤을 추다가
迨我暇矣!飲此湑矣!
(태아가의 음차서의)
내가 한가해지면 이 술을 걸러 마셔보세
《伐木》,六章,章六句。
《모시(毛詩)》
전한(前漢)의 모형(毛亨)이 『시(詩)』에 주석을 하여서 모시(毛詩)라고 하며 시경(詩經)의 별칭이다.
【毛詩 序】 《伐木》,燕朋友故舊也。自天子至於庶人,未有不須友以成者。親親以睦,友賢不棄,不遺故舊,則民德歸厚矣。
【모시 서】 <벌목(伐木)>은 벗과 친구가 옛 연고(緣故)를 잔치한 시(시)이다. 천자로부터 서인에 이르기까지 친구를 이용하여 이루지 않는 자가 없으니, 친척은 친애함으로써 화목하고 어진 벗을 버리지 않으며 옛 연고(緣故)를 버리지 않으면 백성의 덕(德)이 두텁게 돌아간다.
◎ 모시전(毛詩傳)
『모시전(毛詩傳)』은 모형(毛亨)이 『시(詩)』에 전(傳)을 붙여 『모시고훈전(毛詩詁訓傳)』을 지었다.
伐木丁丁,鳥鳴嚶嚶。
(벌목정정 조명앵앵)
나무를 쩡쩡 베어내니 새들이 앵앵하고 울다가
【毛亨 傳】 興也。丁丁,伐木聲也。嚶,驚懼也。
【모형 전】 일으킴[興]이다. 정정(丁丁)은 나무를 베는 소리이다. 앵(새 지저귈, 새 지저귈)은 놀라서 두려워함이다.
出自幽谷,遷于喬木。
(출자유곡 천우교목)
깊은 골짜기에서 날아와 높은 나무로 옮겨가네
【毛亨 傳】 幽,深。喬,高也。
【모형 전】 유(幽, 그윽할 유)는 깊음이다. 교(喬, 높을 교)는 높음이다.
嚶其鳴矣,求其友聲。
(앵기명의 구기우성)
앵앵하고 우는 그 울음은 벗을 찾는 소리라네
【毛亨 傳】 君子雖遷於高位,不可以忘其朋友。
【모형 전】 군자는 비록 높은 지위에 옮겨가더라도, 그로써 그 벗과 친구를 잊으면 안됨이다.
相彼鳥矣,猶求友聲。
(상피조의 유구우성)
서로 우는 저 새들은 친구를 찾는 소리인데
矧伊人矣,不求友生。
(신이인의 불구우생)
하물며 저 사람들은 친한 친구를 찾지 않네
【毛亨 傳】 矧,況也。
【모형 전】 신(矧, 하물며 신)은 하물며이다.
神之聽之,終和且平。
(신지청지 종화차평)
신중하고 경청하면 종내 화락하고 평안리라
伐木許許,釃酒有藇。
(벌목호호 시주유서)
영차 영차 나무를 베는데 전국 술은 익어 있고
【毛亨 傳】 許許,杮貌。以筐曰釃。以藪曰湑。藇,美貌。
【모형 전】 호호(許許, 이영차 호)는 잘려나오는 모양이다. 대광주리를 가지고 [술을 거름]을 시(釃, 술 거를 시)라고 말하고, 수풀을 가지고 함을 서(湑, 거를 서)라고 말한다. 서(藇, 아름다울 서)는 아름다운 모양이다.
既有肥羜,以速諸父。
(기유비저 이속제부)
이미 살찐 양이 있어서 친척 어르신들 청했는데
【毛亨 傳】 寧,未成羊也。天子謂同姓諸侯,諸侯謂同姓大夫,皆曰父。異姓則稱舅。國君友其賢臣,大夫士友其宗族之仁者。
【모형 전】 차라리 살진 양이 아니었으면 함이다. 천자가 같은 성(姓)의 제후를 일컫고, 제후가 같은 성의 대부를 일컬을적에 모두 부(父)라고 말하고, 성이 다르면 구(舅, 외삼촌 구)라고 칭한다. 나라의 군주는 현명한 신하를 벗하고 대부와 관리[士]는 종족의 어진 자를 벗한다.
寧適不來?微我弗顧。
(녕적불래 미아불고)
어쩐일로 못 오셨지만 나를 싫어함이 아니라네
【毛亨 傳】 微,無也。
【모형 전】 미(微, 작을 미)는 없음이다.
於粲洒埽,陳饋八簋。
(어찬쇄소 진궤팔궤)
아, 깨끗이 쓸고닦아 여러 그릇 음식 차려놓고
【毛亨 傳】 粲,鮮明貌。圓曰簋。天子八簋。
【모형 전】 찬(粲, 선명할 찬)은 곱고 밝은 모양이다. 둥근 그릇을 궤(簋, 제기 이름 궤)라고 말하며, 천자는 여덟 그릇이다.
