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왕필 주역주/고괘(蠱卦)
○ 왕필(王弼.226~249)
위(魏)나라 산음(山陰, 산동성) 사람이며 자는 보사(輔嗣)이다. 풍부한 재능을 타고나 유복한 환경에서 자랐기 때문에 일찍 학계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나 24살에 요절한 뛰어난 학자이다.
18. 고괘(蠱卦)[卦象:산풍고]
☶ 艮上
☴ 巽下
손[風.바람]가 아래에 있고, 간[山.산]이 위에 있다.
蠱,元亨,利涉大川。先甲三日,後甲三日。
고(蠱)는 크게 형통하고 큰 시내를 건너야 이로우니, 갑(甲)보다 3일 먼저하고 갑보다 3일 뒤에 한다.
《彖》曰:蠱,剛上而柔下,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 "고(蠱)는 강함이 위쪽이고 부드러움이 아래이며,
【王弼 注】 上剛可以斷制,下柔可以施令。
【왕필 주】위의 강함은 지음을 결단할 수 있고, 아래 부드러움은 령(令)을 베풀 수가 있다.
巽而止,蠱。
공순(恭順)하고 그침이 고(蠱)이다.
【王弼 注】 既巽又止,不競爭也。有事而无競爭之患,故可以有為也。
【왕필 주】이미 공순(恭順)한데 또 그치고, 겨루고 다투지 않는다. 일이 있으면서 겨루고 다툼의 근심이 없기 때문에 함이 있음으로 할 수 있다.
蠱,元亨而天下治也。
고(蠱:일)는 크게 형통하여 천하가 다스려진다.
【王弼 注】 有為而大亨,非天下治而何也?
【왕필 주】함이 있는데 크게 형통하니, 천하가 어찌 다스려지지 않겠는가?
利涉大川,往有事也。先甲三日,後甲三日,終則有始,天行也。
'큰 내를 건너야 이로움'은 가야 일이 있음이다. '갑(甲)보다 3일 앞서고 갑보다 3일 뒤'는 마치면 시작이 있음이 하늘의 운행이다.
【王弼 注】 蠱者,有事而待能之時也。可以有為,其在此時矣。物已說隨,則待夫作制以定其事也。進德脩業,往則亨矣,故元亨,利涉大川也。甲者,創制之令也。創制不可責之以舊,故先之三日,後之三日,使令治而後乃誅也。因事申令,終則復始,若天之行,用四時也。
【왕필 주】고(蠱,일)라는 것은, 일이 있으면 잘하는 때를 기다림이다. 함이 있음을 할 수 있음은, 그 있음은 이 때이다. 사물이 이미 설득되어 따르면 그가 제작(制作)하기를 기다려 그로써 그 일을 정한다. 덕(德)에 나아가고 업(業)을 닦고서 가면 형통하다. 그러므로 크게 형통하고 큰 시내를 건너야 이롭다. 갑(甲)이란 것은 처음 지은 법령이며, 처음 지어졌는데 옛날[법령]로서 책망할 수 없기 때문에 앞으로 3일과 뒤로 3일에 법령으로 하여금 다스리게 한 이후에 주벌한다. 일을 인하여 법령을 펼침은 마치면 다시 시작하는데, 하늘의 운행이 4철[四時]에 쓰임과 같다.
《象》曰:山下有風,蠱,君子以振民育德。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산 아래에 바람이 있음이 고(蠱)이며, 군자가 그로써 백성들을 거두어 덕(德)을 길러준다.”
【王弼 注】 蠱者,有事而待能之時也,故君子以濟民養德也。
【왕필 주】고(蠱)라는 것은, 일이 있으면 잘하는 때를 기다린다, 그러므로 군자는 그로써 백성을 구제(救濟)하여 덕(德)을 길러준다.
初六,幹父之蠱, 有子, 考无咎,厲終吉。
초육(初六)은 아버지의 일을 주관하는데, 자식이 있어야 돌아가신 어버지가 허물이 없으며 괴롭지만 마침은 길하다.
【王弼 注】 處事之首,始見任者也。以柔巽之質,幹父之事,能承先軌,堪其任者也,故曰有子也。任為事首,能堪其事,考乃无咎也,故曰有子考无咎也。當事之首,是以危也,能堪其事,故終吉。
【왕필 주】일의 머리에 처하고, 임무를 시작하는 자이다. 부드러운 손(巽)의 재질로써 아버지의 일을 주관하고 앞의 자취를 잘 계승하며 그 임무를 잘 감당한다, 그러므로 "자식이 있다."라고 말했다. 일 머리를 하는데 임하여 그 일을 잘 감당하니, 돌아가신 아버지가 이에 허물이 없다, 그러므로 "자식이 있어야 돌아가신 아버지가 허물이 없다”라고 말했다. 일의 머리를 당하였으니 이로써 위태하지만 그 일을 잘 감당하였기 때문에 마침은 길하다.