既有肥牡,以速諸舅。
(기유비모 이속제구)
이미 살찐 숫짐승 있어서 어르신들을 청했는데
寧適不來?微我有咎。
(녕적불래 미아유구)
어찌하여 못 오셨지만 나를 허물함은 아니라네
【毛亨 傳】 咎,過也。
【모형 전】 구(咎, 허물 구)는 허물이다.
伐木于阪,釃酒有衍,
(벌목우판 시주유연)
산비탈에 나무를 베는데 전국 술 넉넉히 있고
【毛亨 傳】 衍,美貌。
【모형 전】 연(衍, 넓을 연)은, 아름다운 모양이다.
籩豆有踐,兄弟無遠。
(변두유천 형제무원)
가지런히 음식 차려놓고 형제가 가까이 있네
民之失德,乾餱以愆。
(민지실덕 건후이건)
백성의 덕을 잃음은 소흘한 음식 탓이구나
【毛亨 傳】 餱,食也。
【모형 전】 후(餱, 건량 후)는 말린 밥이다.
有酒湑我,無酒酤我。
(유주서아 무주고아)
술 있으면 걸러오고 술 없으면 사서 오네
【毛亨 傳】 湑,茜之也。酤,一宿酒也。
【모형 전】 서(湑, 거를 서)는 꼭두서니[茜]로 술을 거름이다. 고(酤, 계명주 고)는 하루 전날 담은 술이다.
坎坎鼓我,蹲蹲舞我。
(감감고아 준준무아)
둥둥 북을 치며 덩실 덩실 춤을 추다가
【毛亨 傳】 蹲蹲,舞貌。
【모형 전】 준준(蹲蹲, 쭈그릴 준)은 춤추는 모양이다.
迨我暇矣!飲此湑矣!
(태아가의 음차서의)
내가 한가해지면 이 술을 걸러 마셔보세
◎ 모시전(毛詩箋)
한(漢)나라 정현(鄭玄, 127~200)이 모형(毛亨)의 『모시전(毛詩傳)』에 전(箋)을 달아서 『모시전(毛詩箋)』을 지었다.
伐木丁丁,鳥鳴嚶嚶。
(벌목정정 조명앵앵)
나무를 쩡쩡 베어내니 새들이 앵앵하고 울다가
【鄭玄 箋】 箋雲:丁丁、嚶,相切直也。言昔日未居位,在農之時,與友生於山岩,伐木為勤苦之事,猶以道德相切正也。嚶,兩鳥聲也。其鳴之誌,似於有友道然,故連言之。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정정(丁丁)과 앵앵(嚶嚶)은, 서로 절제(切除)하여 바로잡음이다. 옛날 지위에 자리하지 않고 농사가 있는 시절에는, 벗과 산봉우리에 살고 나무를 베며 괴롭고 수고로운 일을 하지만 오히려 도덕(道德)으로써 서로 절제(切除)하여 바로잡았음을 말함이다. 앵앵(嚶嚶)은, 두마리 새의 소리이다. 그 우는 뜻은, 벗이 있음에는 도(道)가 그러함을 닮았기 때문에 연결해서 말을 했음이다.”라고 하였다.
出自幽谷,遷于喬木。
(출자유곡 천우교목)
깊은 골짜기에서 날아와 높은 나무로 옮겨가네
【鄭玄 箋】 箋雲:遷,徙也。謂鄉時之鳥,出從深穀,今移處高木。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천(遷, 옮길 천)은 옮김이다. 옛적[鄉時]의 새인데, 깊은 꼴짜기[深谷]로 부터 나와서 지금은 높은 나무에 옮겨 처함을 말함이다.”라고 하였다.
嚶其鳴矣,求其友聲。
(앵기명의 구기우성)
앵앵하고 우는 그 울음은 벗을 찾는 소리라네
【鄭玄 箋】 箋雲:嚶其鳴矣,遷處高木者。求其友聲,求其尚在深穀者。其相得,則複鳴嚶然。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그 울음이 앵앵함은, 높은 나무에 옮겨가는 것이다. 그 벗을 찾는 소리는, 오히려 깊은 꼴짜기[深谷]에 있는 자를 찾음이다. 서로 얻으면 다시 앵앵하는 것처럼 우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相彼鳥矣,猶求友聲。
(상피조의 유구우성)
서로 우는 저 새들은 친구를 찾는 소리인데
矧伊人矣,不求友生。
(신이인의 불구우생)
하물며 저 사람들은 친한 친구를 찾지 않네
【鄭玄 箋】 箋雲:相,視也。鳥尚知居高木呼其友,況是人乎,可不求之?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상(相)은 서로 봄이다. 새는 그 벗이 높은 나무에 거주함을 알고 숭상하는데, 하물며 바로 사람이면서 그것을 구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라고 하였다.
神之聽之,終和且平。
(신지청지 종화차평)
신중하고 경청하면 종내 화락하고 평안리라
【鄭玄 箋】 箋雲:以可否相增減,曰和平齊等也。此言心誠求之,神若聽之,使得如誌,則友終相與和而齊功也。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그로써 하거나 못함[可否]을 서로 더하거나 감하고 고르게 화합하여 무리를 가지런히 함을 말한다. 이는 진실한 마음을 구함을 말하며, 신(神)이 만약 그것을 듣고서 같은 뜻을 얻도록 한다면 벗이 마침내 서로 더블어 화합하여서 공적(功績)을 가지런히 한다.”라고 하였다.
伐木許許,釃酒有藇。
(벌목호호 시주유서)
영차 영차 나무를 베는데 전국 술은 익어 있고
【鄭玄 箋】 箋雲:此言前者伐木許許之人,今則有酒而釃之,本其故也。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이는 앞의 사람이 영차 영차[許許]하며 나무를 베는 사람을 말하는데, 지금이라면 술이 있어서 술을 거름이 그 연고(緣故)의 근본이다.”라고 하였다.
既有肥羜,以速諸父。
(기유비저 이속제부)
이미 살찐 양이 있어서 친척 어르신들 청했는데
【鄭玄 箋】 箋雲:速,召也。有酒有寧,今以召族人飲酒。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속(速, 빠를 속)은 청함이다. 술이 있고 편안(便安)함이 있으니 지금 그로써 친척들을 청하여 술을 마심이다.”라고 하였다.
寧適不來?微我弗顧。
(녕적불래 미아불고)
어쩐일로 못 오셨지만 나를 싫어함이 아니라네
【鄭玄 箋】 箋雲:寧召之,適自不來,無使言我不顧念也。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편안(便安)하게 초대를 했는데 일이 생겨서 오지 못했으니, 나를 돌보지 않는다는 말을 하였을리 없다”라고 하였다.
於粲洒埽,陳饋八簋。
(어찬쇄소 진궤팔궤)
아, 깨끗이 쓸고닦아 여러 그릇 음식 차려놓고
【鄭玄 箋】 箋雲:粲然已灑扌糞矣,陳其黍稷矣,謂為食禮。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이미 깨끗한데 물뿌리고 청소함은, 그 찰기장과 메기장을 차려서 음식의 예(禮)를 함을 말함이다.”라고 하였다.
既有肥牡,以速諸舅。
(기유비모 이속제구)
이미 살찐 숫짐승 있어서 어르신들을 청했는데
寧適不來?微我有咎。
(녕적불래 미아유구)
어찌하여 못 오셨지만 나를 허물함은 아니라네
伐木于阪,釃酒有衍,
(벌목우판 시주유연)
산비탈에 나무를 베는데 전국 술 넉넉히 있고
【鄭玄 箋】 箋雲:此言伐木於阪,亦本之也。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이는 산비탈에서 나무를 베는데, 또한 그것이 근본임을 말함이다.”라고 하였다.
籩豆有踐,兄弟無遠。
(변두유천 형제무원)
가지런히 음식 차려놓고 형제가 가까이 있네
【鄭玄 箋】 箋雲:踐,陳列貌。兄弟,父之黨,母之黨。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천(踐, 밟을 천)은 벌려서 차려놓은 모양이다. 형재(兄弟)는 아버지의 무리와 어머니의 무리이다.”라고 하였다.
民之失德,乾餱以愆。
(민지실덕 건후이건)
백성의 덕을 잃음은 소흘한 음식 탓이구나
【鄭玄 箋】 箋雲:失德,謂見謗訕也。民尚以乾餱之食獲愆過於人,況天子之饌,反可以恨兄弟乎?故不當遠之。餱音侯,《爾雅》雲:「餥、餱,食也。」愆,起虔反。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덕(德)을 잃음은, 비방(誹謗)하고 헐뜯음이 보임을 말함이다. 백성이 오히려 소흘한 음식을 가지고 사람들에게 허물과 재앙을 얻는데, 하물며 천자의 반찬(飯饌)이 도리어 형재를 유감스럽게 할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그것을 멀리함은 마땅하지 않음이다. 후(餱, 건량 후)의 음은 후(侯)이며, 《이아(爾雅)》에 이르기를 ”비(餥)와 후(餱)는 음식이다.“라고 했다. 건(愆, 허물 건)은 기와 건의 반절음이다.”라고 하였다.
有酒湑我,無酒酤我。
(유주서아 무주고아)
술 있으면 걸러오고 술 없으면 사서 오네
【鄭玄 箋】 箋雲:酤,買也。此族人陳王之恩也。王有酒則泲莤之,王無酒酤買之,要欲厚於族人。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고(酤, 팔 고)는 사는 것이다. 이는 친척이 왕의 은혜를 받음이다. 왕이 술이 있으면 맑은 술을 거르고 왕이 술이 없으면 사오는데 요컨대 친척에게 후하게 하고자 함이다.”라고 하였다.