《象》曰:幹父之蠱,意承考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아버지의 일을 주관함은, 뜻이 돌아가신 아버지를 계승함이다."
【王弼 注】 幹事之首,時有捐益,不可盡承,故意承而已。
【왕필 주】일의 머리를 주관함은 때때로 덜어내고 더함이 있는데 계승을 다 할 수 없기 때문에 뜻 만 승계할 뿐이다.
九二,幹母之蠱,不可貞。
구이(九二)는 어머니의 일을 주관하는데, 곧으면 할 수 없다.
【王弼 注】 居於內中,宜幹母事,故曰幹母之蠱也。婦人之性,難可全正,宜屈己剛,既幹且順,故曰不可貞也。幹不失中,得中道也。
【왕필 주】내괘(內卦)의 가운데[中]에 거주하여 마땅히 어머니의 일을 주관하기 때문에 "어머니의 일을 주관한다."라고 말했다. 부인의 성품은 어렵지만 온전히 바를 수 있고 마땅히 자기의 강함을 굽혀야 하며 이미 주관하고 또 순하기 때문에 "곧으면 할 수 없다."라고 말했다. 가운데[中]를 잃지 않고 주관함은 중도(中道)를 얻었음이다.
《象》曰:幹母之蠱,得中道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어머니의 일을 주관함은 적절한 도리[中道]를 얻었음이다.”
九三,幹父之蠱,小有悔,无大咎。
구삼(九三)은 아버지의 일을 주관하는데 조금 후회가 있지만 큰 허물은 없다.
【王弼 注】 以剛幹事,而无其應,故有悔也。履得其位,以正幹父,雖小有悔,終无大咎。
【왕필 주】강함으로써 일을 주관하여서 그 응(應)이 없기 때문에 후회가 있다. 그 지위를 얻어 나아가 바름으로써 아버지의 [일을] 주관하니 비록 조금 후회는 있으나 마침은 크게 허물이 없다.
《象》曰:幹父之蠱,終无咎也。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아버지의 일을 주관하는데 마침은 허물이 없다."
六四,裕父之蠱,往見吝。
육사(六四)는 아버지의 일을 여유롭게 하지만, 가면 부끄러움을 당한다.
【王弼 注】 體柔當位,幹不以剛,而以柔和,能裕先事者也。然无其應,往必不合,故曰往見吝。
【왕필 주】몸[體]은 부드러운데 지위를 담당(擔當)하여 주관함을 굳셈으로 하지 않고 부드러움으로써 어울리니 선대의 일을 여유롭게 잘하는 자이다. 그러나 그 응(應)이 없어서 가면 반드시 합하지 않기 때문에 "가면 부끄러움을 당한다."라고 말했다.
《象》曰:裕父之蠱,往未得也。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아버지의 일을 여유롭게 함은, 가더라도 [일을] 얻지 못한다."
六五,幹父之蠱,用譽。
육오(六五)는 아버지의 일을 주관하는데, 명예를 사용한다.
【王弼 注】 以柔處尊,用中而應,承先以斯,用譽之道也。
【왕필 주】부드러움으로써 높은데 처하고 가운데[中]를 사용하면서 응(應)하며 선친을 이로써 받들며 명예의 도(道)를 사용한다.
《象》曰:幹父用譽,承以德也。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아버지의 [일을] 주관하고 명예를 사용함은 덕(德)으로서 승계함이다."
【王弼 注】 以柔處中,不任威力也。
【왕필 주】부드러움으로써 가운데[中]에 처하고 위엄과 힘에 맡기지 않음이다.
上九,不事王侯,高尚其事。
상구(上九)는 왕후(王侯)를 섬기지 않고, 그[아버지] 일을 높이고 숭상(崇尙)한다.
【王弼 注】 最處事上,而不累於位,不事王侯,高尚其事也。
【왕필 주】가장 윗 일에 처하면서 지위에 묶이지 않고 왕후(王侯)를 섬기지 않으며 높이고 숭상(崇尙)한다.
《象》曰:不事王侯,志可則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왕후(王侯)를 섬기지 않음은 뜻을 본받을 만함이다."
'◑왕필 주역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왕필 주역주/20. 관괘(觀卦)[卦象:풍지관] (0) | 2022.06.15 |
---|---|
▣ 왕필 주역주/19. 임괘(臨卦)[卦象:지택림] (0) | 2022.06.14 |
▣ 왕필 주역주/17. 수괘(隨卦)[卦象:택뢰수] (0) | 2022.06.11 |
▣ 왕필 주역주/16. 예괘(豫卦)[卦象:뇌지예] (0) | 2022.06.10 |
▣ 왕필 주역주/15. 겸괘(謙卦)[卦象:지산겸] (0) | 2022.06.09 |