坎坎鼓我,蹲蹲舞我。
(감감고아 준준무아)
둥둥 북을 치며 덩실 덩실 춤을 추다가
【鄭玄 箋】 箋雲:為我擊鼓坎坎然,為我興舞蹲蹲然,謂以樂樂己。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나를 위해 북을 둥둥 그렇게 두드리고 나를 위해 춤을 덩실 덩실 그렇게 춤은 음악으로써 자기를 즐겁게 함을 말함이다.”라고 하였다.
迨我暇矣!飲此湑矣!
(태아가의 음차서의)
내가 한가해지면 이 술을 걸러 마셔보세
【鄭玄 箋】 箋雲:迨,及也。此又述王意也。王曰:及我今之閒暇,共飲此湑酒。欲其無不醉之意。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태(迨, 미칠 태)는 미침이다. 이는 또 왕의 뜻을 서술함이다. 왕이 말하기를 ”내가 지금 한가한 틈에 이르렀으니, 이 술을 걸러서 함께 마시자.“라고 하였다. 그 취하지 않음이 없음의 뜻으로 하고자 함이다.”라고 하였다.
《모시정의(毛詩正義)》
ㅡ 한(漢)나라, 毛亨傳 鄭玄箋 당(唐)나라, 孔穎達疏
한(漢)나라 모형(毛亨)이 『시경(詩經)』에 전(傳)을 짓고 정현(鄭玄)이 전(箋)을 붙였으며 당(唐)나라 공영달(孔穎達)이 소(疏)를 지어 모시정의(毛詩正義)를 완성 하였다.
《伐木》,燕朋友故舊也。自天子至於庶人,未有不須友以成者。親親以睦,友賢不棄,不遺故舊,則民德歸厚矣。
疏「《伐木》六章,章六句」至「厚矣」。○正義曰:作《伐木》詩者,燕朋友故舊也。又言所燕之由,自天子至於庶人,未有不須友以成者。王者既能內親其親,以使和睦,又能外友其賢而不棄,不遺忘久故之恩舊而燕樂之,以此化民於上,民則效之於下,則民德皆歸於惇厚,不澆薄矣。朋是同門之稱,友為同誌之名,故舊即昔之朋友也,然則朋友新故通名,故舊唯施久遠。此雲朋友可以兼故舊,而並言之者,此說文王新故皆燕,故異其文。友賢不棄,燕朋友也。不遺故舊,是燕故舊也。舊則不可更釋,新交則非賢不友,故變朋友雲友賢也。燕故舊,即二章、卒章上二句是也。燕朋友,即二章諸父、諸舅,卒章「兄弟無遠」是也。經、序倒者,經以主美文王不遺故舊為重,故先言之,而後言父舅。父舅先兄弟,見父舅亦有故舊也。序以經雖主燕故舊,而故舊亦朋友,故先言朋友,以見總名,而又別言故舊,以明其為二事。天子至於庶人,未有不須友以成者,即序首章之事,因文王求友而廣言貴賤也。經以由須朋友而燕之,故先論求友之由。序則以詩本主燕,所以倒也。二章、卒章所陳,皆為燕食,說王不得不召父舅,又於兄弟陳王之恩,皆是燕朋友故舊也。經兼陳食禮,而序不言,亦舉其歡心,足以兼之。其親親以下,因說王者立法,目明次篇之義。「親親以睦」,指上《常棣》燕兄弟也。「友賢不棄,不遺故舊」,即此篇是也。《常棣》雖周公作,既內之於治內之篇,故為此次以示法,是比篇皆有義意。
伐木丁丁,鳥鳴嚶嚶。(興也。丁丁,伐木聲也。嚶,驚懼也。箋雲:丁丁、嚶,相切直也。言昔日未居位,在農之時,與友生於山岩,伐木為勤苦之事,猶以道德相切正也。嚶,兩鳥聲也。其鳴之誌,似於有友道然,故連言之。○丁丁,陟耕反。嚶,於耕反。)
出自幽穀,遷於喬木。(幽,深。喬,高也。箋雲:遷,徙也。謂鄉時之鳥,出從深穀,今移處高木。○喬,其驕反。鄉,本又作「曏」,同許亮反。)
嚶其鳴矣,求其友聲。(君子雖遷於高位,不可以忘其朋友。箋雲:嚶其鳴矣,遷處高木者。求其友聲,求其尚在深穀者。其相得,則複鳴嚶然。○複,扶又反。)
相彼鳥矣,猶求友聲。
矧伊人矣,不求友生?(矧,況也。箋雲:相,視也。鳥尚知居高木呼其友,況是人乎,可不求之?○相,息亮反。矧,屍忍反。)
神之聽之,終和且平。(箋雲:以可否相增減,曰和平齊等也。此言心誠求之,神若聽之,使得如誌,則友終相與和而齊功也。)
疏「伐木」至「且平」。○毛以為,有人伐木於山阪之中,丁丁然為聲。鳥聞之,嚶然而驚懼。以興朋友二人相切磋,設言辭以規其友,切切節節然。其友聞之,亦自勉勵,猶鳥聞伐木之聲然也。鳥既驚懼,乃飛出,從深穀之中,遷於高木之上。以喻朋友既自勉勵,乃得遷升於高位之上。鳥既遷高木之上,又嚶然其為鳴矣,作求其友之聲。以喻君子雖遷高位,而亦求其故友。所以求之者,視彼鳥之無知,猶尚作求其友之聲,況人之有知矣,焉得不求其友生乎?君子為此而求友也,既居高位而不忘故友,若神明之所聽祐之,則朋友終久必誌意和且功業平。鄭以為,此章遠本文王幼少之時結友之事,言文王昔日未居位之時,與友生伐木於山阪,丁丁然為聲也。於時雖處勤勞,猶以道德相切直。時有兩鳥在傍,嚶然而鳴。此鳥之鳴,似朋友之相切,故連言之。此鳥乃出從深穀之中,遷於高木之上,又複嚶然為其鳴矣,作求其友之聲。然視彼鳥矣,猶作其求友之聲,況是人,何得不求其友生乎?故文王所以求友生也,大意與毛同,唯不興為異耳。○傳「丁丁」至「驚懼」。○正義曰:此丁丁文連伐木,故知伐木聲。下雲「出自幽穀,遷於喬木」,則木是其鳥驚懼而飛遷矣,故知嚶然驚懼,言此鳥為驚懼而鳴耳。嚶非驚懼之聲也,故下雲「嚶其鳴矣」,不複驚懼,鳴亦嚶,是也。然《釋訓》雲:「丁丁、嚶嚶,相切直也。」彼意以此伐木鳥鳴,喻相切直之事,今傳解《詩經》之文耳。《爾雅》徑訓興喻之義,《釋訓》雲:「顒顒、卬卬,君之德也。藹藹、萋萋,臣盡力也。」皆徑釋其義,不釋詩文。王肅亦雲:「鳥聞伐本,驚而相命嚶嚶然,故曰『丁丁、嚶,相切直』,以興朋友切切節節,其言得傳旨也。」言相切直者,謂切磋相正直也。○箋「丁丁」至「連言之」。○正義曰:箋全引《釋訓》之文,具解丁丁嚶之義與傳同也。故下即雲:「嚶,兩鳥聲。」丁丁亦是伐木聲也。故郭璞曰:「丁丁,斫木聲。嚶,兩鳥鳴。」但正伐木、鳥鳴時,有此相切直之義,故總言丁丁嚶為相切直。言未居位,謂未居諸侯之位,在於農畝時。山岩者,以下雲「伐木於阪」,故知山傍岩崖之處,故雲山岩也。箋必以為文王身與友生伐木者,以《爾雅》雲:「丁丁、嚶嚶,相切直」,自此以下,陳鳥鳴求友,無相切直之義,則伐木之時相切直也。而下二章「釃酒」文連「伐木」,是酒為伐木而設,即伐木之人是朋友矣。朋友既親伐木,明文王與之俱行,故知親在農。《禮記》注「士之子食祿不免農」,則大夫以上子免農矣。時文王為諸侯世子而在農者,案《史記· 周本紀》,大王曰:「我世當有興者,其在昌乎?」則文王在太王之時,年已長大,是諸侯世子之子耳。太王初遷於岐,民稀國小,地又隘險而多樹木,或當親自伐木,所以勸率下民,不可以禮論也。言嚶兩鳥者,以相切直。若一鳥,不得有相切。故郭璞曰:「嚶,兩鳥鳴,以喻朋友切磋相正。」是以義勢便為兩鳥,其實一鳥之鳴亦嚶也,故知「嚶其鳴矣」是一鳥也。又解鳥鳴與伐木文連之意,以文王相切直之時,此兩鳥共鳴,亦似朋友之相切磋。及其遷處高木,嚶鳴相求,又似朋友之相求。故下觀之以為喻,此鳴之誌,似於有朋友之道,故連言之。《葛覃》因以黃鳥為興,亦此類也。
伐木許許,釃酒有藇。(許許,杮貌。以筐曰釃。以藪曰湑。藇,美貌。箋雲:此言前者伐木許許之人,今則有酒而釃之,本其故也。○許,沈呼古反。釃,徐所宜反,又所餘反,葛洪所寄反,謂以篚{淥皿}酒。{淥皿}音鹿。藇音敘,又羊汝反。杮,孚廢反,又側幾反。藪,素口反。曰湑,思敘反。)
既有肥寧,以速諸父。(寧,未成羊也。天子謂同姓諸侯,諸侯謂同姓大夫,皆曰父。異姓則稱舅。國君友其賢臣,大夫士友其宗族之仁者。箋雲:速,召也。有酒有寧,今以召族人飲酒。○寧,直呂反。)
寧適不來,微我弗顧。(微,無也。箋雲:寧召之,適自不來,無使言我不顧念也。)
於粲灑埽,陳饋八簋。(粲,鮮明貌。圓曰簋。天子八簋。箋雲:粲然已灑扌糞矣,陳其黍稷矣,謂為食禮。○於如字,舊音烏。粲,采旦反。灑,所懈反,徐所寄反。埽,素報反。饋,其位反。簋,居偉反。灑,所蟹反,又所懈反。扌糞,本又作「拚」,甫問反。食音嗣。)
既有肥牡,以速諸舅。
寧適不來,微我有咎。(咎,過也。)
疏「伐木」至「有咎」。○毛以為,伐木其杮許許然,故鳥驚而飛去,以喻朋友之相勵,故德進而業脩也。此所與切磋之故舊,今以筐釃其酒,有藇然而美,與之燕飲焉。王非直燕其故舊,又既有肥寧之羊,以召朋友諸父而燕之。俱有羊酒,各舉其一也。王意又殷勤諸父兄弟,必盡召之。王言曰:寧召之,適自不來,則已無得不召之,使言我不顧念之而懷怨也。於是粲然灑埽其室庭,陳飲食之饋,黍稷之等有八簋也。既有肥寧之牡,以盡召諸舅而食之。寧召之,適自不來則止,無使懷怨,令我有咎過焉。言王厚其朋友故舊,為設燕食兼有焉。○鄭以向時與文王伐木許許之人,文王有酒而飲之,本其昔日之事也。餘同。○傳「許許」至「曰湑」。○正義曰:以許許非聲之狀,故為杮貌。上言丁丁之聲,下言於阪之處,互以相通,明在阪伐之,為聲而有杮也。以筐曰釃,以藪曰湑者,筐,竹器也。藪,草也。漉酒者或用筐,或用草,於今猶然。毛氏蓋相傳為說,因釃言湑,逆解下文。用草者,用茅也。傳僖四年《左傳》曰:「爾貢苞茅不入,王祭不供,無以縮酒。」是也。○傳「寧未」至「仁者」。○正義曰:《釋畜》雲:「未成羊曰寧。」郭璞曰:「今俗呼五月羔為寧」,是也。傳以經稱諸父舅,序雲「燕朋友故舊」,則此父舅是文王之朋友也。《禮》,天子謂同姓諸侯,諸侯謂同姓大夫,皆曰父。異姓則稱舅。故曰「諸父」、「諸舅」也。《禮記》注雲:「稱之以父與舅,親親之辭也。」 《覲禮》說天子呼諸侯之義,曰:同姓大國則曰伯父,其異姓則曰伯舅,同姓小國則曰叔父,異姓則曰叔舅。是天子稱諸侯也。《左傳》隱公謂臧僖伯曰:「叔父有憾於寡人。」鄭厲公謂原繁曰:「原與伯父圖之。」《禮記》衛孔悝之《鼎銘》雲:「公曰叔舅。」是諸侯稱大夫父舅之文也。諸侯則國有大小之殊,大夫唯以長幼為異,故服虔《左傳》注雲:「諸侯稱同姓大夫,長曰伯父,少曰叔父。」是也。然則諸侯謂異姓大夫長者亦當為伯舅,但經、傳無其事耳。《公羊傳》曰:「王者之後稱公,大國稱侯,皆千乘。小國稱伯、子、男。」《左傳》曰:「在禮,卿不會公、侯,會伯、子、男可也。」分五等為二節,皆以公、侯為上等,伯、子、男為下等,明大邦謂公、侯,小邦謂伯、子、男。其稱牧伯則異。《曲禮》曰:「五官之長曰伯,是職方。天子同姓謂之伯父,異姓謂之伯舅。」東西二伯。又曰:「九州之長,入天子之國曰牧,天子同姓謂之叔父,異姓謂之叔舅。」注雲:「牧尊於大國之君,而謂之叔父,避二伯也,亦以此為尊。禮或損之而益,謂此類也。」言由避二伯,故稱叔。因以別異大邦之君,亦以損其稱而更益其尊,故雲「損之而益」也。齊太公為王官之伯,《左傳》雲:「王使劉定公賜齊侯,命曰:『昔伯舅太公佐我先王。』」是稱太公為伯舅也。及齊桓公興霸功,王又以二伯之禮命之,僖九年傳曰:「王使宰孔賜齊侯胙,曰:『使孔賜伯舅胙。』」是也。周公亦是分陝之伯,而《魯頌》雲「王曰叔父」者,以其實成王叔父,以本親言之也。其晉文公亦有霸功,而王策命辭雲「王曰叔父」者,齊桓、晉文雖俱有霸功,天子賜命,皆本其祖。太公受二伯命,故還以二伯之禮賜桓公。唐叔本受州牧之命,故還以州牧之禮命文公,故唐叔、文公但稱叔父。《左傳》周景王謂籍談曰:「叔父唐叔。」是唐叔亦受州牧之禮而稱叔父也。僖二十四年傳:「王出適鄭,使來告難,曰:『敢告叔父。』」謂魯為叔父。成二年傳王告鞏朔曰:「今叔父克遂,有功於齊。」謂晉為叔父也。昭七年,王使追命衛襄公,曰:「叔父陟恪,在我先王之左右。」是謂衛為叔父也。是晉與魯、衛,王皆呼之為叔父。昭九年,「王使詹桓伯辭於晉,曰:『伯父惠公歸自秦。』」又謂晉侯為伯父。由此觀之,魯、衛為大國而稱叔父,晉國之中,伯、叔俱稱。不同者,以魯雖周公之後,周公位塚宰為東伯,而周公之國,故擊係伯禽。《左傳》曰:「燮父、禽父、王孫牟並事康王,三國俱以令德作王卿。」明兼州牧矣。燮父,唐叔之子。王孫牟,康叔之子。康叔稱叔父,是為州牧。《尚書·酒誥》命康叔之辭曰:「明大命於妹邦。」鄭雲:「康叔為連屬之監。」則康叔後或為州牧。燮父、王孫牟或各繼其父為州牧也。伯禽作《費誓》專征徐戎,為方伯。可知三國並為大國,王室之親,又皆二伯之後,尊而異之,所以皆稱叔父焉。晉又稱伯父者,以晉既大國,世作盟主故變稱伯父耳。《尚書·文侯之命》「王曰:『父羲和。』」平王得文侯夾輔,周之勳,尤親之,而直稱父也。天子稱朝廷公卿則無文。蓋有爵者自依諸侯之例,無爵者亦應以此長幼稱伯父、叔父。大夫以下位卑,其稱父舅以否,無文以明之。此傳以及下經父舅兼有,解天子所呼父舅之文,以諸侯於大夫,猶天子於諸侯,同有父舅之名,故連釋之焉。既此篇燕朋友而呼父舅,是父舅為天子朋友,事自明矣。因天子有交友之義已釋,諸侯亦有父舅,故亦因解國君友其賢臣,並及大夫友其宗族之仁者。雲仁賢者,明尊卑之交,非賢不友故也。定本無「宗」字。○箋「有酒」至「飲酒」。○正義曰:此有酒有寧,召族人飲之,蓋是燕禮,非饗也。何者?《聘禮》注雲:「饗謂亨大牢以飲賓也。」今此唯肥寧而已,是非饗禮明矣。今燕禮者,是諸侯燕其群臣及賓客之禮。《禮記》雲「其牲狗」,不用羊豕。此雲「有肥寧」者,天子之禮異於諸侯也。宣十六年《左傳》曰:「王饗有體薦,燕有折俎。公當饗,卿當燕。王室之禮。」是天子燕、饗之禮異於諸侯,牲亦不同也。○箋「陳其」至「食禮」。○正義曰:《儀禮·特牲》、《少牢》、《聘禮》、《公食》之等,皆以簋盛黍稷,則八簋是黍稷之器也,故雲「陳其黍稷謂為食禮」。案《周官·掌客職》五等諸侯簋皆十二。又《公食大夫禮》上大夫八簋。此天子雲八簋者,據待族人設食之禮。其《掌客》所雲,謂飧饔餼之大禮。《公食大夫》是諸侯食大夫之禮。若曰食,特牲者二簋,少牢者四簋,故《玉藻》雲「少牢五俎四簋」。然則大牢者六簋,上肥寧、釃酒為燕禮,此是食禮,互陳之也。知是食禮者,燕禮主於飲酒,無飯食,則此簋盛黍稷,是食禮可知。《周禮·地官·舂人》雲:「凡饗供食米。」則饗禮有黍稷矣。但饗主於飲,不主於食。此經不言酒肴,獨陳八簋,假令與上釃酒並為一事,亦不得為饗禮,何者?饗亨太牢以飲賓,不得用未成羊寧也。但於肥寧之下,既言以速諸父,又別言於粲灑埽以速諸舅,明二者又為一禮。上句為燕,下句為食。燕言諸父,食言諸舅,互文以相通也。推此明以兼有饗矣,但文不見饗耳。
伐木於阪,釃酒有衍。(衍,美貌。箋雲:此言伐木於阪,亦本之也。)
籩豆有踐,兄弟無遠。(箋雲:踐,陳列貌。兄弟,父之黨,母之黨。)
民之失德,乾餱以愆。(餱,食也。箋雲:失德,謂見謗訕也。民尚以乾餱之食獲愆過於人,況天子之饌,反可以恨兄弟乎?故不當遠之。餱音侯,《爾雅》雲:「餥、餱,食也。」愆,起虔反。訕,於諫反。饌,士戀反。遠,於萬反,亦如字。)
有酒湑我,無酒酤我。(湑,茜之也。酤,一宿酒也。箋雲:酤,買也。此族人陳王之恩也。王有酒則泲莤之,王無酒酤買之,要欲厚於族人。○湑,本又作「醑」,思敘反。酤,毛音戶,《說文》同,鄭音顧,又音沽。莤,所六反,與《左傳》縮酒同,義謂以茅泲之而去其糟也,字從草。泲,子禮反。)
坎坎鼓我,蹲蹲舞我。(蹲蹲,舞貌。箋雲:為我擊鼓坎坎然,為我興舞蹲蹲然,謂以樂樂己。○坎如字,《說文》作竷,音同,雲:「舞曲也。」蹲,七旬反,本或作「墫」,同,《爾雅》雲:「喜也。」《說文》雲:「士舞也。從士、尊。」為,於偽反,下同。樂樂,上音嶽,下音洛。)
迨我暇矣,飲此湑矣。(箋雲:迨,及也。此又述王意也。王曰:及我今之閒暇,共飲此湑酒。欲其無不醉之意。○迨音待。閒音閑。)
疏「伐木」至「湑矣」。○毛以為,伐木於阪以驚鳥,喻朋友切磋以成道也。由朋友相成如此,故今以筐釃其酒,衍然而美以燕之。既有酒矣,又籩豆有踐然行列而陳之矣,兄弟親戚,無有疏遠,皆使召之而與之燕也。王又自言已不可不召族人之意。下民之失德見謗訕者,以何故乎?正由乾餱之食不分於人,以獲愆過。乾餱之食尚以獲愆,況天子之饌,可不召親戚,令之恨乎?故盡召而燕之。族人陳王之恩,言王有酒則湑泲之以飲我,王無酒則卒造一宿之占酒以與我,於時坎坎然擊鼓以娛我,蹲蹲然興舞以樂我,是王恩甚厚矣。王又謂族人曰:汝族人今日正及我閒暇矣,共汝飲此湑酒矣。言已卒有閒暇而為此飲,其意欲令族人以不醉。是王之恩厚也。○鄭以「伐木於阪,亦本之」,「酤,買」為異。餘同。○箋「兄弟父」至「母之黨」。○正義曰:以上言諸父為父黨,則諸舅為母黨。此言兄弟,總上父舅二文,故知父黨、母黨也。禮有同姓、異姓、庶姓。同姓,王之同宗,是父之黨也。異姓,王舅之親。庶姓,與王無親者。天子於諸侯非同姓,皆曰舅,不由有親無親,則舅文又以兼庶姓矣。其中容有舅甥之親,故通言母之黨也。父黨、母黨得同曰兄弟者,兄弟是相親之辭,因推而廣之,異姓亦得言之,故《釋親》云:「父之黨為宗族,母與妻之黨為兄弟。」是母黨為兄弟之文也。此不言妻黨者,以舅是母黨之稱,故特言母耳。其實妻黨亦曰兄弟。《釋親》又曰:「妻之父為婚兄弟。婿之父為姻兄弟。」是也。兄弟必兼言母黨者,以甥舅之親與同姓等,故《頍弁》諸公刺王不能燕樂同姓,而經曰:「豈伊異人,兄弟甥舅。」是也。若然,兄弟總辭,而下箋獨言族人陳王之恩者,以兄弟雖父黨,兼言母黨,而父黨為正,故下特云族人也。此燕朋友故舊,非燕族人。據族人為朋友者,互說耳。舉族可以兼異姓及庶姓矣。○箋「反可以恨兄弟乎」。○正義曰:定本「恨」作「限」,恐非也。○傳「酤,一宿酒」。○正義曰:毛以為,言無酒,明是卒為之,故云一宿酒。蓋於時有之。箋以經、傳無名一宿酒為酤者。既有一宿之酒,不得謂之無酒。《論語》云:「酤酒巿脯不食。」是古買酒為酤酒,故易之為「酤,買」也。○箋「為我」至「樂己」。○正義曰:兄弟陳王之厚己,使人為之鼓舞。言為我者,以樂由己而故作也。《禮記》:「天子食三老五更於大學,冕而總干,親在舞位。」知此非王自舞者,食三老五更,重禮示敬,故王親舞之。此與故舊燕樂,不當王親舞也。若言王身親舞,豈亦親擊鼓乎?以此知使人為之。
《伐木》六章,章六句。
'■ 시경(詩經) > 2.毛詩正義[공영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경(詩經)』167. 채미(采薇, 고사리를 캐세) (0) | 2022.08.31 |
---|---|
『시경(詩經)』166. 천보(天保, 하늘이 보호하시네) (0) | 2022.08.29 |
『시경(詩經)』164. 상체(常棣, 산앵두 나무) (0) | 2022.08.26 |
『시경(詩經)』163. 황황자화(皇皇者華, 아름다운 꽃) (0) | 2022.08.25 |
『시경(詩經)』162. 사모(四牡, 네 필의 수레) (0) | 2022.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